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 Flashcards

1
Q

1989년 영국 OGC(영국 정부 조달청)가 문서로 발간한 후, 국내외 IT서비스 관리의 사실상의 표준(de- facto standard)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IT서비스 제공 및 관리에 대한 현존하는 유일한 포괄적, 공개적 가이드로 ITSM(IT서비스 관리) 분야의 업계 최고 실행 지침서이다. (ITIL) 의 프레임워크(기본개념구조, 뼈대)는 Service Delivery와 Service Support로 분류되며, 이 두 핵심 프레임워크는 (ITIL) 기반의 ITSM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로 활 용되고 있다.

A

ITIL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기존의 IT 관리가 IT시스템 자체의 기능 및 기술 사안에 초점을 맞춘데 반해 (ITSM)에서는 프로세스와 고 객에 초점을 맞춘 서비스 관리를 말한다.

A

ITSM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국제표준화기구(ISO)가 2005년 발표한 IT서비스관리(ITSM) 국제 표준

A

ISO 20000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서비스 사업자와 서비스 사용자가 제공될 정보 서비스 및 그와 연관된 여러 조건들에 대한 서로의 책임과 의무 사항을 기술해 놓은 협약서. (SLA)이 있으면 사용자는 서비스 사업자의 서비스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가질 수 있게 됨으로써 서비스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에서 벗어나 구체적인 성능을 기준으로 이용 환경을 평가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SLA)은 서비스 수준 관리(SLM: Service Level Management) 절차를 통해 지속적으로 유 지되고 관리된다.

A

SL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이)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와 부가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 는 가상현실의 하나를 의미한다. 이러한 ( )은(는) 현실환경과 가상환경을 융합하는 복합형 가상현실 시스
템으로 1990년대 후반부터 미국, 일본을 중심으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A

증강현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이)란 무선 이동통신과 PDA, 인터넷을 통해 컴퓨터와 통신기술을 효과적으로 연계시켜 언제, 어 디서나 이동하면서 정보교환이나 수집, 검색, 정리, 저장하는 기술이다. 즉, 휴대형 기기로 이동하면서 자유로이 네 트워크에 접속하여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A

모바일컴퓨팅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이)란 제조, 물류, 유통업체 등 유통 공급망에 참여하는 모든 업체들이 협력을 바탕으로 정보기술을 활용, 재고를 최적화하고 리드 타임을 대폭적으로 감축하여 결과적으로 양질의 상품 및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 써 소비자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21세기 기업의 생존 및 발전전략이다. 세계적으로 선도적 위치에 있는 제조업체, 물류업체, 유통업체들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그들의 거래선들과 협력함으로써 그 이익을 훨씬 더 극 대화하였다.

A

SCM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RAM은 읽고 쓰기가 빠르지만 전원을 차단하게 되면 저장되어 있던 자료는 모두 지워지는 휘발 성 메모리이다. 반대로 ROM(Read Only Memory)은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읽기만 하고 쓸 수가 없으며 전원을 차 단시켜도 저장되어 있는 정보가 지워지지 않는다. 이러한 RAM과 ROM의 장점을 한 대 묶은 메모리를 (플래시메모 리) (이)라고 한다. 즉, 전원이 제거되어도 정보를 그대로 유지한다. 주로 디지털 카메라나 MP3, 휴대폰, USB드라 이브 등 휴대형기기에서 대용량 정보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A

플래시메모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인터넷 매스컴의 결합은 인터넷 방송이라는 새로운 형태의 방송으로 나타난다. 현재의 KBS, MBC, SBS와 같은 영상중심의 방송이 아닌 인터넷을 활용한 컴퓨터 기반의 방송이 구현됨으로써 종래의 방송기술개념을 혁명적으로 바꾸었다. 인터넷 방송에서 코어에 해당하는 부분은 역시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은 멀티미디어 용어로는 콘텐츠 에 해당한다. 이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자의 요구에 따라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이 ()이다. 이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많은 멀티미디어 사업 중에서 가장 활발히 진행되는 분야 중 하나이다. 시청자의 요구에 따라 비디오가 선택되면 비디오 서버는 해당 비디오에 대한 데이터를 검색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비디오를 전송한 다. ()은(는) 단순한 영화 비디오뿐만이 아니라, TV 드라마나 광고 등에도 응용된다.

A

VOD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스마트폰 등 휴대전화가 없을 때 초조해하거나 불안감을 느끼는 증상을 일컫는 말

A

노모포비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인터넷 프로토콜(IP)을 기반으로 음성, 오디오, 비디오 및 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규 격. (IMS)는 기본적으로 범용의 인터넷 기반 기술과 표준화된 네트워크 기능들을 사용함으로써 서비스의 가격 경쟁 력 향상과 신속한 서비스 개발 및 변경을 추구한다.

A

IMS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서버와 IP 주소 기반인 기존 인터넷 전달망(효율적인 콘텐츠 분해에 취약)을 대체할 미래의 인터넷 아키 텍처로 고려된다. (NDN)은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CCN: Content Centric Networking)와 동일한 개념. 인터넷 주소 가 필요없이, 콘텐츠 자체를 네트워킹의 주체(Entity)로 사용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가장 가까운 곳에서 가져올 수 있다.

