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세포와 소기관 Flashcards

1
Q

생물의 출현 단계를 원시대기와 관련지어 설명하시오

A

1)원시 대기는 H2, CH4, NH3, 물 등으로 구성된 환원성 대기었음. 태양빛, 번개, 화산폭발들의 에너지들과 반응으로 유기 화합물들이 생성됨.
2)유기 화합물들이 조립되면서 원핵생물이 진화 하는데, 혐기성 종속영양 생물이 나타남.
3)이후, 엽록소가 만들어져 태양의 빛에너지를 이용하는 독립 영양 생물들이 생겨남.
4)그중 물을 광분해 하는 남세균의 출현으로 산소가 발생함.
5)산소를 이용하는 호기성 종속/ 독립 생물이 생겨남
6)대기의 산소가 오존층을 형성함
7)육상생물이 생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현미경의 해상도(분해능)의 정의와 식을 쓰고, 좋은 값이 나오기 위한 조건을 설명하여라

A

굴절률이 클수록, 파장이 짧을 수록, 대물렌즈에 입사하는 광선과 렌즈 광축의 최대각이 클수록 분해능이 좋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현미경으로 세포를 연구하기 위해서 시료를 준비하고 염색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열하여라

A

샘플링->고정(열고정, 화학적 고정)->탈수(고정액 제거)-> 투명화(유기용매로 지방조직 제거)->경화(시료를 딱딱하게)->박편 제작->염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형광 유세포 분류기(FACS)형광 표지된 특이적 항체를 단백질(샘플)에 붙여, 특정 세포를 분류하고 수를 세는 장치이다. 이때, 분류하고 하는 세포가 TH, TC세포일 때, 어떤 단백질을 사용하는가?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형광 유세포 부류기(FACS)의 과정을 설명하여라.

A

1)우선, CD4, CD8에 특이적인 항체를 형광 표지하여 처리함.
2)혈액 샘플을 가는 관에 주입한 뒤, 세포가 한 개씩 분리되어 관 속을 이동할 때, 세포에 붙어 있는 형광 물질을 레이저로 분석하여 각각의 형광을 지닌 세포수를 파악해 그래프를 그림.
3)강한 전극을 가해, 노즐에서 작은 물방울 속 세포들을 항체에 따라 휘는 정도를 다르게 하여 다른 튜브에 받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현미경의 배율 공식을 말하여라

A

배율 = 접안렌즈 배율(고정) X 대물렌즈 배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각 물질들이 원심 분리로 가라 앉을 때 각 물질들의 침전 정도에 대하 지표가 무엇이며, 침전이 잘 되는 조건은 무엇인가?

A

침강계수(s)라고 하며, 물질의 질량이 크고, 밀도가 크며, 펼쳐진 정도가 작을 수록 침강 계수가 크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분별 원심분리는 침전되는 물질과 상층액을 분리하는 것으로 세포 소기관을 분리 시 이용할 수 있다.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의 세포소기관을 분리할 때 (침전 순서)분리 순서를 말하여라.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원핵생물 속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DNA로서 , 필수적이진 않지만 항생제 내성과 같이 이점을 제공하는 것은? 그리고 그것중 일부는 어떤 형태로 존재하는가?

A

플라스미드로 대부분 원형이다. 에피좀의 형태로도 존재하는데 에피좀이란 유전체에 삽입 될 수도 있고,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는 DNA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리보솜을 설명하시오(침강계수와 관련지어서)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어딘가 부착할 때 사용하는 세포 표면의 털 같은 구조를 뭐라고 하는가? 그리고 그 예는 무엇이 있는가?

A

핌브리아-> 숙주 감염, 생물막, 콜로니 형성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성선모를 통해 세균들이 하는 것을 설명하시오

A

다른 세균에 부착하여 세포질 다리를 형성하고, F플라스미드 사본을 다른 세균으로 전달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편모는 나선형 구조로, 세포막과 세포벽을 모두 뚫은 막 관통 단백질이다.

A

O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편모는 무슨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는가?

A

플라젤린 단백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원핵생물의 운동기관은 _____ 인데, 에너지원으로 ATP대신 ________를 이용하여 프로펠러처럼 ____운동을 수행한다

A

편모/ H+의 농도 기울기/회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협막과 점액층은 원핵생물의 어디에 위치하며 역할은 무엇인가?

A

세포벽 밖에 위치하여 식세포의 섭식을 방해하고 세균의 건조를 막으며, 끈적한 성질로 콜로니 형성에 관여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일부 그람 양성균이 열, 방사선에 내성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은 무엇이며, 이때 물질대사가 일어나는가?

