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개론, 학습심리, 행동수정 Flashcards
뉴런의 유형
감각뉴런
운동뉴런
개재뉴런
뉴런: 무수축색과 유수축색
무수축색
- 수초가 없음
- 도화선이 타들어가는 방식
유수축색
- 랑비에 결절
- 도약전도: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이 높고, 활동전위 속도가 빠르다
시냅스 전달: 신경전달물질의 종류, 기능
아세틸콜린: 근육, 운동, 학습, 기억
도파민: 움직임, 학습, 주의, 정서
- 과잉은 조현병
- 부족은 파킨슨병
세로토닌: 기분, 배고픔, 수면, 각성
노르에피네프린: 각성의 통제
가바: 대표적 억제성 신경전달 물질
흥분의 전달경로: 의식적 반사, 무의식적 반사의 주요 기관, 과정
의식적 반사: 대뇌의 판단, 명령
무의식적 반사: 무의식적으로 일어남
- 척수, 연수, 중뇌가 중추
- 기능: 위험으로부터 몸을 보호
무릎반사: 무조건반사 중 하나, 감각신경은 대뇌로 연결되는 시냅스를 이루고있어, 자극이 대뇌로 전달되어 아픔을 느낌.
신경계와 뇌의 분류: 신경계 분류
- 중추신경계
- 뇌, 척수 - 말초신경계
- 체성신경계: 감각뉴런, 운동뉴런
- 자율신경계: 교감*부교감 신경계
신경계와 뇌의 분류: 중심핵의 5가지
- 연수: 생명유지
- 소뇌 : 정교한 운동기술
- 시상 : 감각의 중계소
- 시상하부: 자율신경계*내분비선 (호르몬) 통제, 뇌하수체(호르몬 생성)
- 망상체: 각성 통제와 주의집중
신경계와 뇌의 분류: 변연계의 기능과 세가지 구조
기능: 정서조절 및 학습/기억
조직:
- 해마: 학습과 기억의 중추, 아세틸콜린
- 편도체: 공포와 분노
- 기저핵: 운동조절, 파킨슨병(도파민저하)
신경계와 뇌의 분류: 대뇌피질 종류와 기능
후두엽
- 망막에서 들어오는 시각정도 받음
- 일차시각피질, 연합시각피질
두정엽
- 촉각, 통각
- 일차체감각 피질, 연합피질
측두엽
- 일차청각 피질, 연합피질
- 안쪽에 위치한 광범위한 변연계와 연결
전두엽
- 일차운동피질: 골격근의 운동 통제
- 전전두피질: 계획, 의사결정, 상황 등 고차원적 인지
신경계와 뇌의 분류: 주요 뇌의 구분과 기능 [대간소중연]
대뇌: 언어, 기억, 판단, 고등정신활동
간뇌: 자율신경과 내분비계 조절, 체온*삼투압 조절
-시상, 시상하부, 뇌하수체
소뇌: 몸의 평형
중뇌: 소뇌와 함께 몸의 평형, 동공반사 중추
연수: 호흡운동, 심장박동 중추, 기침재채기침분비
감각 및 감각의 측정: 감지할 수 있는 미세한 자극
절대역
감각 및 감각의 측정: 절대역 이하의 강도를 가진 자극
역하자극
감각 및 감각의 측정: 두 자극 간 차이가 있음을 탐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자극강도
차이역
감각 및 감각의 측정: 차이를 지각하려면 양이 아니라, 비율이 달라져야 한다는 이론
베버의 법칙
감각 및 감각의 측정: 일정 자극에 지속노출되면 자극 민감도가 약해지는 것
감각순응
시각정보청리: 망막에 존재하는 두 가지 세포와 특징(위치*빛의 양과 활성화)
- 추상체
- 망각의 중심
- 밝은 조명에서 활성화 - 간상체
- 망막의 주변
- 어두운 조명에서 활성화 가능
청각정보처리: 파장의 개념, 종류
파장: 파의 한 정상~다른 정상 거리, 색채결정
1) 단파: 고주파, 파란색, 고음
2) 장파: 저주파, 붉은색, 저음
청각정보처리: 진폭의 개념, 종류
진폭: 파의 크기 또는 높이에 의해 경정되는 에너지의 양, 밝기 결정
- 진폭이 크면: 밝은색, 큰소리
- 진폭이 작음: 어두운색, 작은소리
지각: 지각적 갖춤새의 의미, 결정요인
의미: 사물을 한 가지 방식으로 지각하려는 심적 성향
결정요인: 결험을 통해개념 또는 도식을 형성, 익숙하지 않는 정보 조직화*해석에 도움
지각: 지각순응과 맥락효과 의미
지각순응: 시각에서 인위적으로 이동, 도치되어도 적응O
맥락효과: 하나의 극단적으로 다른 자극 촉발
지각: 지각집단화의 원리
유사성 근접성 연속성 완결성 대칭성 연결성
지각: 깊이지각과 관련된 개념(한눈/ 두눈)
양안단서
- 양안부등
- 시선수렴
단안단서
-한쪽 눈만으로 가용한 깊이 단서(상대적 크기 등)
지각: 운동지각과 관련
- 가현운동
2. 유도된 운동
지각집단화의 원리 [유근연완대연]
유사성 근접성 연속성 완결성 대칭성 연결성
베를리의 작업기억 모형 설명:
- 음운루프: 언어이해, 청각암송
- 시공간 잡기장: 시각적 심상, 공간정보
- 중앙집행기: 정보를 한번에 처리할 수 있도록 정보량 제한, 하위 영역 명령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