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al Terms Flashcards

(102 cards)

1
Q

Myalgia

A

근육통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Anorexia

A

식욕감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Emesis

A

구토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Diplopia

A

복시(시야가 두 개로 나뉘어 보이는 것)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Oophorectomy

A

난소절제술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Oophorectomy

A

난소절제술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Sham Laparotomy

A

가짜 개복술(실제 수술 목적이 아닌, 대조군 실험 등을 위해 가짜로 개복술을 하는 것)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Porphyria

A

헤모글로빈 생성 관련 질환으로, 포르피린의 과잉축적으로 신경학적 증상, 복통을 유발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Conjunctival Pallor

A

결막 창백(빈혈이나 혈액량 부족에 의해 야기된다) 결막은 눈을 덮는 얇은 막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Pernicious Anemia

A

악성 빈혈(Intrinsic factor depletion, usually because of B12 deficiency)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Position Sensation

A

위치감각(몸의 특정 부위가 공간적으로 어디에 위치했는지를 인지하는 감각으로, 근육의 고유수용기를 통해 기능한다) 결핍은 신경학적 손상(말초신경 손상, 다발성 경화증)을 암시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Sustain

A

지속하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Collision

A

충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Boluses

A

‘볼루스’, 일정량의 약물을 한꺼번에 다량 투여하는 것. 주로 IV로 이루어진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Transient

A

일시적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Babbling

A

옹알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Hemoglobin 정상수치

A

13.5 ~ 17.5 / 12 ~ 16g/dL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Mean corpuscular Volume

A

적혈구의 크기를 구하는 지표(정상수치: 80~100fL)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Diminish

A

줄어들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Normal Glucose Level

A

Fasting: 70~110mg/dL
Random: Below 140mg/dL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Attenuate

