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GY Flashcards

Test (85 cards)

1
Q
30세 임신 22주인 미분만부가 정기 산전진찰을 위해 왔다. 초음파 검사에서 단태아 450g, AFI가 4 이었다.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① 입술갈림증
② 콩팥이형성증
③ 연골무형서증
④ 십이지장폐쇄증
⑤ 자궁내 풍진감염
A

② 콩팥이형성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30세 임신 39주의 미분만부가 물같은 질 분비물로 왔다. 질경 검사에서 니트라진 파란색이었고, 골반검사에서 자궁경부 2cm 개대, 70% 소실도, 태아하강도는 -3 이었다. 초음파상 태반은 자궁 전벽에 위치하고 태아는 단태아 3,200g, 둔위, 양수지수는 1cm이었다. 비자극검사에서 태아심음은 반응성, 자궁수축은 규칙적으로 5분 간격 30torr로 있었다. 가장 적절한 처치는?
① 리토드린
② 양수주입
③ 유도분만
④ 제왕절개수술
⑤ 1주 후 추적 검사
A

④ 제왕절개수술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31세 임신 31주 미분만부가 복부팽만, 호흡곤란, 외음부 부종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서있을 때만 호흡이 가능할 정도로 호흡곤란이 심했고, 자궁저고 37cm, 자궁벽의 심한 긴장으로 태아는 잘 촉지되지 않았다. 초음파상 태반은 자궁 후벽에 위치하고 태아는 단태아로 횡위, 양수지수는 27 cm 이었다. 원인으로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① 양수파막
② 식도폐쇄증
③ 임신성고혈압
④ 콩팥무형성증
⑤ 비스테로이드성진통제 사용
A

② 식도폐쇄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17세 여자가 초경이 없다고 왔다. 외부성기는 정상 여성의 모양이었고 질은 짧고 막혀있었다. 유방발달은 태너척도 2단계를 보였다. 초음파 검사에서 자궁이 보이지 않았다. 감별진단을 위하여 다음으로 할 검사는?
① LH
② TSH
③ B-hCG
④ 염색체검사
⑤ 자기공명영상검사
A

④ 염색체검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뮬러리안관으로부터 발생하지 않는 것은?
① 난소
② 자궁
③ 나팔관
④ 난관채
⑤ 질상부
A

① 난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27세 임신 39주의 미분만부가 진통으로 내원하였다. 내원 당시 골반검사에서 자궁경부 개대 5cm 하강도 -1 이었다. 1시간 뒤 갑자기 산모가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다가 통증이 사라졌다고 했다. 태아 심장박동은 분당 150회에서 60회로 감소하였다. 내진 상 태아 선진부가 만져지지 않았다. 의심되는 진단은?
① 자궁내번
② 전치태반
③ 자궁파열
④ 자궁무력증
⑤ 태반조기박리
A

③ 자궁파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30세 임신 40주의 미분만부가 3,800g 남아를 분만하였다. 태반은 쉽게 만출되었으나 계속 출혈이 지속되었다. 자궁저부는 배꼽아래에서 단단하게 만져졌다. 자궁경부와 질 등의 산도 열상은 없었다. 다음으로 의심해야 하는 진단은?
① 자궁내번
② 잔류태반
③ 자궁파열
④ 자궁무력증
⑤ 태반조기박리
A

③ 자궁파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32세 임신 35주의 미분만부가 복통과 질출혈로 왔다. 내원 당시 160/110mmHg, 맥박은 95/min 이였고, 태아 심음은 산모의 좌측하복부에서 분당 100회로 청취되었다. 자궁수축은 불규칙적으로 있었다. 초음파 검사에서 단태아 2,100g, 두정위, 태반은 앞쪽에 위치하였다. 골반검사에서 자궁경부 1cm 개대, 소실도는 0%였고, 자궁경부를 통해 출혈이 지속되고 있었다. 의심되는 진단은?
① 유산
② 전치태반
③ 자궁내번
④ 자궁무력증
⑤ 태반조기박리
A

⑤ 태반조기박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18세 여자가 무월경으로 왔다. 키는 또래보다 작아보였고, 가슴이 넓었다. 외부성기는 정상 여성 모양이었고, 음모는 tanner stage 2 정도 되었으나 유방은 발달하지 않았다. 초음파에서 자궁은 정상크기였다. 감별진단을 위하여 다음으로 필요한 검사는?
① MRI
② 심장초음파
③ 코티졸 수치
④ 염색체 검사
⑤ 임신반응검사
A

④ 염색체 검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35세 임신 39주 미분만부가 4,000g 여아를 분만하였다. 태반 만출 후에도 500ml 이상의 질출혈이 지속되고 있다. 배꼽 근처에서 자궁저부가 단단하게 만져졌다. 산전 검사에서 태반은 자궁저부에 위치하고 있었고 부태반은 관찰되지 않았다. 다음으로 의심할 수 있는 진단은?
① 자궁내번
② 잔류태반
③ 산도열상
④ 자궁무력증
⑤ 태반조기박리
A