A

내생포자, 물질대사는 일어나지 않고, 고온 처리 시 휴면 상태에서 깨어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리소자임의 역할은 무엇이고, 리소자임과 페니실린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가?

A

펩티도 글리칸은 선형의 다당류들 사이에 아미노산들이 교차 결합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N-아세틸뮤람산이 B(1–>4)결합을 하여 형성되었다.

리소좀은 효소로, 진정세균 세포벽의 다당류 사이의 B(1->4)결합을 파괴한다. 이는 진정세균의 용혈을 야기한다.

페니실린은 펩티도 글리칸을 형성하기 위한 교차결합을 하는 트랜스펩티다아제의 비가역 저해제로서 교차결합 형성을 막아 세균 용혈을 일으킨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슈도펩티도글리칸은 왜 진정세균 저해제들(B-락탐계열 항생제, 리소자임)에 내성이 있는가?

A

슈도펩티도글리칸은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N-아세틸탈로사미뉴론산이 B(1->3)결합으로 연결된 것이며, 선형의 다당류들 사이에 교차결합을 형성하는 아미노산들도 진정세균과 다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진정세균 중에서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은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 다음 빈칸을 채워라.

A

<대표>
1. 그람 양성균 : 고초균, 포도상구균
2. 그람 음성균 : 대장균, 살모넬라, 시아노박테리아

![!BS! ](https://s3.amazonaws.com/brainscape-prod/system/cm/476/358/343/a_image_ios.?1704195565 "eyJvcmlnaW5hbFVybCI6Imh0dHBzOi8vczMuYW1hem9uYXdzLmNvbS9icmFpbnNjYXBlLXByb2Qvc3lzdGVtL2NtLzQ3Ni8zNTgvMzQzL2FfaW1hZ2Vfb3JpZ2luYWwuPzE1NzU2YTk3NzFiNDQ4ZjM0MTE2MTAwYzgwN2JjZDMwIn0=")
</대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외독소는 세균 내 자체 물질이라고 할 수 있다.

A

X, 외독소는 플라스미드, 프로파지를 가진 세균들이 합성하여 분비하는 독소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AB독소는 외독소의 한 종류로, 이량체로 이루어져 있다. 이량체를 이루는 각 부분의 역할을 서술하여라.

A

B : AB독소의 B부분이 표적 세포의 수용체에 결합하여 엔도시토시스 된다.
A : 엔도좀안에서 B로 부터 분리된 A부분이 세포 내 특정 단백질(EF-2)를 ADP-리보실화(ADP-리보실-EF-2) 해 활성을 없앤다. 이는 세포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고, 세포사멸을 일으킨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내독소에 대하여 설명하여라

