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선전문 Flashcards

(97 cards)

1
Q
  1. 자연발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가연성물질이 공기 중에 가열되었을 때 자체의 산화열 때문에 발화하는데 이때의 온도를
    자연발화온도라 한다.
    나. 자연발화온도는 주위산소의 농도가 짙을수록, 습도가 낮을수록 낮아진다.
    사. 자연발화는 주변온도가 낮을수록 활발해진다.
    아. 석탄을 운반할 때는 자연발화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화물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금하고, 표면통풍한다.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 )에 적합한 것은?
“Cargo fall에 걸리는 Load는 정하중이 아니고 동하중이므로, 하중에 동하중계수 ( )
를 곱해서 실제 하중으로 하면 안전하다.”
가. 1.2 나. 1.3 사. 1.4 아. 1.5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개품운송계약에 의해 화물의 선적이 이루어질 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주로 정기선에서 이루어진다.
나. 따로 운송계약서를 가지고 있다.
사. 다수의 화주와 운송계약을 체결한다.
아. 운임은 정기선의 표정운임을 적용한다.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처음 운송한 회사가 육ㆍ해상 전 구간에 걸쳐 B/L을 발행한 경우는 ?

가. Ocean B/L 나. Through B/L 사. Order B/L 아. Straight B/L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선박의 흘수 변화에 따른 배수량, 부심의 위치, 무게중심의 위치, 메타센터의 위치 등과
같이 유체 정역학적 특성값을 계산하여 표시한 도표는?
가. 정적 복원력 곡선 나. 동적 복원력 곡선
사. 복원력 교차 곡선 아. 배수량 등 곡선도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길이 50m, 폭 10m, 깊이 5m인 직육면체형 선박이 표준해수에서 등흘수 2.15m로 떠
있을 때 배수용적은 약 몇 ㎥인가?
가. 975m³ 나. 1,000m³ 사. 1,025m³ 아. 1,075m³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비중 1.020의 해수에 떠 있는 선박의 수선면적이 500㎡일 때 Tcm는 약 얼마인가?

가. 4.8 ton 나. 5.1 ton 사. 5.2 ton 아. 5.4 ton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선박법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것은?
가. 국제톤수 측정 나. 임시항행 허가
사. 선박검사증서 발급 아. 선박국적증서 발급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선박법상 한국선박의 선박소유자가 말소등록을 신청하여야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가. 선박이 멸실 또는 해체된 때
나. 총톤수 20톤 이상인 부선이 된 때
사. 선박이 대한민국 국적을 상실한 때
아. 선박의 존재여부가 90일간 분명하지 아니한 때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선박법상 측정길이가 12미터 미만인 기선과 범선이 총톤수측정을 위하여 제출해야
하는 서류는?
가. 일반배치도 나. 강재배치도
사. 상부구조도 아. 중앙횡단면도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선박법상 선적항의 표시방법으로 옳은 것은?
가. 선미 외부의 잘 보이는 곳에 10센티미터 이상의 한글로 표기
나. 선수 외부의 잘 보이는 곳에 10센티미터 이상의 한글로 표기
사. 선수미 외부의 잘 보이는 곳에 10센티미터 이상의 한글로 표기
아. 선미 외부의 잘 보이는 곳에 20센티미터 이상의 한글로 표기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선박의 등록신청을 받은 각 지방해양수산청장이 선박원부에 등록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가. 선박번호 나. 선박식별번호
사. 최소승무정원 아. 총톤수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선박법상 국제톤수확인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국제 항해에 종사하는 모든 선박이 교부받아야 하는 서류이다.
나. 처음으로 국제 항해에 종사하는 모든 선박이 교부받는 서류이다.
사. 길이 24미터 미만의 선박이 국제 항해에 종사할 때 교부받는 서류이다.
아. 길이 100미터 미만인 선박이 처음으로 국제 항해에 종사할 때 교부받는 서류이다.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나용선 계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일정한 항해를 기초로 하여 화주와 선박 운항자간에 체결하는 계약이다.
나. 선주는 선비, 선원비를 부담하고 용선자는 운항비를 부담한다.
사. 선박을 점유하여 선박운항상 제3자에게 손해를 끼쳤다면 책임은 용선자에게 있다.
