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upuncture Flashcards

1
Q
  1. 다음 중 맞는 것은?

A. 경맥은 종선으로 인체의 표부에흐른다.
B. 낙맥은 횡선으로 인체의 이부에 흐른다.
C. 경맥 중에 장에 속하는것은 음경이다
D. 낙맥 중에 부에 속하는 것은 양경이다.

A

C. 경맥 중에 장에 속하는것은 음경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1. 腋下(액하)에서 季防(계륵-第 11肋靖)까지의 거리는?

A. 9 cun 촌
B. 11cun촌
C. 13cun촌
D. 12cun 촌

A

D. 12cun 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1. 삼초경과 담경이 만나는 곳은?

A. Inner canthus 내안각
B. On the cheek 협부
C. Outer canthus 외안각
D. None of the above 모두 다 아님

A

C. Outer canthus 외안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1. 다음 기경팔맥의 병후 중 양교맥의 병후를 설명한 것은?

A. 전간, 불면, 내안각적통, 요배통, 하지경련족외번
B. 척주강통, 각궁반장, 두통, 전간
C. 전간, 다면, 소복통, 요간련음중통, 하지경련족내번
D. 흉통, 심통, 위통 등의 이증

A

A. 전간, 불면, 내안각적통, 요배통, 하지경련족외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1. 임신 3개월인 임산부가 오심구토 또는 먹으면 즉시 토하고 혹시 청연을 구토하며, 완복창만, 신피사수, 설담태백, 활맥에 무력맥이다. 어떤 침자리를 써야하나?

A. REN12 (중완), REN13 (상완), PC6 (내관), ST36 (족삼리), SP4(공손)
B. REN17(전중),REN12(중완),PC6(내관),ST36(족삼리),LV3(태충)
C. REN12(중완),PC6(내관),ST36(족삼리),LI4(합곡)
D. REN17 (전중), REN12 (중완), REN4 (관원), ST36 (족삼리)

A

A. REN12 (중완), REN13 (상완), PC6 (내관), ST36 (족삼리), SP4(공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1. l4세의 소년이 발열, 두통, 전간을 호소할 때 알맞은 오수혈은?

A. Jing well point정
B. Ying spring point형
C. Shu stream point 수
D. Jing river point 경
E. He sea point 합

A

B. Ying spring point 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1. 다음 중 호흡 보법을 설명 한 것은?

A. 환자가 숨을 내쉴때 침을 돌려준다.
B. 환자가 숨을 내쉴때 침을 올렸다 내렸다 한다.
C. 환자가 숨을 내쉴때 침올 넣는다.
D. 환자가 숨을 내쉴때 침을 뽑는다.

A

C. 환자가 숨을 내쉴때 침올 넣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1. 피내침의 주 용도는 ?

A. Excess and heat syndrome 실, 열증
B. Disorders of nervous system and skin disease 신경 조직과 피부의 병
C. Chronic or pain fill disease 만성 혹은 동통성 질병
D. AII of the above 모두 다

A

C. Chronic or pain fill disease 만성 혹은 동통성 질병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1. l8세의 환자가 두통, 발열, 그리고 인후의 통증을 호소한다. 이 환자의 인후종통에 삼능침으로 치료하기에 가장 적합한 혈자리는?

A. LU11 (Shaoshang) 소상
B. PC3 (Quze) 곡택
C. UB40 (weizhong) 위중
D. Ear apex 이첨

A

A. LU11 (Shaoshang) 소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교신(KD8)의 위치는 ?

A. 태계 상2촌, 근건의 전연
B. 태계 상5촌, 비복근의 대측근복하방
C. 태계 상2촌, 경골 내측연의 후방
D. 내과첨과 종골사이의 요함부

A

C. 태계 상2촌, 경골 내측연의 후방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1. 압수의 무지와 식지로 경혈의 피부를 집어 올리고 자수로 침을 쥐어 측면에서 자입할 수 있을 때는?