③ 산도열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선천성기형(birth defects)의 원인으로 가장 많은 것은?
① unknown
② drug
③ infection
④ genetic factor
⑤ multifactorial factor
A

① unknown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선천성 심장기형 중 분만 직후 청색증으로 인한 응급처치가 필요한 질병이 아닌 것은?
① 대혈관전위
② 대동맥축착증
③ 승모판폐쇄부전
④ 총폐정맥환류이상
⑤ 형성저하성 좌심증후군
A

③ 승모판폐쇄부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다음 중 다인자성 유전인 것은?
① 다운증후군
② 입술갈림증
③ 취약X증후군
④ 디조지증후군
⑤ 프래더윌리증후군
A

② 입술갈림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다음 산전검사 중 확진 검사(confirmative test)는?
① NT (Nuchal translucency)
② amniocentesis
③ Quadruple test
④ Integrated test
⑤ cell-free fetal DNA (NIPT)
A

② amniocentesis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32세 임신 10주인 미분만부가 유산을 진단받고 병원에 왔다. 과거력 상 임신 6주에 자연유산을 한 경우가 한 번 있다고 하였다. 그 외에는 부부 모두 특이소견 없었다. 자궁내막소파수술 후 유전자 검사를 했더니 다음과 같이 나왔다고 할 때, 다음 중 부모 유전자 검사가 반드시 필요한 경우는?
① 45,X
② 46,XX
③ 47,XY,+21
④ 46,XX,inv(9)
⑤ 45,XX,der(13;14)(q10;q10)
A

⑤ 45,XX,der(13;14)(q10;q10)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인구 천명당 출생수?
① 합계출산율
② 일반출산율
③ 출생률
④ 조출생률
⑤ 출산
A

③ 출생률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쌍태임신의 일반적인 특징이다. 틀린 것은?
① 최근 불임 시술의 증가로 쌍태 임신 증가하고 있다.
② 이란성 쌍태는 유전적, 인종적 차이가 있다.
③ 쌍태에서 유산은 단태에 비하여 높은편이다.
④ 이란성 쌍태는 완전히 다른 태아 두 명이 있는 것이다. 
⑤ 단태아 임신에 비하여 쌍태에서 선천성 기형 발생 비율은 차이가 없다.
A

⑤ 단태아 임신에 비하여 쌍태에서 선천성 기형 발생 비율은 차이가 없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다음 중 쌍태임신에서 일반적인 산전처지에서 틀린 것은?
① 쌍태임산부의 분만은 질식 자연 분만이 원칙이다.
② 산전 검사는 주기적인 초음파 검사가 중요하다.
③ 식이는 일반적 산모와 같은 칼로리와 철분량을 투여한다.
④ 조산이 신생아의 이환률과 사망률의 주원인이다.
⑤ 셋 이상의 임신에서 다른 태아의 생존을 위해서 선택적 감수
A

③ 식이는 일반적 산모와 같은 칼로리와 철분량을 투여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임신 중 변화로 다음 중 맞는 것은?
① 착상 후 자궁내막은 임신에 특화된 자궁 내막인 탈락막으로 변하고 blastocyst 와의 위치에 따라 나뉘는데 blastocyst를 덮고 있는 decidua capsularis 와 blastocyst 밑에서 trophoblast 가 inversion 되는 decidua parietalis, 나머지 부분인 decidua basalis 로 나뉜다.
② 수정 후에 zygote 는 분할을 거치게 되고 morula 시기에 자궁내막강 안으로 들어가게 되고 그 시기는 수정 후 약 3일 후이다.
③ 20주 이전에는 정상적으로 umbilical artery 에 end-diastolic flow 가 존재하지 않다가 20주 이후에 나타나서 임신 기간 내내 존재하게 된다.
④ 같은 a-subunit를 공유하는 hCG 의 반감기는 2시간, LH의 반감기는 36 시간이다.
⑤ 임신 중 cortisol 생성은 감소하지 않지만 clearance 가 증가하기 때문에 혈중 농도는 낮다.

A

② 수정 후에 zygote 는 분할을 거치게 되고 morula 시기에 자궁내막강 안으로 들어가게 되고 그 시기는 수정 후 약 3일 후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다음 중 맞는 것은?
① 난포의 발달은 여러 단계로 나뉘는데 resting pool에서 primordial follicle로, 이후에 antral follicle로 발달하는 과정은 FSH-dependent하게 일어난다.
② granulosa cell에서 LH receptor가 나타난 이후에는 배란이 되기 전에도 적은 양의 progesterone이 granulosa cell에서 생성된다.
③ early follicular phase에 granulosa cell에서 분비되는 inhibin B는 뇌하수체를 자극해 FSH 생성을 증가시킨다.
④ follicular phase에 dominant follicle이 선택 되고 난 이후에는 혈중 estradiol의 50% 정도가 dominant follicle에서 분비된다.
⑤ luteal phase 내내 FSH는 감소된 상태로 유지되다가 follicular phase 이후부터 증가하기 시작한다.

