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2 - 지각의 물질 Flashcards

1
Q

광물에 대한 특성을 배우는데 제목을 지각의 물질이라 한 이유는?

A

지각 > 암석 > 광물 > 원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광물이란?

A

암석을 이루는 무기질의 고체, 광물마다 고유의 화학조성과 결정구조가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결정질과 비결정질의 예는?

A

비결정질의 경우 단백석과 흑요석이 있다. 나머지는 대부분 결정질의 예에 속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광물의 결정형이란?

A

광물의 독특한 외부 형태를 말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결정형태의 종류는?

A

자형, 반자형, 타형이 있다.

만들어진 순서는 자형 -> 반자형 -> 타형의 순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광물의 내부 구조를 파악하는 방법 중 하나인 라우에 점무늬는?

A

광물에 x선을 투과시키면 나오는 규칙적으로 배열된 점무늬를 말한다. 결정질 광물을 확인할 수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물리적 성질의 예시는?

A

색, 조흔색, 쪼개짐, 깨짐, 굳기가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화학적 성질의 예시는?

A

동질이상, 유질동상, 고용체가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동질이상이란?

A

바탕은 같고 모양은 다르다는 뜻으로, 대표적인 예로 탄소가 있다. 탄소는 저온, 저압에서 만들어지면 흑연이 되지만, 저온, 고압에서 만들엊지면 다이아몬드(금강석)가 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유질동상이란?

A

바탕은 비슷하고 모양도 같다는 뜻으로, 대표적인 예로, 방해석, 능철석, 마그네사이트가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고용체란?

A

화학조성이 변하기는 하지만 결정구조는 일정한 광물을 말한다. 예로, 감람석, 사장석이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광학적 등방체와 광학적 이방체를 설명하면?

A

광물을 투명광물과 불투명 광물로 나눌 수 있고, 투명광물 중에서도 복굴절을 일으키는 광물을 광학적 이방체라 말하고, 단굴절을 일으키는 광물을 광학적 등방체라 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개방니콜, 직교니콜이란?

A

편광 현미경에서 상부 편광판을 넣은 상태를 직교니콜, 뺀 상태를 개방니콜이라 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개방니콜, 직교니콜에서 관찰되는 성질은?

A

개방니콜 : 다색성 -> 광학적 등방체

직교니콜 : 간섭색, 소광현상 -> 광학적 이방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다색성이란?

A

박편을 재물대 위에 놓고 회전시키며 관찰할 때, 광물의 색과 밝기가 일정한 범위에서 변하는 현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간섭색이란?

A

박편을 재물대 위에 두고 관찰했을 때, 복굴절된 빛의 간섭에 의해 생기는 현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소광현상이란?

A

직교니콜에서 박편을 재물대 위에 놓고 회전시켰을 때 어느 각도에서 빛이 통과하지 않는 현상
재물대를 한 바퀴 회전시킬 때, 4번의 소광현상이 나타난다.
광학적 등방체의 경우, 직교니콜에서 관찰시에는 완전소광이 일어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지각에서의 광물을 구분하면?

A

규산염광물과 비규산염 광물로 나눌 수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비규산염 광물 중 탄산염광물은?

A

방해석(CaCO3)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현무암질 마그마가 생성되기 위한 조간 두 가지는?

A

온도 상승 또는 압력의 감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지각의 물질에서 화성암, 퇴적암, 변성암에 대해 배우는 이유는?

A

화성암은 화산암과 심성암으로 나뉘는데 해양지각의 주요 구성 암석이 현무암질 암석이고 현무암은 화산암에 속하기 때문이다. 또한 대륙지각의 주요 구성암석은 화강암질 암석이고 화강암은 심성암에 속한다.
퇴적암과 변성암은 어느 지각에나 존재하기 때문이다. 즉, 지각을 구성하는 물질이 암석이기 때문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현무암질 마그마가 만들어지는 곳은?

A

해령과 열점

해령은 맨틀물질에 따른 압력의 감소로 현무암질 마그마가 만들어지고, 열점은 맨틀에서 마그마가 만들어지는 지점으로 온도가 상승하여 현무암질 마그마가 만들어진다.

23
Q

베니오프대의 주변에서 생성되는 마그마는?

A

안산암질 마그마

24
Q

마그마의 분화작용이란?