A

약화하다. 희석시키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anesthetize

A

마취하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Refractory

A

잘 낫지 않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Diaphoresis

A

발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Choreoathetoid movement
무도무정위증(빠르고 비규칙적으로 발생한느 움직임인 무도증과 꼬이는 움직임인 무정위증이 합쳐진 것)
26
pruritic skin rash
가려움을 동반한 피부 발진
27
Exaggerated Deep tendon Reflexs
과장된 힘줄 반사
28
Clonus
반복적인 근육 경련(주로 손목, 발목, 무릎에서 발생)
29
Homogenized tissue
균질화된 조직
30
intermittent
간헐적인, 불규칙적인
31
Guaiac Test
과아크 검사(대변에서 잠혈을 찾는 검사이다)
32
Bradykinesia
운동 둔화
33
Cogwheel rigidity
끊기는 듯한 경직성(톱니바퀴가 걸리듯, 손목이나 발목을 움직일 때 걸리면서 뚝뚝 끊어지는 것 같은 경직성)
34
Dysautonomia
자율신경계 이상
35
Orthostatic Hypotension
기립성 저혈압
36
Thromboembolic Occlusion
혈전 색전증
37
Opthalmoplegia
안구운동마비
38
Dyspnea
호흡곤란
39
nausea
메스꺼움
40
palpitation
심계항진(심장이 갑자기 빨리 뛰거나 불규칙하게 뛴다고 느껴지는 현상)
41
Diabetes Insipidus
요붕증(당배출없이 수분이 과하게 배출되는 상황, 주로 ADH의 결핍이 이루어지는 뇌손상 등의 상태일 때에 야기된다)
42
Consistant
일관된
43
Lethargic But Arousable
기면상태(심각한 혼수상태와는 구별되는 것으로, 깨어나기는 하지만 반응이 둔한 상태를 의미한다)
44
End organ hypoperfusion
말단 저관류 현상
45
Diminish
줄어들다
46
Facial Droop
안면 처짐
47
Hemiparesis
편마비
48
Opacity
혼탁
49
Frontal Bossing
전두엽 돌출
50
Osteopenia
골감소증
51
Cupping & Fraying
Cupping: Cup의 변형 Fraying: 마모
52
bone resorption
뼈의 내용물을 흡수해서 혈류로 보내는 것
53
bone mineralization
뼈 미네랄화로 뼈를 더 단단하게 만드는 것
54
Periorbital Tissue
눈 주위 조직
55
Suboptimal blood pressure control
혈압 조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
56
Agitated
초조해하는, 불안해하는
57
Abdominal Distension
복부팽만
58
Decreased Liver Span
간 크기 축소
59
Esophageal Varices
식도정맥류
60
beligerent
호전적인
61
Postmortem Examination
부검
62
Postpartum
출산 후
63
Epistaxis
코피
64
Scant
적은 양의
65
Oozes
서서히 흘러나오다, 스며나오다
66
Nares
콧구멍
67
Nares
콧구멍
68
Perforation
천공
69
Contralateral Eye
반대쪽 눈
70
Robust
강력한, 강건한, 튼튼한
71
Poor skin Turgor
피부 탄력성과 회복성이 떨어지는 것
72
Gravida 4 Para 4
Gravida: 임신 횟수, Para: 출산 횟수
73
Flank pain
옆구리 통증
74
Anamnestic antibody response
2차 항체 면역 반응
75
Urticaria
두드러기(홍반과 팽진)
76
Pruitis
가려움증
77
Avidity vs Affinity of Ig
둘 다 친화력을 의미하지만, Affinity는 하나의 Fab의 결합능력을 의미한다면 Avidity는 Total Ig의 결합력을 의미한다.
78
Lungs are clear on asculation
폐에 쎅쎅 거림이나 다른 특이사항이 없는 것
79
Left Costovertebral Angle Tenderness
“Left costovertebral angle tenderness” refers to pain or discomfort in the area where the lower ribs meet the spine on the left side of the body. This area, known as the costovertebral angle (CVA), is located just below the ribs, near the kidneys. Tenderness in this area can be a sign of issues such as kidney infection (pyelonephritis), kidney stones, or other conditions affecting the organs in that region. It is often assessed during a physical examination by tapping or applying gentle pressure to the area.
80
Pallor
창백
81
Dullness & Percussion
Dullness & Percussion 한국어 번역 • Dullness: 둔탁음 • Percussion: 타진 의학적 정의 1. Percussion (타진): • 신체를 두드리며 내부 장기의 상태를 진단하는 의학적 검사법입니다. • 소리를 통해 장기 밀도나 공기의 양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Dullness (둔탁음): • 타진 시 나오는 둔탁한 소리로, 보통 공기가 아닌 고체나 액체가 많은 조직이나 장기에서 발생합니다. • 예시: 간, 심장, 흉부의 액체 축적(흉수), 또는 복부의 종괴 등. Percussion의 3가지 주요 음 1. Resonance (공명음): 공기가 많은 폐에서 들림. 2. Dullness (둔탁음): 밀도가 높은 조직(간, 심장, 흉수 등). 3. Tympany (고창음): 공기가 가득한 위장 또는 장에서 들림. 임상적 의미 • Dullness는 비정상적인 상태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 폐: 폐렴, 폐경색, 폐암 등으로 인해 공기가 줄어든 경우. • 흉강: 흉수가 차 있을 때. • 복부: 종양, 복수 등. 예문 1. 영어: Dullness on percussion of the lower lungs suggests pleural effusion. 한국어: 하부 폐 타진에서 둔탁음이 들리면 흉수를 의심할 수 있습니다. 2. 영어: The physician noted dullness over the liver during percussion. 한국어: 의사는 간 부위를 타진할 때 둔탁음을 확인했습니다. 3. 영어: Percussion revealed dullness in the left flank, indicating possible fluid accumulation. 한국어: 타진 시 왼쪽 옆구리에서 둔탁음이 들려 액체 축적 가능성이 확인되었습니다. 타진법과 둔탁음은 진단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단서로 사용됩니다.