A

② granulosa cell에서 LH receptor가 나타난 이후에는 배란이 되기 전에도 적은 양의 progesterone이 granulosa cell에서 생성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다음 중 옳은 것은?
① umbilical cord에는 두 개의 vein과 하나의 artery가 들어있다.
② 40주까지 양수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이후에는 감소하고 만삭에는 1L 정도의 양수가 존재한다.
③ combined hCG molecule은 배란 전에 나타나는 LH surge가 나타난 7~9일 이후에 혈액에서 검출되기 시작한다.
④ blastocyst가 착상이 되면 hCG가 산모의 혈중으로 들어가게 되고 이후에 빠르게 증가하기 시작하여 임신 제 1사분기에는 매 24시간마다 두 배 정도로 증가한다.
⑤ fetal demise 이후에 바로 산모의 혈중 progesterone 농도가 감소하기 시작한다.

A

③ combined hCG molecule은 배란 전에 나타나는 LH surge가 나타난 7~9일 이후에 혈액에서 검출되기 시작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배란 후 가장 먼저 나타나는 병리조직학적 소견은?
① basal vacuolization
② maximal secretino 
③ predecidual reaction
④ stromal edema 
⑤ leukocyte infiltration
A

① basal vacuolization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4주마다 월경을 규칙적으로 하는 여성에서 혈청 estrogen농도가 가장 높은 시기는 언제인가?
① 월경 직전
② 중기 난포기
③ 배란 직전
④ 중기 황체기
⑤ 월경 직후
A

③ 배란 직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다음 중 기초체온표 측정시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호르몬은?
① estrogen
② progesterone
③ FSH
④ prolactin
⑤ inhibin
A

