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GY Flashcards
Test (85 cards)
30세 임신 22주인 미분만부가 정기 산전진찰을 위해 왔다. 초음파 검사에서 단태아 450g, AFI가 4 이었다.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① 입술갈림증 ② 콩팥이형성증 ③ 연골무형서증 ④ 십이지장폐쇄증 ⑤ 자궁내 풍진감염
② 콩팥이형성증
30세 임신 39주의 미분만부가 물같은 질 분비물로 왔다. 질경 검사에서 니트라진 파란색이었고, 골반검사에서 자궁경부 2cm 개대, 70% 소실도, 태아하강도는 -3 이었다. 초음파상 태반은 자궁 전벽에 위치하고 태아는 단태아 3,200g, 둔위, 양수지수는 1cm이었다. 비자극검사에서 태아심음은 반응성, 자궁수축은 규칙적으로 5분 간격 30torr로 있었다. 가장 적절한 처치는? ① 리토드린 ② 양수주입 ③ 유도분만 ④ 제왕절개수술 ⑤ 1주 후 추적 검사
④ 제왕절개수술
31세 임신 31주 미분만부가 복부팽만, 호흡곤란, 외음부 부종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서있을 때만 호흡이 가능할 정도로 호흡곤란이 심했고, 자궁저고 37cm, 자궁벽의 심한 긴장으로 태아는 잘 촉지되지 않았다. 초음파상 태반은 자궁 후벽에 위치하고 태아는 단태아로 횡위, 양수지수는 27 cm 이었다. 원인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① 양수파막 ② 식도폐쇄증 ③ 임신성고혈압 ④ 콩팥무형성증 ⑤ 비스테로이드성진통제 사용
② 식도폐쇄증
17세 여자가 초경이 없다고 왔다. 외부성기는 정상 여성의 모양이었고 질은 짧고 막혀있었다. 유방발달은 태너척도 2단계를 보였다. 초음파 검사에서 자궁이 보이지 않았다. 감별진단을 위하여 다음으로 할 검사는? ① LH ② TSH ③ B-hCG ④ 염색체검사 ⑤ 자기공명영상검사
④ 염색체검사
뮬러리안관으로부터 발생하지 않는 것은? ① 난소 ② 자궁 ③ 나팔관 ④ 난관채 ⑤ 질상부
① 난소
27세 임신 39주의 미분만부가 진통으로 내원하였다. 내원 당시 골반검사에서 자궁경부 개대 5cm 하강도 -1 이었다. 1시간 뒤 갑자기 산모가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다가 통증이 사라졌다고 했다. 태아 심장박동은 분당 150회에서 60회로 감소하였다. 내진 상 태아 선진부가 만져지지 않았다. 의심되는 진단은? ① 자궁내번 ② 전치태반 ③ 자궁파열 ④ 자궁무력증 ⑤ 태반조기박리
③ 자궁파열
30세 임신 40주의 미분만부가 3,800g 남아를 분만하였다. 태반은 쉽게 만출되었으나 계속 출혈이 지속되었다. 자궁저부는 배꼽아래에서 단단하게 만져졌다. 자궁경부와 질 등의 산도 열상은 없었다. 다음으로 의심해야 하는 진단은? ① 자궁내번 ② 잔류태반 ③ 자궁파열 ④ 자궁무력증 ⑤ 태반조기박리
③ 자궁파열
32세 임신 35주의 미분만부가 복통과 질출혈로 왔다. 내원 당시 160/110mmHg, 맥박은 95/min 이였고, 태아 심음은 산모의 좌측하복부에서 분당 100회로 청취되었다. 자궁수축은 불규칙적으로 있었다. 초음파 검사에서 단태아 2,100g, 두정위, 태반은 앞쪽에 위치하였다. 골반검사에서 자궁경부 1cm 개대, 소실도는 0%였고, 자궁경부를 통해 출혈이 지속되고 있었다. 의심되는 진단은? ① 유산 ② 전치태반 ③ 자궁내번 ④ 자궁무력증 ⑤ 태반조기박리