A

내독소는 그람 음성균의 외막에서 떨어져 나온 LPS성분으로(즉, 세포벽의 일부 성분) 열에 안정적이며, 세균이 죽어 세포벽이 파괴되면서 방출된다. 지질 A부분이 독성을 나타내며, 열, 혈액 응고, 쇼크, 설사, 염증, 장출혈 등을 일으킨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다음은 전사 번역에 관련된 원핵생물, 진핵생물의 저해제이다. 빈칸을 채워라.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다음은 진정세균, 고세균, 진핵생물의 특징을 비교한것이다. 빈칸을 채워라.
26
대부분 세포 당 한개의 핵을 가지지만 예외가 있다. 예 2 가지를 들으시오.
골격근 세포(다핵), 적혈구(핵 없음)
27
인은 _______________________이 모여있어 활발한 전사가 일어나는데, 전사된 ___________는 인에서 __________,________________로 각각 조립된다.
rRNA유전자 서열들, rRNA, 40s 소단위체, 60s 대단위체
28
인은 간기에서만 관찰이 되며, 세포분열기(M기)에는 사라진다.
O
29
핵막은 뭐에 의해서 고정되는가?
중간섬유인 라민
30
조면소포체(RER)에서 하는 단백질 가공을 설명하시오
1. 폴리펩티드에서 N-말단에 위치한 소포체 이동 신호 서열을 제거한다. 2. 소포체 막의 돌리콜 분자에 올리고당을 합성한 후, 폴리펩티드의 아스파라긴 잔기로 옮긴다.(N-연결당화) 3. PDI(Protein disulfide isomerse)가 폴리펩티드의 시스테인 잔기들 사이에 이황화 결합을 형성한다. 또, 잘못 연결된 이황화 결합은 정상적으로 재배열해 폴리펩티드가 잘 접히게 한다.
31
활면소포체(smooth endoplasmic reticulum, SER)의 역할 4가지를 설명하여라.
1. 지질 합성(세포질;활면소포체의 바깥에서 일어난다) : 활면 소포체 막에 박혀 있는 효소들을 이용해 인지질을 합성한다.(후기 콜레스테롤은 활면 소포체 내부에서 일어난다. ) 2. 독성해독 : 시토크롬 p450이 유해한 물질들을 분해한다. e.g. 간은 각종 물질들의 해독을 위해 소포체가 크게 발달한다. 3. 칼슘의 저장 및 방출 : 소포체 막의 ca2+펌프가 활면소포체 내로 ca2+를 수송해 저장한다. 골격근 세포가 수축할 때 저장되어 있던 ca2+가 세포질로 방출이 됨 4. 포도당 신생합성 과정에 관여한다.(글루코스 6 포스파테이스가 있어 6인산글루코스를 글루코스로 대사한다.)
32
단백질 분비의 경로를 설명하여라
DNA->1차 전사체->스플라이싱->mRNA->핵공통과->세포질->단백질합성(리보솜)->신호서열 합성->단백질 수송 메커니즘->조면소포체(변형)->운반 소낭->골지체(변형)->분비소낭->미세소관 따라서 세포막 이동->엑소시토시스
33
골지체는 _______ 에서 유래한 여러 개의 납작한 주머니(_________)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소포, cisterna
34
골지체는 조면 소포체에서 가공한 폴리펩티드를 받아 당 일부를 제거하거나 당을 붙이는데 그 위치가 어디이며 이를 뭐라고 하는가
세린, 프레오닌 잔기에 새로운 당을 붙이며 이를 o-연결 당화 라고 한다.
35
골지체는 o연결 당화를 통해서 폴리펩티드의 이후 수송 경로를 표지하는데, ______________________표지 시 리소좀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를 붙이지 못하면________이 발생한다.
만노오스-6-인산, 저장병
36
골지체로 부터 유래하여 지질 이중층의 단일막 구조이며, 막의 H+펌프가 있어 내부를 산성 조건으로 유지 하는 것은 무엇인가?
리소좀
37
테이-삭스 병은 _________________가 결핍되어 뇌세포의 리소좀에 _____________가 축적되는 것이고, 폼페병은 리소좀 내에 ____________이 축적되는 것이다.
헥소사미니데이스 A, 갱글리오사이드, 글리코겐
38
세포 부피와 압력에 대한 그래프를 그려라.또한 흡수력에 대한 식을 써라
39
퍼옥시좀이 카탈라아제를 가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퍼옥시좀에서 아세틸 co-A를 공급하기 위해서 지방산의 B-산화가 일어나고 이때 H2O2가 생긴다. 이 H2O2를 해독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40
식물이 광합성을 하면, 퍼옥시좀으로 바뀌어 엽록체 근처로 이동하는 세포 소기관은 무엇이며 이것이 지방산으로 하는 일은 무엇인가?
어린 유식물에서만 나타나는 특수 소기관인 글리옥시좀으로, 지방산을 글리옥실산 회로를 통해 당으로 전환한다.