② progesterone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 확산을 통해 태반을 통과하는 것은? ㈎ H2O ㈏ CO2 ㈐ 마취가스 ㈑ IgM ``` ``` ① ㈎, ㈏, ㈐ ② ㈎, ㈐ ③ ㈏, ㈑ ④ ㈑ ⑤ ㈎, ㈏, ㈐, ㈑ ```
① ㈎, ㈏, ㈐
26
``` 태아 혈관에서 혈액 내 산소가 가장 높은 것은? ① 대동맥 ② 폐동맥 ③ 간정맥 ④ 제대동맥 ⑤ 제대정맥 ```
⑤ 제대정맥
27
``` 다음은 양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것은? ㈎ 양수검사로 태아의 성숙도를 알수있다 ㈏ pH는 5.0-6.0 사이이다. ㈐ 양수는 태아가 움직이게 해주는 매질역할을 한다. ㈑ 임신 40주에 양수량이 최대로 1L 가 된다. ① ㈎, ㈏, ㈐ ② ㈎, ㈐ ③ ㈏, ㈑ ④ ㈑ ⑤ ㈎, ㈏, ㈐, ㈑ ```
② ㈎, ㈐
28
진통 과정 중 태아의 cardinal movement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분만 중 가장 짧은 직경으로 머리를 통과시키기 위해 suboccipito-bregmatic diameter에서 골반에 통과중 flexion을 통해 occipito-frontal diameter로 대체하여 골반을 통과하게 된다. ② flexion 후 internal rotation 과정을 거쳐 pubis를 통과한다. ③ external rotation 후 extension을 통해 분만된다. ④ cardinal movement가 일어나는 pelvic division 은 labor의 2nd stage에 해당한다. ⑤ 이 시기는 cervix의 dilatation이 가장 급격하게 일어나는 시기이다.
② flexion 후 internal rotation 과정을 거쳐 pubis를 통과한다.
29
``` 임신 39주 3일인 27세 초산부가 7분 간격의 진통을 주수로 내원하였다. 진통을 느낀 지 10시간이 경과하고 있으며 통증은 그 강도나 간격이 크게 증가하거나 감소하지도 않는 상태이다. 자궁경부개대도 입원 시 2-3cm 에서 큰 변화가 없는 상태이다. 이 때 고려할 수 있는 것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① epidural analgesia ② Oxytocin augumentation ③ amniotomy ④ cesarean section ⑤ discharge ```
② Oxytocin augumentation
30
임신 39주 5일인 36세 경산부가 맑은 물과 유사한 질분비물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이 때 적절한 대처는? ① 이런 경우 자궁내 감염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고도 분만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항생제 사용을 고려한다. ② 제대탈출(umbilical cord prolapse) 발생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절대 내진을 해서는 안 ③ 빨리 분만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진통촉진제를 사용하여 분만을 유도한다. ④ 귀가하고 진통이 발생하면 다시 내원하기를 권유한다. ⑤ 입원 후 체온은 4시간 간격으로 측정한다.
③ 빨리 분만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진통촉진제를 사용하여 분만을 유도한다.
31
분만실에서 이루어지는 처치에 대해 잘 설명한 것은? ① active labor 동안이라도 금식을 할 필요는 없다. ② 진통 중에는 산모의 부상위험이 있기 때문에 침대에 누워있어야 한다. ③ 자궁경부개대가 2cm 정도 되었을 때부터 산모들은 통증을 심하게 느끼므로 이때 epidural analgesia를 시행하면 분만 진행에 도움이 될 수 있다. ④ 장시간의 진통에도 fetal head가 모체의 골반에 engagement가 안되면 진통을 가속화시키기 위해 amniostomy를 고려할 수 있다. ⑤ 진통하는 동안 fetal well-being monitor는 2nd stage에는 15분 간격으로 시행한다.
⑤ 진통하는 동안 fetal well-being monitor는 2nd stage에는 15분 간격으로 시행한다.
32
``` cesarean delivery의 indication이 아닌 것은? ① Prior ruptured ectopic pregnancy ② Genital HSV infection ③ Cerebral anneurysm ④ Invasive cervical cancer ⑤ Unknown uterine scar type ```
① Prior ruptured ectopic pregnancy
33