A

NDN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SNS를 통해 관심사가 비슷한 사람끼리 만나 식사를 즐기며 인간관계를 맺는 것을 말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소셜 다이닝)이 크게 확산하고 있는데, 1인 가구의 증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A

소셜 다이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자동 원격검침 시스템으로 검침원이 일일이 고객을 방문하지 않고 단말기를 이용해 검침 데이터를 읽고 컴퓨터 운영프로그램과 연계해 고지서 발급은 물론 수요 패턴까지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A

AMR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구글에서 독립한 데이스 크롤리(Dennis Crowley)가 2009년 3월에 발표한 위치기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포스퀘어)는 땅따먹기와 비슷한데 실제 미국 아이들의 땅따먹기 놀이에서 이름을 따왔다.

A

포스퀘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정보’와 ‘전염병’의 합성어다. 스마트폰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의 발달로 잘못된 정보나 소문이 지나치게 빨리 확산되면서 대중의 두려움이 필요 이상으로 증폭되는 현상을 말한다.

A

인포데믹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샤프 기호)와 특정 단어(들)을 붙여 쓴 것으로, ()는 트위터, 페이스북 등 소셜 미디어에 서 특정 핵심어를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이다.

A

해시 태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소프트웨어 일부를 개발한 후 본격적인 시험 수행에 앞서 소프트웨어의 결함을 식별하고 변경 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시험의 형태. ()는 하드웨어 기기 수리 후 다시 동작시켜 보아 연기가 나지 않 는가를 검사하는 것에서 유래된 용어이다. 시스템 핵심 기능들에 대해 엄격하게 시험하는 것이 아니라 안정성 측면 에서 주요 기능이 잘 동작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한다

A

Smoke testing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사람들이 여러 웹페이지에 로그인을 하거나 결제 정보를 입력하는 등 온라인 활동을 하면서 남긴 기록. 구매 패턴, 속성, 결제 방법, 구매 이력 내용, 누리 소통망 서비스(SNS), 전자 우편(e-mail), 누리집(홈 페이지) 방문 기록, 검색어 기록 등이 해당된다. ()을 토대로 기업은 고객 맞춤형 디지털 광고나 판 촉을 할 수 있다. 개인 정보 유출에 대한 피해 사례가 많아지면서 이 기록을 지워 주는 전문업체(온라인세상 속 잊 혀질 권리)도 있으며,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제도적, 사회적, 기술적 장치가 요구된다.

A

Digital Footprint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인터넷 사용자의 컴퓨터에 잠입해 내부 문서나 스프레트시트, 그림파일 등을 암호화해 열지 못하도 록 만든 후 돈을 보내주면 해독용 열쇠 프로그램을 전송해 준다며 금품을 요구하는 악성 프로그램.

A

랜섬웨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서로 다른 UNIX OS의 공통 API를 정리하여 이식성이 높은 유닉스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목 적으로 IEEE가 책정한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규격이다.

A

포직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2009년 1월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필명의 프로그래머가 개발하였다. 실제 생활에서 쓰이는 화폐가 아 니라 온라인 거래상에서 쓰이는 가상화폐

A

Bitcoin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지상파와 케이블 등 기존 텔레비전 방송 서비스를 해지하고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선택하는 소비 자군. 어릴 때부터 인터넷으로 동영상을 보는 데 익숙하고, 방송 프로그램을 수동적으로 시청하는 데 싫증을 느낀 20~30 대가 주류를 이룬다. (코드커터족)은 이른바 ‘코드(cord)’로 연결된 채 수동적으로 시청해야 하는 체계를 싫 어하는 데다가 기존 텔레비전 서비스의 요금까지 비싸서 이들의 텔레비전 기피 현상이 확산되었다.

A

코드커터족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금융과 IT의 융합을 통한 금융서비스 및 산업의 변화를 통칭한다.

A

FinTech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Q

다른 사람의 글을 읽고 그 글에 직접 댓글을 올리는 대신에 자신의 블로그에 글을 올리고 글의 일정 부 분이 다른 사람의 댓글로 보이도록 하는 것. (트랙백) 글은 자신의 사이트에 있기 때문에 내용을 길게 하거나 동영 상을 넣고, 표현을 수정하는 등 마음대로 편집할 수 있다.

A

트랙백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6
Q

일상생활에 지장을 느낄 정도로 지나치게 인터넷에 몰두하고,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으면 불안감 을 느끼는 등의 인터넷 중독증 또는 의존증.

A

웨버홀리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7
Q

구매자가 정기 구독료나 가입비를 서비스업체에 지급하면 해당 업체가 상품을 알아 서 선정해 정기적으로 배달해주는 상거래

A

Subscription Commerce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8
Q

채널을 돌리다가 중간에 있는 채널의 시청률이 높아지는 현상. 특히, 지상파 방송 채널과 채널 사이 에 홈쇼핑 채널을 넣어 채널 이동 시 자연스럽게 홈쇼핑 채널을 시청하도록 유도하는 상업적인 행위가 이러한 경우 이다.