아. 선박운항에 필요한 일체의 비용은 선주가 부담한다.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부정기선의 운항채산상 Charter base의 계산 요소가 아닌 것은?
가. 1항차 운임수익 총액 나. 1항차 가동일수
사. 직접선비 아. 재화중량톤수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양화지에서 용선자의 대리점으로 하여금 양화주선 등 선박 사무를 대행케 하고 이에 대해
선주가 지불하는 수수료 또는 선박의 복항시 수화인 또는 용선자의 대리인이 회항화물을
주선하였을 때 선주가 지불하는 수수료는?
가. Address commission 나. Agent fee
사. Brokerage 아. Additional rate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보험계약자가 행하는 위부통지(Notice of abandonment)는 보험사고를 어떻게 처리하기
위함인가?
가. 추정전손 나. 타협전손
사. 현실전손 아. 공동해손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ITC(Hulls)-1/10/83의 Deductible 약관상 소손해공제를 적용하지 않는 손해는?
가. 선박 수리비 나. 공동해손 분담금
사. 선박 구조비 아. 좌초 후의 선저검사 비용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보험계약 체결시 반드시 고지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은?
가. 보험자가 담보할 위험의 측정과 보험요율의 결정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사실
나. 보험자의 위험 부담률이 경감될 수 있는 요인
사. 보험자가 마땅히 알아야 할 상식적 사실
아. 보험자가 고지의무를 면제한 경우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STCW협약상 항해당직을 인계받는 해기사가 확인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가. 선내 순찰결과
나. 선박의 항행과 관련한 선장의 당직지침 및 기타의 특별지시사항
사. 당직중 사용되는 모든 항해장치와 안전장치의 작동상태
아. 주기관의 선교 조종시 선박을 조종하기 위한 주기관의 사용절차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국제해상위험물규칙(IMDG Code)에서 가스류는 몇 급으로 분류되어 있는가?

가. 제1급 나. 제2급 사. 제3급 아. 제7급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SOLAS협약상 수면에서 도선사가 올라와야 하는 갑판까지의 높이가 얼마를 넘을 때
현측사다리와 도선사용 사다리를 결합된 방법으로 설치해야 하는가?
가. 8m 나. 9m 사. 10m 아. 12m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SOLAS 협약에서 주조타기의 성능은 최대 항해 흘수에서 최대 항해 속력으로 전진 중에
한쪽 타각 35도에서 반대쪽 타각 30도까지 몇 초 이내에 전타 가능하도록 규정되어 있는가?
가. 25초 나. 28초 사. 30초 아. 35초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SOLAS협약상 Fire control plan에 반드시 포함시키지 않아도 되는 것은?
가. 휴대식 소화기의 용량 나. 스프링쿨러 장치
사. 댐퍼의 위치 아. 송풍기 제어 장치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국제항공 및 해상 수색구조 편람(IAMSAR)에서 구조계획 수립시 고려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가. 생존자의 수, 위치 및 분포 나. 임시적 비행제한 사. 현재의 기상 조건 아. 보유한 생존 장비
26
이슬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통풍만 하면 이슬점은 생기지 않는다. 나.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가 냉각되어 포화상태에 도달했을 때의 온도를 의미한다. 사. 외기의 이슬점이 선창 내 공기의 이슬점보다 낮으면 통풍환기를 하여도 응결수가 생기지 않는다. 아. 선창 내에서 응결수가 발생하면 화물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27
Jet Stripping System(J.S.장치)과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가. Gas-extractor(G/E) 나. Recirculation tank 사. Separation tank 아. Prima-vac unit
28
길이 100m, 폭 5m의 상자형태의 선박이 평균흘수 3.5m로 표준해수에 떠 있다. 이 선박의 최대평균흘수가 7.5m라면 몇 톤을 더 적재할 수 있겠는가? 가. 약 1,250톤 나. 약 1,650톤 . 사. 약 2,050톤 아. 약 2,450톤
29
배수량 W, 매 cm 배수톤 T 톤인 선박이 비중이 A인 수역에서 B인 수역으로 진행할 때 변화하는 흘수를 나타내는 식은? 가. W/T x (1.025/A - 1.025/B) 나. W/T x (1.025/B - 1.025/A) 사. W/T x (B/1.025 - A/1.025) 아. W/T x (A/1.025 - B/1.025)
30
적화계수(Stowage factor)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화물 1톤(L/T)이 차지하는 화물창 체적을 입방피트로 표시한다. 나. 같은 화물이면 적부장소와 방법에 관계없이 적화 계수가 동일하다. 사. 벌크선에서는 일반적으로 Broken space를 포함한 적화계수를 사용한다. 아. 일반 화물선이 만재한 경우 평균 적화계수는 대략 50 ~ 70정도이다.
