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선전문 Flashcards
(97 cards)
- 자연발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가연성물질이 공기 중에 가열되었을 때 자체의 산화열 때문에 발화하는데 이때의 온도를
자연발화온도라 한다.
나. 자연발화온도는 주위산소의 농도가 짙을수록, 습도가 낮을수록 낮아진다.
사. 자연발화는 주변온도가 낮을수록 활발해진다.
아. 석탄을 운반할 때는 자연발화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화물 내부에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금하고, 표면통풍한다.
사
( )에 적합한 것은?
“Cargo fall에 걸리는 Load는 정하중이 아니고 동하중이므로, 하중에 동하중계수 ( )
를 곱해서 실제 하중으로 하면 안전하다.”
가. 1.2 나. 1.3 사. 1.4 아. 1.5
사
개품운송계약에 의해 화물의 선적이 이루어질 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주로 정기선에서 이루어진다. 나. 따로 운송계약서를 가지고 있다. 사. 다수의 화주와 운송계약을 체결한다. 아. 운임은 정기선의 표정운임을 적용한다.
나
처음 운송한 회사가 육ㆍ해상 전 구간에 걸쳐 B/L을 발행한 경우는 ?
가. Ocean B/L 나. Through B/L 사. Order B/L 아. Straight B/L
나
선박의 흘수 변화에 따른 배수량, 부심의 위치, 무게중심의 위치, 메타센터의 위치 등과
같이 유체 정역학적 특성값을 계산하여 표시한 도표는?
가. 정적 복원력 곡선 나. 동적 복원력 곡선
사. 복원력 교차 곡선 아. 배수량 등 곡선도
아
길이 50m, 폭 10m, 깊이 5m인 직육면체형 선박이 표준해수에서 등흘수 2.15m로 떠
있을 때 배수용적은 약 몇 ㎥인가?
가. 975m³ 나. 1,000m³ 사. 1,025m³ 아. 1,075m³
아
비중 1.020의 해수에 떠 있는 선박의 수선면적이 500㎡일 때 Tcm는 약 얼마인가?
가. 4.8 ton 나. 5.1 ton 사. 5.2 ton 아. 5.4 ton
나
선박법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것은?
가. 국제톤수 측정 나. 임시항행 허가
사. 선박검사증서 발급 아. 선박국적증서 발급
사
선박법상 한국선박의 선박소유자가 말소등록을 신청하여야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가. 선박이 멸실 또는 해체된 때 나. 총톤수 20톤 이상인 부선이 된 때 사. 선박이 대한민국 국적을 상실한 때 아. 선박의 존재여부가 90일간 분명하지 아니한 때
나
선박법상 측정길이가 12미터 미만인 기선과 범선이 총톤수측정을 위하여 제출해야
하는 서류는?
가. 일반배치도 나. 강재배치도
사. 상부구조도 아. 중앙횡단면도
가
선박법상 선적항의 표시방법으로 옳은 것은? 가. 선미 외부의 잘 보이는 곳에 10센티미터 이상의 한글로 표기 나. 선수 외부의 잘 보이는 곳에 10센티미터 이상의 한글로 표기 사. 선수미 외부의 잘 보이는 곳에 10센티미터 이상의 한글로 표기 아. 선미 외부의 잘 보이는 곳에 20센티미터 이상의 한글로 표기
가
선박의 등록신청을 받은 각 지방해양수산청장이 선박원부에 등록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가. 선박번호 나. 선박식별번호
사. 최소승무정원 아. 총톤수
사
선박법상 국제톤수확인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국제 항해에 종사하는 모든 선박이 교부받아야 하는 서류이다.
나. 처음으로 국제 항해에 종사하는 모든 선박이 교부받는 서류이다.
사. 길이 24미터 미만의 선박이 국제 항해에 종사할 때 교부받는 서류이다.
아. 길이 100미터 미만인 선박이 처음으로 국제 항해에 종사할 때 교부받는 서류이다.
사
나용선 계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일정한 항해를 기초로 하여 화주와 선박 운항자간에 체결하는 계약이다.
나. 선주는 선비, 선원비를 부담하고 용선자는 운항비를 부담한다.
사. 선박을 점유하여 선박운항상 제3자에게 손해를 끼쳤다면 책임은 용선자에게 있다.
아. 선박운항에 필요한 일체의 비용은 선주가 부담한다.
사
부정기선의 운항채산상 Charter base의 계산 요소가 아닌 것은?
가. 1항차 운임수익 총액 나. 1항차 가동일수
사. 직접선비 아. 재화중량톤수
사
양화지에서 용선자의 대리점으로 하여금 양화주선 등 선박 사무를 대행케 하고 이에 대해
선주가 지불하는 수수료 또는 선박의 복항시 수화인 또는 용선자의 대리인이 회항화물을
주선하였을 때 선주가 지불하는 수수료는?
가. Address commission 나. Agent fee
사. Brokerage 아. Additional rate
가
보험계약자가 행하는 위부통지(Notice of abandonment)는 보험사고를 어떻게 처리하기
위함인가?
가. 추정전손 나. 타협전손
사. 현실전손 아. 공동해손
가
ITC(Hulls)-1/10/83의 Deductible 약관상 소손해공제를 적용하지 않는 손해는?
가. 선박 수리비 나. 공동해손 분담금
사. 선박 구조비 아. 좌초 후의 선저검사 비용
아
보험계약 체결시 반드시 고지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은? 가. 보험자가 담보할 위험의 측정과 보험요율의 결정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사실 나. 보험자의 위험 부담률이 경감될 수 있는 요인 사. 보험자가 마땅히 알아야 할 상식적 사실 아. 보험자가 고지의무를 면제한 경우
가
STCW협약상 항해당직을 인계받는 해기사가 확인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가. 선내 순찰결과 나. 선박의 항행과 관련한 선장의 당직지침 및 기타의 특별지시사항 사. 당직중 사용되는 모든 항해장치와 안전장치의 작동상태 아. 주기관의 선교 조종시 선박을 조종하기 위한 주기관의 사용절차
가
국제해상위험물규칙(IMDG Code)에서 가스류는 몇 급으로 분류되어 있는가?
가. 제1급 나. 제2급 사. 제3급 아. 제7급
나
SOLAS협약상 수면에서 도선사가 올라와야 하는 갑판까지의 높이가 얼마를 넘을 때
현측사다리와 도선사용 사다리를 결합된 방법으로 설치해야 하는가?
가. 8m 나. 9m 사. 10m 아. 12m
나
SOLAS 협약에서 주조타기의 성능은 최대 항해 흘수에서 최대 항해 속력으로 전진 중에
한쪽 타각 35도에서 반대쪽 타각 30도까지 몇 초 이내에 전타 가능하도록 규정되어 있는가?
가. 25초 나. 28초 사. 30초 아. 35초
나
SOLAS협약상 Fire control plan에 반드시 포함시키지 않아도 되는 것은?
가. 휴대식 소화기의 용량 나. 스프링쿨러 장치
사. 댐퍼의 위치 아. 송풍기 제어 장치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