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M322 Week 4 Flashcards
모든 祛除風濕(거제풍습), 解除痺痛(해제비통)을 주요한 작용으로 하는 약물을 거풍습약(祛風濕藥) 이라 한다. (T/F)
True
다음 중 거풍습약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거풍습약 중 일부는 서근, 통락, 지통, 강근골 등의 작용을 하기 때문에 풍습비통, 근맥구급, 마목불인, 반신불수, 요슬산통, 하지 위약 등의 증상에 사용한다.
2) 비증의 상태와 부위 등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상응되는 약물을 선택하고 적당히 배합해야 한다.
3) 병사가 표에 있거나 혹은 동통이 상부에 주로 편중되어 있을 경우에는 활혈통락약을 배합한다.
4) 한습이 편성한 경우에는 온경약을 배합한다.
5) 대부분 비증은 만성질환에 속하므로 복용하기 편리하게 주체, 혹은 환, 산제로 만들어 항상 복용한다.
3) 병사가 표에 있거나 혹은 동통이 상부에 주로 편중되어 있을 경우에는 활혈통락약을 배합한다.
다음 중 거풍습약을 사용할 때 주의 사항은?
1) 기휴허자 금
2) 양휴허자 신용
3) 혈휴허자 신용
4) 음휴허자 신용
5) 답 없음
(3 혈휴허자 신용, 4 음휴허자 신용)
다음 중 약을 쓸 때, 탕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몸에 있는 걸 씻어낼 때에는 탕을 쓴다.
2) 큰 병이 있을 때 탕을 쓴다.
3) 怪病(괴병)을 蕩滌(탕척) 시킬때 사용
4) 천천히 치료할 때 쓴다.
4) 천천히 치료할 때 쓴다.
다음 중 환제가 우리 몸에 들어왔을 때 나타내는 기능이 아닌 것은?
1) 逐風冷(축풍냉)
2) 破堅積(파견적)
3) 進飮食(진음식)
4) 開通經絡(개통경락)
4) 開通經絡(개통경락)
다음 중 산제가 우리 몸에 들어왔을 때 나타내는 기능은?
1) 調品經絡(조품경락)
2) 可以去風寒暑濕之邪(가이거풍한서습지사)
3) 散五腸之結伏(산오장지결복)
4) 開腸利胃(개장이위)
( 2, 3, 4 )
2) 可以去風寒暑濕之邪(가이거풍한서습지사)
3) 散五腸之結伏(산오장지결복)
4) 開腸利胃(개장이위)
다음 중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風痺(풍비) – 行痺(행비)
2) 寒痺(한비) – 痛痺(통비)
3) 濕痺(습비) – 着痺(착비)
4) 熱痺(열비) – 急痺(급비)
5) 寒痺(한비) - 着痺(착비)
(4, 5)
4) 熱痺(열비) – 急痺(급비)
5) 寒痺(한비) - 着痺(착비)
다음 중 거풍습약이 아닌 것은?
1) 독활
2) 진교
3) 호골
4) 낙석등
5) 곽향
5) 곽향
다음 중 거풍습약이 아닌 것은?
1) 창출
2) 위령선
3) 모과
4) 창이자
5) 희렴초
1) 창출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1) 독활
2) 진교
3) 위령선
4) 상지
5) 송절
1) 독활
다음 중 독활의 성미가 아닌 것은?
1) 寒
2) 苦
3) 甘
4) 辛
5) 溫
( 1 寒, 3 甘)
다음 중 독활의 귀경은?
1) 肺
2) 膀胱
3) 脾
4) 胃
5) 腎
( 2 膀胱, 5 腎)
다음 중 독활의 효능과 주치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祛風濕止痛(거풍습지통)
2) 祛風寒濕(거풍한습)
3) 解表(해표)
4) 治厥陰頭痛(치궐음두통)
5) 齒痛(치통)
( 4 ) 治厥陰頭痛(치궐음두통)
치소음두통
다음중 육경 두통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태양두통 – 강활, 독활, 마황, 천궁지류
2) 소양두통 – 시호, 황금지류
3) 양명두통 – 건갈, 승마, 석고, 백지
4) 태음두통 – 오수유탕
5) 소음두통 – 마황부자세신탕
( 4 ) 태음두통 – 창출, 반하, 남성지류,궐음두통 -오수유탕
다음 중 인경약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태양 – 강활
2) 양명 – 백지
3) 소양 – 오수유
4) 태음 – 창출
5) 소음 – 세신
( 3 ) 소양- 시호, 궐음-오수유
다음 중 독활의 주의사항 및 금기는?
1) 기허발열 금
2) 음허발열 금
3) 무습자 금
4) 양허자 금
5) 혈허자 금
2) 음허발열 금
다음 중 독활의 주요 약대가 잘못 연결 되어 있는 것은?
1) 細辛(세신), 秦艽(진교) - 풍습비 2) 羌活(강활), 藁本(고본), 蔓荊子(만형자) – 외감풍한습 두통 3) 麻黃(마황) - 외감풍한으로 인한 유한, 신통 4) 防風(방풍) - 하지마비 + 白芷(백지) 풍한치통
3) 麻黃(마황) - 외감풍한으로 인한 유한, 신통
독활은 강활에 비해 성격이 완만하다. (T/F)
True
독활과 강활 중에서 거풍하는 작용은 독활이 강하고, 거습하는 작용은 강활이 강하다. (T/F)
False
독활은 주로 임맥, 흉, 복, 하지 陽(양)쪽으로 더 작용한다. (T/F)
False
다음에 보이는 사진은 무슨 약재인가?
1) 독활
2) 진교
3) 위령선
4) 상지
5) 희렴초
2) 진교
다음 중 진교의 성미가 아닌 것은?
1) 苦
2) 辛
3) 微寒
4) 甘
4) 甘
다음 중 진교의 귀경이 아닌 것은?
1) 腎
2) 膽
3) 肝
4) 胃
1) 腎
다음 중 진교의 효능과 주치가 아닌 것은?
1) 祛風濕(거풍습)
2) 解筋腱(해근건)
3) 淸虛熱(청허열)
4) 除濕退黃(제습퇴황)
5) 利尿通淋(이뇨통림)
5) 利尿通淋(이뇨통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