31
``` 선적화물의 검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선적화물의 검량은 Sworn measurer가 한다. 나. 검재는 운임건을 검측하는 것이 목적이다. 사. 검재는 화물의 실체적을 검측하고 선창의 용적을 측정하지 않는다. 아. 석탄, 석유와 같은 벌크화물은 화물의 적양하 현장에서 검량한다. ```
32
유조선에서 화물유의 계산시 화물의 표준 온도는? 가. 섭씨 45도 나. 화씨 60도 사. 섭씨 60도 아. 화씨 90도
33
``` 선박법상의 내용이 아닌 것은? 가. 선박 설비의 안전에 관한 사항 나. 선박 톤수의 측정 사. 선박 국적에 관한 사항 아. 선박의 등록에 관한 사항 ```
34
선박법상 외국선박이 불개항장에 출입하려면 누구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가? 가. 해양경찰서장 나. 해양수산부장관 사. 시장 또는 군수 아. 세관장
35
선박법상 선박국적증서를 교부받아야 할 선박기준으로 옳은 것은? 가. 총톤수 10톤 이상의 기선 나. 총톤수 20톤 이상의 기선 사. 총톤수 30톤 이상의 기선 아. 총톤수 50톤 이상의 기선
36
선박법상 선박국적증서를 교부받기 위해 필요한 선박의 개성이 아닌 것은? 가. 총톤수 나. 선적항 사. 선장의 주소 아. 선박의 명칭
37
``` 선박법상 선적항을 관할하는 지방해양수산청장에게 말소등록을 하여야 할 사유가 아닌 것은? 가. 선박이 멸실ㆍ침몰 또는 해체된 때 나. 선박이 국제 항해에 종사하게 된 때 사. 선박의 존부가 90일간 분명하지 아니한 때 아. 선박이 한국 국적을 상실한 때 ```
38
선박법상 불개항장에의 기항과 국내 각 항간에서의 운송금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한국 선박이 아닌 경우에도 법률 또는 조약에 다른 규정이 있을 경우에는 불개항장에 기항할 수 있다. 나. 해양사고를 피하려고 할 때에는 외국 선박도 불개항장에 기항할 수 있다. 사. 해양수산부장관의 허가를 받은 경우에 외국 선박도 국내 각 항간의 화물운송이 가능하다. 아. 한국 선박이 아닌 선박이 불개항장에 기항하고자 할 경우에는 선박 선적국의 대한민국 주재영사에게 허가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39
선하증권상에 기재되는 내용 중 임의 기재 사항에 해당하는 것은? 가. 면책 약관 나. 선박의 국적 사. 화물 선적항 아. 선하증권 발행 통수
40
RO/RO 방식의 컨테이너 운송에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설비는? 가. Gantry crane 나. Ramp way 사. Shifting board 아. Cell guide
41
항해용선계약에서 하역 작업이 가능한 날씨의 작업일만을 정박기간(Laytime)으로 계산한다는 계약조건은? 가. C.Q.D. 나. W.W.D. 사. Running days 아. Laydays
42
``` BALTIME 정기용선계약서의 Off-hire가 성립되기 위한 요건이 아닌 것은? 가. 선체의 손상 나. 선박 기관의 고장 사. 수선 및 드라이 도킹 아. 하역회사의 하역작업 지연 ```
43
Charter Base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은? 가. 하역 조건 나. 유가(Oil price) 사. 감가상각 방법 아. 본선의 속력
44
운임의 부과기준에 따른 부정기선 운임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가. Freight per ton 나. Lump sum freight 사. Daily charter rate 아. Administered rate
45
STCW협약상 각 주관청은 항해당직근무자의 경우 혈중 알코올 농도 몇 % 이하의 제한을 규정하여야 하는가? 가. 0.01 나. 0.03 사. 0.05 아. 0.10
46
항해당직의 수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당직중 선박의 항해에 관계되는 사항을 로그북에 즉시 기록하여야 한다. 나. 어떠한 상황하에서도 적절히 당직이 교대될 때까지 선교를 떠나서는 안 된다. 사. 항해당직을 담당하는 해기사는 정선거리를 포함한 자선의 조종특성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아. 항해당직을 담당하는 해기사는 선박의 안전항해를 방해할 수 있는 어떠한 임무를 할당받거나 또는 수행하여서는 아니 된다.