82
Consolidation
Consolidation 한국어 번역 • Consolidation: (폐의) 경화 또는 폐경화 의학적 정의 Consolidation은 폐의 공기가 액체(삼출물), 세포 잔해, 또는 감염 물질로 대체되면서 밀도가 증가한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로 인해 정상적으로 공기 소리를 내야 할 폐가 둔탁한 음(dullness)을 내게 됩니다. 원인 1. 폐렴 • 세균, 바이러스, 진균 감염으로 인해 폐포에 염증과 삼출물이 쌓이는 경우. 2. 폐결핵 • 결핵균 감염으로 폐 조직의 경화가 발생. 3. 폐출혈 • 폐에 혈액이 고이는 경우. 4. 폐경색 • 폐로 가는 혈류가 차단되어 조직이 경화됨. 5. 암 (종양) • 폐에 고형 종양이 자라면서 폐 공기를 대체. 진단적 소견 1. 타진 (Percussion) • Consolidation 부위에서 **둔탁음(dullness)**이 들림. 2. 청진 (Auscultation) • 호흡음이 감소하거나 폐렴에서 **기관지호흡음(bronchial breath sounds)**이 들릴 수 있음. 3. 영상의학 • 흉부 X-ray에서 경화 부위가 흰색 음영으로 나타남. 4. 촉진 (Palpation) • 폐의 진동(촉각진동, tactile fremitus)이 증가할 수 있음. 임상적 특징 • 기침 (건조하거나 가래를 동반) • 발열 • 흉통 • 호흡곤란 • 청진 시 크랙클(crackles) 또는 거품 소리 예문 1. 영어: Chest X-ray revealed consolidation in the right lower lobe. 한국어: 흉부 X선에서 오른쪽 하엽에 경화 소견이 확인되었습니다. 2. 영어: Consolidation is often associated with bacterial pneumonia. 한국어: 경화는 보통 세균성 폐렴과 연관됩니다. 3. 영어: The patient exhibited dullness to percussion and increased tactile fremitus over the consolidated area. 한국어: 환자는 경화 부위에서 타진 시 둔탁음과 촉각 진동수 증가를 보였습니다. Consolidation은 폐렴과 같은 심각한 질환의 징후일 수 있으므로 즉각적인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83
Thoracentesis
Thoracentesis 한국어 번역 • Thoracentesis: 흉강천자 정의 Thoracentesis는 흉강(가슴막강)에 축적된 액체(흉막삼출액)를 제거하거나 진단 목적으로 바늘을 삽입하는 시술입니다. 적응증 1. 진단적 목적 • 흉막삼출액의 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 감염(예: 결핵), 암, 심부전, 폐색전증, 또는 기타 원인으로 인한 흉막삼출 평가. 2. 치료적 목적 • 과도한 흉막삼출액으로 인한 호흡곤란이나 흉통 완화. 시술 과정 1. 준비 단계 • 환자는 보통 앉은 자세에서 몸을 앞으로 숙입니다. • 초음파를 사용하여 액체의 위치를 확인합니다. 2. 바늘 삽입 • 소독 후 국소마취를 실시합니다. • 늑골 바로 위로 바늘을 삽입하여 액체를 제거합니다. 3. 액체 채취 • 흉강에서 액체를 주사기로 흡인합니다. • 진단용 샘플은 분석을 위해 실험실로 보냅니다(단백질, 세포 분석, 감염 검사 등). 합병증 • 기흉: 바늘 삽입 과정 중 폐가 손상되어 공기가 흉강으로 유입될 수 있음. • 감염: 천자 부위에 드물게 감염 발생. • 출혈: 혈관 손상으로 출혈 위험. • 폐부종: 갑작스러운 흉막액 제거로 폐에 체액이 다시 차는 현상. 진단적 가치 흉막삼출액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1. Exudate vs Transudate • Exudate: 염증이나 감염(예: 폐렴, 암). • Transudate: 심부전, 간경변, 신증후군 등. 2. 검사 항목 • 단백질/LDH 비율. • 세포 수치(백혈구, 암세포). • 세균배양 및 그람염색. 예문 1. 영어: The thoracentesis revealed a malignant pleural effusion. 한국어: 흉강천자에서 악성 흉막삼출이 확인되었습니다. 2. 영어: The patient experienced immediate relief after the therapeutic thoracentesis. 한국어: 환자는 치료적 흉강천자 후 즉각적인 완화를 경험했습니다. 3. 영어: A pneumothorax is a potential complication of thoracentesis. 한국어: 기흉은 흉강천자의 잠재적 합병증 중 하나입니다. Thoracentesis는 적절한 위치 확인과 기술이 중요하며, 초음파 유도하에 시행할 때 안전성이 높아집니다.
84
Uncomplicated parapneumonic effusion
Uncomplicated Parapneumonic Effusion 한국어 번역 • Uncomplicated parapneumonic effusion: 단순 폐렴성 흉막삼출 정의 Uncomplicated parapneumonic effusion은 폐렴과 관련된 흉막삼출의 일종으로, 감염이 흉막강으로 직접 퍼지지 않은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염증 반응으로 인해 흉막강에 체액이 축적되지만, 아직 감염되거나 고름(농양)으로 진행되지 않은 단계입니다. 특징 • 흉막삼출액이 무균 상태이며, 감염의 증거가 없습니다. • 염증 반응으로 인해 혈관에서 흉막강으로 체액이 누출된 상태입니다. • 보통 폐렴 치료로 해결되며, 추가적인 외과적 개입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진단 1. 흉막삼출액 분석 (Thoracentesis) • Transudate vs Exudate: 폐렴성 흉막삼출은 보통 삼출액(exudate)입니다. • 분석 결과: • pH: >7.2 (정상에 가깝습니다). • 포도당: >60 mg/dL. • 젖산탈수소효소(LDH): 높으나 복잡한 흉막삼출보다는 낮습니다. 2. 영상학적 검사 • 흉부 X-ray: 폐렴과 관련된 흉막강의 체액 축적 확인. • 초음파: 체액의 양과 성상(복잡성) 평가. • CT 스캔: 필요한 경우, 흉막강의 구조 및 감염 가능성 평가. 치료 1. 항생제 치료 • 원인 폐렴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 경구 또는 정맥 내 항생제가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2. 