A. 피부와 근육이 얇을 때
B. 피부와 근육이 두꺼울 때
C. 피부와 근육이 느슨할 때
D. 피부와 근육이 경직되어 있을때

A

A. 피부와 근육이 얇을 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1. 견갑골의 상각부에 있으며, 견정(담경)과 곡원 사이의 중간점에 위치한 혈은?

A. SJ14 (Jianliao) 견료
B. SJ15 (Tianliao) 천료
C. SJ16 (Tianyou) 천유
D. SJ17 (Yifeng) 예풍

A

B. SJ15 (Tianliao) 천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1. 환자가 다리 안쪽, 배, 심, 흉, 위부의 문제가 있다면 다음 중 어느 것을 쓸 수 있나?

A. LU7(열결), K6(조해)
B. SI3(후계), UB62(신맥)
C. GB41(족임읍), SJ5(외관)
D. SP4(공손), PC6(내관)

A

D. SP4(공손), PC6(내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1. 다음 중 내과첨단에서 5촌 직상한 곳으로, 경골 내측면에서 내측연에 가까운 곳에 위치한 혈의 자침법은?

A. 0.3-0.5촌 직자
B. 0.3-0.5촌 횡자
C. 0.5-1.0촌 사자
D. 0.5-1.0촌 직자

A

B. 0.3-0.5촌 횡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1. 다음 중 체침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만약 근육이 일시적으로 긴장된 것이라면?

A. 일정시간 유침시킨 다음에 다시 염전하면서출침한다.
B. 국부를 문지른다.
C. 부근 부위에 일침을 자입함으로써 환자의 주의력을 이전시킨다.
D. 환자의 체위를 바꾸어 근육의 긴장성을 풀어준다

A

D. 환자의 체위를 바꾸어 근육의 긴장성을 풀어준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1. 수배의 척측으로 제 5중수골의 기저와 삼각골사이에 있는 요함부에 위치한 혈은 ?

A. 수소음 수혈
B. 수소음 형혈
C. 수태양 경혈
D. 수태양 원혈

A

D. 수태양 원혈 (완골 SI4)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1. 다음 경의 기혈 중 치창동통과 탈항이 주치인 것은?
    A. Bitong 비통
    B. Yatongxue 요통혈
    C. Luozhen 낙침
    D. Erbai 이백
A

D. Erbai 이백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1. 모자보사법을 이용해서 신허를 치료하기에 가장 바람직한 혈자리는?

A. KD2(Ranggu) 연곡
B. KD3(Taixi) 태계
C. KD7(Fuliu) 복유
D. KD10(Yingu) 음곡

A

C. KD7(Fuliu) 복유(부류)

족소음신경의 수혈, 음곡의 모혈인 토혈, 복유(부류)를 보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1. 간화범폐로 인한 기침을 치료하기에 가장 좋은 혈자리로 묶인것은?

A. LU7(열결), LI4(합곡), LV14(기문), UB18(간수)
B. UBI3(폐수), LU5(척택), LV3(태충), LV2(행간)
C. UB18(간수), LU10(어제), LV2(행간), GB20(풍지)
D. LU1(중부), UB13(폐수), LU9(태연), KD6(조해)

A

B. UB13(폐수), LU5(척택), LV3(태충), LV2(행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1. 다음 중 만침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A. 만침을 발견한 후에는 다시 제삽과 염전을 행할 수 없으므로 순리대로 천천히
발침하도록한다.
B. 만약약 환자가 체위를 바꿔서 발쟁한 것이라면 먼저 원래의 체위로 회복시킨다.
C. 국부의 근육을 이완시킨 다음 다시 퇴침토록 한다.
4. 억지로 발침한다.

A
  1. 억지로 발침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1. 증상에 대해서 상응한 경혈을 선택하여 취혈시 틀린 것으로 짝지어진 것은?

A. 발열- Lu14(대추), LI11(곡지), LI4(합곡)
B. 협륵통-SJ6(지구), GB34(양릉천)
C. 변비- SJ6(지구), KI6(조해)
D. 혼미- Du23(상성), LI4(합곡)

A

D. 혼미- Du23(상성), LI4(합곡)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1. 아문의 자침법은?

A. Subcutaneously 0.5~0.8inch. 0.5-0.8촌을 횡자
B. Perpendicularly O.5~0.8inch. 0.5-0.8촌을 직자
C. Subcutaneously 0.3~0.5inch. 0.3-0.5촌을 횡자
D. Perpendicularly O.3~0.5inch. 0.3-0.5촌을 직자

A

B. Perpendicularly O.5~0.8inch. 0.5-0.8촌을 직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1. 다음 십오낙맥의 병후 중 수태양낙맥의 병후를 설명한 것은?