47
STCW협약에서 규정하고 있는 생존정수 적임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는 선원의 최저 연령은? | 가. 16세 나. 18세 사. 19세 아. 20세
48
MARPOL협약에서 특별해역 외의 경우 분쇄기로 분쇄되고, 25밀리미터 이하의 구멍뚫린 망을 통과하는 음식쓰레기는 가장 가까운 육지로부터 몇 해리 떨어져서 처분해야 하는가? 가. 3해리 나. 6해리 사. 12해리 아. 25해리
49
``` MARPOL 협약상 기록해야 하는 기름기록부는 언제까지 보관해야 하는가? 가. 최후의 기재가 행하여진 날로부터 1년간 나. 최후의 기재가 행하여진 날로부터 2년간 사. 최후의 기재가 행하여진 날로부터 3년간 아. 최후의 기재가 행하여진 날로부터 5년간 ```
50
화물 1톤이 차지하는 선창의 용적은? 가. Broken Space 나. Stowage Factor 사. Bale Capacity 아. Loading Factor
51
``` 화물사고 발생 시 선주에게 책임이 있는 경우는? 가. 운송물의 숨은 하자 나. 불가항력(Act of god) 사. 감항능력 주의 의무의 위반 아. 운송물의 특수한 성질 ```
52
I.G.S. 정지시 Cargo tank 내의 탄화수소 가스가 역류하여 I.G. room과 Boiler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 장비는? 가. Demister 나. Deck seal unit 사. Scrubber 아. P/V Breaker
53
어느 점을 통과하는 연직선상에 소량의 화물을 적재하면 선박은 Trim의 변화없이 이전의 수선면과 평행하게 침하하는데 이 점은? 가. 부심 나. 부면심 사. 무게중심 아. 경심
54
표준해수에서 매 cm 배수톤이 10.25톤인 선박이 비중 1.000인 곳에서 평균 흘수를 1cm 증가시키는데 소요되는 화물의 중량은? 가. 약 10.0톤 나. 약 10.25톤 사. 약 14.0톤 아. 약 15.2톤
55
``` 매 cm trim Moment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Trim 1cm를 발생하는데 필요한 화물의 이동 Moment이다. 나. 화물적부계획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사. 흘수에 따라서 변화하지 않는 고정값이다. 아. 배수량 등 곡선도에서 구할 수 있다. ```
56
원유세정(C.O.W.)에 있어서 다단계방식(Multi-stag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다단계방식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것은 2단계 방식이다. 나. 상부세정(Top washing)을 할 때에는 세정탱크의 화물유와 다른 Grade의 것으로 세정하는 것이 좋다. 사. 각 세정 단계의 사이에는 노즐의 작동각에 어느 정도의 Over-lapping각을 주는 것이 좋다. 아. 점도가 높은 화물유 양하시 적용하면 좋다.