A

재핑 효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9
Q

가전제품,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헬스케어, 원격검침, 스마트홈, 스마트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을 네 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

A

IoT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0
Q

각종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네트워크로 연결된 서버로부터 받아 사용하는 PC 대체 컴퓨터를 말한 다. 즉, 하드디스크 없이 네트워크 접속장치 기능만 가진 윈도기반 단말기(WBT)를 서버에 연결시켜 사용하는 서버 기반 컴퓨팅환경을 말한다.

A

Thin Client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1
Q

생물학적 데이터를 수집, 관리하는 기술을 말한다.

A

바이오인포매틱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2
Q

시스템 개발과 운영을 병행 및 협업하는 방식. 개발 부문, 운영 부문, 품질 관리 부서 사이의 통합, 커 뮤니케이션, 협업을 위한 일련의 방법 및 시스템으로 적기에 소프트웨어 제품이나 서비스 출시를 목표로 하는 조직 의 속성상 개발과 운영은 상호 의존을 해야 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소프트웨어 개발과 운영관리 간의 협업과 통 합을 담당하며 빅데이터 비즈니스가 각광을 받으면서 한 분야의 뛰어난 능력을 보유한 인력뿐만 아니라 통계, 프로 그래밍, 개발, 오퍼레이션과 같이 융합적인 능력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A

디봅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3
Q

기존의 전력망에 정보기술(IT)을 접목하여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이다. 이를 활용하여 전력 공급자는 전력 사용 현황 을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공급량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전력 소비자는 전력 사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함 으로써 이에 맞게 요금이 비싼 시간대를 피하여 사용 시간과 사용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태양광 발전이나 연료전 지, 전기자동차의 전기에너지 등 가정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판매할 수도 있게 된다.

A

스마트 그리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4
Q

클라우드 서비스, 모바일 서비스, 스마트 TV, Big Data, 사물지능통신 등 상이한 특성을 가지는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가 증가함에 따라, 사람들은 인프라의 동작이 다양한 서비스와 환경에 따라 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유연한 구조(Flexible Architecture)를 충족하기 위하여 기존의 하드웨어 중심의 네트워크를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을 통해 네트워크 경로설정과 제어 및 복잡한 운용관리를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는 차세대 네트워킹 기술이다.

A

SDN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5
Q

대량의 자료(Big Data)를 처리할 수 있는 큰 컴퓨터 클러스터에서 동작하는 분산 응용 프로그램을 지원 하는 자유 자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오픈 소스 기반의 분산 컴퓨팅 플랫폼) 이다.

A

하둡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6
Q

IT 제품의 보안성을 평가하기 위한 국제 기준(ISO 표준).

A

CC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7
Q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다양한 무선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 기술. 무선태그(RFID) 기술 중 하나 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이다. 통신거리가 짧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보안이 우 수하고 가격이 저렴해 주목받는 차세대 근거리 통신 기술이다. 블루투스 등 기존의 근거리 통신 기술과 비슷하지만 블루투스처럼 기기 간 설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A

NFC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8
Q

조직이 필요로 하는 보안 정책을 수립하고 정책에 따라 자동으로 사용자의 계정과 권한을 관리하는 솔루 션.

A

IAM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9
Q

하나의 콘텐츠를 스마트폰ㆍPCㆍ스마트TVㆍ태블릿PCㆍ자동차 등 다양한 디지털 정보기기에서 공유할 수 있는 컴퓨팅ㆍ네트워크 서비스를 말한다. 이는 시간ㆍ장소ㆍ디지털기기에 구애 없이 언제 어디서나 하 나의 콘텐츠를 이어서 볼 수 있어, 컴퓨터로 다운받은 영화를 TV로 보다가 지하철에서 스마트폰으로 보거나, 태블 릿PC로 이어서 볼 수 있는 서비스다.

A

N-Screen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0
Q

기업의 모든 단위업무별로 흐름도를 분석하여 어떤 과정에 어느 정도의 위험요인이 있는지 평가하여 전 조직원들이 공유하도록 함

A

ERM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1
Q

기업 내부자의 고의나 실수로 인한 외부로의 정보 유출을 방지하는 솔루션

A

DLP

42
Q

OTA(Over The Air, 휴대폰무선전송기술)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기기가 Power On 상태로 있으면 원격에서 모바일 기기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이 솔루션을 사용하면 업데이트를 위해 A/S 센터를 방문하 거나 소프트웨어를 내려받은 PC와 휴대폰 등을 연결해 업데이트할 필요가 없이 어디서든 업데이트 및 다운로드 가 능. 최근 보안 위협에 대한 강화대책으로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모바일 보안의 핵심요소가 되고 있다.