A. 관절종완, 주부위산, 피부생우
B. 주관절 구련, 주관절 이완불수
C. 전광,족경부 기육 위축과 이완, 인부종통, 돌연음아
D. 비색, 비류정체 두통, 배통, 비출혈

A

A. 관절종완, 주부위산, 피부생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1. 수음경은 _____에서 시작해서, _____에서 끝난다.

A. 머리, 손
B. 가슴, 손
C. 발가락, 가슴/복
D. 손, 머리

A

B. 가슴, 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Q
  1. 다음 중 제 8흉추 극돌기의 아래에서 옆으로 1촌5푼에 위치한 침자리는?

A.UB16(독수)
B. UB17(격수)
C. UB18(간수)
D.Weiwanxiashu 위관하유

A

D.Weiwanxiashu 위관하유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6
Q
  1. 다음 중 비위허증과 양허증으로 인한 설사, 복통, 비증을 치료하기에 가장 좋은 간접구는?

A. With garlic격산구
B. With ginger 격강구
C. With salt 격염구
D. With FuZi 부자병구

A

B. With ginger 격강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7
Q
  1. 자침시 액와동맥을 피하여 매우주의를 기울여야 하는혈은?

A. HT1 (극천)
B. HT2 (청령)
C. HT3 (소해)
D. SI9 (견정)

A

A. HT1 (극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8
Q
  1. 배꼽 위로 3촌이며, 정중선의 옆으로 4촌 되는 곳에 있는 혈자리는?

A. SP16 (복애)
B. SP15 (대횡)
C. UB24 (기해수)
D. UB25 (대장수)

A

A. SP16 (복애)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9
Q
  1. 다음 중 삼릉침의 주치가 아닌것은?

A. 혈맥불통
B. 어혈
C. 신허
D. 열중
E. 모두다

A

C. 신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0
Q
  1. MD가 분만예정일을 지난 임산부에게 체산을 권유했다. MD의 동의 하에 임산부는 약을 쓰는 대신 그녀의 한의사가 체산을 돕기를 요망했다. 그녀의 중상은 기혈허였다면 최산을 위한 가장 적합한 침자리들은?

A. UB32(차료), LI4(합곡), ST36(족삼리), SP6(삼음교)
B. UB32(차료), UB60(곤륜), UB23(신수), ST36(족삼리)
C. GB26(대맥), GB21(견정), LI4(합곡), UB60(곤륜)
D. GB26(대맥), SP6(삼음교), UB23(신수), GB21(견정)

A

A. UB32(차료), LI4(합곡), ST36(족삼리), SP6(삼음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1
Q
  1. 다음 중 극혈로 묶인것은?

A. HT5 (통리), SP7 (누곡), SI6 (양로)
B. HT6 (음극), SP8 (지기), UB59 (부양)
C. HT6 (음극), SP8 (지기), SI7 (지정)
D. HT4 (영도), SP8 (지기), UB63(금문)

A

B. HT6 (음극), SP8 (지기), UB59 (부양)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2
Q
  1. 젊은 남자가 관절의 위약, 근육 위축과 주관절의 손상으로 움직이기가 힘들다고 호소했다. 게다가 그는 피부에 약간의 사마귀도 있다. 이 병후는 어느 낙맥에 속하는가?