57
``` ( )에 순서대로 적합한 것은? "선박법상 국제톤수증서는 선박소유자의 신청에 의하여 해양수산부장관으로부터 길이 ( )미터 이상의 ( )에 대해 국제총톤수 및 ( )를 기재하여 발급받는 증명서이다." 가. 12, 한국 선박, 순톤수 나. 12, 모든 선박, 재화중량톤수 사. 24, 한국 선박, 순톤수 아. 24, 모든 선박, 재화중량톤수 ```
58
``` 선박법의 내용이 아닌 것은? 가. 국기게양에 관한 사항 규정 나. 선박의 국적에 관한 사항 규정 사. 선박의 톤수측정에 관한 사항 규정 아. 해상 위험이 발생한 경우 신고 및 보고에 관한 사항 규정 ```
59
``` 선박법상 임시선박국적증서를 발급할 수 없는 사람은? 가. 외국에서 취득한 경우 그 나라에 주재하는 대한민국영사 나. 선박 취득지를 관할하는 지방해양수산청장 사. 관할 시·도지사 아. 선박취득지에서 임시선박국적증서의 발급신청을 할 수 없을 경우 최초로 도착한 곳의 지방해양수산청장이나 영사 ```
60
선박의 변경등록 또는 말소등록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선박이 멸실, 침몰 또는 해체된 때에는 말소등록을 해야 한다. 나. 선박이 대한민국 국적을 상실한 때에는 말소등록을 해야 한다. 사. 선박원부에 등록한 사항에 변경이 있을 때에는 선박소유자는 그 사실을 안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변경등록 신청을 하여야 한다. 아. 선박의 존부가 2개월간 분명하지 않은 때에는 말소등록을 하여야 한다.
61
선박법상 총톤수의 측정 또는 개측을 받은 자가 선적항을 관할하는 지방해양수산청장에게 재화중량톤수의 측정을 신청하는 경우 제출해야 하는 서류는? 가. 선체선도 나. 일반배치도 사. 중앙횡단면도 아. 배수량 등 곡선도
62
``` 선박법상 대한민국 선박이 아닌 것은? 가. 국유 또는 공유의 선박 나. 대한민국에서 건조된 모든 선박 사. 대한민국 국민이 소유하는 선박 아. 대한민국의 법률에 따라 설립된 상사법인이 소유하는 선박 ```
63
Shipped Bill of Lading의 분류 기준이 되는 것은? 가. 사고 적요의 유무 나. 선적 여부 사. 운임 지불 여부 아. 계약 조건상
64
항해용선계약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가. Lumpsum charter 나. Daily charter 사. Trip charter 아. Demise charter
65
정기용선계약 중 선주의 부담비용이 아닌 것은? 가. 선원교체 비용 나. 선박 보험료 사. 선용품비 아. 화물 적·양하 비용
66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가. Gross term은 항비, 적양하 하역비 및 부선 하역비 일체를 선주가 부담한다. 나. Free in은 선적 하역비를 선주가 부담한다. 사. Free in &out은 화주가 적양하 하역비를 부담한다. 아. Net term은 항비, 적양하 하역비 및 부두 하역비 일체를 화주가 부담한다.
67
``` P &I Club에서 Cover하는 손해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가. 난파선의 제거비용 나. 밀항자나 피난민의 처리 비용 사. 가입 선박의 관세법 위반으로 인한 벌과금 아. 항만설비와의 충돌로 인한 가입 선박의 손상수리비 ```
68
``` SOLAS협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선원의 당직근무에 대한 기준을 정하고 있다. 나. 선박의 안전장비에 대한 국제기준을 정하고 있다. 사. 선원의 자격증명, 훈련 등에 관한 국제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아. 도버해협에서 발생한 Torrey Canon호 사건이 발단이 되었다. ```
69
``` STCW협약상 면허자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신청일 전 최소한의 승선 근무 기간의 기준은? 가. 갱신 직전 최근 6개월 동안 1개월 나. 최근 5년 동안에 1년 사. 갱신 직전 최근 6개월 동안 2개월 아. 최근 5년 동안에 6개월 ```
70
SOLAS 협약상 구명부환(Life buoy)에 관한 규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구명부환은 파도에 유실되지 않도록 선체에 영구적으로 고박되어 있어야 한다. 나. 구명부환의 위치는 쉽게 이용하도록 양현에 균등히 분산되어 있어야 하고, 그 중 1개는 선미에 비치되어야 한다. 사. 구명부환 총 개수의 절반 이상에는 자기점화등을 갖추어야 하고 두 개에는 자기발연신호를 갖추어야 한다. 아. 구명부환 표면에 선명과 선적항을 로마식 알파벳 고형 문자(Block capital)로 표시하여야 한다.
