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322 week 9 Flashcards

1
Q

한의학의 기본적인 치법 : 팔법

A

팔법은 한의학 내과치료에서 약물을 운용하는 일반원칙으로 한(汗), 토(吐), 하(下), 화(和), 온(溫), 청(淸), 소(消), 보(補)의 여덟가지 치료방법을 말한다. 이 팔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한법(汗法)은

A

한법(汗法)은 (解表法)이라고도 하며 병사(病邪)가 인체의 겉(表證)에 있을 때 땀을 나게 하는 발한(發汗)성 약제를 활용하여 병사를 밖으로 나가게 하여 표증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감기의 초기나 아토피, 두드러기 등에서 표증이 있을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를 과하게 사용할 경우 땀이 멎지 않는 망양증이 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토법(吐法)

A

토법(吐法)은 최토법(催吐法)이라고도 하며 병사가 흉부이상의 상부에 있을 때 구토를 일으키는 성질의 약제를 이용하여 병사나 유독 물질을 입으로 토하게 하는 치료방법이다. 담음이나 식적이 가슴에 있는것과 중풍으로 담연(痰涎)이 성한것, 간질 등에 사용하였는데 최근에는 잘 사용되어지지 않는다. 술을 먹고 바로 토하는 것이나 급성 식체의 경우에 토하는 것도 토법의 일종이나 습관적으로 토할 경우 역류성 식도염 등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하법(下法)은

A

하법(下法)은 사하법(瀉下법)이라고도 하며 실열로 인해 변비가 심하거나, 체내에 식적, 담적, 어혈 등 여러 가지 적(積)이 쌓여있을 경우에 사하작용을 가진 약제 등을 사용하여 대변을 사하하여 체내의 나쁜 물질을 제거하고 열을 내려주는 방법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화법(和法)은

A

화법(和法)은 화해법(和解法)이라고도 하며 나쁜기운이 어중간하여 땀을 내거나, 토하거나 설사를 하게 하여 제거할 수 없을 때 중화시킬 수 있는 약제를 사용하여 사기를 제거하거나 화해하는 치료방법으로 임상에서 많이 응용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온법(溫法)은

A

온법(溫法)은 온리법(溫裏法)이라고도 하며 한사가 침입하였거나 양기가 부족하여 인체의 기능이 저하되어 나타나는 한증(寒證)에 따뜻한 성질의 약제를 이용하여 한사(寒邪)를 제거하고 양기(陽氣)를 보익(補益)하는 치료방법이다. 손발이 찬 수족궐냉이나 한성 요통, 견비통, 복부가 차거나 양기가 부족해서서 생기는 변비나 설사 등에 응용되어 진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청법(淸法)은

A

청법(淸法)은 청열법(淸熱法)이라고도 하며 찬 성질의 약제를 이용하여 열을 내리고, 해독하는 작용을 통해 열사(熱邪)를 치료하는 치료방법이다. 청법에 활용되는 약제는 모두가 매우 찬 성질을 갖고 있으므로 장기간 사용하면 비위의 양기(陽氣)를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소법(消法)

A

소법(消法) 소도법(消導法)이라고도 하며 음식을 소화시키고, 기를 순환시키고, 담음을 제거하거나, 수분대사에 관여하는 약제를 이용하여 체내에 적체된 실사(實邪)를 제거하거나 흩어지게 하는 치료방법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보법(補法)은

A

보법(補法)은 보익법(補益法)이라고도 하며 보하는 작용이 있는 약제를 이용하여 인체의 허약한 증상를 치료하는 치료방법으로, 각종 원인에 의해 허약한 병증에 주로 적용된다. 앞서 말했듯이 일반적으로 보법(補法)은 보기(補氣), 보혈(補血), 보음(補陰), 보양(補陽)의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용토약(涌吐藥)

A

吐法(토법)은 古代(고대) 漢醫學(한의학)에서 使用(사용)했던 重要(중요)한 治法(치법) 중의 하나이다. 지금도 이 治法(치법)은 使用(사용)되고 있지만 매우 稀貴(희귀)한 경우에만 使用(사용)되며 오직 毒物(독물)을 먹었거나 上體(상체)에(咽喉(인후), 胸腔(흉강), 上腹(상복)) 飮食(음식)이 걸렸을 때만 使用(사용)된다. 이러한 경우 病邪(병사)가 吐(토)함으로 除去(제거)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吐法(토법)은 上體(상체)에 심한 脹滿感(창만감) 혹은 확실한 阻塞感(조색감), 痰塞(담색)으로 인한 呼吸(호흡) 困難(곤란), 痰(담)이 淸竅(청규)를 막아서 생긴 感覺(감각) 器官(기관)의 異常(이상)((癎疾(간질), 癲狂(전광), 中風(중풍)) 등에 使用(사용)될 수 있다.