흉강천자 (필요한 경우) • 진단 목적으로 체액을 제거하지만, 치료적 천자는 보통 필요하지 않습니다. 3. 추적 관찰 • 영상 및 임상 경과로 흉막삼출의 해결 여부를 확인합니다. 예후 • 단순 폐렴성 흉막삼출은 항생제 치료로 대부분 잘 회복됩니다. • 합병증이 거의 없으며, 복잡한 흉막삼출(complicated parapneumonic effusion)로 진행될 가능성이 낮습니다. 복잡한 폐렴성 흉막삼출과 비교 특징 Uncomplicated Complicated pH >7.2 <7.2 포도당 >60 mg/dL <60 mg/dL 흉막삼출 무균 상태 감염 가능성 있음 치료 항생제만으로 충분 흉관 삽입 및 추가 치료 필요 예문 1. 영어: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an uncomplicated parapneumonic effusion that resolved with antibiotics alone. 한국어: 환자는 항생제 치료만으로 해결된 단순 폐렴성 흉막삼출로 진단받았습니다. 2. 영어: Thoracentesis confirmed a pleural fluid pH of 7.35, indicating an uncomplicated effusion. 한국어: 흉강천자에서 흉막삼출액의 pH가 7.35로 확인되어 단순 흉막삼출로 나타났습니다. Note: 치료를 미루거나 부적절한 치료를 받을 경우 복잡한 흉막삼출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85
Erythema
Erythema 한국어 번역 • Erythema: 홍반 (紅斑) 정의 Erythema는 피부 표면이 비정상적으로 붉게 보이는 현상으로, 주로 피부 혈관의 확장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는 염증, 감염, 알레르기, 또는 기타 자극에 의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원인 1. 염증 반응 • 예: 접촉성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두드러기. 2. 감염 • 세균성, 바이러스성, 또는 곰팡이 감염. • 예: 봉와직염, 대상포진, 홍역. 3. 혈관 반응 • 열, 추위, 또는 자외선 노출. • 예: 일광화상. 4. 알레르기 • 음식, 약물, 또는 외부 물질에 대한 반응. 5. 기타 질환 • 전신 홍반성 루푸스 (SLE), 홍반성 구진. 특징 • 피부가 붉고 따뜻하며, 가끔 부어오릅니다. • 경계가 명확하거나 흐릿할 수 있습니다. • 가려움증, 통증, 또는 열감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진단 1. 병력 조사 • 증상 시작 시기, 유발 요인(약물, 알레르기, 감염). 2. 신체검사 • 홍반의 크기, 모양, 경계 확인. 3. 필요한 검사 • 혈액 검사 (염증 지표, 알레르기 검사). • 피부 생검 (특정 피부 질환 의심 시). 치료 1. 원인에 따라 치료 • 염증성: 스테로이드 크림, 항히스타민제. • 감염성: 항생제 또는 항진균제. • 알레르기성: 원인 물질 회피 및 항히스타민제 복용. 2. 대증요법 • 피부 보습제, 냉찜질, 진통제. 예문 1. 영어: The patient presented with erythema on the arms after sun exposure. 한국어: 환자는 햇빛 노출 후 팔에 홍반이 발생했다고 나타났습니다. 2. 영어: Erythema is a common symptom of allergic reactions. 한국어: 홍반은 알레르기 반응의 흔한 증상입니다. 3. 영어: Topical steroids were prescribed to treat the erythema caused by contact dermatitis. 한국어: 접촉성 피부염으로 인한 홍반 치료를 위해 국소 스테로이드제가 처방되었습니다. 홍반은 증상 자체라기보다는 다양한 기저 질환의 징후일 수 있으므로,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86
Grunting
Grunting 한국어 번역 • Grunting: 끙끙거림, 신음소리 정의 Grunting은 사람이나 동물이 힘을 주거나 고통, 노력, 또는 불쾌감을 표현할 때 내는 짧고 낮은 목소리입니다. 특히 의학적으로는 호흡 곤란이 있는 환자에서 관찰되는 비정상적인 호흡음으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상황에 따른 사용 예 1. 일반적인 의미 • 힘든 일을 하거나 무거운 것을 들 때 발생하는 소리. • 예: “He was grunting as he lifted the heavy box.” (그는 무거운 상자를 들며 끙끙거렸다.) 2. 불쾌감 또는 불만을 표현 • 짧고 무례하게 대답할 때. • 예: “The teenager responded with a grunt instead of speaking clearly.” (십대는 명확히 말하는 대신 끙끙거리는 소리로 대답했다.) 3. 의학적 의미 • 신생아 또는 성인에서 폐 문제(예: 호흡곤란 증후군, 폐렴, 천식 등)의 징후. • Grunting Respiration: 공기를 폐 안에 더 오래 유지하려는 노력으로 발생하는 호흡 소리. • 예: “The infant exhibited grunting with each breath, suggesting respiratory distress.” (신생아는 호흡마다 끙끙거리는 소리를 내며 호흡 곤란이 의심되었다.) 4. 동물의 행동 • 돼지, 곰, 또는 다른 동물이 내는 짧고 낮은 소리. • 예: “The pig was grunting loudly in the barn.” (돼지가 헛간에서 큰 소리로 끙끙거렸다.) 유사 표현 및 관련 단어 • Groaning (신음): 주로 고통이나 슬픔을 나타내는 소리. • Sighing (한숨): 피곤하거나 실망할 때 내는 소리. • Moaning (신음): 고통 또는 불평의 표현. 예문 1. 영어: He collapsed onto the couch, grunting in exhaustion. 한국어: 그는 지친 상태로 소파에 쓰러지며 끙끙거렸다. 2. 영어: The patient’s grunting indicated significant respiratory distress. 한국어: 환자의 끙끙거리는 소리는 심각한 호흡 곤란을 나타냈다. 3. 영어: The piglets were grunting as they gathered around their mother. 한국어: 새끼 돼지들은 어미 곁에 모이며 끙끙거렸다. Grunting은 일상적인 상황부터 의학적인 징후까지 다양한 맥락에서 사용되므로, 상황에 따라 정확히 해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87
Primigravid
첫 번째 임신
88
Concordant