41
미토콘드리아 내막, 엽록체 틸라코이드 내막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인지질은 무엇이며 하는 역할은 무엇인가?
카르디올리핀으로 H+의 기울기를 유지시킨다.
42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는 _____유전이다.
모계
43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미토콘드리아는 산화적 인산화를 통해서 ATP를 생성하지만, 엽록체는 빛 에너지를 이용해서 포도당을 합성한다. 미토콘드리아는 내막이 안쪽으로 형성된 주름진 구조인 크리스테를 가지고 있지만, 엽록체는 그라나/스트로마를 가지고 있다. 미토콘드리아는 환형 DNA를 가지고 있고, 야누스 그린 B로 염색이 되지만 엽록체는 선형 DNA를 가지고 있다.
44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에는 포린 단백질이 있어 작은 분자들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다.
O
45
자유 리보솜과 결합 리보솜의 차이점을 번역의 개시, 단백질의 이동 최종 위치, 표적서열과 관련하여 설명하여라
1. 번역 개시 : 자유리보솜은 세포질에서 번역 개시를 하고 완성한다. 반면에 결합 리보솜은 세포질에서 번역 시작을 해서 번역 중 소포체로 이동한다. 2. 단백질 이동 최종 위치 : 자유리보솜은 세포질, 핵, 미토콘드리아, 엽록체, 퍼옥시좀 등으로 단백질이 이동하는데 결합 리보솜은 세포 밖에 분비되거나, 막관통, 리소좀, 골지체, 소포체 등을 이동한다. 3. 자유리보솜은 각 소기관에 대한 표적 서열이 존재하는데, 결합 리보솜은 소포체 신호서열이 공통으로 존재한다.
46
각 소기관의 표지 단백질을 써라 핵- 활면소포체- 퍼옥시좀- 미토콘드리아- 리소좀-
핵-라민 활면소포체-cytp450 퍼옥시좀-카탈라아제 미토콘드리아-숙신산디하이드로제네이스 리소좀-헥소사미니데이스A
47
미세소관의 기본 단위가 무엇이고, 각각 어느 말단에 해당되는가?
미세소관의 기본 단위는 a-튜불린, B-튜불린 이고, 각각 (-)말단, (+)말단에 노출한다.
48
미세소관의 어느 말단이 합성과 분해속돠도가 더 빠른가?
(+)말단
49
다음 빈칸을 채워라
50
미세소관의 동적 평형 상태가 무엇인지 설명하여라
자유 튜불린의 신장, 분해 속도가 같아서 미세소관의 길이가 일정한 지점이다. ((+)말단의 형성속도, (-)말단의 분해속도가 같다. )
51
미세소관 합성 저해제로, 자유 튜불린에 결합해 단위체 농도를 낮추는 것은 무엇인가?
콜히친, 노코다졸
52
미세소관 분해 저해제로 자유튜불린의 해리를 막는 것은 무엇인가? 그리고, 의료에서 어디에 쓰이는가?
탁솔, 항암제에 쓰인다.
53
미세소관 위를 움직이는 운동 단백질은 ________를 소모하여 미세소관을 따라 소낭이나 여러 물질들을 수송한다. 그 종류에는 (-)말단에서 (+)말단으로 이동하는 _______, (+)말단에서 (-)말단으로 이동하는 _________이 있다.
ATP, 키네신, 디네인
54
세포 분열시 중심체는 ______________기에 걸쳐 복제되는데, 복제된 중심체는 함께 있다가 ____기 초에 서로 분리되어 각각 _________를 형성한다. _______가 세포의 양끝으로 이동할 때, 미세소관이 분해된 후 성상체에서 ______로 재배열된다.
S기~G2, M, 성상체, 성상체, 방추사
55
중심립이 무엇인지 중심체와 비교하여 설명하여라
중심립은 중심체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9+0)식 구조로 이루어진 짧은 미세소관 다발 두개가 서로 90도로 놓여있는 것이다. 중심립을 복제해서, 섬모, 편모 형성의 중심부인 기저체를 만든다.
56
섬모와 편모에 대해서 설명하여라
기저체는 (9+0)구조이지만, 섬모와 편모는 각각 (9+2)구조이다. 섬모와 편모이 기본 구조는 동일하지만 섬모가 편모보다 훨씬 많이 존재한다. 미세소관의 막 융기구조로 디네인 단백질이 ATP를 소모하여 미세소관들 사이에 활주를 일으킨다. 그래서 진핵생물은 채찍운동을 할 수 있다.
57
진핵생물의 편모와 원핵생물의 편모의 차이점을 설명하여라.
58
식물의 세포벽을 합성하는 그림이다. 빈칸을 채워라.
59
미세소관 활주 운동시 분리되지 않도록 해주는 것은 무엇인가?
넥신
60
식물세포에서 동물세포의 중심립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은 무엇이고, 무엇을 형성하는가?
극모이고, M기에 형성되며, 방추사를 형성한다.
61