阻(조) : 막힐 조
塞(색) : 막힐 색

涌吐藥(용토약)들은 强力(강력)하며 激烈(격렬)한 作用(작용)을 하므로 副作用(부작용)이 매우 심하다. 그러므로 體質(체질)이 健壯(건장)한 사람에게만 使用(사용)해야 하며 小兒(소아), 衰弱者(쇠약자), 孕婦(잉부), 出血者(출혈자)에게는 禁(금)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용토약(涌吐藥)

A
  1. 瓜蒂(과체)

2. 藜蘆(여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Q01. 吐法(토법)은 古代(고대) 漢醫學(한의학)에서 使用(사용)했던 重要(중요)한 治法(치법) 중의 하나이다. 지금 현대에는 더 이상 이 治法(치법)은 사용되지 않는 치법이다. ( )

A

토법(吐法)은 최토법(催吐法)이라고도 하며 병사가 흉부이상의 상부에 있을 때 구토를 일으키는 성질의 약제를 이용하여 병사나 유독 물질을 입으로 토하게 하는 치료방법이다. 담음이나 식적이 가슴에 있는것과 중풍으로 담연(痰涎)이 성한것, 간질 등에 사용하였는데 최근에는 잘 사용되어지지 않는다. 술을 먹고 바로 토하는 것이나 급성 식체의 경우에 토하는 것도 토법의 일종이나 습관적으로 토할 경우 역류성 식도염 등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Q02. 다음 중 涌吐藥(통토약) 사용시 금하는 곳이 아닌 것은? (      )
소아
쇠약자
잉부
무습자
출혈자
A

무습자

吐法(토법)은 古代(고대) 漢醫學(한의학)에서 使用(사용)했던 重要(중요)한 治法(치법) 중의 하나이다. 지금도 이 治法(치법)은 使用(사용)되고 있지만 매우 稀貴(희귀)한 경우에만 使用(사용)되며 오직 毒物(독물)을 먹었거나 上體(상체)에(咽喉(인후), 胸腔(흉강), 上腹(상복)) 飮食(음식)이 걸렸을 때만 使用(사용)된다. 이러한 경우 病邪(병사)가 吐(토)함으로 除去(제거)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吐法(토법)은 上體(상체)에 심한 脹滿感(창만감) 혹은 확실한 阻塞感(조색감), 痰塞(담색)으로 인한 呼吸(호흡) 困難(곤란), 痰(담)이 淸竅(청규)를 막아서 생긴 感覺(감각) 器官(기관)의 異常(이상)((癎疾(간질), 癲狂(전광), 中風(중풍)) 등에 使用(사용)될 수 있다.

阻(조) : 막힐 조
塞(색) : 막힐 색

涌吐藥(용토약)들은 强力(강력)하며 激烈(격렬)한 作用(작용)을 하므로 副作用(부작용)이 매우 심하다. 그러므로 體質(체질)이 健壯(건장)한 사람에게만 使用(사용)해야 하며 小兒(소아), 衰弱者(쇠약자), 孕婦(잉부), 出血者(출혈자)에게는 禁(금)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Q03. 다음의 사진의 약재는 무엇인가? ( )

과체
여로
과루인
청호
관동화
A

瓜蒂(과체) (이하 CA 시험 범위가 아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Q04. 다음 중 과체의 성미가 아닌 것은? (         ,          )
苦 
微溫 
微毒
辛 
寒
A
  • 性味 : 苦 寒 微毒

* 歸經 : 胃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Q05. 다음 중 과체의 귀경은? (         )
肺
肝 
胃 
膽 
大場
A
  • 性味 : 苦 寒 微毒

* 歸經 : 胃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Q06. 다음 중 과체의 효능과 주치가 아닌 것은? (          ,         )   
止咳平喘(지해평천)
祛濕熱退黃(거습열퇴황)
解消痰熱(해소담열)
潤腸通便(윤장통변)
涌吐(통토)
A

• 效能과 主治
1) 涌吐(통토) 解消痰熱(해소담열)/ 食滯(식체)
- 열담, 숙식에 쓰인다. 과체는 통토의 효능이 있어 무릇 담열이 흉중에
울하고, 전간으로 발광하며, 후비로 천식하며, 번조로 불안하거나, 혹은
숙식이 위에 정체되어 초래되는 흉완창통 등의 증후에 모두 최토용으로 쓸
수 있다. 예컨대 [성혜방]에서는 열담내요, 발광욕기를 치료한다고 하였고,
[경험후방]에서는 풍간, 전후풍 등으로 인한 담연옹성, 호흡곤란을 치료할
때에는 단독으로 가루내어 복용하여 토하게 한다고 하였다. [상한론]의
처방은 본 약재에 적소두를 배합하여, 가루내어 향시로 달여 탕을 만들어
복용하여 토하게 함으로써 담연이 흉중을 막거나 숙식이 위완에 정류되어
초래된 증상을 치료할 수 있다고 하였다.2) 祛濕熱退黃(거습열퇴황)
- 흡열로 인한 황달, 습가두통에 쓰인다. 본 약재를 가루내어 코에 불어
넣으면 습열을 제거할 수 있다. [천금익방]의 과정산은 과정을 부드럽게
가루내어 콩알만큼 콧속에 넣어 환자로 하여금 코로 숨을 깊이 쉬게 한 다음,
약이 코에 들어가 황수를 나오게 함으로써 황달, 목황부제를 치료한다.
[유증활인서]의 처방은 과일꼭지를 가루내어 물을 입에 문 채 2.5푼 정도를
콧속에 넣어 냄새를 맡게 하여 황수가 나오게 함으로써 습가두중한습,
두동비한으로 인한 번자를 치료한다고 하였다.
2) 祛濕熱退黃(거습열퇴황)
- 흡열로 인한 황달, 습가두통에 쓰인다. 본 약재를 가루내어 코에 불어
넣으면 습열을 제거할 수 있다. [천금익방]의 과정산은 과정을 부드럽게
가루내어 콩알만큼 콧속에 넣어 환자로 하여금 코로 숨을 깊이 쉬게 한 다음,
약이 코에 들어가 황수를 나오게 함으로써 황달, 목황부제를 치료한다.
[유증활인서]의 처방은 과일꼭지를 가루내어 물을 입에 문 채 2.5푼 정도를
콧속에 넣어 냄새를 맡게 하여 황수가 나오게 함으로써 습가두중한습,
두동비한으로 인한 번자를 치료한다고 하였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Q07. 다음 중 과체의 사용시 주의사항 및 금기가 아닌 것은? (        )
쇠약 금
출혈 금
심장병 금
설사 금
A