Concordant 한국어 번역 • Concordant: 일치하는, 조화를 이루는 정의 Concordant는 의견, 사실, 또는 상황이 서로 조화롭거나 일치함을 나타내는 형용사입니다. • 라틴어 “concordare” (조화를 이루다)에서 유래. • 반의어: Discordant (불일치하는, 조화를 이루지 않는). 의학적 맥락 Concordant는 의학에서 결과나 임상 소견이 일치하는 경우를 나타내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 Concordant Findings: 여러 검사 결과가 같은 결론을 지지할 때. • Concordant Twins: 쌍둥이가 특정 특성(예: 유전병)을 공유하는 경우. 예문 1. 일반적인 문맥: • 영어: The results of the two experiments were concordant. 한국어: 두 실험의 결과는 일치했다. 2. 의학적 문맥: • 영어: The patient’s symptoms were concordant with the diagnosis of pneumonia. 한국어: 환자의 증상은 폐렴 진단과 일치했다. 3. 생물학적 문맥: • 영어: The study found concordant genetic markers among siblings with the same disease. 한국어: 연구는 같은 질병을 가진 형제들 사이에서 일치하는 유전적 표지를 발견했다. Concordant는 다양한 분야에서 “일치”를 강조하며, 논리적 연관성과 신뢰성을 나타내는 데 유용한 표현입니다.
89
Elicit
Elicit 한국어 번역 • Elicit: 끌어내다, 이끌어내다, 유도하다 정의 Elicit는 정보, 반응, 감정 등을 상대방이나 상황에서 이끌어내는 행위를 의미하는 동사입니다. • 라틴어 “elicere” (밖으로 끌어내다)에서 유래. • 주로 심리학, 의사소통, 또는 사회적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의학적 맥락 의학에서 Elicit는 검사나 질문을 통해 환자의 증상, 반응, 또는 정보를 유도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 Elicit a response: 신경학적 검사에서 반사나 반응을 유도함. • Elicit symptoms: 병력 청취 과정에서 증상을 끌어내는 것. 예문 1. 일반적인 문맥: • 영어: The teacher tried to elicit answers from the students. 한국어: 선생님은 학생들에게서 답을 이끌어내려고 노력했다. 2. 의학적 문맥: • 영어: The doctor elicited pain in the abdomen by palpation. 한국어: 의사는 촉진을 통해 복부 통증을 유도했다. 3. 심리학적 문맥: • 영어: The therapist’s question was designed to elicit an emotional response. 한국어: 치료사의 질문은 감정적인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동의어 및 유사 표현 • Extract: (억지로) 끌어내다. • Evoke: (감정, 반응 등을) 불러일으키다. • Induce: (상태나 반응을) 유도하다. Elicit는 주로 “자연스럽게” 정보를 끌어내는 데 초점이 있으며, 강제적인 방법보다는 질문이나 대화 같은 방식에서 사용됩니다.
90
Pooled donor plasma
혼합 공여자 혈장
91
Arthralgias
Arthralgias 한국어 번역 • Arthralgias: 관절통 정의 Arthralgias는 관절의 통증을 의미합니다. 이는 관절 자체의 염증이나 손상이 아닌, 관절 주위에 있는 조직의 문제로 인한 통증일 수 있습니다. 이 통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관절을 움직일 때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원인 1. 염증성 질환: • 류마티스 관절염,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SLE) 등 염증성 질환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2. 감염: • 세균 감염으로 인한 관절염(예: 세균성 관절염). 3. 외상: • 관절에 외상이 가해지거나 과사용으로 인한 통증. 4. 퇴행성 질환: • 골관절염(Osteoarthritis)이나 노화로 인한 연골의 마모. 5. 약물: • 일부 약물이나 치료가 관절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6. 기타: • 자가 면역 질환이나 특정 감염 후 후유증으로 관절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상 • 관절에서의 통증, 불편감, 뻣뻣함. • 움직일 때 통증이 심해질 수 있음. • 일시적인 관절 부기나 발적이 동반될 수 있음. 치료 • 약물치료: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스테로이드 약물 등. • 물리치료: 관절 운동 범위를 개선하고, 통증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 • 원인 치료: 원인이 되는 질환(예: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 • 생활습관 개선: 적절한 운동, 체중 관리, 스트레스 관리 등이 통증 완화에 도움. 예문 1. 영어: The patient complains of arthralgias in both knees and elbows after a recent viral infection. 한국어: 환자는 최근 바이러스 감염 후 양쪽 무릎과 팔꿈치에서 관절통을 호소하고 있다. 2. 영어: Arthralgias can be a symptom of systemic inflammatory diseases like rheumatoid arthritis. 한국어: 관절통은 류마티스 관절염과 같은 전신 염증성 질환의 증상일 수 있다. Arthralgias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92
RBC casts