A

MDM

43
Q

사용자 인증과 글로벌 로밍,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기능을 1장의 카드에 구현한 것이다. 3세대 이동통 신(WCDMA)의 단말기에 탑재된다

A

USIM

44
Q

은(는) 다양한 IT 기술과 방식들을 이용해 조직적으로 특정 기업이나 조직 네트워크에 침투해 활동 거점 을 마련한 뒤 때를 기다리면서 보안을 무력화시키고 정보를 수집한 다음 외부로 빼돌리는 형태의 공격을 말한다. 공격 방법에는 내부자에게 악성코드가 포함된 이메일을 오랜 기간 동안 꾸준히 발송해 한 번이라도 클릭되길 기다 리는 형태, 스턱스넷(Stuxnet)과 같이 악성코드가 담긴 이동식 디스크(USB) 등으로 전파하는 형태, 악성코드에 감 염된 P2P 사이트에 접속하면 악성코드에 감염되는 형태 등이 있다.

A

APT

45
Q

은(는) 합법적으로 소유하고 있던 사용자의 도메인을 탈취하거나 도메인네임시스템(DNS) 이름을 속여 사용자들이 진짜 사이트로 오인하도록 유도하여 개인 정보를 훔치는 신종 인터넷 사기 수법이다. 피싱이 금융 기관 등의 웹 사이트에서 보낸 이메일로 위장하여 링크를 유도해 개인의 인증 번호나 신용카드 번호, 계좌 정보 등 을 빼내는 반면, ( )은(는) 아예 해당 사이트가 공식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도메인 자체를 탈취한다. 사용자 들은 늘 이용하는 사이트로 인식하여 의심하지 않고 개인 ID, 패스워드, 계좌 정보등을 노출하는 것이 특징이다.

A

Pharming

46
Q

이(란) 컴퓨터 보안에서 인간 상호 작용의 깊은 신뢰를 바탕으로 사람들을 속여 정상 보안 절차를 깨트리기 위한 비기술적 시스템 침입 수단을 말한다. 우선 통신망 보안 정보에 접근 권한이 있는 담당자와 신뢰를 쌓고 전화나 이메일을 통해 그들의 약점과 도움을 이용하는 것이다.

A

Social Engineering

47
Q

은(는) 사용자의 온라인 뱅킹 계정 정보를 탈취하기 위해 개발된 상용 멀웨어(악성 소프트웨어)이다.

2007년 러시아에서 개발된 것으로 추정되는 (ZEUS)은(는) 주로 이메일 등을 통해 주로 전파되며, 감염된 컴퓨터는 사용자의 모든 키보드 입력 정보를 지정된 곳으로 보낸다.

A

ZEUS

48
Q

은(는) 데이터 암호화 표준으로, 대표적인 비밀키 암호화 기법이다. 56비트의 암호/복호 키를 이용하여

64비트의 평문을 암호화, 복호화하는 방식이며 IBM 사에서 개발하였고, 미국 국방성에 의해 채택되었다.

A

DES

49
Q

은(는)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는 장소 또는 가상의 장소를 신체적으로 경험하는 것이다. 통신 회 선으로 컴퓨터를 원격지와 연결하여 구성한 가상현실 공간을 통해 신체적으로 가 있지 않은 다른 장소에 존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A

Telepresence

50
Q

은(는) 컴퓨터에서 운영체제의 응용 프로그램을 동작시키고 결과를 화면에 표시하는 작은 그래픽사용 자 인터페이스(GUI) 도구이다. (Widget)은(는) 인터넷으로부터 정보를 전달 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작은 윈도우로서 시계나 달력, 메모장, 검색, 지도, 뉴스, 실시간 카메라 등 인터넷 익스플로러와 같은 브라우저에서 제공되던 많은 기능들이 브라우저를 열지 않고도 제공된다.

A

Widget

51
Q

은(는) 통신을 기반으로 한 이전의 인터넷 통신 패러다임을 정보 중심으로 재편성하려는 네트워킹이다. 기존 인터넷이 통신의 목적보다는 절차에 집중한 반면, (ICN)은(는) 절차보다는 목적에 집중하는 새로운 형태의 네 트워킹 기술이다. 기존 인터넷 주소는 인터넷 인프라를 구성하는 전달망 요소들을 식별하는 용도로만 사용하고, 정 보의 유통 문제는 주소 대신 식별자를 사용해 해결하는 방식이다.

A

ICN

52
Q

은(는) 군의 전 자원을 전산화하고 네트워크로 연결해 효율적인 전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통합 전장 관 리 체계이다. 육․해․공군별 각각 (C4I)을(를) 구축한 후, 기존 지휘 통제 체계인 CPAS(Command Post Automation System)를 계량하여 구축 중인 합동 지휘 통제 체계(KJCCS)에 통합하고, 미국의 (C4I)와도 연동시켜 효과적인 한ㆍ미 연합작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A