• 注意事項 및 禁忌
衰弱(쇠약)/ 出血(출혈)/ 無上實(무상실)/ 心臟病(심장병)의 경우에 禁(금)하며,
服用後(복용후) 繼續(계속) 嘔吐(구토)를 할 경우 麝香(사향)(0.1-0.15g)이
解毒劑(해독제)가 된다. 코에 散劑(산제)로 뿌리는 것은 매우 危險(위험)하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Q08. 다음 중 과체의 사용후 계속 구토를 할 경우의 해독제는? (        )
黃芪(황기) 
黃芩(황금) 
麝香(사향)
桑白皮(상백피)
A

• 注意事項 및 禁忌
衰弱(쇠약)/ 出血(출혈)/ 無上實(무상실)/ 心臟病(심장병)의 경우에 禁(금)하며,
服用後(복용후) 繼續(계속) 嘔吐(구토)를 할 경우 麝香(사향)(0.1-0.15g)이
解毒劑(해독제)가 된다. 코에 散劑(산제)로 뿌리는 것은 매우 危險(위험)하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Q09. 다음의 사진은 어떤 본초인가? ( )

행인
과체
여로
상백피
마두령
A
  1. 藜蘆(여로) : 백합과에 속하는 초본식물 흑여로의 근경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Q10. 다음 중 여로의 성미가 아닌 것은?  (       )
甘 
辛 
苦 
寒 
有毒
A
  • 性味 : 辛 苦 寒 有毒

* 歸經 : 肝 肺 胃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Q11. 다음 중 여로의 효능과 주치는? (         ,          )
淸熱化痰(청열화담)
淸熱散結(청열산결)
殺蟲止痒(살충지양)
散經絡風痰(산경락풍담)
涌吐治風痰(용토치풍담)
A

• 效能과 主治
1) 涌吐治風痰(용토치풍담)
- 중풍, 전간, 후비로 인한 담연통성에 쓰인다. 여로는 토풍담의 효능이 있다.
예컨대 [경험방]은 본 약재에 울금을 함께 가루내어 온장수를 만들어
복용하여 담토하게 함으로써 제풍담식을 치료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겸헙후방]은 본 약재와 남성을 가루내어 환을 지어 따뜻한 술로 복용하게
함으로써 중풍불어와 담연옹성을 치료한다고 하였다. 삼성산은 여로, 과체,
방풍의 세 가지 약을 배합한 것으로서, 그 효능은 풍담을 동토하게 하는
것인데, 중풍담옹, 전광번란, 인사불성 혹은 독물오복 및 미흡수자를
치료한다.
2) 殺蟲止痒(살충지양)
- 개선독창에 쓰인다. 본 약재는 외용하면 살충지양의 효능이 있다. 예컨대
[두문방]은 본 약재를 부드럽게 가루내어 생유로 버무린 것을 환부에
붙임으로써 개선을 치료한다고 하였으며, [보결주후방]은 본 약재를
가루내어 돼지기름으로 버무려 발라 백독두창을 치료한다고 하였다.
- 최근에는 이것으로 파리, 모기와 그 유츙을 살멸하며, 농약살충제로도 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Q12. 다음 중 여로의 주의사항 및 금기가 아닌 것은? (        )
內服(내복)에 매우 愼用
實熱(실열) 禁
衰弱(쇠약)에 禁
出血(출혈)에 禁
孕婦(잉부)에 禁
A

• 注意事項 및 禁忌
內服(내복)에 매우 愼用, 衰弱(쇠약)/ 出血(출혈)/ 孕婦(잉부)에 禁
相反(상반) 芍藥(작약), 細辛(세신), 人蔘(인삼), 丹蔘(단삼), 黨蔘(당삼),
沙蔘(사삼), 苦蔘(고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Q13. 다음 중 여로의 상반 약재가 아닌 것은? (        )
附子(부자) 
芍藥(작약)
細辛(세신)
人蔘(인삼)
沙蔘(사삼)
A

• 注意事項 및 禁忌
內服(내복)에 매우 愼用, 衰弱(쇠약)/ 出血(출혈)/ 孕婦(잉부)에 禁
相反(상반) 芍藥(작약), 細辛(세신), 人蔘(인삼), 丹蔘(단삼), 黨蔘(당삼),
沙蔘(사삼), 苦蔘(고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Q

소도약(消導藥 )

A

消導藥(소도약)이란 食滯(식체)를 내리고, 解消(해소)하며, 消化(소화)시키고, 또한 積聚(적취)를 消化管(소화관)을 통해 밖으로 이끄는 作用(작용)을 가지고 있다. 積聚(적취)란 病證(병증)은 腹部(복부)의 癥塊(징괴), 腹脹(복창), 또는 腹痛(복통)의 症狀(증상)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종종 七情(칠정)의 損傷(손상)에 의한 氣滯血瘀(기체혈어)로 나타나지만 또한 부적당한 食事(식가) 習慣(습관)에서도 起因(기인)한다. 消導藥(소도약)은 보통 中氣(중기)를 調節(조절)하는 藥(약)과 함께 쓰는데 왜냐하면 積聚(적취)란 中焦(중초)의 氣滯(기체)로 자주 表現(표현)되기 때문이다.

