[3] 받침의 발음 (1) Flashcards

(85 cards)

1
Q

읊다

A

[읍따]

ㄿ → [ㅂ]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젊다

A

[점:따]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ㄻ → [ㅁ]

어간 받침 ㄴ, ㅁ +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넓적다리

A

[넙쩍따리]

ㄼ, ㄽ, ㄾ → [ㄹ]

  • 다만, ‘넓-‘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넙]으로 발음한다.
  • 넓적하다, 넓죽하다, 넓둥글다, 넓적다리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핥다

A

[할따]

ㄼ, ㄽ, ㄾ → [ㄹ]

어간 받침 ‘ㄼ. ㄾ’ +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히읗에

A

[히으세]

‘ㄷ, ㅈ, ㅊ, ㅋ, ㅌ, ㅍ, ㅎ’의 경우에는 연음하지 않고 현실적인 발음을 인정하여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앉다

A

[안따]

ㄵ → [ㄴ]

어간 받침 ㄴ, ㅁ +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맑지

A

[막찌]

ㄺ → [ㄱ]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밭이

A

[바치]

받침 ㄷ, ㅌ(ㄾ) +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 → [ㅈ, 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밟소

A

[밥:쏘]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ㄼ, ㄽ, ㄾ → [ㄹ]

  • 다만, ‘밟-‘은 자음 앞에서 [밥]으로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닭을

A

[달글]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않은

A

[아는]

ㅎ(ㄶ, ㅀ) +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나 접미사 → ‘ㅎ’ 탈락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있어

A

[이써]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읊어

A

[을퍼]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키읔을

A

[키으글]

‘ㄷ, ㅈ, ㅊ, ㅋ, ㅌ, ㅍ, ㅎ’의 경우에는 연음하지 않고 현실적인 발음을 인정하여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값있다

A

[가빋따]

받침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ㅄ → [ㅂ]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A

[꼳]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밟지

A

[밥:찌]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ㄼ, ㄽ, ㄾ → [ㄹ]

  • 다만, ‘밟-‘은 자음 앞에서 [밥]으로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헛웃음

A

[허두슴]

받침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끊사오니

A

[끈싸오니]

ㅎ(ㄶ, ㅀ) + ㅅ → [ㅆ]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닭이

A

[달기]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넋이

A

[넉씨]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 이 경우, ‘ㅅ’은 된소리로 발음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늙고

A

[늘꼬]

ㄺ → [ㄱ]

  • 다만, ‘ㄱ’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는 [ㄹ]로 발음된다.

어간 받침 ‘ㄼ. ㄾ’ +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피읖이

A

[피으비]

‘ㄷ, ㅈ, ㅊ, ㅋ, ㅌ, ㅍ, ㅎ’의 경우에는 연음하지 않고 현실적인 발음을 인정하여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먹히다