임신 37주에서 42주 사이에 분만시기에 따른 neonatal morbidity 및 mortality에 관한 내용이다. 가장 올바른 내용은? ① 임신 37주는 full-term 이기 때문에 이 시기에 elective ceserean delivery를 시도하는 경우 다른 시기에 비해 별다른 합병증이 증가하지 않는다. ② 임신 37주~38주는 아직 immature state이기 때문에 sepsis 발생률이 가장 높다. ③ 임신 38~39주 사이가 여러 종류의 neonetal morbidity 발생률이 가장 낮아 elective cesarean delivery를 시도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이다. ④ 임신 40주를 지나면서 RDS or TTN 발생이 증가하기 시작한다. ⑤ 임신 41~42주는 임신 37~38주에 비해서는 adverse outcome이 적은 편이다.
③ 임신 38~39주 사이가 여러 종류의 neonetal morbidity 발생률이 가장 낮아 elective cesarean delivery를 시도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이다.
34
임신 35주인 37세 경산부가 첫 아이를 제왕절개술 통해 분만하였는데 이번 분만은 자연분만을 하고 싶다고 한다. 이 때 확인하지 않아도 될 것은? ① 제왕절개술을 비롯한 자궁 외에 복강 내 다른 장기 (organ)를 수술한 적 있는 지 물어본다. ② 타병원에서 수술한 경우 수술기록지를 복사해오라고 한다. ③ 초음파를 통해 태아의 위치 및 예상체중을 측정한다. ④ 총 제왕절개술 횟수를 물어본다. ⑤ 산모의 나이 및 비만 여부를 고려한다.
① 제왕절개술을 비롯한 자궁 외에 복강 내 다른 장기 (organ)를 수술한 적 있는 지 물어본다.
35
분만실에서 37세 임신 40주 초산부가 진통중이며 자궁경부는 완전개대되어 질입구에 태아의 머리가 보여 분만을 준비하고 있다. 이 과정에 대한 올바른 설명은? ① 이러듯 모체의 질입구에 태아의 머리가 3~5cm정도 보여 분만을 시도하기 좋은 시점을 molding 이라고 한다. ② 미숙아인 경우 resuscitation을 위해 분만직후 바로 clamping 해야 한다. ③ 태아의 분만 후 태반 만출시기에 탯줄을 잡아당겨서는 안된다. ④ 분만 후 uterine atony 예방을 위해 oxytocin 을 정맥주사를 통해 투여하는데 수액에 혼합시키면 작용속도가 느리므로 bolus로 투여한다. ⑤ 통증을 더 유발하기는 하지만 recto-vaginal fistula 의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해 midline episiotomy 를 선호한다.
③ 태아의 분만 후 태반 만출시기에 탯줄을 잡아당겨서는 안된다.
36
약 2시간 전에 진통을 주소로 임신 39주인 38세 초산부가 내원하였고 이 때 자궁경부는 2cm 개대되어 있어 입원하였다. 그런데 갑자기 심한 통증을 호소하여 내진해보았더니 자궁경부가 완전 개대되었고, station도 (+1)로 태아의 하강도 갑자기 많이 이루어진 상태였다. 이 때 적절한 조치 및 예측할 수 있는 사항은? ① 너무 통증이 심하므로 진통제를 투여한다 ② 분만 후 자궁수축이 과도하게 강할 것이다. ③ 진통의 시간이 다른 사람에 비해 매우 짧은 편이므로 산도열상도 훨씬 적을 것이다. ④ 태아의 skull fracture 또는 brachial palsy의 가능성이 있다. ⑤ oxytocin을 사용하고 있다면 dystocia 예방을 위해 계속 사용한다.
④ 태아의 skull fracture 또는 brachial palsy의 가능성이 있다.
37
임신초기의 유산에 대해 바르게 설명한 것은? ① 전체 abortus의 50%는 chromosomal abnormalities를 갖고 있다. ② 유산이 발생한 주수가 늦어질수록 염색체이상이 유산의 원인이 되는 경우는 감소한다. ③ 유산을 유발하는 염색체이상 중 가장 흔한 단일염색체 질환은 trisomy 21 이다. ④ 아버지의 연령 증가는 유산의 발생과 큰 상관은 없다. ⑤ 대부분의 유산은 임신 5주에서 10주 사이에 발생한다.
② 유산이 발생한 주수가 늦어질수록 염색체이상이 유산의 원인이 되는 경우는 감소한다.
38
임신 7주에 유산을 진단받고 D&C 시행받은 환자가 향후 임신에 관한 상담을 위해 내원하였다. 다음 중 올바른 상담 내용은? ① 생리가 규칙적이었다면 D&C 후 2주 경과 후 배란이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당장 피임을 시작해야 한다. ② 향후 fertility 에 악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높아서 다음 임신 준비기간 중 난임에 관한 검사를 받도록 권한다. ③ D&C 를 반복해서 받게 되면 자궁외임신 가능성이 높아진다. ④ 임신중절의 방법에 따라 향후 임신 중 합병증이 달라지지는 않는다. ⑤ 임신초기 유산이므로 D&C 이후 바로 임신을 계획해도 임신의 예후에 별다른 차이는 없다.
① 생리가 규칙적이었다면 D&C 후 2주 경과 후 배란이 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당장 피임을 시작해야 한다.
39
``` 임신 26주인 34세 경산부가 질출혈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양막은 파열된 상태는 아니었고 cervix length 는 1.5cm, 자궁경부는 1cm 개대되어 있었다. 이 때 시행해야할 적절한 조치는? ① emergency cerclage를 시행한다 ② 자궁수축이 있다면 수축억제제를 쓰면서 절대 안정시킨다 ③ fever이 동반되면 광범위항생제를 시작한다 ④ 응급제왕절개술을 시행한다 ⑤ lamina를 사용한후 D&E를 시행한다. ```