⑤ 태반조기박리
18세 여자가 무월경으로 왔다. 키는 또래보다 작아보였고, 가슴이 넓었다. 외부성기는 정상 여성 모양이었고, 음모는 tanner stage 2 정도 되었으나 유방은 발달하지 않았다. 초음파에서 자궁은 정상크기였다. 감별진단을 위하여 다음으로 필요한 검사는? ① MRI ② 심장초음파 ③ 코티졸 수치 ④ 염색체 검사 ⑤ 임신반응검사
④ 염색체 검사
35세 임신 39주 미분만부가 4,000g 여아를 분만하였다. 태반 만출 후에도 500ml 이상의 질출혈이 지속되고 있다. 배꼽 근처에서 자궁저부가 단단하게 만져졌다. 산전 검사에서 태반은 자궁저부에 위치하고 있었고 부태반은 관찰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의심할 수 있는 진단은? ① 자궁내번 ② 잔류태반 ③ 산도열상 ④ 자궁무력증 ⑤ 태반조기박리
③ 산도열상
선천성기형(birth defects)의 원인으로 가장 많은 것은? ① unknown ② drug ③ infection ④ genetic factor ⑤ multifactorial factor
① unknown
선천성 심장기형 중 분만 직후 청색증으로 인한 응급처치가 필요한 질병이 아닌 것은? ① 대혈관전위 ② 대동맥축착증 ③ 승모판폐쇄부전 ④ 총폐정맥환류이상 ⑤ 형성저하성 좌심증후군
③ 승모판폐쇄부전
다음 중 다인자성 유전인 것은? ① 다운증후군 ② 입술갈림증 ③ 취약X증후군 ④ 디조지증후군 ⑤ 프래더윌리증후군
② 입술갈림증
다음 산전검사 중 확진 검사(confirmative test)는? ① NT (Nuchal translucency) ② amniocentesis ③ Quadruple test ④ Integrated test ⑤ cell-free fetal DNA (NIPT)
② amniocentesis
32세 임신 10주인 미분만부가 유산을 진단받고 병원에 왔다. 과거력 상 임신 6주에 자연유산을 한 경우가 한 번 있다고 하였다. 그 외에는 부부 모두 특이소견 없었다. 자궁내막소파수술 후 유전자 검사를 했더니 다음과 같이 나왔다고 할 때, 다음 중 부모 유전자 검사가 반드시 필요한 경우는? ① 45,X ② 46,XX ③ 47,XY,+21 ④ 46,XX,inv(9) ⑤ 45,XX,der(13;14)(q10;q10)
⑤ 45,XX,der(13;14)(q10;q10)
인구 천명당 출생수? ① 합계출산율 ② 일반출산율 ③ 출생률 ④ 조출생률 ⑤ 출산
③ 출생률
쌍태임신의 일반적인 특징이다. 틀린 것은? ① 최근 불임 시술의 증가로 쌍태 임신 증가하고 있다. ② 이란성 쌍태는 유전적, 인종적 차이가 있다. ③ 쌍태에서 유산은 단태에 비하여 높은편이다. ④ 이란성 쌍태는 완전히 다른 태아 두 명이 있는 것이다. ⑤ 단태아 임신에 비하여 쌍태에서 선천성 기형 발생 비율은 차이가 없다.
⑤ 단태아 임신에 비하여 쌍태에서 선천성 기형 발생 비율은 차이가 없다.
다음 중 쌍태임신에서 일반적인 산전처지에서 틀린 것은? ① 쌍태임산부의 분만은 질식 자연 분만이 원칙이다. ② 산전 검사는 주기적인 초음파 검사가 중요하다. ③ 식이는 일반적 산모와 같은 칼로리와 철분량을 투여한다. ④ 조산이 신생아의 이환률과 사망률의 주원인이다. ⑤ 셋 이상의 임신에서 다른 태아의 생존을 위해서 선택적 감수
③ 식이는 일반적 산모와 같은 칼로리와 철분량을 투여한다.