食滯(식체)는 寒症(한증)과 熱症(열증)으로 나눌 수 있다. 熱症(열증) 食滯(식체)의 症狀(증상)은 심한 口臭(구취), 腹脹感(복창감), 찬 飮食(음식)과 飮料(음료)를 좋아하며, 뜨거운 것을 싫어하고, 黃膩苔(황니태), 滑有力脈(활유력맥) 등이다. 이것은 보통 外感病(외감병) 또는 鬱熱(울열)에서 온다. 이런 경우 淸熱藥(청열약)을 配合(배합)해야 한다.

寒症(한증) 食滯(식체)는 脾胃虛弱(비위허약) 또는 生冷(생랭)한 飮食(음식)을 過食(과식)한데서 생긴다. 症狀(증상)에는 咽喉(인후)가 불쾌한 느낌, 惡心(오심), 맑은 痰涎(담연)을 뱉고, 腹脹感(복창감), 더운 飮食(음식)이나 飮料(음료)를 좋아하며, 찬 것을 싫어하고, 白膩苔(백니태), 細弱脈(세약맥) 등이다. 이 경우에는 溫里藥(온리약)을 配合(배합)해야 한다. 만약 食滯(식체)가 심한 경우에는 瀉下藥(사하약)도 配合(배합)해야 한다.

洋方的(양방적) 觀點(관점)에서 보면, 消導藥(소도약)은 腸胃(장위)의 分泌(분비)가 增進(증진)되도록 刺戟(자극)하고, 消化(소화) 酵素(효소)와 같은 機能(기능)을 갖고 있으며, 消化(소화)를 위해 蠕動(연동) 運動(운동)을 調整(조정)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6
Q

소도약(消導藥 )

A
  1. 山楂(肉)(산사(육))
  2. 麥芽(맥아)
  3. 神麯(신곡(국))(약누룩)
  4. 鷄內金(계내금)
  5. 萊菔子(내복자)(蘿蔔子(나복자))
  6. 谷芽(곡아)(CA 시험 범위가 아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7
Q

Q14. 다음의 사진은 무슨 본초인가? ( )

맥아
신곡
산사
내복자
곡아
A

山楂(肉)(산사(육)) 산사(찔광이, 아가위)나무의 익은 열매

28
Q
Q15. 다음 중 산사의 성미가 아닌 것은? (        )
苦 
酸 
甘 
微溫
A
  • 性味 : 酸 甘 微溫

* 歸經 : 肝 脾 胃

29
Q

Q16. 다음 중 산사의 귀경이 아닌 것은? ( , )

肝 
脾
心
胃
腎
A
  • 性味 : 酸 甘 微溫

* 歸經 : 肝 脾 胃

30
Q
Q17. 다음 중 산사의 효과 및 주치가 아닌 것은? (        )
消導食滯(소도식체)
淸化痰熱(청화담열)
化血瘀散結(화혈어산결)
止瀉(지사)
降壓(강압)
A

• 效能과 主治
1) 消導食滯(소도식체) - 肉類(육류)나 기름진 飮食(음식)으로 인한 食積(식적)
- 식적불화, 육적불소, 완복창만 등에 쓰인다. 산사는 조비건위하고, 소화를
촉진시키는 효능이 우수하므로 유니육식으로 인한 적체를 제거하는 중요한
약이다. 에컨대[간편방]에서는 고기를 먹은 후 소화가 되지 않을 경우 단독으로
달여서 복용함으로써 치료를 하였다. 식체불화를 치료할 때에는 언제나 신국,
맥아 등과 같이 석어서 소식화적의 약력을 높이며, 겸하여 완복창통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목향, 지각 등을 가하여 행기소체할 수 있으며, 상한 음식을 섭취하여
복통설사가 야기된 경우에는 초산사 10g을 가루내어 더운물로 복용하면 소화가
되고 설사가 멎는다.
2) 化血瘀散結(화혈어산결) - 産後腹痛(산후복통), 瘀血癥塊(어혈징괴), 疝證(산증)
- 혈분에 들어가 활혈산어소종의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산후의 어조복통,
오로부진 및 산기편추창통 등의 병증에 쓰인다. 산후이 어조복통에는 당귀,
천궁, 익모초 등과 배합하여 쓴다. 오로부진 및 산기편추창통에는 소회향, 귤핵
등과 함께 사용하여 다스린다.
3) 止瀉(지사) - 慢性(만성) 痢疾類(이질류)의 泄瀉(설사)에 部分的(부분적)으로
태워서 使用(사용)
4) 降壓(강압) - 高血壓(고혈압), 冠狀動脈疾患(관상동맥질환), 血淸(혈청)콜레스테롤
上升(상승) 등에 使用(사용)

31
Q

Q18. 다음 중 산사의 사용시 주의사항 및 금기가 아닌 것은? ( )

비허 신용
위허 신용
무식체 신용
탄산 신용
한병해수 신용
A

• 注意事項 및 禁忌

脾(비)/ 胃虛(위허), 無食滯(무식체), 呑酸(탄산) 愼用

32
Q

Q19. 다음 중 산사의 사용시 주요 약대가 아닌 것은? ( )

   1) 麥芽(맥아), 神麯(신곡) - 식체, 소아감적      
   2) 枳殼(지각) - 복창 
   3) 木香(목향), 肉豆蔲(육두구), 扁豆(편두) - 복창통 설사 이질에 炒用(초용)
    4) 川芎(천궁), 當歸(당귀) - 혈어로 인한 월경통 산후복통  
    5) 丹蔘(단삼) - 산증(고환종통, 탈수)
A