② 자궁수축이 있다면 수축억제제를 쓰면서 절대 안정시킨다
40
평소 생리가 불규칙적인 무월경 8주인 37세 여성이 하복부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urine-HCG(+)이었고, 질출혈은 없는 상태였다. 감별진단을 위해 이후에 고려해야 하는 검사로 가장 적합한 것은? ① CBC & Culdocentesis ② TVS(Transvaginalsonography) & Culdocentesis ③ b-HCG & TVS(Transvaginalsonography) ④ b-HCG & TAS(Transabdominalsonography) ⑤ b-HCG & Progesterone
③ b-HCG & TVS(Transvaginalsonography)
41
무월경 2주에 자궁 외 임신을 진단받은 40세 초산부가 약물을 이용하여 자궁 외 임신을 치료하기를 원한다. 이 때 가장 적절한 처치는? ① MTX는 folic acid antagonist이면서 또한 ovarian reserve에도 영향을 미쳐 다음 임신에 난임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수술적 치료를 권한다. ② Ectopic mass 크기가 5cm이고 fetal cardiac activity가 보이지만 아직 임신 초기이므로 MTX를 이용 ③ MTX로 치료하는 경우 근육통이 증가하고 영양상태가 불량해질 수 있기 때문에 진통제, 영양제 등을 함께 복용하기를 권한다. ④ MTX 투여 3일 후 투여전에 비해 b-HCG 수치가 25% 감소했다면 추가적인 사용 없이 3일 후 다시 채혈 하에 b-HCG 수치의 변화를 비교해본다. ⑤ MTX 치료 후 하복부통증과 출혈은 치료되는 과정의 일반적 증상일 수 있으므로 약 1주간은 지켜본다.
④ MTX 투여 3일 후 투여전에 비해 b-HCG 수치가 25% 감소했다면 추가적인 사용 없이 3일 후 다시 채혈 하에 b-HCG 수치의 변화를 비교해본다.
42
``` 임신 중 맞을 수 없는 예방접종은? ① B형 간염 백신 ② influenza vaccination ③ Tdap백신 ④ MMR ⑤ A형 간염 백신 ```
④ MMR
43
``` 고령 임산부에서 잘 생기지 않는 산과적 위험도는? ① 임신성 당뇨병 (Gestational Diabetes) ② 임신성 고혈압 (Preeclampsia) ③ 새로운 우성 변이 (autosomal dominant mutation) ④ 태아의 홀배수체 염색체 증가 (Aneuploidy) ⑤ 저체중 출생아 (Low birth weight body) ```
③ 새로운 우성 변이 (autosomal dominant mutation)
44
``` 엽산 복용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모든 가임 여성에게 매일 엽산 매일 400 ug 복용을 권장한다. ② 비만 산모에서는 엽산의 복용 권장량을 줄이는 것이 권장된다. ③ 엽산은 신경관 결손 임신의 과거력, 당뇨, 간질약 복용 등의 고위험 산모에게는 매일 고용량인 4 mg을 권장한다. ④ 엽산 복용을 통해 태아의 신경관 결손 발생을 줄일 수 있다. ⑤ 엽산은 임신 1개월 전부터 임신 3개월까지 매일 400ug 복용한다. ```
② 비만 산모에서는 엽산의 복용 권장량을 줄이는 것이 권장된다.
45
``` 비만 산모와 관계가 있지 않는 것은? ① 임신성 고혈압 (gestational hypertension) ② 임신성 당뇨병 (gestational diabetes) ③ 태아큰몸증 (macrosomia) ④ 제왕절개율 증가 (cesarean delivery) ⑤ 쌍태아 (twin pregnancy) ```
⑤ 쌍태아 (twin pregnancy)
46
임신 중 영양관리에 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① 임신시 총 철 요구량은 1000mg 이다. ② 태아와 태반에 필요한 철의 양은 500mg이다. ③ 쌍둥이 임신에서 필요한 철요구량은 단태아의 경우와 같다. ④ 체질량 지수가 정상인 산모의 임신 기간 중 권장되는 체중 증가량은 5~9kg 이다. ⑤ 임신 중에는 비임신시에 비해 1일 500kcal 이상의 섭취가 필요하다.
① 임신시 총 철 요구량은 1000mg 이다.
47
다음 산전 관리에 관한 설명 중 맞지 않은 것은? ① 정상 임신의 경우 임신 36주까지는 4주 마다, 36주 이후에는 매주 정기 산전 관리를 한다. ② 태아 염색체 홀배수체(aneuploidy)선별 검사 시행 시기는 임신 11~14주 또는 임신 15~20주이다. ③ 민감화 되지 않은 Rh음성 임신부에서 임신 28~29주에 항체 선별 검사를 반복 시행하여 항체가 없을 경우 항-D 면역 글로불린을 투여한다. ④ 임신 당뇨병 선별 검사는 임신 24~28주에 시행한다. ⑤ 신경관 결손 혈청 선별 검사는 임신 15~20주에 시행한다.
① 정상 임신의 경우 임신 36주까지는 4주 마다, 36주 이후에는 매주 정기 산전 관리를 한다.
48