C4I

53
Q

은(는) 애플리케이션 공유를 위한 웹 서비스 표준과 인프라 자원의 공유를 위한 그리드 기술이 결합된 개방형 표준이다. (OGSA)은(는) 웹 서비스를 그리드 상에서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중심의 상업적인 응용에 초점이 맞춰진 구조로서 IBM을 비롯해 수백여 기업이 회원으로 가입해 있는 글로벌 그리드 포럼이 개발을 주도하고 있으 며, 웹 서비스 표준을 적극적으로 따르고 웹 개발 툴들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A

OGSA

54
Q

은(는) 악의적인 목적으로 작성된 것으로 악성 코드(Malicious Code) 또는 악성 프로그램(Malicious Program) 등으로 불린다. 실행 가능한 악성 코드에는 프로그램, 매크로, 스크립트뿐만 아니라 취약점을 이용한 데 이터 형태도 포함된다. ( )은(는) 광범위한 개념으로 자기 복제 능력과 감염 대상 유무에 따라 바이러스, 웜, 트로이목마, 스파이웨어 등으로 분류된다. 최근의 ( )은(는) 첨부파일을 열어 보거나, 소프트웨어를 다운받 아 설치하던 종래의 통념을 벗어나 단지 검색 페이지의 링크나 이미지를 클릭하기만 해도 원치 않은 소프트웨어가 설치되거나, 시스템이 하이재킹 당할 수 있어 주의를 요한다.

A

Malware

55
Q

은(는) 검색 엔진에서 검색했을 때 상위에 나타나도록 관리하는 것이다. (SEO)의 방법 중 하나는 자신의 사이트를 대표할 수 있는 핵심적인 키워드로 사이트를 등록하고, 여러 사이트와 배너를 교환하거나 추천 사이트로 등록하여 자연스럽게 이용자를 늘리고, 이로 인해 사이트의 검색 순위도 올라가게 하는 것이다.

A

SEO

56
Q

은(는) 특허권을 비롯한 지적 재산권을 통해 로열티 수입만으로 이익을 창출하는 특허 관리 전문 기업을 말한다. (Patent Troll)은(는) 실제로 제품을 만드는 회사가 아니므로 자신들이 보유한 특허로 다른 회사를 공격할 수는 있지만 다른 회사가 이들을 공격하여 피해를 줄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점을 악용하여 수익을 창출한 다.

A

Patent Troll

57
Q

은(는) 3GPP 진영에서 추진하고 있는 3세대 이동 통신(3G) 방식인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W-CDMA) 이 진화한 기술로 유력한 4세대 이동 통신(4G) 후보 기술이다. ( )은(는) 패킷 데이터 전송에 기반을 둔 다양한 서비스 지원을 목표로하는 기술이며, 최대 20MHz 대역폭에서 하향 링크 최대 전송 속도 100Mbps, 상향 링크 최대 전송 속도 50Mbps를 지원한다. ( ) 은(는) 데이터 전송 효율 향상, 효율적인 주파수 자원 이용, 이동성, 낮은 지 연 시간, 패킷 데이터 전송에 최적화된 기술과 서비스 품질 보장 등을 제공하는 차세대 이동 통신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A

LTE

58
Q

컴퓨터 법의학’이라 불리는데 전자증거물을 사법기관에 제출하기 위해 휴대폰, PDA, PC, 서 버 등에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는 디지털수사과정을 뜻한다.

A

디지털 포렌식

59
Q

특정인을 사이버상에서 집단적으로 따돌리거나 집요하게 괴롭히는 행위. 소셜네트워크서비스 (SNS), 카카오톡 등 스마트폰 메신저와 휴대전화 문자메시지 등을 이용해 상대를 지속적으로 괴롭히는 행위를 일 컫는다.

A

사이버 불링

60
Q

스마트폰에 내장된 GPS수신기를 통해 고객의 위치를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종 이벤트의 정보공 유, 의사소통까지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

A

LBSNS

61
Q

인터넷 커뮤니티에 참여해 콘텐츠를 즐기고 정보와 자료를 얻는 소비자이면서 동시에 의견 을 적극 개진해 생산에도 영향을 미치는 사람을 말한다.

A

디지털 프로슈머

62
Q

빌딩 내 에너지 관리 설비의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 수집ㆍ분석해 에너지 사용 효율을 개선하는 시스템 이다.

A

BEMS

63
Q

사무실이나 집에 설치하는 초소형 이동 통신 기지국. 인터넷에 연결하는 (펨토셀 기지국)은 집 이나 사무실 같은 건물이나 지하의 작은 지역(30 ~ 50m)에 서비스하려고 설치하는 소출력 초소형 이동 통신 기지 국을 말한다.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패드 같은 기기 보급이 확대되면서 인구 밀집 지역을 중심으로 급증하는 트래픽 을 수용하는 데 적합한 기지국이다.

A

펨토셀 기지국

64
Q

세계 경제 포럼(WEF)이 국제적인 경영대학인 인시아드(INSEAD)와 공동으로 개인과 정부, 기업의 정보 통신기술(ICT) 발전도와 경쟁력을 국가별로 평가한 지수.