• 屬한 方劑
保和丸(보화환)
• 주요 약대
1) 麥芽(맥아), 神麯(신곡) - 식체, 소아감적 2) 枳殼(지각) - 복창
3) 木香(목향), 肉豆蔲(육두구), 扁豆(편두) - 복창통 설사 이질에 炒用(초용)
4) 川芎(천궁), 當歸(당귀) - 혈어로 인한 월경통 산후복통
5) 丹蔘(단삼) - 흉비 6) 小茴香(소회향) - 산증(고환종통, 탈수)
• 用量 9-15g, 30g(단용)

33
Q
  1. 山楂(肉)(산사(육)) 산사(찔광이, 아가위)나무의 익은 열매

• 참고

A

무릇 食積(식적)을 消(소)하는데 山楂(산사)는 腥膩(성니), 肉積(육적)을 除(제)하는 功(공)이 勝(승)하고, 麥芽(맥아)는 麪粉(면분)의 積(적)을 除(제)하는 功(공)이 勝(승)하고, 谷芽(곡아)는 補(보)로서 消(소)하고, 大黃(대황)은 宿滯(숙체)를 蕩滌(탕척)하고, 檳榔(빈랑)은 痰食(담식)의 積(적)을 除(제)하는데 破堅力(파견력)이 强(강)하고, 蘿菔子(나복자)는 痰食(담식)의 積(적)을 除(제)하는데 破堅力(파견력)이 緩(완)하며, 厚朴(후박)의 除積(제적)은 冷滯(냉체)로 인한 경우에 勝(승)하고, 枳實(지실)의 除積(제적)은 熱結(열결)로 인한 경우에 勝(승)하니 이것이 서로 다른 점이다. 用藥者(용약자)는 알지 않으면 안 된다.

34
Q

임상 본초 방제 이야기

山楂(肉)(산사(육))

A

임상 본초 방제 이야기
산사는 약간 따뜻하고 시큼하다. 산이 많거나 염증이 심한 사람들은 쓰면 안되는 약이다.
음식 쌓인 거를 잘 식한다. 그 중에서도 기름기가 쌓인 것을 잘 소화시킨다. 육식으로 체한 데는 산사를 제일 먼저 떠올려야 한다.
체한 것을 잘 行(행)하게 하면서 울혈을 잘 푼다. 그래서 생리통이라든지 산후에 어혈이 안 빠져서 통증이 심하든지 이럴 때 산사가 잘 해소한다.
사물탕에 산사, 단삼, 향부자 이렇게만 넣어 써도 좋다. 어혈이 있으면 도인, 홍화를 넣어서 사용하는데, 산사가 울혈을 잘 풀어준다. 생리 때만 되면 자꾸 아랫배가 아픈 사람은 산사를 茶(차)로해서 먹어도 되고, 사물탕에 오약, 산사 이렇게 행기제와 같이 넣어서 써도 된다. 어혈이 심한 사람들은 보혈제에 같이 섞어서 사용해도 된다.

붓는 사람은 백출, 복령을 넣어주는데, 수기가 있어서 자꾸 붓는 사람은 택사 같은 약을 넣어서 써도 되고, 이런 경우에 산사가 울혈을 잘 풀어주니까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우리 몸에 지방간이나 몸의 혈관에 LDL 수치가 높은 사람들은 감국(감국이 청량하게 간을 깨끗하게 한다), 결명자에다가 산사를 같이 넣어서 차로 자로 자주 마시면 효과가 있다.
혈관 확장작용도 좋기 때문에 협심증이라든가 심장 혈관의 순환장애에도 좋다. 혈관을 확장하니까 혈압도 내린다. 혈압 높은 사람이 평소에 소화도 안 된다 이럴 때 제일 좋은 약이 산사다. 산사, 갈근을 같이 사용하면 더 좋다.

산사, 신곡, 맥아 이걸 초해서 세가지를 같이 넣은 것을 초삼선이라고 한다. 세 신선
산사, 신곡, 맥아 이렇게 해서 아이들의 감적에 쓰는 처방인 肥兒丸(비아환)에 들어간다.
[비아환] : 사군자탕(인삼, 백출, 백복령, 감초) + 산사, 신곡, 맥아, 호황련, 황련, 노회
🡪 간열이 뜨지 않게, 목극토하지 않게 하고 토를 튼튼히 하면서 모든 적을 싹 뺀다.

• 호황련(贀赣缸) : (현삼과)의 뿌리줄기이다. 호련(贀缸)이라고도 함.

35
Q

Q20. 다음의 사진은 무슨 본초인가? ( )

맥아
신곡
산사
나복자
곡아
A
  1. 麥芽(맥아) 보리의 여문씨를 싹을 틔워 말린 것
36
Q
Q21. 다음 중 맥아의 성미는? (        ,          )
苦 
平
酸 
甘 
微溫
A
  • 性味 : 甘 平

* 歸經 : 肝 脾 胃

37
Q
Q22. 다음 중 맥아의 귀경이 아닌 것은? (       )
肝 
脾 
胃 
心
A
  • 性味 : 甘 平

* 歸經 : 肝 脾 胃

38
Q

Q23. 다음 중 맥아의 효과 및 주치가 아닌 것은? ( , )