중간섬유는 세포를 지지하고 세포소기관들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신경조직, 사이조직, 결합/근육조직, 핵에 있는 중간섬유를 예로 들어라.
1. 신경조직 : 신경섬유 2. 상피조직 : 케라틴 ; 각질 3. 결합, 근육조직 : 비멘틴 4. 핵 : 라민
62
중간 섬유는 균류/식물에서도 발견이 된다
x 균류/식물에서 발견이 안된다.
63
미세섬유의 기본 단위체와 중합체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설명하여라.
미세섬유의 기본 단위체는 G-액틴이다. 그리고 두 가닥이 꼬여서 F-액틴 중합체가 형성된다. G액틴의 농도가 많고, ATP의 농도가 많을 수록 미세섬유가 신장한다. 미세소관과 마찬가지로, 응결핵 형성 농도가 되어야 미세섬유가 합성되고, 동적평형에 이르면 미세섬유의 길이가 일정해진다.
64
미세섬유의 (+)말단과 (-)말단의 신장 속도를 비교하시오
(+)말단이 (-)말단보다 신장이 일어나기 위한 임계농도가 훨씬 낮다.
65
다음과 관련된 세포 골격은 무엇인가? 세포질 피층의 세포골격, 미세융모, 근육 수축, 수축환, 신경관, 물질수송, 세포질 유동, 파고시토시스, 아메바운동
미세섬유
66
미세섬유의 분해 저해제로 미세섬유에 결합해 G-액틴의 해리를 막는 것은 무엇인가?
팔로이딘
67
미세섬유의 (+)말단에 결합하면 (+)말단의 합성과 분해가 일어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사이토칼라신
68
밀착연접의 역할은 무엇인가?
맞닿은 세포 양쪽에서 뻗은 막단백질들이 서로 결합해서 긴 줄 형태로 배열하기 때문에 세포막을 정단면과 기저면으로 분리 할 수 있고, 세포들 틈 으로 병원균이나 각종 물질들이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69
단단한 밀착연접과 느슨한 밀착연접의 예를들어라
-단단한 밀착연접 : 헨레루프 상행지, 두꺼운 상행지등 (거의 모든 물질 이동 x) -느슨한 밀착연접 : 헨레루프 하행지; 상행지에서 만든 이온 농도로 물 재흡수, 소장상피 등(몇몇 이온이나 물 등이 이동한다)
70
데스모좀과 헤미데스모좀을 비교하고 공통된 특징인 부착연접의 역할을 설명하여라
-데스모좀 : 카드헤린으로 세포끼리 연결한다 -헤미데스모좀 : 인테그린으로 세포와 ECM을 연결한다 중간 섬유가 세포질 쪽으로 연결되어, 세포에 가해진 힘을 분산시켜 세포 파괴를 막는다.
71
국소 연접은 무엇인가?
인테그린 단백질을 이용하여 ECM에 접촉한 것으로 미세 섬유가 세포질 쪽으로 연결되어 지지한다.
72
간극 연접은 6개의 __________단백질들로 이루어진 ______채널이 세포사이를 연결한다. 세포질 내 ___나____농도가 높아지거나 채널이 인산화 되면 닫힐 수 있다.
콘넥신, 콘넥손, H+, Ca2+
73
동물세포의 심장근과 평활근에서 간극연접이 하는 역할과 각막과 뼈세포에서 간극연접이 하는 역할은 무엇인가?
-심장근, 평활근 : 세포들 사이에 활동 전위를 빠르게 전도 -각막, 뼈세포 : 혈관이 닿지 않는 곳에서 세포들 사이에 양분 교환
74
___________란 식물의 세포벽을 관통해 두 식물세포의 세포막을 서로 연결한 구조이다. _________가 벽 형성을 방해해서 그대로 뚫린채 완성됐다. 이를 _______이라고 부른다.
원형지 연락사, 소포체, 데스모튜블
75
원형질 연락사(데스모튜블)이 닫히는 경우를 설명하여라
H+나 ca2+의 농도가 높아지면 닫힐 수 있다. 그리고, 병원 균 감염시 세포벽에 리그닌이 침착해 영구적으로 폐쇄된다.
76
동물의 세포외기질(ECM)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프로테오글리칸, 콜라겐, 엘라스틴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은 세포를 지지하고 보호하기 위해 주변에 분비한 단백질들과 다당류 성분 층이다.
77
식물의 세포벽을 생성하는 순서를 설명하여라.
(밖)중엽->1차 세포벽->2차 세포벽
78
중엽의 주성분은 무엇인가? 그리고 세포간 부착을 위해 결합하는 것은 무엇인가?
펙틴이 주성분이며, ca2+와 mg2+이 결합해 세포 간 부착을 도와준다.
79
1차 세포벽이 무엇으로 이루어져있는지와, 각각 어떻게 합성되는지 설명하여라
1. 셀룰로오스 : 세포막의 셀룰로오스 신테이스에서 합성, 분비 2. 헤미셀룰로오스/펙틴 : 골지체에서 합성하고 분비한다.
80
2차 세포벽이란 무엇인가?
성장이 멈춘 세포의 세포막과 1차 세포벽 사이에 생기는 두껍고 단단한 세포벽이다.
81
2차 세포벽의 구성 물질에 따른 특수한 성질 3가지를 들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