A. Lung 폐
B. Small lntestine 소장
C. Gall BIadder 담낭
D. Stomach 위

A

B. Small lntestine 소장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3
Q
  1. 다음 중 제10흉추극돌기의 아래에 위치한 것은?

A. DU5 (현추)
B. DU6 (척중)
C. DU7 (중추)
D. DU8 (근축)

A

C. DU7 (중추)

34
Q
  1. 다음 경외기혈중 급만성담낭염 ,딤석중, 담도회충증이 주치인 것은?

A. Bitong 비통
B. Yatongxue 요통혈
C. Lanweixue 난미혈
D. Dannangxue 담낭혈

A

D. Dannangxue 담낭혈

35
Q
  1. 배꼽과 같은 위치에 있는 혈자리은 ?

A. SP16 (복애)
B. SP15 (대횡)
C. UB24 (기해수)
D. UB25 (대장수) 대장수

A

B. SP15 (대횡)

36
Q
  1. 환자가 마치 구슬같은 작고 붉은 소수포가 주로 허리와 협늑부에 허리띠처럼 나서 한의사를 찾아왔다. 그의 MD가 대상포진이라고 진단했다. 어떤 침자리가 적합한가?

A. SP6 (삼음교), SP9 (음릉천), UB40 (위중), GB34 (양릉천), LV3(태충)
B. LI11 (곡지), SP10 (혈해), UB40 (위중), GB34 (양릉천), LV3(태충)
C. LI11(곡지), SP10 (혈해), LV3 (태충), UB13 (폐수)
D. LI11 (곡지), GB34 (양릉천), UB23 (신수), UB18 (간수), UB13 (폐수)

A

B. LI11 (곡지), SP10 (혈해), UB40 (위중), GB34 (양릉천), LV3(태충)

37
Q
  1. 다음 중 심계를 치료에 흔히 쓸 수 있는 혈자리로 묶인 것은?

A. UB15(심수), HT7 (신문), PC6 (내관), RN14 (거궐)
B. PC5(간사), GB40(구허), ST40(풍륭), UB19(담수)
C. UB20(비수), UB21(위수), ST36(족삼리)
D. RN9(수분), RN4(관원), RN8(신궐), SP9(음릉천)

A

A. UB15(심수), HT7 (심문), PC6 (내관), RN14 (거궐)

38
Q
  1. 부비강염을 치료하는 경락으로 묶인 것은?

A. 수태음폐, 족태음비
B. 수양명대장, 족양명위
C. 수태음폐, 족양명위
D. 수태음폐, 수양명대장

A

D. 수태음폐, 수양명대장

39
Q
  1. 예풍을 자침하는 방법은?

A. 0.5-1.0촌 사자
B. 0.3-0.5촌 직자
C. 0.5-0.7촌 직자
D. 0.5-1.0촌 직자

A

D. 0.5-1.0촌 직자

40
Q
  1. 환자가 이명, 협종, 인통, 하복부통증을 호소해왔다. 또한 그의 공막은 황색을 띠고 있다. 이 환자는 어떤 경락의 문제인가?

A. 수태양경
B. 수태음경
C. 족태양경
D. 족소음경

A

A. 수태양경

41
Q
  1. 압수의 무지와 식지로 경혈의 피부를 집어올리고 자수로 침올 쥐어 측면에서 자입할 수있을 때는?

A. 피부와 근육이 얇을 때
B. 피부와 근육이 두꺼울 때
C. 피부와 근육이 느슨할때
D 피부와 근육이 경직되어 있을 때

A

A. 피부와 근육이 얇을 때

42
Q
  1. 28세의 남자가 얼굴/눈꺼풀의 부종으로 시작해서 전신부종이 있고, 팽팽한 피부를 호소했다. 그의 중상은 추위, 열, 구갈, 해수, 천식, 소변량소, 박백태, 부삭 또는 활삭맥이라면 다음 중 가장 적합한 침자리들로 묶여 있는 것은?

A. UB20(비수), UB21(위수), UB22(삼초수), REN12(중완), REN9(수분), REN6(기해), SP6(삼음교), SP9(음릉천), ST28(수도), ST36(족삼리)
B. LI11(곡지), UB22(삼초수), REN9(수분), SP6(삼음교), SP9(음릉천), ST28(수도)
C. UB20(비수), UB23(신수), REN9(수분), REN4(관원), KD7(부류), ST36(족삼리)
D. LU7(열결), LI4(합곡), LI6(편력), SP9(음릉천), UB39(위양)

A

D. LU7(열결), LI4(합곡), LI6(편력), SP9(음릉천), UB39(위양)

43
Q
  1. 다음 중 “수곡의 해”로 묶여진 것은?

A. UB11(대저), ST37(상거허), ST39(하거허)
B. DU15(아문), DU16(풍부), DU19(후정), DU20(백회)
C. ST30(기충), ST36(족삼리)
D. REN17(전중), UB10(천주), ST9(인영)

A

C. ST30(기충), ST36(족삼리)

44
Q
  1. 한 청년이 목통, 요배통과 그의 다리의 간헐적인 통증을 호소하고 있다. 게다가, 그는 잠들기가 힘들고, 내안각적통도 있다. 이 환자는 어느 경락의 문제인가?

A. 양유맥
B. 양교맥
C. 족태양경
D. 독맥

A

B. 양교맥

45
Q
  1. 45세 남자가 배뇨장에, 진황색의 탁한 소변 또한 갑작스런 소변불리, 배뇨 시 참을 수 없는 통증, 가끔은 석림이 있으며 요통과 복통을 호소했다. 이 사람의 설은 정상이라면 가장 적당한 침자리로 묶인 것은?