A

[머키다]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피읖에
[피으베] 'ㄷ, ㅈ, ㅊ, ㅋ, ㅌ, ㅍ, ㅎ'의 경우에는 연음하지 않고 현실적인 발음을 인정하여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26
많소
[만:쏘]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ㅎ(ㄶ, ㅀ) + ㅅ → [ㅆ]
27
맑다
[막따] ## Footnote ㄺ → [ㄱ]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28
부엌이
[부어키] ## Footnote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29
넓히다
[널피다] ## Footnote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30
않던
[안턴] ## Footnote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31
넋과
[넉꽈] ## Footnote ㄳ → [ㄱ]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32
넓다
[널따] ## Footnote ㄼ, ㄽ, ㄾ → [ㄹ] 어간 받침 'ㄼ. ㄾ' +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33
티읕에
[티으세] ## Footnote 'ㄷ, ㅈ, ㅊ, ㅋ, ㅌ, ㅍ, ㅎ'의 경우에는 연음하지 않고 현실적인 발음을 인정하여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34
놓네
[논네] ## Footnote 받침 ㅎ + ㄴ으로 시작된 어미 → [ㄴ]
35
국 한 대접
[구칸대접] ## Footnote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36
앞으로
[아프로] ## Footnote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37
낮이
[나지] ## Footnote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38
없어
[업:써] 단음절인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예외)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 이 경우, 'ㅅ'은 된소리로 발음함.
39
않는
[안는] ## Footnote ㄶ, ㅀ + ㄴ → 'ㅎ' 탈락
40
지읒이
[지으시] ## Footnote 'ㄷ, ㅈ, ㅊ, ㅋ, ㅌ, ㅍ, ㅎ'의 경우에는 연음하지 않고 현실적인 발음을 인정하여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41
옷 안
[오단] ## Footnote 받침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42
맑고
[말꼬] ㄺ → [ㄱ] * 다만, 'ㄱ'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는 [ㄹ]로 발음된다. 어간 받침 'ㄼ. ㄾ' +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43
맛있다
[마딛따 / 마싣따] 받침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 현실적인 발음을 고려하여 [마싣따]도 인정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44
쌓네
[싼네] ## Footnote 받침 ㅎ + ㄴ으로 시작된 어미 → [ㄴ]
45
숱하다
[수타다] ## Footnote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46
옷이
[오시] ## Footnote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47
온갖 힘
[온:가팀]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48
쫓다
[쫃따] ## Footnote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49
젖어미
[저더미] ## Footnote 받침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50
키읔과
[키윽꽈] ## Footnote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51
지읒에
[지으세] ## Footnote 'ㄷ, ㅈ, ㅊ, ㅋ, ㅌ, ㅍ, ㅎ'의 경우에는 연음하지 않고 현실적인 발음을 인정하여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52
철학
[철학]
53
앉아
[안자] ## Footnote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54
놓는
[논는] ## Footnote 받침 ㅎ + ㄴ으로 시작된 어미 → [ㄴ]
55
밟게
[밥:께]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ㄼ, ㄽ, ㄾ → [ㄹ] * 다만, '밟-'은 자음 앞에서 [밥]으로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56
넋 없다
[너겁따] ## Footnote 받침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ㄳ → [ㄱ] ㅄ → [ㅂ]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57
끊습니다
[끈씀니다] ## Footnote ㅎ(ㄶ, ㅀ) + ㅅ → [ㅆ]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58
밟는
[밤:는]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ㄼ, ㄽ, ㄾ → [ㄹ] * 다만, '밟-'은 자음 앞에서 [밥]으로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59
늙다
[늑따] ## Footnote ㄺ → [ㄱ]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60
디귿이
[디그시] ## Footnote 'ㄷ, ㅈ, ㅊ, ㅋ, ㅌ, ㅍ, ㅎ'의 경우에는 연음하지 않고 현실적인 발음을 인정하여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61
각하
[가카] ## Footnote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62
싫소
[실쏘] ## Footnote ㅎ(ㄶ, ㅀ) + ㅅ → [ㅆ]
63
많고
[만:코]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64
키읔이
[키으기] ## Footnote 'ㄷ, ㅈ, ㅊ, ㅋ, ㅌ, ㅍ, ㅎ'의 경우에는 연음하지 않고 현실적인 발음을 인정하여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65
키읔에
[키으게] ## Footnote 'ㄷ, ㅈ, ㅊ, ㅋ, ㅌ, ㅍ, ㅎ'의 경우에는 연음하지 않고 현실적인 발음을 인정하여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66
꽂아
[꼬자] ## Footnote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67
쌓지
[싸치] ## Footnote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68
앓아
[아라] ## Footnote ㅎ(ㄶ, ㅀ) +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나 접미사 → 'ㅎ' 탈락
69
외곬
[외골 / 웨골] ## Footnote 'ㅚ, 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ㄼ, ㄽ, ㄾ → [ㄹ]
70
무릎에
[무르페] ## Footnote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71
넓둥글다
[넙뚱글다] ㄼ, ㄽ, ㄾ → [ㄹ] * 다만, '넓-'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넙]으로 발음한다. * 넓적하다, 넓죽하다, 넓둥글다, 넓적다리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72
뜻있다
[뜨딛따] ## Footnote 받침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73
값어치
[가버치] ## Footnote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ㅄ → [ㅂ] '-어치'는 접사, but 은 '값어치'를 합성어로 해석
74
끊어
[끄너] ## Footnote ㅎ(ㄶ, ㅀ) +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나 접미사 → 'ㅎ' 탈락
75
[넉] ## Footnote ㄳ → [ㄱ]
76
넓죽하다
[넙쭈카다] ㄼ, ㄽ, ㄾ → [ㄹ] * 다만, '넓-'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넙]으로 발음한다. * 넓적하다, 넓죽하다, 넓둥글다, 넓적다리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77
맑게
[말께] ㄺ → [ㄱ] * 다만, 'ㄱ'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는 [ㄹ]로 발음된다. 어간 받침 'ㄼ. ㄾ' +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78
굵다랗다
[국:따라타]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ㄺ → [ㄱ]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79
낮 한때
[나탄때] ## Footnote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80
뚫는
[뚤른] ## Footnote ㄶ, ㅀ + ㄴ → 'ㅎ' 탈락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81
[압] ## Footnote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82
히읗이
[히으시] ## Footnote 'ㄷ, ㅈ, ㅊ, ㅋ, ㅌ, ㅍ, ㅎ'의 경우에는 연음하지 않고 현실적인 발음을 인정하여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83
않네
[안네] ## Footnote ㄶ, ㅀ + ㄴ → 'ㅎ' 탈락
84
얇다
[얄:따] ## Footnote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ㄼ, ㄽ, ㄾ → [ㄹ] 어간 받침 'ㄼ. ㄾ' +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85
낯을
[나츨] ## Footnote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