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받침의 발음 (1) Flashcards Preview

[국어] 주요 표준 발음 정리 > [3] 받침의 발음 (1) > Flashcards

Flashcards in [3] 받침의 발음 (1) Deck (85)
Loading flashcards...
1
Q

읊다

A

[읍따]

ㄿ → [ㅂ]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2
Q

젊다

A

[점:따]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ㄻ → [ㅁ]

어간 받침 ㄴ, ㅁ +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3
Q

넓적다리

A

[넙쩍따리]

ㄼ, ㄽ, ㄾ → [ㄹ]

  • 다만, ‘넓-‘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넙]으로 발음한다.
  • 넓적하다, 넓죽하다, 넓둥글다, 넓적다리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4
Q

핥다

A

[할따]

ㄼ, ㄽ, ㄾ → [ㄹ]

어간 받침 ‘ㄼ. ㄾ’ +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5
Q

히읗에

A

[히으세]

‘ㄷ, ㅈ, ㅊ, ㅋ, ㅌ, ㅍ, ㅎ’의 경우에는 연음하지 않고 현실적인 발음을 인정하여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6
Q

앉다

A

[안따]

ㄵ → [ㄴ]

어간 받침 ㄴ, ㅁ +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7
Q

맑지

A

[막찌]

ㄺ → [ㄱ]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8
Q

밭이

A

[바치]

받침 ㄷ, ㅌ(ㄾ) + 조사나 접미사의 모음 ㅣ → [ㅈ, ㅌ]

9
Q

밟소

A

[밥:쏘]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ㄼ, ㄽ, ㄾ → [ㄹ]

  • 다만, ‘밟-‘은 자음 앞에서 [밥]으로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10
Q

닭을

A

[달글]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11
Q

않은

A

[아는]

ㅎ(ㄶ, ㅀ) +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나 접미사 → ‘ㅎ’ 탈락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12
Q

있어

A

[이써]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13
Q

읊어

A

[을퍼]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14
Q

키읔을

A

[키으글]

‘ㄷ, ㅈ, ㅊ, ㅋ, ㅌ, ㅍ, ㅎ’의 경우에는 연음하지 않고 현실적인 발음을 인정하여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15
Q

값있다

A

[가빋따]

받침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ㅄ → [ㅂ]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16
Q

A

[꼳]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17
Q

밟지

A

[밥:찌]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ㄼ, ㄽ, ㄾ → [ㄹ]

  • 다만, ‘밟-‘은 자음 앞에서 [밥]으로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18
Q

헛웃음

A

[허두슴]

받침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19
Q

끊사오니

A

[끈싸오니]

ㅎ(ㄶ, ㅀ) + ㅅ → [ㅆ]

20
Q

닭이

A

[달기]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21
Q

넋이

A

[넉씨]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 이 경우, ‘ㅅ’은 된소리로 발음함.
22
Q

늙고

A

[늘꼬]

ㄺ → [ㄱ]

  • 다만, ‘ㄱ’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는 [ㄹ]로 발음된다.

어간 받침 ‘ㄼ. ㄾ’ +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23
Q

피읖이

A

[피으비]

‘ㄷ, ㅈ, ㅊ, ㅋ, ㅌ, ㅍ, ㅎ’의 경우에는 연음하지 않고 현실적인 발음을 인정하여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24
Q

먹히다

A

[머키다]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25
Q

피읖에

A

[피으베]

‘ㄷ, ㅈ, ㅊ, ㅋ, ㅌ, ㅍ, ㅎ’의 경우에는 연음하지 않고 현실적인 발음을 인정하여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26
Q

많소

A

[만:쏘]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ㅎ(ㄶ, ㅀ) + ㅅ → [ㅆ]

27
Q

맑다

A

[막따]

ㄺ → [ㄱ]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28
Q

부엌이

A

[부어키]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29
Q

넓히다

A

[널피다]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30
Q

않던

A

[안턴]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31
Q

넋과

A

[넉꽈]