疏暢肝氣(소창간기)
止咳平喘(지해평천)
消食滯健胃(소식체건위)
潤腸通便(윤장통변)
回乳(회유)
A

• 效能과 主治
1) 消食滯健胃(소식체건위) - 녹말과 아이들 젖이나 牛乳(우유) 消化(소화)에 좋다.
- 맥아는 전분성 음식물의 소화를 도울 수 있으며 더욱이 쌀, 가루, 감자류, 토란
등의 음식을 섭취하여 소화가 되지 않는 경우에 적용된다. 언제나 산사, 신국,
계내금 등과 배합하여 사용한다. 비위허약으로 운화불량한 경우에도 역시
보비익기약을 사용하며, 아울러 상태에 따라 본 약재를 배합하면 보양하여 체하지
않게 할 수 있다.
2) 回乳(회유) - 젖을 끊고 싶거나 乳房脹痛(유방창통)이 있을 때
- 맥아는 회유의 효능이 있다. 매일 생맥아나 볶은 맥아 각각 30-60g을 달여서 즙을
만들어 나누어 복용하면 일정한 효과가 있다.
3) 疏暢肝氣(소창간기) - 肝氣鬱結(간기울결)
- 맥아는 소간할 수 있다. 즉 간울기체 혹은 간비불화로 인한 증후의 경우에는
보조약으로 사용할 수 있다.
4) 保和丸(보화환)을 麥芽湯(맥아탕)으로 服用(복용)하기도 함

39
Q

Q24. 다음 중 맥아의 사용시 주의사항 및 금기는? ( )

오랫동안 복용하면 위을 상한다.
오랫동안 복용하면 신을 상한다.
오랫동안 복용하면 비을 상한다.
오랫동안 복용하면 간을 상한다.

A

• 注意事項 및 禁忌

久服(구복) 傷腎(상신)

40
Q

麥芽(맥아)

A

임상 본초 방제 이야기
[비아환]에 산사와 같이 들어가는 약이다. 소식건비하는 작용이 좋다. 밥 종류, 탄수화물 종류를 잘 못먹어서 체했을 때 맥아가 잘 소도시키고 하기종만한다.
소화가 안되고 배가 더부룩하고 그러면서 물똥을 싸고 꾸룩꾸룩하고 이런 사람들은 맥아를 달여서 먹으면 잘 낫는다. 맥아는 쌀이나 면류, 과일을 먹고 체한 사람들에게 좋다. 근데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밥을 먹을 때 고기, 쌀, 과실을 다 같이 먹으니까 산사, 신곡, 맥아를 같이 넣는게 좋겠지요? 그래서 보통 다 같이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꽉 찬걸 잘 제거하기 때문에 여자들 유즙을 삭힐 때 보통 맥아를 달여서 먹으면 젖을 끊을 수 있다.

41
Q

Q25. 다음의 사진은 무슨 본초인가? ( )

맥아
신곡
산사
나복자
곡아
A

神麯(신곡(국))(약누룩) 밀가루에 다른 漢藥材(한약재)를 섞어서 醱酵(발효)시켜 말린 것

42
Q
Q26. 다음 중 신곡의 성미가 아닌 것은?  (        ,        )
甘 
苦 
辛
溫
凉
A
  • 性味 : 甘 辛 溫

* 歸經 : 脾 胃

43
Q
Q27. 다음 중 신곡의 귀경은? (        ,         )
肺
胃
肝 
大腸
心
A
  • 性味 : 甘 辛 溫

* 歸經 : 脾 胃

44
Q
Q28. 다음 중 신곡의 효능과 주치는? (         ,         )
助消化吸收(조소화흡수)
淸肺熱(청폐열)
消食滯和胃(소식체화위)
引導降逆肺氣(인도강역폐기)
和胃(화위) 淸胃熱(청위열)
A

• 效能과 主治
1) 消食滯和胃(소식체화위) - 胃寒食滯(위한식체)
- 식적불화, 완복창만, 불사음식 및 장명설사 등에 사용된다. 신곡은 소식,
건위, 화중의 작용을 한다.
2) 助消化吸收(조소화흡수) – 鑛物類(광물류)가 들어간 藥劑(약제)에
消化(소화)와 吸收(흡수)를 도움
- 환제 중의 금석약제가 잘 소화, 흡수되지 않는 자는 신국호환으로 소화를
도울 수 있는데 자주환과 같은 것이다.

45
Q
Q29. 다음 중 신곡의 사용시 주의사항 및 금기는? (       ,         )
위한구토 금
잉부 신용
음허해수 신용
위화 금
습담 금
A

• 注意事項 및 禁忌

    	1) 孕婦(잉부) 愼用
         2) 胃火(위화) 禁
46
Q

Q30. 다음 중 신곡의 주요 약대가 아닌 것은? ( )

   1) 白朮(백출) - 비허  
   2) 枳殼(지각) - 한체  
   3) 檳榔(빈랑) – 소아감적
   4) 木香(목향), 砂仁(사인) – 식체복통  
   5) 해표약 – 내상해수
A

• 屬한 方劑 越鞠丸(월국환), 保和丸(보화환)
• 주요 약대
1) 白朮(백출) - 비허 2) 枳殼(지각) - 한체 3) 檳榔(빈랑) – 소아감적
4) 木香(목향), 砂仁(사인) – 식체복통 5) 해표약 – 외감설사
• 用量 6-15g

47
Q
A

• 참고
밀기울째로 가루낸 밀가루와 杏仁(행인)(껍질을 버리고 짓찧은 것), 赤小豆(적소두)(팥, 삶은 것), 靑蒿(청호)(신선한 것), 蒼耳子(창이자)(신선한 것), 여뀌잎(野蓼(야료), 신선한 것) 등을 짓찧어 짠 즙을 고루 섞어 반죽한 다음 떡처럼 빚어 쌓아놓고 艾葉(애엽)을 덮어서 1주일 동안 醱酵(발효)시켜 누렇게 되면 이것을 햇볕에 말린다.

• 野蓼(야료) : 지모(知母)의 딴 이름.