A. UB28(방광수), REN3(중극), SP9(음릉천), UB23(신수), K6(조해)
B. UB28(방광수), REN3(중극), SP9(음릉천), SPI10(혈해), SP6(삼음교)
C. UB28(방광수), REN3(중극), SP9(음릉천), UB39(위양)
D. UB28(방광수), REN3(중극), SP9(음릉천), LV2(행간)

A

C. UB28(방광수), REN3(중극), SP9(음릉천), UB39(위양)

46
Q
  1. 다음 중 행간과 태충의 비교로 옳지 않은 것은?

A. 행간이 사하는 기능으로만 사용되는데에 반해 태층은 간혈을 보하는것으로 사용된다.
B. 행간이 정신적 부분에 효과가 강하지 않음에 비해 태층은 정신적으로 안정시키는데 큰 효과가 있다
C. 행간은 자극이 약한 혈임에 반해 태충은 자극이 꽤 강한 혈이다.
D. 행간이 간화를 제거하는데 효과가 뛰어나는데 반해 태층은 간화제거 기능보다는 간양을 억제 시키는데 더 큰효과가 있다

A

C. 행간은 자극이 약한 혈임에 반해 태충은 자극이 꽤 강한 혈이다.

47
Q
  1. 다음 혈자리 중 부종 제거의 기능이 있는 혈은?

A. Kd4(대종)
B. Kd7(복유)
C. Kd5(수천)
D. Kd6(조해)

A

B. Kd7(복유)

48
Q
  1. 두번째 요골돌기 아래에 위치한 혈은?

A. DU6(척중)
B. DU5(천추)
C. DU3(요양관)
D. DU4(명문)

A

D. DU4(명문)

49
Q
  1. 환자가 3일 전에 감기에 걸렸다. 이 환자는 고열, 오한, 두통과 신통이 있었다. 지금은 오한은 없고 열은 있다. 또한 기침 , 흉통, 갈증, 적 은 황담, 황뇨 , 변조와 이노를 동반한다. 활삭맥 그리고 홍설 황태가 있다면 이 경우 침치료는?

A. ST36 (족삼리), LU7 (열결), UB13 (폐수)
B. DU14 (대추), LU5 (척택), ST40 (풍륭)
C. K6 (조해), LU1 (중부), LU7 (열결)
D. LI11 (곡지), LU7 (열결), GB20 (풍지)

A

B. DU14 (대추), LU5 (척택), ST40 (풍륭)

50
Q
  1. 다음 중 간과 위의 조화를 돕고 간기의 흐름과 위에 도움을 주고 청혈가능한 혈은?

A. LV11(음렴)
B. LV13(장문)
C. LV12(급맥)
D. LV14(기문)

A

D. LV14(기문)

51
Q
  1. 후롱의 후면을 따라 흐르는 경맥은?

A. Kidney 신경
B. Pericardium심포경
C. Ren 임맥
D. Liver 간경

A

D. Liver 간경

52
Q
  1. 다음 중 어떤 침자리가 팔풍혈에 속하는가?

A. ST43(함곡)
B. GB42(지오회)
C. GB43(협계)
D. LV3(태충)

A

C. GB43(협계)

53
Q

환자가 호흡이 촉박하고, 강하면서 거친 목소리, 짙은 황담을 뱉어내는 해수, 흉만감 열, 가만있지 못하며, 구건, 후황, 또는 끈적끈적한 태에 활삭맥이라면 어떤 침자리를 쓸 수 있나?
A. UB13(폐수), LU9(태연), ST36(족삼리), SP3(태백)
B. UB13(폐수), REN17(전중), REN6(Qihai), K3(태계), UB23(신수)
C. UB13(폐수), UB12(풍문), DU14(대추), LU7(열결), LI4(합곡)
D.UB13(폐수), 정천, REN22(천돌), LU5(척택), ST40(풍륭)