RBC Casts 한국어 번역 • RBC Casts: 적혈구 원주 정의 RBC Casts는 소변에서 발견되는 적혈구가 포함된 원주를 의미합니다. 원주는 소변 내에서 배출된 신장에서 형성된 고형물로, 보통 신장이나 요로의 손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특히 적혈구 원주는 신장에서 출혈이 발생하고 있다는 강력한 지표입니다. 형성 과정 RBC Casts는 신장의 세뇨관(특히 근위 세뇨관) 내에서 혈액이 필터링되어 발생합니다. 이 혈액은 적혈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뇨관을 통과하면서 원주 형태로 응집되어 소변에 배출됩니다. 이러한 원주는 출혈성 신장 질환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됩니다. 원인 RBC Casts의 발생 원인은 주로 신장 질환과 관련이 있습니다: 1. 급성 사구체 신염 (Acute Glomerulonephritis): • 사구체(Glomerulus)의 염증으로 인해 적혈구가 세뇨관으로 유입되고, 이를 통해 RBC Casts가 형성됩니다. 2. 신증후군 (Nephritic Syndrome): • 신증후군은 사구체의 염증을 포함한 증상으로, RBC Casts의 주요 원인입니다. 3. 급성 신부전 (Acute Renal Failure): • 급성 신부전이 발생하면 혈액이 신장에서 제대로 걸러지지 않으면서 적혈구가 세뇨관을 통과할 수 있습니다. 4. 기타 출혈성 질환: • 출혈성 방광염, 사구체 신염, 이식 후 거부 반응 등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증상 RBC Casts 자체는 증상을 직접적으로 나타내지는 않지만, 이들이 나타나는 질환에서는 다음과 같은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 부종(부기) • 고혈압 • 소변에 혈액이 섞인 현상(혈뇨) • 배뇨 시 통증 • 기타 신장 기능 저하 증상 진단 • 소변 검사 (Urinalysis): RBC Casts는 소변 검사에서 발견됩니다. 현미경 하에서 적혈구가 포함된 원주가 확인됩니다. • 신장 기능 검사: 사구체 필터링 속도(GFR) 측정, 혈액 검사 등으로 신장 기능 저하 여부를 확인합니다. • 기타 영상 검사: 신장의 염증이나 손상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초음파, CT 스캔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치료 RBC Casts가 나타내는 질환의 원인에 따라 치료가 달라집니다: • 급성 사구체 신염: 스테로이드, 면역 억제제 등을 사용해 염증을 완화합니다. • 신증후군: 염증 완화 및 부종 감소를 위한 약물 치료가 필요합니다. • 기타 출혈성 신장 질환: 출혈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예문 1. 영어: The presence of RBC casts in the urine suggests a glomerular cause of hematuria. 한국어: 소변에서 적혈구 원주가 발견되면 혈뇨의 원인이 사구체와 관련이 있음을 나타냅니다. 2. 영어: The patient’s urine sample revealed RBC casts, which is a hallmark of nephritic syndrome. 한국어: 환자의 소변 샘플에서 적혈구 원주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신증후군의 주요 특징입니다. RBC Casts는 신장의 출혈과 염증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원인 질환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93
Constitutional
Constitutional 1. 헌법의 • 헌법과 관련된 것을 나타냄. • 예: The constitutional rights of citizens (시민의 헌법적 권리) 2. 체질의, 체격의 • 사람의 신체적, 생리적 특성과 관련된 것. • 예: He has a constitutional resistance to cold. (그는 선천적으로 추위에 강하다.) 3. 산책(운동)용 (구어) • 건강을 위해 가볍게 산책하거나 활동하는 것. • 예: They went on a morning constitutional. (그들은 아침 산책을 갔다.) 한국어 뜻 • 헌법의 • 체질적인 • 건강 산책
94
Serositis
Serositis (장막염) 정의: 체내 **장막(serosa)**에 염증이 생기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장막은 신체 내 기관을 감싸고 있는 얇은 막으로, 심막(pericardium), 흉막(pleura), 복막(peritoneum) 등이 포함됩니다. 주요 원인: 1. 자가면역질환 • 전신 홍반성 루푸스(SLE) • 류마티스 관절염 • 베체트병 2. 감염 • 세균, 바이러스, 혹은 결핵 감염 3. 외상 • 외과적 시술 또는 물리적 손상 4. 암의 전이 • 암세포가 장막에 퍼질 때 증상: • 염증이 발생한 장막에 따라 증상이 다를 수 있습니다. 1. 심막염 • 흉통 • 숨 가쁨 • 심박동 이상 2. 흉막염 • 흉통(숨 쉴 때 악화됨) • 마른 기침 • 숨 가쁨 3. 복막염 • 복부 통증 • 발열 • 구토 진단: • 신체검사 • 혈액검사: 염증 지표(CRP, ESR), 자가항체 검사(ANA 등) • 영상검사: X-ray, CT, MRI • 체액 분석: 흉수나 복수의 채취 후 검사 치료: 1. 염증 조절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 • 스테로이드 2. 기저질환 치료 • 자가면역질환 치료(면역억제제, 생물학적 제제) 3. 감염 치료 • 항생제 또는 항바이러스제 참고: Serositis는 단독 질환이라기보다 다른 질환의 증상이나 합병증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95
Peritonitis
Peritonitis (복막염) 정의: **복막(peritoneum)**에 염증이 생기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복막은 복부 내 장기를 감싸고 있는 얇은 막으로, 염증은 감염, 외상, 또는 다른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원인: 1. 감염성 복막염 • 세균성 감염 • 소화기 천공(위궤양, 충수염, 게실염 등) • 복부 수술 후 감염 • 결핵성 복막염 • 결핵균에 의한 만성 감염 2. 비감염성 복막염 • 자가면역질환 (예: 루푸스) • 복막 투석 중 합병증 3. 화학적 자극 • 담즙, 췌장액, 소변, 혈액 등이 복막에 누출될 경우 증상: • 복부 통증: 날카롭고 심하며 만지면 악화됨 • 발열: 감염으로 인한 체온 상승 • 메스꺼움 및 구토 • 복부 팽만: 장의 마비로 인한 가스 축적 • 탈수 증상: 혈압 저하, 빠른 맥박 • 쇼크 증상: 심한 경우 혼란, 의식 소실 진단: 1. 신체검사 • 복부 경직(guarding), 반발압통(rebound tenderness) 2. 혈액검사 • 백혈구 증가, 염증 지표 상승(CRP, ESR) 3. 영상검사 • X-ray: 공기나 액체 누출 확인 • CT: 복부 감염이나 천공 부위 확인 4. 복수 검사 • 천자 후 배양검사 및 세포 분석 치료: 1. 원인 치료 • 항생제: 감염성 복막염 치료 • 수술: 소화기 천공, 농양 제거 등 2. 지지 요법 • 정맥 수액 공급 • 통증 관리 3. 예방 • 복막 투석 환자의 무균 기술 교육 • 조기 원인 질환 치료 중요: 복막염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응급상태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96