``` 34세 임신 37주 3일된 산모가 상복부 통증과 두통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BP 170/120mmHg, Urine protein (+++), platelet 85000/uL, AST 100 IU/L, ALT 90 IU/L 이다. 태아는 두정위로 예상 몸무게는 2340g 이다. 알맞은 처치는? ① 즉시 제왕 절개술을 시행한다. ② 옥시토신으로 분만을 유도한다. ③ 진통이 생길 때까지 기다린다. ④ 폐성숙을 위해 스테로이드를 투여한다. ⑤ 혈압이 지속적으로 떨어질 때까지 기다린다. ```
② 옥시토신으로 분만을 유도한다.
49
전자간증( preeclampsia) 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마그네슘황산염 (magnesium sulfate)를 사용하는 이유는 혈압을 떨어뜨리기 위해서이다. ② 임신성 고혈압의 근본적인 치료는 임신의 종결, 즉 분만이다. ③ 조절되지 않은 고혈압은 조산, 태아 성장지연, 태반 조기 박리, 주산기 사망을 유발할 수 있다. ④ 고령산모, 당뇨, 비만, 만성 고혈압, 쌍둥이 임신이 위험인자이다. ⑤ 심한 고혈압 (160/110 mmHg) 이 있으면서 두통, 시력변화, 상복부 통증이 동반되면 의미 있는 단백뇨가 나오지 않아도 심한 전자간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
① 마그네슘황산염 (magnesium sulfate)를 사용하는 이유는 혈압을 떨어뜨리기 위해서이다.
50
전자간증의 병태 생리와 예방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 ① 전자간증에서 간손상이 동반되면 경증의 전자간증으로 정의할 수 있다. ② 임신 16주 이후의 저용량 아스피린 복용이 전자간증과 그 합병증의 예방에 있어 중등도의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③ 세포 영양막 세포(cytotrophoblast)가 나선 동맥(spiral artery)에 쉽게 침투하지 못하는 것이 전자간증의 중요한 원인으로 생각된다. ④ 혈관 형성 억제 인자인 sFlt-1는 전자간증이 발생하기 전 9~11주 사이에 증가하기 시작한다. ⑤ 중증의 전자간증이 있더라도, 임신 34주 이전이라면 태아의 예후를 고려하여 임신 연장 요법을 시행한다.
③ 세포 영양막 세포(cytotrophoblast)가 나선 동맥(spiral artery)에 쉽게 침투하지 못하는 것이 전자간증의 중요한 원인으로 생각된다.
51
``` 임신 중의 심혈관계의 변화는? ① 심장 박동수 감소 ② 심장 박출량 감소 ③ 전신혈관저항 증가 ④ 폐혈관 저항 증가 ⑤ 좌심실 박출 운동지수 불편 ```
⑤ 좌심실 박출 운동지수 불편
52
``` 심장 질환이 있는 임신부에서 분만 전후 감염심내막염의 발생 위험도가 낮은 경우는? ① 심장제세동기 또는 박동조절기를 가지고 있는 경우 ② 비대심장근육병증 ③ 세균심내막염의 이전 병력 ④ 팔로네증후 (TOF) ⑤ 류마티스 심장 질환 ```
① 심장제세동기 또는 박동조절기를 가지고 있는 경우
53
``` 임신 중 사용할 수 없는 항고혈압제는? ① labetalol ② nifedifine ③ furosemide ④ ACE inhibitor ⑤ Hydrazaline ```
④ ACE inhibitor
54
``` 태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선진부(presenting part)는 산도(birth canal)에 가장 가까이 있는 태아의 몸을 의미한다. ② 태아의 머리, 둔부, 어깨, 손은 모두 선진부가 될 수 있다. ③ 임신 중반기에 둔위는 5% 미만에서 발견된다. ④ 둔위의 경우 제왕절개 수술이 주산기 사망률을 줄일 수 있다. ⑤ 경우에 따라 둔위의 질식분만을 할 수 있다. ```
③ 임신 중반기에 둔위는 5% 미만에서 발견된다.
55
``` 두정위(vertex presentation)가 아닌 태위를 유발하는 요인이 아닌것은? ① 신경관 결손인 태아 ② 다발성 자궁 근종 ③ 거대 자궁 근종 ④ 3번째 임신 ⑤ 쌍각 자궁 ```
① 신경관 결손인 태아
56
``` 임신 34주의 30세 경산모가 양수가 파막되어 내원하였다. 내진 결과 자궁 경부는 3CM 열렸고, 태아의 귀가 만져졌다. 진통은 2분 간격으로 규칙적이었다. 3시간 전에 식사를 하였다고 한다. 이 산모에 대해 맞는 것은? ① 경산모이므로 태위 전환(Version)을 하고 질식 분만 시도한다. ② 무통 주사를 투여하고 회음 절개를 크게 하고 질삭 분만 시도한다. ③ 수술전 금식 시간을 지켜 제왕 절개 수술한다. ④ 조기 진통 억제제를 사용하여 임신을 유지한다. ⑤ 응급 제왕 절개 수술을 한다. ```
⑤ 응급 제왕 절개 수술을 한다.
57
``` 다음 중 조산의 원인이 아닌 것은? ① 저절로 발생한 조기 진통 ② 조기 양막 파수 ③ 임신 중 발생한 질 칸디다 염증 ④ 세쌍둥이 임신 ⑤ 임신 30주에 발견된 양수과소증을 동반한 심각한 태아 발육 부전 ```
③ 임신 중 발생한 질 칸디다 염증
58
임신 29주, 32세 초산모가 주기적인 하복부 불편감으로 내원하였다. 다음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① 조기진통인지 Braxton Hicks contraction인지 감별하기 위해 tocography를 한다. ② 내진(Pelvic exam)은 자궁 경부를 자극하여 조기 진통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하지 않는다. ③ Braxton Hicks contraction은 임신이 진행되면서 증가한다. ④ 산모를 좌측와위로 눕히고 수액을 공급한다. ⑤ 문진을 통해 생리통 양상의 통증이나 허리통증이 있는지 알아본다.