ㄳ → [ㄱ]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32
Q

넓다

A

[널따]

ㄼ, ㄽ, ㄾ → [ㄹ]

어간 받침 ‘ㄼ. ㄾ’ +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33
Q

티읕에

A

[티으세]

‘ㄷ, ㅈ, ㅊ, ㅋ, ㅌ, ㅍ, ㅎ’의 경우에는 연음하지 않고 현실적인 발음을 인정하여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34
Q

놓네

A

[논네]

받침 ㅎ + ㄴ으로 시작된 어미 → [ㄴ]

35
Q

국 한 대접

A

[구칸대접]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36
Q

앞으로

A

[아프로]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37
Q

낮이

A

[나지]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38
Q

없어

A

[업:써]

단음절인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가 결합되는 경우는, 원래 긴소리를 가진 음절이라도 짧게 발음한다. (예외)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 이 경우, ‘ㅅ’은 된소리로 발음함.
39
Q

않는

A

[안는]

ㄶ, ㅀ + ㄴ → ‘ㅎ’ 탈락

40
Q

지읒이

A

[지으시]

‘ㄷ, ㅈ, ㅊ, ㅋ, ㅌ, ㅍ, ㅎ’의 경우에는 연음하지 않고 현실적인 발음을 인정하여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41
Q

옷 안

A

[오단]

받침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42
Q

맑고

A

[말꼬]

ㄺ → [ㄱ]

  • 다만, ‘ㄱ’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는 [ㄹ]로 발음된다.

어간 받침 ‘ㄼ. ㄾ’ +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43
Q

맛있다

A

[마딛따 / 마싣따]

받침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 현실적인 발음을 고려하여 [마싣따]도 인정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44
Q

쌓네

A

[싼네]

받침 ㅎ + ㄴ으로 시작된 어미 → [ㄴ]

45
Q

숱하다

A

[수타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46
Q

옷이

A

[오시]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47
Q

온갖 힘

A

[온:가팀]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48
Q

쫓다

A

[쫃따]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49
Q

젖어미

A

[저더미]

받침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50
Q

키읔과

A

[키윽꽈]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51
Q

지읒에

A

[지으세]

‘ㄷ, ㅈ, ㅊ, ㅋ, ㅌ, ㅍ, ㅎ’의 경우에는 연음하지 않고 현실적인 발음을 인정하여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52
Q

철학

A

[철학]

53
Q

앉아

A

[안자]

겹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뒤엣것만을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54
Q

놓는

A

[논는]

받침 ㅎ + ㄴ으로 시작된 어미 → [ㄴ]

55
Q

밟게

A

[밥:께]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ㄼ, ㄽ, ㄾ → [ㄹ]

  • 다만, ‘밟-‘은 자음 앞에서 [밥]으로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56
Q

넋 없다

A

[너겁따]

받침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ㄳ → [ㄱ]

ㅄ → [ㅂ]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57
Q

끊습니다

A

[끈씀니다]

ㅎ(ㄶ, ㅀ) + ㅅ → [ㅆ]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58
Q

밟는

A

[밤:는]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ㄼ, ㄽ, ㄾ → [ㄹ]

  • 다만, ‘밟-‘은 자음 앞에서 [밥]으로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ㄴ, ㅁ → [ㅇ, ㄴ, ㅁ]

59
Q

늙다

A

[늑따]

ㄺ → [ㄱ]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60
Q

디귿이

A

[디그시]

‘ㄷ, ㅈ, ㅊ, ㅋ, ㅌ, ㅍ, ㅎ’의 경우에는 연음하지 않고 현실적인 발음을 인정하여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61
Q

각하

A

[가카]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62
Q

싫소

A

[실쏘]

ㅎ(ㄶ, ㅀ) + ㅅ → [ㅆ]

63
Q

많고

A

[만:코]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64
Q

키읔이

A

[키으기]