71
SOLAS협약상 수면에서 도선사가 올라와야 하는 갑판까지의 높이가 얼마를 넘을 때 현측사다리와 도선사용 사다리를 결합된 방법으로 설치해야 하는가? 가. 8m 나. 9m 사. 10m 아. 12m
72
73/78 MARPOL 부속서 I에서 유조선의 화물창으로부터 유성 혼합물의 배출시 유분의 순간배출률은 1해리당 얼마인가? 가. 10리터 이하 나. 20리터 이하 사. 30리터 이하 아. 40리터 이하
73
``` IAMSAR Manual 상 선박보고제도(Ship Reporting System)를 통해서 SMC가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닌 것은? 가. 조난상황 부근에 있는 선박의 위치 등의 식별 나. 지원을 하기 위한 대응시간 감소 사. 선박의 다른 유익한 정보의 확인 아. 대응하기 불리한 위치의 선박에 대하여 지원요청 호출횟수 증가 ```
74
순적화 중량톤수에 대한 설명을 옳은 것은? 가. 적화 중량톤수에서 연료유, 청수, 밸러스트 잔량 등의 중량을 뺀 나머지 톤수이다. 나. 선박의 만재 흘수에 상당하는 배수량에서 경하흘수에 해당하는 배수량을 뺀 톤수이다. 사. 선박의 폐쇄된 용적 총량을 ㎥ 단위로 측정하고 정해진 산식에 의한 톤수이다. 아. 총톤수에서 기관실, 선원 거주 공간, 계단, 연료 등 화물 적재에 활용 할 수 없는 공간을 공제한 톤수이다.
75
( )에 순서대로 적합한 것은? "화물을 적재할 때 선박의 중앙에 무게가 집중될 때 ( ) 현상이 나타나고 선박의 전후부에 무게가 집중될 때 ( ) 현상이 나타난다." 가. 새깅(sagging), 호깅(hogging) 나. 호깅(hogging), 새깅(sagging) 사. 트림(trim), 경사(list) 아. 경사(list), 트림(trim)
76
선적화물의 손상시 운송인의 면책을 위한 증거 서류가 아닌 것은? 가. Sea protest 나. Log book 사. Hatch survey report 아. Draft survey report
77
로프의 강도를 표시하는 방법 중 로프에 걸리는 하중을 증가시켜 로프가 절단되는 순간의 힘 또는 무게를 나타내는 용어는? 가. 파단 하중(breaking load) 나. 시험 하중(test load) 사. 최대 하중(max load) 아. 안전 하중(safety load)
78
부면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부면심은 선박 수선면적의 중심이다. 나. 부면심은 보통의 선형에 있어서는 선체중앙에서 배의 길이의 1/30 ~ 1/60 전후방에 있다. 사. 적은 양의 중량물을 부면심을 통하는 수직선상에 적양하 하면 평행 침하한다. 아. Even Keel상태에서 부면심은 항상 선체중앙에 있다.
79
배수량 5,000톤인 선박의 평균 흘수는 3.80m이다. 510톤의 화물을 더 실었을 때 평균흘수는 얼마인가?(단, 매 cm 배수톤은 8.5톤임) 가. 4.25m 나. 4.30m 사. 4.35m 아. 4.40m
80
``` 선박법상 선적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선적항은 시·읍·면의 명칭에 따른다. 나. 선적항은 선박소유자의 주소지에 정한다. 사. 선박소유자가 국내에 주소가 없으면 선적항으로 정할 수 없다. 아. 선박소유자의 주소지가 아니어도 선박등록특구로 지정 된 개항을 선적항으로 정할 수 있다. ```
81
``` 선박법상 외국 선박이 한국의 불개항장에 기항할 수 있는 특별한 경우가 아닌 것은? 가. 조약에 다른 규정이 있을 때 나. 선박 수리를 하고자 하는 경우 사. 해양사고, 포획을 피하려고 할 때 아. 해양수산부장관의 허가를 얻었을 때 ```
82
``` 선박법상 한국선박에 선박명칭을 표시하는 위치는? 가. 선수 오른쪽 및 선미 외부의 잘 보이는 곳 나. 선수양현의 외부 및 선미 외부의 잘 보이는 곳 사. 선수양현의 외부 및 선체 중앙의 잘 보이는 곳 아. 선체 양현의 중앙 및 선미 외부의 잘 보이는 곳 ```
83
선박법상 항행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한도에서 선박의 여객 및 화물 등의 최대적재량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하는 지표는? 가. 순톤수 나. 총톤수 사. 국제총톤수 아. 재화중량톤수
84
선박법상 선박의 등기와 등록에 관한 규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선박등기부에 선박의 명칭 등 일정한 사항을 기재하는 것을 선박의 등기라 한다. 나. 총톤수 20톤 이상 기선의 선박소유자는 그 선박 소유권에 관하여 등기를 하여야 한다. 사. 선박의 등록은 선박의 사법상 권리관계를 공시하는 것이다. 아. 선박 등록에 관한 변경이 생긴 경우 선박소유자는 그 사실을 안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변경 등록을 해야 한다.