A

D.UB13(폐수), 정천, REN22(천돌), LU5(척택), ST40(풍륭)

53
Q
  1. 36세 남성 환자가 최근 천식으로 고생하고 있다. 많은 양의 노란색 끈끈한 담을 뱉는 기침을 한다. 또한 고열, 흉부창만 그리고 적은 양의 붉은색 소변증세도 있다. 진단할 시에 얼굴엔 홍조를 띄고 천식, 101F (38.3C)의 발열, 홍설, 후황태를 갖고 있다 어떤 혈자리를 선택하겠는가?

A. ST40(풍륭), REN22(천돌), LU5(척택), 정천
B. UB20(비수), ST36(족삼리), REN6(기해)
C. LU7(열결), LI4(합곡), UB13(폐수)
D. UB13(폐수), UB23 (신수), LU9(태연), KD3 (태계)

A

A. ST40(풍륭), REN22(천돌), LU5(척택), 정천

54
Q
  1. 횡골에서 중주까까지의 거리는?

A. 4cun 촌
B. 3cun 촌
C. 5cun 촌
D. 2cun 촌

A

A. 4cun 촌

55
Q
  1. 다음 중 지창의 자침법은?

A. 0.3-0,5촌 직자 혹은 협거를 향해 연피자
B. 0,3-0.5촌 사자
C. 1.0-1.5촌 협거를 향해 연피자
D. 1.0-1.5촌 사자

A

C. 1.0-1.5촌 협거를 향해 연피자

56
Q
  1. 59세의 남성 환자가 심계 와 현훈으로 10년간 고생을 하고 있다. 가슴과 상복부의 갑갑함과 팽창감, 사지 냉증, 소량의 소변량, 약간의 하지 수총, 갈증은 생기나 마시고 싶은 마음은 없으며 가끔은 구토증세를 동반한다. 위 증세에 적합한 침 처방은?

A. UB15(심수), UB26 (관원수), SI7(지정), P6 (내관), UB22(삼초수), ST36(족삼리), REN17(전중)
B. UB15(심수), P6(내관), SI7(지정), UB17 (격수), UB20(비수), ST36(족삼리)
C. UB15(심수), REN14 (거궐), SI7(지정), P6 (내관), K3 (태계), UB23(신수)
D. UB15(심수), SI7(지정), P6(내관), REN6(기해), UB20(비수), UB21(위수)

A

C. UB15(심수), REN14 (거궐), SI7(지정), P6 (내관), K3 (태계), UB23(신수)

57
Q
  1. 다음 중 신경이 직접 지나는 장부가 아닌 것은?

A. 심포
B. 폐
C. 간
D.소장

A

D.소장

58
Q
  1. 다음 중 해순구 정중의 요함부에 위치한 혈자리는?

A. REN23(염천)
B. REN20(화개)
C. REN21(선기)
D REN24(승장)

A

D REN24(승장)

59
Q
  1. 다음 혈들 중에서 입올 벌려서 취혈해야 하는곳은?

A. SJ21(이문)
B. SJ22(이화료)
C. SJ23(사죽공)
D. SJ20(각손)

A

A. SJ21(이문)

60
Q
  1. 어떤 환자가 아주 더운 여름 일요일에 군 축제에 갔다. 그 뒤로 그는 두통, 두훈, 계속적인 땀, 뜨거운 피부, 거친 호흡, 구건, 설조, 구갈, 부흥삭맥이 있다면 어떤 침 자리가 적합한가?

A. DU26(수구), DU20(백회), PC3(곡택), UB40(위중)
B. DU26(수구), DU20(백회), PC3(곡택), UB40(위중), 십선
C. DU14(대추), PC6(내관), LI11(곡지), UB40(위중)
D. DU4 (명문), PC3 (곡택), LI11(곡지), UB40(위중)

A

C. DU14(대추), PC6(내관), LI11(곡지), UB40(위중)

61
Q
  1. 이 경혈은 피부로 침범한 혈속의 풍열을 없애고, 생겼다가 사라지며 빠르게 변화하는 붉은 발진과 돋아오르는, 즉 두드러기 같은 풍의 성격을 갖은 피부질환에 널리 사용된다. 다음 중 풍시혈과 함께 사용되는 이 혈은 무엇인가?