A

광물들의 용융점이 높은 순서대로 정출되어 마그마의 성분이 변하는 것

25
초기에 정출되는 광물은?
초기에는 마그마가 고온일 때이고 이 때 색이 어둡고 밀도가 큰 광물 위주로 정출된다. 예시로 현무암이 있다.
26
후기에 정출되는 광물은?
마그마가 저온이고 밀도가 작으며 후기에 정출되는 것 중 하나가 석영(sio2)이므로 후기 정출의 특징은 높은 sio2함량이다.
27
보엔의 반응계열의 의미는?
마그마의 분화작용으로 규산염 광물이 정출되는 순서를 보엔이 나타낸 것
28
연속반응계열은?
고온:Ca사장석 -> 저온:Na사장석
29
불연속반응계열은?
고온->저온 | 감람석->마그마잔액+감람석=휘석->마그마잔액+휘석=각섬석->흑운모->불연속반응계열+흑운모=정장석->백운모->석영
30
염기성암과 산성암을 비교하면?
sio2함량 : 염기성암 < 산성암 어두움의 정도 : 염기성암 > 산성암 염기성암 : 현무암, 반려암 산성암 : 유문암, 화강암
31
속성작용이란?
퇴적암이 되는 모든 과정
32
다져짐작용이란?
압축작용이라고도 한다. | 퇴적물 사이의 공극을 줄이고 밀도를 증가시킨다.
33
교결작용이란?
시멘트화작용이라고도 하며, 공극사이에 교결물질이 침전하면서 퇴적물 알갱이들을 단단하게 연결시키는 작용을 한다.
34
쇄설성 퇴적암이란?
처음부터 퇴적될 때까지 고체로 존재하다가 퇴적된 물질로 이루어진 퇴적암 | 대표적 : 역암, 사암, 셰일
35
화학적퇴적암이란?
침전되어 만들어진 퇴적암 | 대표적 : 석회암, 암염
36
유기적 퇴적암이란?
생물의 유해나 골격의 일부가 쌓여 만들어진 암석 | 대표적 : 석탄
37
퇴적구조로 알 수 있는 것은?
퇴적 당시의 환경, 지층의 역전을 알 수 있다. | 퇴적구조의 예시 : 점이층리, 사층리, 연흔, 건열
38
점이층리란?
‘점점 옮기는 층리’라는 뜻으로, 위로 갈수록 입자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는 퇴적구조 | 침강 속도의 차이에 의해 나타나며 유속이 감소하는 환경에서 퇴적된다.
39
사층리란?
‘비스듬한 층리’라는 뜻으로, 바람이나 물에 의해 층리가 수평으로 평행하게 생기지 않고 기울어진 것을 말한다. 옅은 물가나 사막에서 주로 나타나며 물이 흐른 방향을 알 수 있다.
40
연흔이란?
‘잔물결의 흔적’이란 뜻으로, 퇴적물의 표면에 생긴 물결 모양의 구조이다. 흐르는 물이나 파도, 바람에 의해 생성되었다.
41
건열이란?
‘말라서 쪼개지다’라는 뜻으로 진흙같은 것이 건조한 기후에 노출되어 퇴적층의 표면이 갈라지는 현상을 말한다.
42
연니란?
해양생물의 유해인 유기물질이 퇴적된 것 심해저평원에서 나타난다. - 심해저평원 : 깊은 바다 밑바닥에 넓게 펼쳐진 평탄한 지형
43
삼각주란?
점차 바다쪽으로 확장되므로 위로 갈수록 입자가 커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 강의 하구와 바다가 만난다.
44
석호에서 화석이 드문 이유는?
담수와 해수가 섞이면서 염분의 변화가 커서
45
저탁류의 의미와 점이층리와의 관계는?
퇴적물들이 경사를 따라 흘러가는 것과 같다. 퇴적물들이 큰 알갱이가 빨리 내려가 먼저 쌓이고 그 위에 작은 알갱이가 쌓이게 되므로 점이층리가 생성될 수 있다.
46
대륙붕이란?
육지 가까운 곳으로 육지의 연장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47
선상지란?
계곡과 평지가 만나는 곳에 형성되는 부채꼴 모양의 퇴적층 | 대부분 분급이 불량하다.
48
퇴적암의 생성환경을 육상환경, 해양환경, 전이환경으로 나누면?
육상환경에는 하천, 호상 점토층, 선상지가 있다. 해양환경에는 대륙붕, 대륙대, 심해저 평원이 있다. 전이 환경에는 삼각주, 석호가 있다.
49
변성작용의 종류는?
접촉 변성 작용과 광역 변성 작용이 있다.
50
접촉 변성작용이 일어나는 시기는?
마그마가 관입할 때, 마그마와의 접촉부에서 일어날 수 있다.
51
혼펠스란?
셰일이 접촉 변성작용을 받아서 생성된 물질 | 입자의 방향성이 없고, 치밀하고 균질하게 짜여진 조직이 특징이다.
52
입상변정질 조직이란?
접촉 변성작용에 의해 크기가 비슷하고 굵은 광물 입자로 짜여진 변성암의 구성
53
엽리란?
광역 변성암에서 광물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된 조직
54
퇴적암의 형성과정을 순서대로 나타내면?
퇴적물 : 다져짐작용(압축작용) -> 교결작용(시멘트화작용) : 퇴적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