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디사 3주차 Flashcards

1
Q

빛과 대기 속에서 잃버린 사물의 객관성, 영원히 변하지 않는 사물 본질적 형태 강조

A

세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강렬한 색채와 역동적인 붓터치
감정 표현 우선시, 목적을 위해 필요하다면 형태 포기

A

고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2차원 캔버스 안에서 3차원의 모티브 추구
형태와 빛에 의해서 변조되는 색의 변화를 연속적으로 표현함

A

세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유럽의 인습적 미술의 형식에 대해 회의하고 인간의 원시적 열정처럼 힘차고 강렬한 것을 갈망

A

고갱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인상주의처럼 형태를 색점으로 분해하려는 경향에서 탈피, 색채를 강한 윤곽선으로 두른 넓은 면으로 종합함으로서 주체성에 기반을 둔 형태와 색채 회복, 주관의 객관의 종합 목표

A

종합주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미술의 기본 목적을 자연의 재현이 아닌 감정과 감각의 직접적 표현으로 봄, 왜곡은 주제나 내용을 강조하는 수단 됨

A

표현주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사물에 대한 사람들의 강렬한 감정이 그것을 보는 방식까지 변화시키는 가능성 탐구

A

표현주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격렬함과 잔인함 등 극한 감정을 어둡게 표현

A

다리파 (표현주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보다 세련된 방식으로 예술로서의 새로운 정신성을 추구, 내적이면서 상징적인 특성을 추상으로 표현

A

청기사파 (표현주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표현주의의 한 유파로 보는 견해도 있음, 고흐의 화법에서 강한 영향 받았고 고갱의 미학적 태도와 연관됨

A

야수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색과 선으로 감정 표현, 주제를 모두 없애고 색조와 형태에만 의존함으로써 진정하게 ‘순수’한 미술 가능하다고 믿음

A

추상미술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자유로운 선과 색채를 표현요소로 사용, 감정에 바탕하고 있는 인간의 내적 충동과 관련 (ex. 칸딘스키)

A

뜨거운 추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기하학적인 선의 구성을 사용, 이지적 판단으로 화면의 철저한 비자연화를 추구 (ex. 말레비치, 몬드리안)

A

차가운 추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자기 표출보다는 사회적 목적에 부응하는 순수 형태로서 공간 구성을 취지로 함, 일체의 재현이나 묘사를 거부

A

구성주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역학적 표현 강조, 새로운 공업시대에 적응하는 조형을 찾으려 노력했다는 점에서 미래파와 연관이 있음

A

구성주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회화 이외의 대상세계와의 관계를 거부하며 순수한 색감과 조형의 절대성을 추구, 순수하고 지적인 기하학적 추상 화면을 구성 (ex.말레비치)

A

절대주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사물의 본질과 개념에 전착하였던 세잔에서 유래, 추상미술과는 달리 대상을 재현하기를 그만두지 않고 다른 형태로 표현

A

입체주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대상의 모든 면을 동시에 한 화면 안에 집적, 해체와 재구성, 종합 (ex.브라크, 피카소, 레제)

A

입체주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20세기 초 이탈리아 중심 문화운동, 기존의 낡은 예술을 부정하고 테크놀로지를 받아들여 다이내믹한 아름다움 창조 주장

A

미래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1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과 미국에서 전 예술 분야에 걸쳐 일어난 문화사조

A

다다이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처음부터 예술로서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것이 아닌, 중립적 물체를 사용하여 작품을 제작

A

다다이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1920년대에 시작된 문화운동으로 다다에서 분리되어 무의식의 세계의 전착

A

초현실주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고딕미술이나 북유럽 르네상스 작품 영향 일부 존재, 기법적으로는 사실적일 수도 상징적이거나 추상적일 수도 있음

A

초현실주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의식에 의한 억압적 자기검열을 피하고 무의식의 창조적 힘을 예술로 표현하기 위해 개발된 방법