A. SJ8 (삼양락)
B. SJ7 (회종)
C. SJ5 (외관)
D. SJ6 (지구)

A

D. SJ6 (지구)

62
Q
  1. 한 여성이 복부 팽창감과 부종으로 고생을 하고 있다. 게다가 청력저하와 이명 또한 갖고 있다. 이 경우는 다음 중 어느 경락과 관련이 되는 것인가?

A. 수소음경
B. 족태양경
C. 수소양경
D. 족소음경

A

C. 수소양경

63
Q
  1. 어떤 경맥의 문제가 설근 경직과 연관이 있는가?

A. 위경
B. 폐경
C. 비경
D. 심경

A

C. 비경

64
Q
  1. 다음 중 삼초경의 락혈 내용이 아닌 것은?

A. 양유맥의 팔희혈이다.
B. 양지혈에서 2촌 위이면서 요골과 척골 사이에 위치한다.
C. 외관혈이다
D. 0.5촌 이상 깊게 자침할 수 없다.

A

D. 0.5촌 이상 깊게 자침할 수 없다.

65
Q
  1. 다음 중 피내침을 사용할수 없는 상황은?

A. 젊은사람
B. 화농성염증이나 외상부위
C. 노인들
D. 임신부

A

B. 화농성염증이나 의상부위

66
Q
  1. 5세의 소년이 20일간 마른 기침, 번조, 비뉵을 동반한 발열이 계속 되고 있다. 열증세는 밤에 심하다가 오전에는 낮아진다. 현재의 체온은 102F(38.9C), 현삭이 며 실맥이다. 이에 합당한 침 치료는?

A. LI4(합곡), SJ5(외관), SP6(삼음교), LI11(곡지)
B. UB20(비수), REN4(관원), REN6(기해), ST36(족삼리)
C. 십선, DU14(대추),LI11(곡지), LI4(합곡)
D.UB20(비수), SJ5(외관), DU16(풍부), GBI2(완골)

A

A. LI4(합곡), SJ5(외관), SP6(삼음교), LI11(곡지)

67
Q
  1. 다음 중 부항에 대해 옳지 않은 것은?

A. 부항의 기능 중 하나가 경락의 가온기능으로 기혈흐름에 도움울 준다.
B. 여러 종류의 컵이 있는데, 대나무컵과 유리컵이 일반적이고 임상적으로 사용된다.
C. 사혈을 겸비한 부항법은 혈어를 동반한 급성염좌의치료에 적당하다.
D. 피부궤양, 부총, 큰 혈관이 흐르는 곳, 또는 고열내 지는 경련이 있는 환자에게 부항은 권장할 만한 치료법이다.

A

D. 피부궤양, 부총, 큰 혈관이 흐르는 곳, 또는 고열내 지는 경련이 있는 환자에게 부항은 권장할 만한 치료법이다.

68
Q
  1. 환자가 코피 , 관홍, 구건, 오심 번열을 호소한다. 게다가 그녀는 오후에 열이 나고 도한과 세삭맥이 있다. 어떤 침자리가 가장 적당한가?

A. LI20(영향), LI4(합곡), DU23(상성), KD6(조해)
B. LI20(영향), LI4(합곡), UB23(신수), KD6(조해)
C.LI20(영향), LI4(합곡), DU23(상성), ST44(내정)
D. LI20 (영향), LI4 (합곡), DU23(상성) , LU11(소상)

A

A. LI20(영향), LI4(합곡), DU23(상성), KD6(조해)

69
Q
  1. 다음 중 두침의 방법 중 적당하지 않은 것은?

A. 넓은폭 염전
B. 5-10분동안 유침
C. 염전수법
D. 제삽법

A

D. 제삽법

70
Q
  1. 병의 전이 순서는?

A. 피부- 락맥 - 장부 - 경맥
B. 피부- 락맥 - 경맥 - 장부
C. 피부 - 경맥 - 락맥- 장부
D. 락맥 - 경맥 - 피부 - 장부

A

B. 피부- 락맥 - 경맥 - 장부

71
Q
  1. 다음 보기 중의 작용이 주로 모두 표리 두 경 사이 의 상합관계를 강화하며 십이경맥에서 분출된 지맥인 것은?

A. 십이경근
B. 십이피부
C. 기경팔맥
D. 십이경별

A

D. 십이경별

72
Q
  1. 3개월 된 임산부에게 금지하는 경혈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A. KD10 (음곡)
B. UB60 (곤륜)
C. LI4 (합곡)
D. SP6(삼음교)