48
Q

임상 본초 방제 이야기

A

임상 본초 방제 이야기
신곡은 현대적으로 말하면 효모균이다.
상한시대에는 소맥을 발효시켜서 사용한 것이 신곡이다.
술에 쪄서 발효시켜, 몸에 효모를 넣어서 노폐물을 빨리 분해시켜 준다.
요즈음의 신곡은 소맥에다가 적소두, 행인, 청호, 창이자, 영귀풀, 붉은 색이 나는 야교등 등을 밀기울에 섞어 발효시켜 사용한다.
신곡은 기를 흩어지게 하고, 위를 따뜻하게 하며, 담을 없애고, 수를 빼며, 소체한다.
임산부는 사용을 금한다. 임산부에게 다량을 쓰면 유산의 위험이 있다. 사용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소량을 사용한다. 몸이 너무 약한 사람에게도 금한다.

49
Q

Q31.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 )

산사
맥아
계내금
신곡
나복자
A
  1. 鷄內金(계내금) 닭의 위(砂囊) 속껍질
50
Q
Q32. 다음 중 계내금의 성미는?  (         ,         )
甘 
苦 
辛
寒 
平
A
  • 性味 : 甘 平

* 歸經 : 膀胱 小腸 脾 胃

51
Q
Q33. 다음 중 계내금의 귀경이 아닌 것은? (        )
肺
膀胱 
小腸 
脾 
胃
A
  • 性味 : 甘 平

* 歸經 : 膀胱 小腸 脾 胃

52
Q
Q34. 다음 중 계내금의 효능과 주치가 아닌 것은? (        )
强消食滯(강소식체)
脾(비)의 運化(운화) 功能(공능)을 增進(증진)
固精止遺尿(고정지수뇨)
驅蟲殺蝨(구충살슬)
化堅消石(화견소석)
A

• 效能과 主治
1) 强消食滯(강소식체), 脾(비)의 運化(운화) 功能(공능)을 增進(증진) – 가벼운
食滯(식체)에 單行(단행)할 정도로 效力(효력)이 좋으며, 小兒疳積(소아감적)에도
必須的(필수적)인 本草(본초)이다.
- 계내금은 소화력이 비교적 강할 뿐만 아니라 윤비건위의 효능이 있어 소화불량,
식적불화 및 소아감적 등의 병증에 사용된다. 소화불량증이 비교적 가벼운
사람은 본 약재를 볶아서 말린 다음에 가루내어 복용하면 일정한 치료효과가
있다. 이것으로 식적불화, 완복창만을 치료할 때에는 언제나 산사, 맥아 등과
사용하며, 소아의 비허감적을 치료할 때에는 건비익기약인 백출, 산약, 복령 등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2) 固精止遺尿(고정지수뇨) - 오줌싸개, 頻尿(빈뇨), 夜尿症(야뇨증)을 治療(치료)
- 고정지유의 작용을 하기 때문에 유뇨, 유정 등의 병증에 쓰인다. 유뇨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상표초, 복분자 등과 배합하여 쓰며, 유정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연육, 토사자 등과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3) 化堅消石(화견소석) – 膀胱(방광)과 膽(담)의 結石(결석)
- 계내금은 화견소석의 효능이 있어 비뇨계결속 및 담결석에 사용할 수 있는데
언제나 금천초와 배합하여 사용한다.

53
Q

Q35. 다음 중 계내금의 주요 약대가 아닌 것은? ( )

   1) 丹蔘(단삼) – 만성간염
    2) 鱉甲(별갑) - 소아감적 
    3) 桑螵蛸(상표초), 龍骨(용골), 牡蠣(모려) - 소아유뇨, 성인뇨빈
    4) 菟絲子(토사자) - 활정 
    5) 金錢草(금전초) – 소화불량
A
• 주요 약대
            1) 麥芽(맥아), 山楂(산사) - 소화불량, 소아감적 + 白朮(백출), 黨蔘(당삼),
                 山藥(산약) 비위허약 
            2) 丹蔘(단삼) - 만성간염
            3) 鱉甲(별갑) - 소아감적 
            4) 桑螵蛸(상표초), 龍骨(용골), 牡蠣(모려) - 소아유뇨, 성인뇨빈
            5) 菟絲子(토사자) - 활정 
            6) 金錢草(금전초) – 석림/ 담석
         • 用量	     3-9g(탕), 1.5-3g(산)
54
Q

임상 본초 방제 이야기

A

계비치, 계곡대라고 하기도 한다.
잡은 후 위를 떼어내고 그 내벽을 벗겨서 깨끗이 씻고 건조시킨다.
수치법
• 사초계내금: 모래를 뜨거운 솥에 넣고 센 불로 부드러운 상태가 될 때까지 볶은 후 물에 씻은 계내금을 넣어 볶는다. 계내금이 담황색이 되고 부풀며, 안쪽으로 말려들면 꺼내어 체에 쳐서 모래를 없애고 사용한다.
• 초계내금: 계내금을 식초에 법제한 것.
계내금은 위를 튼튼하게 하고 음식을 소화시키고, 정을 저장하고 유정을 멈추게 하는 효능이 있고, 열을 제거하고 번조한 것을 그치게 하는 효능이 있다.
계내금은 비린내가 조금 나고 맛을 조금 쓰다. 성질은 평하기 때문에 어느 한쪽으로 치우지지 않는다. 비위가 허약하여 소화가 잘 안되며 식욕이 떨어질때, 구토, 소화장애, 두부룩한 팽만, 식체에 사용한다.
소변을 찔금거리는 증상, 유정 등에도 사용한다.
생것으로 사용하면 먹은 것을 소화시키고, 위장을 튼튼하게 해주며 소변을 자주 보는 증상을 개선 시킨다.
식초로 법제한 것은 비장의 기능을 이롭게 하고, 적을 소거하며, 유뇨증을 개선 시키고, 음을 길러 주고, 진액을 생생시켜 갈증을 멈추게 한다.