A

오토마티즘 (자동기술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Q

표현주의와 초현실주의의 영향을 받은 비정형 예술

A

추상표현주의 (액션 페인팅과 앙포르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6
Q

자동기술법의 영향으로 뿌리기 등 즉흥적 행위를 강조, 이젤에 세워두는 거 거부하고 전면균질회화 추구

A

추상표현주의 (액션페인팅과 앙포르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7
Q

그리는 행위 자체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점에서 이후 행위예술에 큰 영향을 미침

A

추상표현주의 (액션 페인팅과 앙포르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8
Q

1960년대 모더니즘 경향이 지배하던 미국, 유럽 등지에서 그에 대한 반발로 시작

A

포스트모더니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9
Q

이성에 바탕을 둔 합리주의나 기능주의와 결부

A

모더니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0
Q

이념의 해체를 통한 다원적 탈중심화 중점

A

포스트모더니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1
Q

기성의 권위와 전통에 대한 단절, 진위적 실험성

A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공통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2
Q

1950년대 이후 영국 미국 예술운동, 사람들의 생각 속에 암암리에 존재하는 고급예술과 저급예술의 차이 철폐

A

팝아트 (포스트모더니즘)

33
Q

대중과 미술의 간격을 좁히는 동시에 미술의 상업화라는 비판을 받음

A

팝아트 (포스트모더니즘)

34
Q

1960년대 초부터 1970년대에 걸쳐 일어난 국제적 전위예술운동

A

플럭서스 (포스트모더니즘)

35
Q

‘흐르다’ 라틴어 유래, ‘삶과 예술의 조화’를 가치로 내걸고 다양한 장르 아티스트들의 네트워크를 통해 탈 장르적 예술 운동으로 발전

A

플럭서스 (포스트모더니즘)

36
Q

음악, 시각예술, 무대예술, 문학 등 다양한 예술 형식을 융합한 통합적 예술 개념을 탄생시킴

A

플럭서스 (포스트모더니즘)

37
Q

이후 개념미술, 행위예술, 미디어아트 등에 큰 영향을 미침

A

플럭서스 (포스트모더니즘)

38
Q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신체를 이용하여 기존의 장르로 구분될 수 없는 예술 표현, 신체예술, 과정예술이라고 불리기도 함

A

행위예술 (포스트모더니즘)

39
Q

기원은 원시종합예술까지 소급 가능하며,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의 영향을 받음

A

행위예술 (포스트모더니즘)

40
Q

비디오 작가들의 정치적 활동, 기법의 오락적 가치 깨달은 네트워크 텔리비전이 이들의 카메라 기법과 인터뷰 기술 등을 흡수

A

행동주의적 성격의 다큐멘터리

41
Q

비디오 설치는 모니터 밖의 공간에 대한 인식이며, 비디오아트의 핵심적 개념인 시간에 대한 탐구를 강화

A

순수예술지향적 비디오

42
Q

2차세계대전 전후하여 시각예술을 중심으로 일어나 모든 문화영역으로 확대된 문화운동, 동양의 선 사상 영향 받음

A

미니멀리즘 (포스트모더니즘)

43
Q

근대 이후의 예술에서 가장 중요하게 작용해 온 ‘작가’ 부정한다는 점에서 포스트모던

A

미니멀리즘

44
Q

예술적 기교나 각색을 최소하하고 사물의 근본만을 표현할 때 현실과 작품과의 괴리가 최소화 되어 진정한 리얼리티가 달성된다는 관점

A

미니멀리즘 (포스트모더니즘)

45
Q

완성된 작품 자체보다 아이디어나 과정이 예술이라고 생각하는 제작태도

A

개념미술 (포스트모더니즘)

46
Q

고대 동굴 벽화나 2차 세계대전 이후 추상표현주의(플록, 뒤비체 등)의 영향을 받아 아웃사이더의 예술로서 성립되기 시작

A

스트리트 아트 (포스트모더니즘)

47
Q

‘최소’를 강조하는 미니멀아트 + 평볌한 대상물을 미술 작품으로 도입한 뒤샹의 미학적 입장 + 다다이즘의 반 물질적 태도

A

개념미술 (포스트모더니즘)

48
Q

주관을 극도로 배제하고 중립적 입장에서 일상적 현실을 생생하고 완벽하게 재현

A

극사실주의 (포스트모더니즘)