A

NRI

65
Q

자국 영토에서 자국 기술로 인공위성 및 우주선 발사가 가능한 국가들의 모임

A

Space Club

66
Q

러시아의 전파 위성 항법 시스템이다. 소비에트 연방이 개발했고, 현재는 러시아 우주군이 운영하고 있다. 이것은 미국의 GPS, 유럽 연합의 갈릴레오 위치결정시스템와 같은 것이다.

A

글로나스

67
Q

단 한번의 로그인만으로 기업의 각종 시스템이나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하게 해주는 보안 응용 솔루션.

A

SSO

68
Q

로그인 할 때마다 그 세션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일회성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보안 시스템. 동일한 패스 워드가 반복해서 재사용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패스워드 도난 문제를 예방하는 것이 목적이다.

A

OTP

69
Q

음성, 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고정·휴대·차량용 수신기에 제공하는 방송 서 비스. 이동 중에도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나 차량용 단말기를 통해 콤팩트디스크(CD)·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DVD)급의 고음질, 고화질 방송을 제공하며, 제공 방식은 시스템 A·Dh·E 시스템 등이 있다.

A

DMB

70
Q

디지털 비디오·오디오 및 데이터 등의 방송 프로그램 신호를 위성 송신 설비 및 지상 중계 설비를 이용해 극초단파 대역에서 방송하는 것이다.

A

위성 DMB

71
Q

ITU-R의 디지털 라디오의 표준 DSB System A(Eureka-147)에 기반하여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방송 표준.

A

지상파 DMB

72
Q

전파는 텔레비전과 라디오 전송에 널리 쓰이고 있다.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채널 2~13을 통해 방송하는 텔레비전 방송국은 (VHF) 주파수를 이용하며 FM 라디오 방송국도 마찬가지이다. 많은 아마추어 무선전신 기사들 도 (VHF) 주파수대에서 전송한다.
파장이 더 긴 전파와는 달리 (VHF) 전파는 대기에서 심하게 반사하지 않기 때문에 지구의 굴곡을 따라 쉽게 휘지 않고 따라서 지평선 너머로는 전송할 수 없다.

A

VHF

73
Q

통신과 정보과학의 합성어로 자동차와 컴퓨터·이동통신 기술의 결합을 의미하는 개념. (텔레매틱 스)의 발전은 크게 1세대, 2세대, 3세대로 구분된다. 1세대는 차량 혹은 무선단말기에서 긴급 버튼을 통해 경찰이 나 응급구조대를 호출하는 긴급구호서비스와 같은 모델이었다. 2세대는 통상 사용하는 차량항법서비스를 들 수 있 다. 차량 내 모니터에서 보여지는 지도를 통해 GPS를 이용한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경로를 설정한다. 3세대는 생활 의 모든 편의를 차량 또는 운송수단과 결합한 인공지능형 서비스로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A

텔레매틱스

74
Q

이동성(Mobile) 기기를 통해 각종 교통 및 생활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아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서비스를 총칭한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친구찾기, 주행 중 길안내 및 가까운 주유소 찾기, 미아찾기 등이 있다.

A

LBS

75
Q

교통수단 및 교통 시설에 전자·제어 및 통신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하여 교통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 를 활용함으로써 교통 체계의 운영 및 관리를 과학화·자동화하고, 교통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교통 체계. 버스 정류장의 버스 도착 안내 시스템, 교차로에서 교통량에 따라 자동으로 차량 신호가 바뀌는 시스템, 내비게이 션의 실시간 교통 정보, 하이패스 등이 ( ) 서비스이다.

A

ITS

76
Q

1970년대 초 미국 국방부가 지구 상에 있는 물체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만든 군사용 시스템이었다. 그 러나 오늘날에는 미 의회의 승인을 거쳐 민간부문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 )를 이용하면 위치와 시간정보를 얻 을 수 있다.

A

GPS

77
Q

지도에 관한 속성 정보를 컴퓨터를 이용해서 해석하는 시스템. 취급하는 정보는 인구 밀도나 토지 이용 등의 인위적 요소, 기상 조건이나 지질 등의 자연적 환경 요소 등 다양하다. 속성 정보를 가공하여 특정 목적을 위 해 해석하고 계획 수립을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시설 관리(FM) 시스템과는 구별하는 경우도 있다. ( )은 도시 계획, 토지 관리, 기업의 판매 전략 계획 등 여러 가지 용도에 활용된다.

A

GIS

78
Q

정보와 창고의 의미가 합성되어 만든 어휘이다. 따라서 (

)는 방대한 조 직 내에서 분산 운영되는 각각의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들을 효율적으로 통합하여 조정ㆍ관리하기 때문에 효 율적인 의사 결정 시스템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 실무적인 활용 방법론이 제공되고 있다.

A

데이터 웨어하우스

79
Q

데이터의 한 부분으로서 특정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데이터들을 담은 비교적 작은 규모의 데이터 웨어하우스. 즉 일반적인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갖고 있는 다양한 정보를 사용자의 요구 항목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 석하여 기업의 경영 활동을 돕기 위한 시스템을 말한다.

