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쌤 다이어리 Flashcards
(130 cards)
it hardly ever rains in the winter
hardly ever = 거의 ~않다
겨울에는 비가 거의 오지 않는다
“Hardly”와 “rarely”는 모두 부사로, 어떤 일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낼 때 사용합니다. 하지만 두 단어 사이에는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 “Hardly”는 “거의 ~하지 않다”라는 의미로, 강한 부정의 느낌을 전달합니다. 어떤 일이 매우 드물게 일어나거나, 기대했던 것보다 훨씬 적게 일어날 때 사용합니다.
- I hardly see him these days. (요즘 그를 거의 보지 못한다.)
- She was so tired that she could hardly keep her eyes open. (그녀는 너무 피곤해서 눈을 뜨고 있기가 힘들었다.)
- “Rarely”는 “좀처럼 ~하지 않다”라는 의미로, “hardly”보다는 완화된 표현입니다. 어떤 일이 가끔 일어나지만, 매우 자주 일어나지는 않는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 I rarely go to the movies. (나는 좀처럼 영화를 보러 가지 않는다.)
- He rarely misses a deadline. (그는 좀처럼 마감일을 놓치지 않는다.)
요약하자면, “hardly”는 “거의 없음”에 가까운 강한 부정을 나타내고, “rarely”는 “가끔 있지만 자주는 아님”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문맥과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에 따라 두 단어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I hardly ever eat junk food. (나는 정크 푸드를 거의 먹지 않는다. - 강한 부정)
- I rarely eat junk food. (나는 정크 푸드를 좀처럼 먹지 않는다. - 약한 부정)
so I just try to accept it
난 그냥 받아들이려고 노력하고 있다.
Despite the gloomy weather, something good happend at work today.
Despite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고 배웠는데
대조를 나타내는 문장에서 사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고 대조로 표현해본다
날씨가 안좋았지만, 오늘 좋은 일이 있었다.
Despite 명사
Despite studying every day study 동사 를 명사화 시킨다.
형용사의 명사화
ill -> being ill
sad -> being sad
네, 영어에서는 보통 명사 앞에 형용사를 두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명사 뒤에 형용사를 위치시켜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것은 문장의 구조나 강세를 바꾸거나, 특정한 감정이나 미묘한 뉘앙스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런 구조는 일반적으로 강조나 감정적인 의미를 전달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The girl happy danced in the rain.”이라는 문장에서 “happy”는 감정적인 강조를 하고 있습니다. “The happy girl danced in the rain.”으로 바꾸면 강조가 덜해질 수 있습니다. 때로는 이렇게 형용사를 명사 뒤에 위치시켜 문장에 강조나 뉘앙스를 부여하는 것이 의도된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Despite the fact that today was gloomy, somthing good happend at work
Despite 뒤에 명사 신경 안쓰고 문장을 넣고 싶을때
Despite the fact that ~ 으로 시작한다.
I felt like my hard work had been recognized
나의 노력이 인정받은 것처럼 느꼈다
I actually like being alone
나는 혼자 있는 걸 좋아한다.
like 이라는 동사는 명사를 좋아한다.
명사 : I like a pencil
동사 : I like swimming
형용사 : I like being sad (be 동사의 ing)
That’s why we couldn’t afford any delays
우리가 어떠한 딜레이에 대한 여유가 없는 이유이다.
“He couldn’t afford to quit his job.”
“He could not quit this job.”
두 문장은 비슷해 보이지만 의미상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He couldn’t afford to quit his job.”
이 문장은 그가 직장을 그만둘 경제적 여유가 없었다는 의미입니다.
‘afford’를 사용해서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직장을 계속 다녀야 했음을 나타냅니다.
“He could not quit this job.”
이 문장은 단순히 그가 그 직장을 그만둘 수 없었다는 의미입니다.
경제적 이유는 언급되지 않았고, 다른 이유(계약상, 개인사정 등)로 인해 그만둘 수 없었음을 뜻합니다.
Mr Park kept boasting about his new house
박씨가 계속 그의 새집을 자랑했다.
The Coffee helped me get back into the zone, I got lots done.
커피 덕분에 다시 집중할 수 있었고, 많은 일을 해냈다.
that made me feel a bit better
그게 나를 좀 더 좋게 만들었다.
I don’t know why but being productive always makes me feel better
나도 잘 모르겠지만, 생산적일때 항상 나를 더 기분좋게 만든다.
Reading a newspaper is an informative habit
신문을 읽는 것은 유익한 습관이다.
Reading a book gives me pleasure
Reading a book gives pleasure to me
talking with peaple brings her joy
talking with peaple brings joy to her
Luckily, I didn’t get hurt
다행히도, 다치지 않았다.
Luckily, I found some decent clothes that would be appropriate for my meeting.
다행히도, 나는 미팅에 적합한 괜찮은 옷을 찾았어요
it will do
it’s enough 랑 비슷한 표현
it would have to do for today
(완벽한건 아니지만)
오늘은 그렇게 해야 했어요.
오늘은 이정도로 충분해야 했어요.
The meeting went well
미팅이 잘 되었어요. 미팅이 잘 풀렸어요.
I go over the presentation materials once more before the meeting
나는 미팅전에 발표 자료를 한번더 검토했어요.
it must be from the fall yesterday in the rain
아마도 어제 비속에서 넘어진거 때문일 거예요.
I called the office and told them I need to go to the hospital and get it checked out
전화를 했고, 병원을 가서 확인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I did it 나는 그것을 하다.
I got (had) it done (누군가에게) 그것을 하게 하다.
I fixed it 내가 그것을 고쳤다.
I got(had) it fixed 내가 (다른사람에게) 그것을 고치게 했다.
they bandaged my ankle to make it more secure.
더 안전하게 하기 위해 그들은 내 발목에 붕대를 감았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