85
선박법상 선박등록신청서에 기재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 가. 선장의 성명 나. 선박의 종류 사. 선적항 아. 총톤수
86
항해용선계약의 일반적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용선계약서상의 선적 예정일 이전에 입항하더라도 화주는 선적의 의무가 없다. 나. 해약일까지 적화 준비가 되지 않으면 화주는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 사. 선주측의 사정으로 계약 화물량을 적재하지 못한 경우 선주는 Dead freight를 지불해야 한다. 아. 운임산정 기준으로서의 화물량은 통상 선적량 또는 양륙양에 따른다.
87
정박기간의 기산점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서류는? | 가. N/R 나. M/R 사. B/N 아. D/O
88
정기용선계약상의 비용 부담에 대한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선용 소모품비는 용선자가 부담한다. 나. 선박 보험료는 선주가 부담한다. 사. 보일러용 청수비는 용선자가 부담한다. 아. 선원비는 선주가 부담한다.
89
ITC(Hulls) 약관상 보험자의 면책이 되는 위험이 아닌 것은? | 가. 포획 나. 전쟁 사. 혁명 아. 해적위험
90
``` 보험계약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보험계약자는 고지의무를 진다. 나. 보험계약자는 피보험자와 일치하여야 한다. 사. 보험계약자는 자기명의로 계약을 체결한다. 아. 보험계약자는 보험료를 지불할 의무를 지닌다. ```
91
보험의 목적에 대하여 두 개 이상의 보험계약이 존재하고 보험가입금액의 총액이 보험가액을 초과하는 보험은? 가. Full insurance 나. Under insurance 사. Double insurance 아. Coinsurance
92
STCW협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협약의 A코드 내용은 강제요건이다. 나. 운항자의 책임등급은 관리급과 운항급으로 2등분하고 있다. 사. 전문적 해기능력의 기준으로 최근 5년 동안에 12개월 이상의 승무경력을 요구한다. 아. 탱커 전문적 해기능력의 기준은 최근 5년 안에 3개월 기간 동안 해당 탱커증명서 또는 승무자격증을 소지하고 승인된 경력을 갖추어야 한다.
93
STCW협약상 항해당직 중 준수되어야 할 기본원칙에 관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갑판부원을 포함한 선교 당직의 구성시 레이더 또는 전자해도표시장치의 사용 여부 및 작동 상태를 고려해야 한다. 나. 항해당직을 담당하고 있는 사관은 선박의 안전한 항해를 방해하는 어떤 임무를 담당하거나 수행해서는 안 된다. 사. 선장이 선교에 도착하면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모든 책임은 선장에게 자동으로 이전되며, 항해당직사관은 그를 신속히 보좌해야 한다. 아. 경계자 및 조타수의 임무는 분리되어 있고, 조타수는 조타중에는 경계자라고 생각되어서는 안 된다.
94
SOLAS협약상 선박에서의 비상조타 훈련은 최소한 얼마 만에 한 번씩 실시하여야 하는가? | 가. 1개월 나. 3개월 사. 5개월 아. 1년에 2회
95
SOLAS협약상 구조정은 몇 노트까지의 속력으로 항해할 수 있어야 하는가? | 가. 4노트 나. 5노트 사. 6노트 아. 10노트
96
조난선에서 발하는 조난 통보의 주요 내용이 아닌 것은? 가. 인근의 기상상태 나. 본선에 남아있는 선원의 수 사. 진수되지 않은 생존정의 수 아. 조난 상황 및 필요로 하는 원조의 종류
97
IAMSAR Manual상 ' 구조조정본부 ' 를 의미하는 용어는? | 가. RCC 나. RSC 사. RTG 아. RT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