A

데이터 마트

80
Q

각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인공 지능 기법을 통해 자동적으로 찾아 주는 과정. 반면에 데이터 웨 어하우스와 데이터 마트는 사용자가 원하는 테이블들을 미리 만들어 놓고 이를 꺼내 볼 수 있도록 한다. 비를 좋아 하는 사람에 대한 데이터가 있고 색깔에 대한 선호도와 관계된 데이터가 있다면 이 둘의 관계를 밝혀 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정확히 수치화하기 힘든 데이터 간의 연관을 찾아 내는 역할을 한다.예를 들어 대형 마트에서 2, 30대 고객 중 기저귀를 구매하는 사람은 맥주를 많이 구매한다.

A

데이터 마이닝

81
Q

이용자가 직접 데이터베이스를 검색, 분석해서 문제점이나 해결책을 찾는 분석형 애플리케이션 개념. 대규모 데이터를 이용한 질의 검색 시 발생한 대량의 결과 값을 단순히 사용하기는 어렵다. 대부분 이 같은 질의는 복수의 데이터 정보 테이블을 기반으로 처리되고, 요약화된 정보를 얻기 위해 연산 처리가 수반되어 장시간이 소요 되기 때문이다

A

OLAP

82
Q

기업의 상급 경영 관리직의 전략 구상을 지원할 목적으로 구축된 시스템. 이와 유사한 시스템으로는 경영 전략 지원 시스템(ESS:executive support system), 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DSS), 전략 정보 시스템(SIS) 등이 있 다.

A

EIS

83
Q

기업 간 전자상거래 서식 또는 공공 서식을 서로 합의된 표준에 따라 표준화된 메시지 형태로 변환해 거 래 당사자끼리 통신망을 통해 교환하는 방식. 일반적으로 ( ) 시스템의 기본 기능은 기업의 수주, 발주, 수송, 결
제 등 상업 거래 자료를 변환, 통신, 표준 관리, 그리고 거래처 관리 등이다.

A

EDI

84
Q

기업이 고객을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방법론이나 소프트웨어 등을 가리키는 용어. 현재의 고객과 잠재 고객에 대한 정보 자료를 정리, 분석해 마케팅 정보로 변환함으로써 고객의 구매 관련 행동을 지수화하고, 이를 바 탕으로 마케팅 프로그램을 개발, 실현, 수정하는 고객 중심의 경영 기법을 의미한다.

A

CRM

85
Q

공중 교환 전화망(PSTN)을 통해 이루어졌던 음성 서비스를 IP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을 디지털 패킷의 형태로 전달하는 기술.

A

VoIP

86
Q

한국형 무선 인터넷 플랫폼 표준 규격. 휴대폰에 내장되는 중간 웨어 성격의 플랫폼으로 PC의 운용 체 계와 같이 여러 가지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거나 내려 받을 때 사용된다. 이동통신사들이 서로 다른 무선 응용 프 로토콜을 채택함으로써 나타나는 불합리한 점과 컨텐트 제공업체(CP)들의 개발환경 상이성으로 생기는 문제점들 의 해결을 위해 제정된 무선 인터넷 플랫폼 표준 규격이다.

A

WIPI

87
Q

여러 사람이 함께쓸수 있는 소프트웨어. 집단으로서의 작업을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소프트웨어 라는 의미에서 (그룹웨어)라고 한다. (그룹웨어)는 구내 정보 통신망(LAN) 등에 접속된 개인용 컴퓨터(PC)나 워크 스테이션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기존의 PC용 소프트웨어가 개인별 이용을 목적으로 만들어져 온 데 비해, 이메일 등 컴퓨터 통신망의 기능을 활용하여 집단 구성원 간의 정보를 교환하면서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집단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A

그룹웨어

88
Q

공개소프트웨어 리눅스의 한국형 데스크톱 및 서버용 운영체제 표준 배포판. 국내 관련 기업과 소프트웨어진흥원 그리고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협력하여 개발하고, 공인인증기관인 TTA의 인증을 받은 국 내의 표준 리눅스 플랫폼이다.

A

부여 리눅스

89
Q

1년에 단 몇 권밖에 팔리지 않는 ‘흥행성 없는 책’들의 판매량을 모두 합하면, 놀랍게도 ‘잘 팔리는 책’ 의 매상을 추월한다는 온라인 판매의 특성을 이르는 개념. 20%의 핵심고객으로부터 80%의 매출이 나온다는 유명 한 파레토 법칙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역(逆) 파레토 법칙’이라고도 한다

A

롱테일

90
Q

모든 네트워크 사업자는 모든 콘텐츠를 동등하게 취급하고 어떠한 차별도 하지 않아야 한다는 원칙. 망운영의 근본적인 원칙으로 중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비차별ㆍ상호접속ㆍ접근성 등 3가지 원칙이 모든 통신망에 동일하게 적용되야 한다는 것이다. 1990년대초 미국에서 처음 언급되어, 유럽연합(EU)가 정보사회보고서에서 망 규제는 상호접속 및 상호운용성을 요구한다.