Pancytopenia
Pancytopenia (범혈구감소증) 정의: 혈액 내 모든 주요 세포 성분(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의 수치가 감소한 상태를 말합니다. 주요 원인: 1. 골수의 기능 이상 • 재생불량성 빈혈 • 골수이형성증후군(MDS) • 골수 섬유증 2. 골수 억제 요인 • 항암제, 방사선 치료 • 약물(예: 클로람페니콜) • 바이러스 감염(예: EBV, HIV, 파르보바이러스 B19) 3. 골수 침범 • 백혈병 • 림프종 • 전이성 암 4. 비골수성 원인 • 비타민 B12 또는 엽산 결핍 • 자가면역질환 (예: 전신홍반루푸스) • 감염 (예: 결핵, 말라리아) 증상: 1. 적혈구 감소 (빈혈) • 피로 • 창백함 • 숨 가쁨 2. 백혈구 감소 (감염 위험 증가) • 빈번한 감염 • 열 3. 혈소판 감소 (출혈 경향) • 쉽게 멍이 듦 • 잇몸 출혈 • 코피 진단: 1. 혈액검사 • 전혈구 검사(CBC):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모두 감소 2. 골수검사 • 골수 흡인 및 생검: 골수의 기능, 침범 여부 확인 3. 기타 검사 • 비타민 B12/엽산 농도 • 바이러스 감염 검사 • 자가항체 검사 치료: 1. 원인 치료 • 약물 중단: 원인 약물이 있다면 중단 • 감염 치료: 항생제 또는 항바이러스제 사용 • 영양 결핍 교정: B12 또는 엽산 보충 2. 지지 치료 • 수혈(적혈구 또는 혈소판) • 감염 예방을 위한 격리 및 항생제 3. 중증 환자 • 조혈모세포 이식(Bone marrow transplant) • 면역억제제 사용 (재생불량성 빈혈의 경우) 중요: Pancytopenia는 원인이 다양하고, 빠르게 치료하지 않으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므로 철저한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97
Leptomeningeal Inflammation
Leptomeningeal Inflammation (연수막 염증) 정의: Leptomeningeal inflammation은 뇌와 척수를 덮고 있는 두 층의 얇은 막(연막과 거미막, leptomeninges)에 염증이 생긴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 상태는 주로 감염, 자가면역 반응, 종양성 질환, 또는 약물 반응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주요 원인: 1. 감염성 • 세균성 뇌막염: Neisseria meningitidis, Streptococcus pneumoniae • 바이러스성 뇌막염: Enterovirus, HSV • 결핵성 뇌막염: Mycobacterium tuberculosis • 진균성 뇌막염: Cryptococcus, Candida 2. 자가면역/염증성 질환 • 사르코이드증 • 전신홍반루푸스(SLE) • 베체트병 3. 암성 원인 • 암성 연수막염(Leptomeningeal carcinomatosis): 종양 세포가 연수막을 침범 (예: 유방암, 폐암, 림프종) 4. 약물 또는 독성 반응 • 특정 약물(예: 면역억제제) • 방사선 치료 증상: 1. 전신 증상 • 발열 • 두통 • 피로 2. 신경학적 증상 • 목 경직 • 의식 변화 (혼돈, 졸림) • 발작 • 국소 신경학적 징후 (예: 마비, 감각 이상) 3. 기타 • 메스꺼움, 구토 • 광선 공포증 (빛에 대한 민감성) 진단: 1. 뇌척수액(CSF) 검사 • 요추천자를 통해 채취 • 세포 수 증가, 단백질 증가, 포도당 감소, 병원체 검출 2. 영상검사 • MRI: 연수막의 조영증강으로 염증 확인 • CT: 구조적 이상 확인 3. 혈액검사 • 염증 또는 감염 표지자(CRP, ESR) • 자가면역 항체 4. 특정 병원체 검사 • PCR 검사 (바이러스, 결핵) • 배양 검사 치료: 1. 원인에 따른 치료 • 세균성 감염: 광범위 항생제(예: 세프트리악손, 반코마이신) • 바이러스성 감염: 항바이러스제(예: 아시클로버) • 진균성 감염: 항진균제(예: 암포테리신 B) • 결핵성 뇌막염: 항결핵제 + 스테로이드 2. 증상 관리 • 스테로이드: 염증 억제 및 부종 감소 • 항경련제: 발작 관리 3. 암성 원인 • 화학요법, 방사선치료, 또는 연수막강 내 약물 투여 4. 자가면역 질환 • 면역억제제(스테로이드, 메토트렉세이트) 중요: Leptomeningeal inflammation은 신경학적 응급 상황으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98
Macular degeneration
Macular Degeneration (황반변성) 정의: Macular degeneration은 망막의 중심부에 있는 황반(macula)이 손상되어 중심 시력이 저하되는 안질환입니다. 주로 노화와 관련이 있으며, 시력 저하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힙니다. 종류: 1. 건성 황반변성 (Dry Macular Degeneration) • 황반 아래 드루젠(drusen)이라는 노폐물 침착물이 쌓이면서 점진적으로 황반이 손상됨. • 진행이 느리고 비교적 흔한 형태(약 85-90%). 2. 습성 황반변성 (Wet Macular Degeneration) • 비정상적인 신생혈관이 생기고, 이 혈관이 터지거나 누출되어 황반 손상이 빠르게 진행됨. • 심각한 형태로 시력 상실이 급격히 나타남(약 10-15%). 원인: 1. 노화 (주요 요인) 2. 유전적 요인 • 가족력. 3. 환경적 요인 • 흡연. • 자외선 노출. 4. 심혈관계 문제 • 고혈압, 고지혈증. 5. 비만 및 영양 부족 • 항산화제 부족. 증상: • 초기에는 무증상일 수 있음. • 점진적인 중심 시력 저하. • 변형시 (Metamorphopsia): 직선이 물결처럼 보임. • 암점: 중심부가 어두워지거나 흐려짐. • 색상 구분 어려움: 대비와 선명도가 감소. 진단: 1. 안과 검사 • 시력 검사. • 암슬러 격자 검사(Amsler Grid): 직선 왜곡 확인. 2. 안저 촬영 및 검사 • 황반 상태와 드루젠 확인. 3. 형광안저조영술(FA) • 신생혈관 여부 확인. 4. OCT (광학 단층 촬영) • 황반의 단층 이미지를 통해 손상 확인. 치료: 1. 건성 황반변성: • 특별한 치료법은 없으나 진행 속도를 늦추기 위해 AREDS2 비타민 보충제(항산화제, 아연 포함) 권장. • 건강한 식단 유지(잎채소, 오메가-3 지방산 섭취). 2. 습성 황반변성: • 항-VEGF 주사 • 비정상 신생혈관 생성을 억제. • 예: 베바시주맙(Bevacizumab), 라니비주맙(Ranibizumab). • 레이저 광응고술 • 비정상 혈관 제거를 위한 레이저 치료. • 광역학 요법 (PDT) • 약물과 빛을 결합한 치료로 신생혈관 억제. 예방 및 관리: 1. 건강한 생활습관 • 금연, 적절한 체중 관리. 2. 균형 잡힌 식단 • 항산화제와 루테인/제아잔틴 함유 음식 섭취(시금치, 케일 등). 3. 정기적인 안과 검사 • 조기 발견이 중요. 4. 자외선 차단 • 선글라스 착용. Note: 황반변성은 완치보다는 진행을 늦추는 치료가 중심이므로, 조기 발견 및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99