49
Q

팝아트의 영향으로 일어났으나 팝아트와는 달리 매우 감정을 억제하고 아무 코멘트 없이 세계를 현상 그대로 취급, 차갑고 잔혹한 인상

A

극사실주의 (포스트모더니즘)

50
Q

미국적 즉물주의의 산물로서 추상미술에 대한 반발, 사진에 대한 반감 등이 작용

A

극사실주의 (포스트모더니즘)

51
Q

존재하지만 사회적으로 기피되고 터부시되는 장면을 문맥없이 관객에게 강요함으로써 의도적으로 혐오감 유도

A

애브젝트 아트 (포스트모더니즘)

52
Q

정신과 신체, 고급과 저급 등 기존 지배문화의 이분법적 구조에 의문을 제기

A

애브젝트 아트 (포스트모더니즘)

53
Q

빛나는 태양에서 사소한 사물들에 이르기까지, 사물에 대해 스스로 느꼈던 감정을 전달하기 위해 색채와 형태를 변형하여 사용

A

고흐

54
Q

강한 색채 대비는 현실의 재현을 위해서가 아니라, 감정에 충실하기 위한 것

A

고흐

55
Q

색채로서 대상의 견고함과 물질성을 포착해내고자 하였음

A

세잔

56
Q

밝은 색채를 희생시키지 않으면서 깊이감을 살리고 동시에 질서 있는 화면배치를 이루기 위해 원근감 무시하고 형태를 왜곡시킴

A

세잔

57
Q

객관적이고 평준화된 원근법과는 달리 자신이 지각한 세계를 나름의 보편성과 합리성으로 표현

A

세잔

58
Q

단순화를 통해 주제의 내적의미를 더욱 강조하면서 그 영감을 화폭 위에 표현

A

고갱

59
Q

인상주의의 해체적, 분석적 경향에 대한 대항으로서 종합주의라는 용어 처음 사용

A

고갱

60
Q

2차원의 평면 강조하는 0000는 주제의 느낌이나 개념을 색면과 선이라는 형식으로 종합시키고자 함

A

종합주의

61
Q

성향의 뿌리는 고딕시대의 크뤼네발트나 매너리즘시기의 엘 그레코까지 올라감

A

표현주의

62
Q

이전시대 0000 성향 작품들은 형식의 아름다움과 구성의 조화를 완전히 무시하지는 않는 반면, 20세기 예술사조 0000는 전통적 규범을 완전히 파괴

A

표현주의

63
Q

반 고흐를 선구로 하며 고갱 등 상징주의적 태도의 영향을 받음, 이후 뭉크, 콜비츠, 코코슈카 등으로 이어짐

A

표현주의

64
Q

강렬한 표현과 색을 선호, 강한 붓질과 과감한 원색처리, 대상에 대한 고도의 간략화와 추상화가 특징

A

야수파

65
Q

마티스, 드랭, 블라맹크, 루오, 고흐, 고갱

A

야수파

66
Q

타틀린, 슈코프, 리시츠키

A

구성주의

67
Q

말레비치

A

절대주의 (미안)

68
Q

보치오니, 발라, 세베리니

A

미래파

69
Q

슈비터스, 브르통, 뒤샹, 피카비아

A

다다이즘

70
Q

마그리트, 에른스트, 달리, 미로

A

초현실주의

71
Q

폴록, 뒤뷔페, 포트리에, 드 쿠닝

A

추상표현주의

72
Q

워홀, 리히텐슈타인, 파올리치, 올덴버그

A

팝아트

73
Q

존 케이지, 보이스, 백남준

A

플럭서스

74
Q

클라인, 아브라모비치

A

행위예술

75
Q

로버트 모리스, 도널드 주드, 칼 안드레, 프랭크 스텔라

A

미니멀리즘

76
Q

멜 보크너, J.코수스

A

개념미술

77
Q

클로스, 캐노비츠, 몰리, 모우익

A

극사실주의

78
Q

데미언 허스트, 매카시, 마크 퀸

A

애브젝트 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