A

망 중립성

91
Q

오랜 기간 시장을 지배하고 있던 경쟁자를 압도한 소프트웨어. 이것은 시장에 나오자마자 기존의 사 회 구조나 산업을 변화시키고 시장을 재편하는 것은 물론 완전히 새로운 카테고리를 형성하는 위력적 기술이나 서 비스를 뜻한다.

A

킬러 앱

92
Q

웹 사이트에 주민 등록 번호 대신 이용할 수 있는 사이버 신원 확인 번호로서 인터넷상에서 주민 등록 번호가 유출되어 도용되는 부작용을 막기 위해 만든 서비스.

A

i-PIN

93
Q

다수가 참여할 수 있도록 공개된 문서의 내용을 훼손하거나 엉뚱한 제목으로 변경하고 낙서를 하는 일. 스팸을 끼우거나, 내용의 부분 혹은 모두를 지우고, 내용을 고의로 왜곡시키거나, 문서의 내용과 무관한 선전 광고를 일삼는다. 욕을 써넣거나 저질의 낙서를 하고, 불쾌감을 주는 그림을 올리며, 남을 비방하는 글을 써넣는다.

A

반달리즘

94
Q

서비스 이용자가 각자의 기대치(expectation)에 근거하여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어플리케이션 혹은 서비 스의 총체적인 허용도. 통신 서비스의 품질에 관한 척도로서는 NP(망성능)와 QoS(서비스품질), ( ) 등이 있다. NP는 망 자체의 성능이 중심이 되고, QoS는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 제공할 수 있는 품질로서 이들은 서비스를 받 는 개개의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와는 직접적인 관계에 있지는 않다. 따라서 사용자가 요금을 지불한 서비스에 대 하여 기대하는 기대치를 근거로 규정하는 품질 척도가 ( )이다. 품질은 좀 낮아도 요금이 싼 서비스가 최고 품질 의 서비스보다 ( )가 더 높을 수 있다.

A

QoE

95
Q

우수한 기획을 통해 제작된 1차 콘텐츠를 시장에 성공 시킨후 재 투자 및 라이센스를 통해 2차, 3차 콘 텐츠로 발전시키는 전략으로써 하나의 콘텐츠를 여러 매체로 이용하거나 2차 제작물을 통해 부가가치를 극대화하 는 방식. 일례로 인기를 모았던 드라마 경우 지상파, 위성, CATV,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방송되고, 영화도 극장 개봉을 거쳐 비디오로 출시, 방송에서 방영되기도 하며, 수출하기도 한다.

A

OSMU

96
Q

기업의 목표와 요구 사항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정보 기술(IT) 인프라 각 부분의 구성과 구현 기술 을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작업. 기업의 최고 정보 책임자(CIO)가 효율적인 IT 인프라와 전략의 확보 차원에서 조직 의 업무 활동과 IT 간의 관계를 현재와 미래에 추구할 모습으로 체계화한 청사진이다. 기업의 가치 창출을 위해 IT 의 역할이 중시되면서 전사 아키텍처가 주목받고 있으며 IT 투자 대비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마련하는 밑그림이 다.

A

EA

97
Q

미국 전자 학습 표준 연구 개발 기관인 ADL(Advanced Distributed Learning)에서 제정한 사실 표준. ADL의 높은 요구 수준(accessibility, interoperability, reusability, durability, adaptability, affordability)을 충족하 기 위한 참조 모델로서 교육, 훈련, 수행도 향상 등에서 훨씬 우수하고, 저비용적이며, 시간과 장소에 구속되지 않
는 모델에 대한 규격 및 가이드라인이다.

A

SCORM

98
Q

기존 케이블 방송망으로 초고속/대용량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전송 방식. 총 1Gbps 용량을 여러 가입자가 공유하는 구조로 일반 가정에 130Mbps의 빠른 인터넷 속도를 제공한다. 트래픽이 집중되는 광동축 케이 블(HFC) 구간에서도 다중 멀티플렉싱으로 병목 현상을 해소해 고품질 IPTV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기존의 케 이블 업계가 활용하는 케이블 데이터 서비스 인터페이스 규격(DOCIS)이나 ETTH 방식보다 장비 설치비도 저렴하 다.

A

CTTH

99
Q

기업의 소프트웨어 인프라인 정보 시스템을 공유와 재사용이 가능한 서비스 단위나 컴포넌트 중심으로 구축하는 정보 기술 아키텍처. 정보를 누구나 이용 가능한 서비스로 간주하고 연동과 통합을 전제로 아키텍처를 구 축해 나간다. ( )의 대표적인 예인 단순 객체 접근 프로토콜(SOAP) 기반의 웹 서비스에서는 서로 다른 이용자들 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서비스와 의사 소통을 하면서도 통합 관리되는 서비스들을 사용할 수 있다.

A

SOA

100
Q

우체국 택배와 국제 특별 수송(EMS)을 강화하기 위해 우편물에 RFID 칩을 달아 언제 어디서나 실 시간으로 그 우편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우편 물류 시스템.

A

Pos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