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법총론 Flashcards
(37 cards)
구성요건해당성이란?
구체적 행위가
법률에 규정되어 있는 범죄구성요건에
합치하는지 여부에 대한
사실판단 또는 가치판단
고의범에 있어서의 행위의사 판단
인과관계란?
발생된 결과를 행위자의 행위에 의한 것으로 귀속시키기 위해 필요한 행위와 결과 사이의 연관관계를 말한다.
위법성이란?
구성요건에 해당하는 행위가
법질서에 비추어 보아
허용되지 아니한다는
부정적 가치판단
위법성조각사유의 종류?
(5가지)
정당행위(20)
정당방위(21)
긴급피난(22)
자구행위(23)
피해자의 승낙(24)
처벌조건이란?
범죄는 성립하지만 처벌은 되지 않는 요건
인적 처벌조각사유란?
성립한 범죄에 대하여
범죄자의 특별한 신분관계를
이유로
처벌하지 않는
사정
객관적 처벌조건이란?
일단 범죄가 성립된 후,
가벌성을 위해 필요한 객관적•외부적 사실
소추조건이란?
이미 범죄가 성립한 뒤
형사소송법상 소추를 하기 위한 조건
친고죄란?
피해자 기타 고소권자의
고소가 있어야만
검사가 공소제기를 할 수 있는
범죄
반의사불벌죄란?
원칙적으로는 공소제기가 가능하지만, 피해자의 명시한 의사
(처벌불원의사)에 반하여
검사가 공소를 제기할 수 없는
범죄
가벌적 행위의 심사절차 단계 수는?
6단계
1. 적용 가능한 법조문을 찾음
2. 문제된 사건의 행위성에 대해 검토
3. 범죄성립요건 검토: 범죄체계론 중 하나의 심사절차를 선택; 고전, 신고전, 목적, 사회적
4. 처벌조건 검토: 객관적 처벌조건+인적 처벌조각사유
5. 소송조건(소추조건)
6. 형벌의 종류나 범위 결정: 선고유예나 집행유예 가능성 검토
결과범이란?
구성요건에서
범죄행위와 함께
결과발생까지 요구하는
범죄
거동범이란?
외부적 결과발생과 무관히
구성요건에 규정된 행위를 하면
성립하는 범죄
침해범이란?
구성요건이 보호하는 법익을
현실적으로 침해하였을 때
기수가 되는 범죄
위험범이란?
보호법익에 대한 침해의 위험을 초래하는 것만으로도 성립하는 범죄
구체적 위험범이란?
보호법익에 대한
구체적 위험발생(현실적인 개연성)
을 성립요건으로 하는 범죄
추상적 위험범이란?
법익침해에 대한
아주 낮은 또는 관념적 가능성만으로도
구성요건이 성립하는 범죄
정범이 될 수 있는 행위자의 범위로 범죄를 구분하면?
- 일반범
- 신분범(진정/부진정; 감경)
- 자수범(직접 실행하여야)
구성요건이란?
형벌을 과하는 행위유형을
법률상 기술해놓은 것
행위반가치란?
행위자가
금지된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행위를 함에 대한
사회윤리적 관점에서의
부정적 가치판단
결과반가치란?
형법이 보호하는 법익침해•위태화라는 ‘결과’에 대한 부정적 가치판단
범죄능력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행위능력+책임능력+수형능력
보증인지위의 인정근거로서
실질설에 따른 보호의무는?
- 긴밀한 생활관계
- 위험공동체
- 보호기능의 자의적 인수
보증인지위의 인정근거로서
실질설에 따른 안전의무는?
- 선행행위에 의한 작위의무
- 위험원의 관리자
- 타인에 대한 감독책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