Abnormal girth
Abnormal Girth (비정상적인 복부 둘레) 정의: Abnormal girth는 복부 둘레가 비정상적으로 커지거나 작아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는 다양한 질환이나 상태와 관련될 수 있습니다. 원인: 1. 복부 팽창 • 장폐색(Intestinal obstruction): 장 내 가스나 내용물 축적으로 인해 팽창. • 복수(Ascites): 복강 내 체액 축적. • 소화불량: 가스가 차거나 과민성 장증후군(IBS). 2. 비만 • 내장 지방 축적으로 복부 둘레 증가. 3. 장기 비대 • 간 비대(간경변, 간암). • 비장 비대(혈액질환, 감염). 4. 임신 • 특히 복부의 갑작스러운 증가. 5. 근육 약화 • 복벽 탈장. 6. 기타 질환 • 종양(복강 내 종양). • 대사성 질환(쿠싱증후군). 진단 방법: 1. 병력 청취 및 신체검사 • 복부 둘레 측정 및 시각적 관찰. 2. 影상 진단 • 초음파, CT, MRI 등으로 복부 내부 상태 확인. 3. 실험실 검사 • 간 기능 검사, 혈액 검사. 4. 특정 상태 배제 • 예: 임신 테스트, 종양 표지자 검사. 치료: • 원인에 따라 다름. • 복수: 이뇨제 투여 및 복수 천자. • 장폐색: 수술 또는 비수술적 치료. • 비만: 식단 조절 및 운동. • 종양: 암 치료(수술, 방사선, 화학요법). Note: Abnormal girth는 단순한 외형상의 변화뿐 아니라, 중요한 질병의 징후일 수 있으므로 원인 파악이 중요합니다.
100
Ductal Carcinoma
Ductal Carcinoma (관암종, 관상암) 정의: Ductal carcinoma는 유관(젖샘관) 세포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유방암의 가장 흔한 형태입니다. 이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유형: 1. Ductal Carcinoma In Situ (DCIS, 비침습성 유관암) • 암세포가 유관 내에만 국한되어 있으며 주변 조직으로 침범하지 않은 초기 단계. • 생명에 직접적인 위협은 적지만 치료하지 않으면 침습성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음. 2. Invasive Ductal Carcinoma (IDC, 침습성 유관암) • 유관을 벗어나 주변 유방 조직으로 퍼진 상태. • 유방암의 약 80%를 차지하며, 림프절이나 다른 장기로 전이 가능. 증상: • 초기 단계에는 무증상일 수 있음. • 진행되면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 • 유방이나 겨드랑이에 덩어리 또는 종괴. • 유두 분비물(특히 혈성). • 유방 피부의 변화(함몰, 발적, 오렌지 껍질 같은 질감). • 유두의 위치 변화나 함몰. 진단: 1. 임상 검사: • 유방 촉진을 통한 종괴 확인. 2. 影상학적 검사: • 유방촬영술(Mammography): 미세석회화나 종괴 확인. • 초음파: 유방 조직 구조 평가. • MRI: 유방암의 범위 및 다른 병변 확인. 3. 생검: • 조직 검사를 통해 암세포 확인 및 병리학적 분석. 치료: 1. 비침습성 DCIS: • 수술(유방보존술 또는 유방 절제술). • 방사선치료와 항호르몬 요법 병행 가능. 2. 침습성 IDC: • 수술: 유방보존술(Lumpectomy) 또는 유방절제술(Mastectomy). • 림프절 절제: 전이 여부 확인 및 치료. • 방사선 치료: 암의 재발 방지. • 화학요법: 전이 가능성이 높거나 진행된 암에서 사용. • 항호르몬 요법: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ER+)인 경우. • 표적치료: HER2 양성 암에서 사용. 예후: • 암의 병기(스테이지), 유형, 치료 반응에 따라 다름. • DCIS: 조기 발견 시 완치율이 매우 높음. • IDC: 조기 치료 시 생존율이 높으나, 진행된 경우 예후가 악화될 수 있음. Note: 유방암 조기 발견을 위해 정기적인 유방검사와 유방촬영술이 중요합니다.
101
scalloped
Scalloped • Meaning: • (1) 가리비 모양의, 부채꼴의: 가장자리가 둥글게 겹쳐지거나 부채꼴 형태로 장식된 모양을 나타냄. • (2) 그라탱 조리법을 사용한: 음식(특히 감자, 해산물 등)을 크림이나 치즈 소스와 함께 오븐에서 구운 방식. • Pronunciation: [스캘럽트] • General Feeling and Usage: • 장식적인 요소를 강조할 때 사용되며, 천이나 가구, 건축 디자인에서 자주 등장함. • 요리에서는 크림 소스와 함께 구운 요리를 의미하며, 주로 서양 요리에서 볼 수 있음. • 예문: • “She wore a dress with a scalloped lace hem.” (그녀는 가리비 모양의 레이스 가장자리가 달린 드레스를 입었다.) • “We had scalloped potatoes for dinner.” (우리는 저녁으로 그라탱 감자를 먹었다.) • “The edges of the mirror were scalloped for an elegant touch.” (거울의 가장자리는 우아한 느낌을 위해 부채꼴 모양으로 장식되었다.)
102
vacuolated
Vacuolated • Meaning: • (1) 액포가 있는, 공포(空胞)가 존재하는: 세포 내에 하나 이상의 **액포(vacuole)**가 포함된 상태를 의미함. • (2) 공허한 구조를 가진: 세포나 조직이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냄. • Pronunciation: [배큐어-레잇티드] • General Feeling and Usage: • 주로 **세포학(cell biology)**에서 사용되며, 세포 내부의 특정 구조적 특징을 설명할 때 쓰임. • 병리학에서도 세포의 변화(예: 퇴화, 변성)를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음. • 예문: • “The vacuolated cytoplasm indicates cellular degeneration.” (액포가 포함된 세포질은 세포의 퇴화를 나타낸다.) • “Under the microscope, the vacuolated cells were clearly visible.” (현미경 아래에서 액포가 있는 세포들이 명확하게 보였다.) • “Certain types of macrophages become highly vacuolated after engulfing debris.” (일부 대식세포는 잔해를 포식한 후 매우 액포화된 상태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