임신 중 변화로 다음 중 맞는 것은?
① 착상 후 자궁내막은 임신에 특화된 자궁 내막인 탈락막으로 변하고 blastocyst 와의 위치에 따라 나뉘는데 blastocyst를 덮고 있는 decidua capsularis 와 blastocyst 밑에서 trophoblast 가 inversion 되는 decidua parietalis, 나머지 부분인 decidua basalis 로 나뉜다.
② 수정 후에 zygote 는 분할을 거치게 되고 morula 시기에 자궁내막강 안으로 들어가게 되고 그 시기는 수정 후 약 3일 후이다.
③ 20주 이전에는 정상적으로 umbilical artery 에 end-diastolic flow 가 존재하지 않다가 20주 이후에 나타나서 임신 기간 내내 존재하게 된다.
④ 같은 a-subunit를 공유하는 hCG 의 반감기는 2시간, LH의 반감기는 36 시간이다.
⑤ 임신 중 cortisol 생성은 감소하지 않지만 clearance 가 증가하기 때문에 혈중 농도는 낮다.
② 수정 후에 zygote 는 분할을 거치게 되고 morula 시기에 자궁내막강 안으로 들어가게 되고 그 시기는 수정 후 약 3일 후이다.
다음 중 맞는 것은?
① 난포의 발달은 여러 단계로 나뉘는데 resting pool에서 primordial follicle로, 이후에 antral follicle로 발달하는 과정은 FSH-dependent하게 일어난다.
② granulosa cell에서 LH receptor가 나타난 이후에는 배란이 되기 전에도 적은 양의 progesterone이 granulosa cell에서 생성된다.
③ early follicular phase에 granulosa cell에서 분비되는 inhibin B는 뇌하수체를 자극해 FSH 생성을 증가시킨다.
④ follicular phase에 dominant follicle이 선택 되고 난 이후에는 혈중 estradiol의 50% 정도가 dominant follicle에서 분비된다.
⑤ luteal phase 내내 FSH는 감소된 상태로 유지되다가 follicular phase 이후부터 증가하기 시작한다.
② granulosa cell에서 LH receptor가 나타난 이후에는 배란이 되기 전에도 적은 양의 progesterone이 granulosa cell에서 생성된다.
다음 중 옳은 것은?
① umbilical cord에는 두 개의 vein과 하나의 artery가 들어있다.
② 40주까지 양수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이후에는 감소하고 만삭에는 1L 정도의 양수가 존재한다.
③ combined hCG molecule은 배란 전에 나타나는 LH surge가 나타난 7~9일 이후에 혈액에서 검출되기 시작한다.
④ blastocyst가 착상이 되면 hCG가 산모의 혈중으로 들어가게 되고 이후에 빠르게 증가하기 시작하여 임신 제 1사분기에는 매 24시간마다 두 배 정도로 증가한다.
⑤ fetal demise 이후에 바로 산모의 혈중 progesterone 농도가 감소하기 시작한다.
③ combined hCG molecule은 배란 전에 나타나는 LH surge가 나타난 7~9일 이후에 혈액에서 검출되기 시작한다.
배란 후 가장 먼저 나타나는 병리조직학적 소견은? ① basal vacuolization ② maximal secretino ③ predecidual reaction ④ stromal edema ⑤ leukocyte infiltration
① basal vacuolization
4주마다 월경을 규칙적으로 하는 여성에서 혈청 estrogen농도가 가장 높은 시기는 언제인가? ① 월경 직전 ② 중기 난포기 ③ 배란 직전 ④ 중기 황체기 ⑤ 월경 직후
③ 배란 직전
다음 중 기초체온표 측정시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호르몬은? ① estrogen ② progesterone ③ FSH ④ prolactin ⑤ inhibin
② progester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