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법총칙 Flashcards
(54 cards)
관습법의 개념은?
사회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한 관행 내지 관례가 대다수인의 법적 확신에 의하여 확인된 규칙
사적 자치의 원칙의 3가지는?
계약자유의 원칙, 소유권존중의 원칙, 과실책임의 원칙
권리의 개념은?
일정한 이익을 누리기 위하여 법이 인정한 힘을 말한다.
권한의 개념은?
타인을 위해 일정한 법률효과를 발생케 하는 행위를 할 수 있는 법률상의 자격
권원의 개념은?
일정한 법률상 또는 사실상의 행위를 하는 것을 정당화시키는 법률상의 원인
권능의 개념은?
권리의 내용을 이루는 개개의 법률상의 힘
반사적 이익의 개념은?
법률이 특정인 또는 일반인에게 어떤 행위를 명함으로써 다른 특정인 또는 일반인이 그 법률의 반사적 효과로서 이익을 받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의무의 개념은?
의무자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법에 의하여 강요되는 법률상의 구속을 말한다.
간접의무란?
그것을 준수하지 않으면 그 부담자에게 법에 의한 일정한 불이익이 발생하지만, 상대방이 그것을 강제하거나 그 위반에 대하여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없는 것을 말한다.(=책무)
항변권이란?
청구권의 행사에 대하여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그 작용을 저지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신의성실의 원칙이란?
사회공동생활의 일원으로서 서로 상대방의 신뢰를 헛되이 하지 않도록 성의있게 행동해야 한다는 원칙
사정변경의 원칙이란?
법률행위 성립의 기초가 되었던 사정이 그 후 당사자가 예견하지 못하였거나 예견할 수 없었던 중대한 변경이 생겨서 당초의 법률행위의 효과를 그대로 유지하거나 강제한다면 심히 부당한 결과가 생기는 경우, 당사자는 그 법률행위의 효과를 신의칙에 맞도록 변경(수정)할 것을 상대방에게 청구하거나 또는 계약을 해제, 해지할 수 있다.
모순행위금지의 원칙이란?
자신의 선행행위와 모순되는 행위는 허용되지 않는다는 원칙(=금반언의 원칙)
실효의 원칙이란?
권리자가 자기 권리를 상당기간 행사하지 않았고 그 때문에 상대방이 권리자가 더이상 권리를 행사하지 않으리라고 신뢰한 경우, 후에 이르러 권리를 행사하는 것은 신의칙에 반하여 허용되지 않는다.
권리남용금지의 원칙이란?
권리행사가 외관상 적법한 것으로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권리의 사회성, 공공성에 반하여 정당한 권리행사라고 할 수 없기 때문에 법적 효과를 부여할 수 없다.
채권이란?
채권자가 채무자에게 일정한 행위(급부)를 요구할 수 있는 권리
물권이란?
권리 객체를 직접 지배할 수 있는 배타적 권리
권리남용금지의 원칙이 적용되기 위한 요건은?
- 권리의 존재와 행사
- 객관적 요건: 해당 권리의 근본취지 미부합
- 주관적 요건: 가해의사(학설대립)
법률행위란?
일정한 법률효과의 발생을 목적으로 하는 하나 또는 수개의 의사표시를 불가결의 요소로 하는 법률요건이다.
법률요건이란?
법률효과 내지 권리의 변동을 가져오는 요
법률사실이란?
법률요건을 구성하는 개개의 사실로, 법률사실에는 의사표사, 준법률행위, 사실행위 등이 있다.
출연행위란?
자기의 재산을 감소시키고 타인의 재산을 증가하게 하는 법률행위
유상행위란?
자신의 출연과 대가적으로 상대방의 출연이 있는 법률행위
무인행위란?
원인행위의 유,무효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독립된 출연행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