A

A. KD10 (음곡)

73
Q
  1. 다음 중 각 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A. 장문은 부의 팔회혈이다.
B. 태연은 혈의 팔회혈이다.
C. 대저는 수의 팔희혈이다.
D. 중완은 부의 팔회혈이다.

A

D. 중완은 부의 팔회혈이다.

74
Q
  1. 5세의 여아가 3개월 동안 발열로 고생하고 있다. 발열의 형태는 미열 혹은 고열로 활동한 후에 나타나거나 더욱 심해진다. 두통과 피곤함 그리고 때로는 추운날씨에도 다한증이 있고 식욕저하, 변비증세를 동반한다. 위 환자에 맞는 침치료는?

A. 위의 치료법 중엔 없음
B.DU14(대추), LI4(합곡), LU7(열결), GB34(양릉천)
C. DU20(백회), UB20(비수), ST36(족삼리), LI4 (합곡), KD7(복유)
D. DU14(대추), LI4(합곡), LI11(곡지), GB20(풍지)

A

C. DU20(백회), UB20(비수), ST36(족삼리), LI4 (합곡), KD7(복유)

75
Q
  1. 49세 남성환자가 6개월동안 불면중에 시달리고 있다. 또한 현훈, 목현, 기억력감퇴, 이명, 심계, 구건으로냉수를 즐기고 가끔씩 흉부에 열감이 있으며 변비, 소량의 황색 소변, 홍설 무태, 세삭맥 경우 합당한 침치료는?

A. UB15(심수),UB19(담수), REN4(관원)
B. LV3(태충), LI4(합곡), PC6(내관), GB34(양릉천)
C. HT7(신문), KD3(태계), PC6(내관), KD6(조해)
D. ST36(족삼리), REN4(관원), SP9(음릉천)

A

C. HT7(신문), KD3(태계), PC6(내관), KD6(조해)

76
Q
  1. 다음 이침 혈자리 중 삼각와에 위치한 것은?

A. AIIergy 알러지
B. Uterus 자궁
C. Subcortex 피질하
D. Endocrine 내분비

A

B. Uterus 자궁

77
Q
  1. 이 경맥은 주로 십이경의 기혈을 통행하기 때문에 “십이경맥의 해’’ 라고 한다. 다음 중 어느 것을 설명한 것인가?

A. 충맥
B. 임맥
C. 독맥
D. 음교맥

A

A. 충맥

78
Q
  1. 다음 중에서 대장경, 소장경, 삼초경, 담경 모두가 교차하는 혈자리는?

A. 제7경추극들기의 아래에서 대추의 옆으로 2촌되는 곳이다.
B. 병간 절흔 앞에 있으며, 하악골 과상돌기의 후연으로 개구하면 움푹 들어간 곳에 있다.
C. 견갑극상와의 내측단으로 대략 노유와 제2흉추극돌기의 연결선 위의 중앙에 있다.
D. 견갑극상와의 중앙점이고, 천종의 바로 위로 팔을 들었을때 오목한

A

D. 견갑극상와의 중앙점이고, 천종의 바로 위로 팔을 들었을때 오목한

79
Q
  1. 어떤 환자가 잠들기 힘들며, 심계, 기억력 감퇴, 무기력하며 설담 맥약이라면, 다음 중 이 환자에게 적당한 혈자리들로 나열된것은 ?

A. H7(신문), SP6(삼음교), 안면, UB15(심수), UB23(신수), K3(태계)
B. H7(신문), SP6(삼음교), 안면, UB18(간수), UB19(담수), GB12(완골)
C. H7(신문), SP6(삼음교), 안면, UB21(위수), ST36(족삼리)
D. H7(신문), SP6(삼음교), 안면, UB15(심수), UB20(비수), SP1(은백)

A

D.H7(신문), SP6(삼음교), 안면, UB15(심수), UB20(비수), SP1(은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