55
Q

Q36. 다음의 사진의 약재는 무엇인가? ( )

나복자
신곡
산사
맥아
적소두
A
  1. 萊菔子(내복자)(蘿蔔子(나복자)) 무우의 여문씨
56
Q
Q37. 다음 중 나복자의  성미가 아닌 것은?  (         ,         )
甘 
苦 
辛
寒 
平
A
  • 性味 : 辛 甘 平

* 歸經 : 肺 脾 胃

57
Q
Q38. 다음 중 나복자의 귀경이 아닌 것은? (        ,        )
肺
胃
肝 
大腸
脾
A
  • 性味 : 辛 甘 平

* 歸經 : 肺 脾 胃

58
Q
Q39. 다음 중 나복자의  효능과 주치는? (        ,         )
止咳平喘(지해평천)(蜜炙(밀자))
消食滯化積(소식체화적)
降氣化痰(강기화담)
降壓(강압)
和胃(화위) 淸胃熱(청위열)
A

• 效能과 主治
1) 消食滯化積(소식체화적)
- 식적불화, 중초기체, 완복창만, 애부탄산 혹은 복통설사, 사이불창 등의
병증에 사용된다. 나복자는 소식화적의 효능이 우수하여 제창행체할 수 있다.
예컨대 산사, 신국, 진피 등과 배합하여 사용하면 소식화중의 약력을 높일수
있는데, 보화환과 같은 것이다. 그리고 식적정체에 비허증우를 겸한 자는 앞
처방에 백출을 가하여 소보겸시할 수 있는데, 대안환과 같은 것이다.
2) 降氣化痰(강기화담) - 심한 慢性(만성) 咳嗽(해수) 또는 喘息(천식), 특히
實證(실증)에 좋다.
- 담연옹성에 사용된다. 기천해수는 실증에 속한다. 언제나 백개자와 소자를
배합한 삼자양친탕을 사용한다.

59
Q
Q40. 다음 중 나복자의 사용시 주의사항 및 금기는? (      )
기허 신용 
혈허 신용
음허 신용
풍한해수 금
습담 금
A

• 注意事項 및 禁忌

氣虛(기허) 愼用

60
Q

Q41. 다음 중 나복자의 주요 약대는? ( )

   1) 山楂(산사), 神麯(신곡), 陳皮(진피) - 장위기체  
   2) 枳殼(지각) - 식체  
   3) 半夏(반하) - 습담해수천식, 식체
   4) 杏仁(행인) - 급성해수  
   5) 蘇子(소자), 白芥子(백개자) - 다담으로 인한 만성해수천식
A
• 屬한 方劑
              保和丸(보화환)
         • 주요 약대
   	       1) 山楂(산사), 神麯(신곡), 陳皮(진피) - 장위기체  
              2) 枳殼(지각) - 식체  
              3) 半夏(반하) - 습담해수천식, 식체
              4) 杏仁(행인) - 만성해수  
              5) 蘇子(소자), 白芥子(백개자) - 다담으로 인한 만성해수천식
          • 用量	       6-12g
61
Q

萊菔子(내복자)(蘿蔔子(나복자))

A

임상 본초 방제 이야기
나복자도 소식화담, 강기정천한다.
• 기를 하강하고 숨찬 거를 잘 내리게 한다.
• [삼소음] 같은 처방에 숨이 차고 자꾸 올라갈 때 나복자 같은 것을 넣어서 사용하면 된다.
[보화환]에서의 나복자는 소식하고 강기하는 역할을 한다.
보통 태음인은 살이 통통한 경우가 많은데, 그런 사람들이 자꾸 상기되고 씩씩거리고 이럴 때 나복자, 맥문동 이런 것들을 사용한다. 그러면 정천, 천식을 가라앉히면서 기를 하강 시키니까 좋다.
화담이나 정천 시킬 때 사용하면 좋다. 주로 기침이나 호흡곤란이 있을 때는 생으로 사용하고, 배가 더부룩하고 트림이 나오고 배가 빵빵하고 이래서 소식강기를 목적으로 할 경우에는 초해서 쓰는게 좋다.

62
Q

Q42. 다음의 사진은 무슨 본초인가? ( )

맥아
나복자
곡아
신곡
산사
A
  1. 谷芽(곡아)(CA 시험 범위가 아님) 벼의 여문씨를 싹을 틔워 말린 것
63
Q
Q43. 다음 중 곡아의 성미는?  (        ,        )
苦 
微辛 
平
寒
甘
A
  • 性味 : 甘 平

* 歸經 : 脾 胃

64
Q
Q44. 다음 중 곡아의 귀경은? (         ,         )
肺
胃
肝 
大腸
脾
A
  • 性味 : 甘 平

* 歸經 : 脾 胃

65
Q
Q45. 다음 중 곡아의 효능과 주치는? (       )
淸肺(청폐) 
化痰(화담) 
消食滯健胃(소식체건위)
定喘(정천)
祛風濕(거풍습)
A

• 效能과 主治
消食滯健胃(소식체건위)
- 식적정체, 소화불량 및 비허식소 등의 병증에 쓰인다. 곡아의 효능은
맥아와 같으나 소식의 약력이 맥아보다 완화하기 때문에 소화를
촉진시키면서도 위기를 상하지 않게 한다. 항상 맥아와 같이 배합하여
응용하면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것을 기초로 하여 식체 혹은 식소의
증후에 쓸 수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신숙, 산사 등과 함께 사용하며, 후자의
경우에는 당삼, 백출, 진피 등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