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als Flashcards
(72 cards)
1
Q
운율
A
시를 읽을 때 느껴지는 말의 가락
2
Q
풍자
A
부정적인 현상이나 모순을 직접 말하지 않고 다른 것에 빗대어 비웃으면서 비판
3
Q
결별
A
기약 없는 이별을 함
4
Q
실소
A
어처구니가 없어 저도 모르게 웃음이 툭 터져 나옴
5
Q
잠방이
A
옛날에 흔히 농사꾼들이 일할 때 입던 반바지
6
Q
장인
A
손으로 물건을 만드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7
Q
동래박의
A
중국 남송의 여조겸이 ‘춘추좌씨전’을 풀이한 책
8
Q
고문진보
A
중국 송나라 말기에 황견이 주나라 때부터 송나라 때까지의 시문을 모아서 엮은 책
9
Q
당시품휘
A
중국 명나라의 고병이 당나라의 시를 모아 엮은 책
10
Q
별감
A
조선 시대에, 지방의 수령을 보좌하던 자문 기관인 유향소에 속한 직책. 고을의 좌수에 버금가던 자리
11
Q
홍패
A
과거의 문과 두 번째 시험에 합격한 사람의 성적, 등급, 성명을 붉은색 종이에 먹으로 적어 주던 증서
12
Q
음관
A
과거를 거치지 않고 조상의 공덕에 의해 맡은 벼슬, 또는 그런 벼슬아치
13
Q
설렁줄
A
사람을 부르기 위해 처마 같은 곳에 달아 놓은 방울을 울릴 때 잡아당기는 줄
14
Q
인력거꾼
A
주로 사람을 태우는 수레를 끄는 일을 직업으로 하는 사람
15
Q
문안
A
사대문 안
16
Q
눈결
A
마음이 눈에 드러난 상태
17
Q
댓바람
A
아주 이른 시간
18
Q
모주
A
술을 거르고 남은 찌꺼기에 물을 타서 걸러 낸 막걸리
19
Q
달포
A
한 달이 조금 넘는 기간
20
Q
불거지다
A
겉으로 둥글게 툭 비어져 나오다
21
Q
조랑복
A
복을 받아도 오래 누리지 못하는 짧은 동안의 복, 조롱복
22
Q
바루다
A
비뚤어지거나 구부러지지 않도록 바르게 하다
23
Q
푼푼하다
A
모자람 없이 넉넉하다
24
Q
동기 방학
A
겨울 방학
25
고쿠라
일본 기타큐슈의 고쿠라 지방에서 생산되는 무명 옷감
26
노박이로
줄곧 계속하여
27
욕시
욕심
28
곱절
어떤 수나 양을 두 번 합한 만큼
29
재다
동작이 재빠르다
30
재우치다
빨리 몰아치거나 재촉하다
31
옹송그리다
춥거나 두려워 몸을 궁상맞게 옴츠러들이다
32
상판
'얼굴'을 속되게 이르는 말.
33
게걸거리다
상스러운 말로 소리를 지르며 불평스럽게 떠들다
34
관망하다
한발 물러나서 어떤 일이 되어 가는 형편을 바라보다
35
난봉
언행이 허황하고 착실하지 못하여 행실이 좋지 않은 사람
36
연해연방
끊임없이 잇따라 자꾸
37
박두하다
기일이나 시기가 가까이 닥쳐오다
38
버르적거리다
고통스러운 일이나 어려운 고비에서 벗어나려고 팔다리를 내저으며 큰 몸을 자꾸 움직이다
39
풍채
겉으로 드러나 보이는 사람의 모양
40
맡
어떤 일을 하는 바로 그 순간
41
먹음먹이
먹음직한 음식들
42
원원이
어떤 사물이 전해 내려온 그 처음부터, 또는 본디부터
43
숭덩숭덩
연한 물건을 조금 큼직하고 거칠게 자꾸 빨리 써는 모양
44
중대가리
머리를 빡빡 깎은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45
사품
어떤 동작이나 일이 진행되는 바람이나 겨를
46
일변
한편
47
어름어름하다
말이나 행동을 똑똑하게 분명히 하지 못하고 자꾸 우물쭈물하다
48
논다니
웃음과 파는 여자를 속되게 이르는 말
49
생때같다
아무 탈 없이 멀쩡하다
50
허장성세
실속은 없으면서 큰소리치거나 허세를 부림
51
추기
추깃물. 송장이 썩어서 흐르는 물
52
삿자리
갈대를 엮어서 만든 자리
53
주야장천
밤낮으로 쉬지 않고 연달아
54
시진하다
기운이 빠져 없어지다
55
반어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와 반대되는 말로 나타내는 표현 방법
56
역설
겉으로는 모순되거나 불합리해 보이지만 실제로 그 안에 삶의 진실을 담고 있는 표현 방법
57
창의적, 효과적, 신선하고 강한 인상
다양한 표현 방법의 효과
58
이별
서로 갈리어 떨어짐
59
작별
인사를 나누고 헤어짐
60
송별
떠나는 사람을 이별하여 보냄
61
석별
서로 애틋하게 이별함
62
미소
소리 없이 빙긋이 웃음
63
냉소
쌀쌀한 태도로 비웃음
64
폭소
웃음이 갑자기 세차게 터져 나옴
65
환곡
조선 시대에, 곡식을 저장했다가 백성들에게 봄에 꾸어 주고 가을에 이자를 부투여 거두던 일. 또는 그 곡식
66
벙거지
주로 병졸이나 하인이 끄던 털로 만든 검고 두꺼운 모자
67
좌수
조선 시대 지방의 자치 기구인 향청의 우두머리
68
호장
조선 시대 각 관아의 벼슬아치 밑에서 일을 보던 사람 중 우두머리
69
모로
옆쪽으로
70
이수
거리를 '리'의 단위로 나타낸 수
71
요행
뜻밖에 얻는 행운
72
태깔
교만한 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