‘ㄷ, ㅈ, ㅊ, ㅋ, ㅌ, ㅍ, ㅎ’의 경우에는 연음하지 않고 현실적인 발음을 인정하여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65
Q

키읔에

A

[키으게]

‘ㄷ, ㅈ, ㅊ, ㅋ, ㅌ, ㅍ, ㅎ’의 경우에는 연음하지 않고 현실적인 발음을 인정하여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66
Q

꽂아

A

[꼬자]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67
Q

쌓지

A

[싸치]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68
Q

앓아

A

[아라]

ㅎ(ㄶ, ㅀ) +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나 접미사 → ‘ㅎ’ 탈락

69
Q

외곬

A

[외골 / 웨골]

‘ㅚ, ㅟ’는 이중 모음으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ㄼ, ㄽ, ㄾ → [ㄹ]

70
Q

무릎에

A

[무르페]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71
Q

넓둥글다

A

[넙뚱글다]

ㄼ, ㄽ, ㄾ → [ㄹ]

  • 다만, ‘넓-‘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넙]으로 발음한다.
  • 넓적하다, 넓죽하다, 넓둥글다, 넓적다리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72
Q

뜻있다

A

[뜨딛따]

받침 뒤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실질 형태소가 연결되는 경우에는, 대표음으로 바꾸어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73
Q

값어치

A

[가버치]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

ㅄ → [ㅂ]

‘-어치’는 접사, but 은 ‘값어치’를 합성어로 해석

74
Q

끊어

A

[끄너]

ㅎ(ㄶ, ㅀ) + 모음으로 시작된 어미나 접미사 → ‘ㅎ’ 탈락

75
Q

A

[넉]

ㄳ → [ㄱ]

76
Q

넓죽하다

A

[넙쭈카다]

ㄼ, ㄽ, ㄾ → [ㄹ]

  • 다만, ‘넓-‘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넙]으로 발음한다.
  • 넓적하다, 넓죽하다, 넓둥글다, 넓적다리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77
Q

맑게

A

[말께]

ㄺ → [ㄱ]

  • 다만, ‘ㄱ’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는 [ㄹ]로 발음된다.

어간 받침 ‘ㄼ. ㄾ’ +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78
Q

굵다랗다

A

[국:따라타]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ㄺ → [ㄱ]

받침 ㄱ, ㄷ, ㅂ + ㄱ, ㄷ, ㅂ, ㅅ, ㅈ → [ㄲ, ㄸ, ㅃ, ㅆ, ㅉ]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79
Q

낮 한때

A

[나탄때]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ㅂ, ㄷ, ㅈ, ㄱ + ㅎ → [ㅍ, ㅌ, ㅊ, ㅋ]

80
Q

뚫는

A

[뚤른]

ㄶ, ㅀ + ㄴ → ‘ㅎ’ 탈락

‘ㄴ’은 ‘ㄹ’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다.

81
Q

A

[압]

받침소리로는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만 발음한다.

82
Q

히읗이

A

[히으시]

‘ㄷ, ㅈ, ㅊ, ㅋ, ㅌ, ㅍ, ㅎ’의 경우에는 연음하지 않고 현실적인 발음을 인정하여 다음과 같이 발음한다.

83
Q

않네

A

[안네]

ㄶ, ㅀ + ㄴ → ‘ㅎ’ 탈락

84
Q

얇다

A

[얄:따]

단어의 첫음절에서만 긴소리가 난다.

ㄼ, ㄽ, ㄾ → [ㄹ]

어간 받침 ‘ㄼ. ㄾ’ + 어미의 첫소리 ‘ㄱ, ㄷ, ㅅ, ㅈ’ → [ㄲ, ㄸ, ㅆ, ㅉ]

85
Q

낯을

A

[나츨]

홑받침이나 쌍받침이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 접미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는, 제 음가대로 뒤 음절 첫소리로 옮겨 발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