② 내진(Pelvic exam)은 자궁 경부를 자극하여 조기 진통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하지 않는다.
59
다음 중 조산과 자궁경부 길이에 대한 설명 중 바르지 않은 것은? ① 임신 중반기 이후 증상 없는 자궁 경부가 확장은 조산의 위험요소가 된다. ② 자궁 경부의 숙화(effacement)는 보통 임신 32주부터 시작된다. ③ 임신중반기부터 주기적으로 자궁경부 길이를 측정하면 조산 방지에 도움이 된다. ④ 자궁 경부 길이는 증상 없이 갑자기 짧아질 수 있다. ⑤ 임신 20주에 자궁 경부 길이가 2cm이면 자궁 경관 봉합수술을 한다.
② 자궁 경부의 숙화(effacement)는 보통 임신 32주부터 시작된다.
60
``` 임신 제 1삼분기 초음파에서 발견할 수 있는 소견이 아닌 것은? ① 태아의 신경관 결손 ② 태아의 omphalocele ③ 태아 목 투명대 두께 ④ 태아의 심실중격 결손(VSD) ⑤ 우측 난관 임신 ```
④ 태아의 심실중격 결손(VSD)
61
``` 출산 후 자궁감염이 잘 생기는 위험인자가 아닌 것은? ① prolonged labor ② prolonged membrane rupture ③ internal fetal monitoring ④ multiple cervical examination ⑤ one course of betamethasone ```
⑤ one course of betamethasone
62
``` 임신 39주에 정상 질식분만을 한 29세 산모가 분만 5시간후에도 소변을 보지 못하였다. 골반 검사에서 외음부와 산도에 혈종은 없었다. 도뇨관을 삽입하여 측정한 잔뇨가 400mL였다. 적절한 치료는? ① 진통제를 투여한다. ② 3세대 세파로스포린 항생제를 투여한다. ③ 이뇨제를 투여한다. ④ 아랫배 마사지를 시행한다. ⑤ 폴리 도뇨관을 24시간 삽입한다. ```
⑤ 폴리 도뇨관을 24시간 삽입한다.
63
``` 제왕절개술을 시행한 후 3일째 된 산모가 유방 팽만과 동통, 38°C의 열을 호소한다. 적합한 처치로 가장 옳은 것은? ① 유방 농양이 의심되므로 배농한다. ② 3세대 세파로스포린 항생제로 교체한다. ③ 유선염이 의심되므로 수유를 중단시킨다. ④ 유방 마사지를 통한 모유 배출을 독려한다. ⑤ 해열제 및 냉찜질 등은 효과가 없다. ```
④ 유방 마사지를 통한 모유 배출을 독려한다.
64
임신 중 충수돌기염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정상 임신에서도 오심과 구토가 동반되는 경우가 흔해 진단이 어렵다. ② 자궁이 커질수록 충수돌기의 위차가 이동하여 특징적인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③ 백혈구 증가는 정상임신에서 잘 동반되는 소견으로 급성 충수염과의 감별진단에 도움되지 않는다. ④ 신우신염, 조기진통, 자궁근종의 변성으로 인한 통증과 감별이 어렵다. ⑤ 임신 중 복강경 수술은 태아의 주산기이환률을 증가시키므로 개복술을 시행한다.
⑤ 임신 중 복강경 수술은 태아의 주산기이환률을 증가시키므로 개복술을 시행한다.
65
임신 중 자궁경부 침윤성암에 관한 설명중 틀린것은? ① 임신 중에는 검사 및 진찰에 제한이 많아 병기를 낮게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② 같은 병기라면 임신한 산모가 임신하지 않은 환자와 비교해 볼 때 생존율이 낮다. ③ 치료는 병기, 임신 주수 및 임신유지에 대한 환자의 결정사항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④ I & IIA 병기에서는 근치적자궁적출 및 골발 림프절 과청술을 시행한다 ⑤ 임신초기에 치료를 시작한다면 방사선 치료를 시행하고, 유산되지 않으면 소파술을 시행한다
② 같은 병기라면 임신한 산모가 임신하지 않은 환자와 비교해 볼 때 생존율이 낮다.
66
``` 임신 28주 산모가 필리핀으로 태교 여행을 다녀온 직후 발진을 동반한 갑작스러운 발열, 관절통, 결막염, 근육통, 두통 등의 증상을 호소하였다. 다음 중 틀린 것은? ① 이집트 숲모기(Aedes aehypti)가 주된 매개체이다. ② 모기 기피제나 긴 팔, 긴 바지를 사용하여도 감염될 수 있다. ③ 공기를 통한 2차 감염을 막기 위하여 격리병실에 수용한다. ④ 발생 국가에 다녀온 후 증상이 없으면 검사를 받을 필요는 없다. ⑤ 산모에서 태아에게 수직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 ```
③ 공기를 통한 2차 감염을 막기 위하여 격리병실에 수용한다.
67
임신 중 철결핍성 빈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임신과 산욕기의 빈혈의 가장 흔한 원인은 철결핍성 빈혈과 급성 실혈이다. ② 단태아 임신에서 산모에게 필요한 평균 철분요구량은 약 2000gm이다. ③ 심한 철결핍성 빈혈 산모에게서 태어난 신생아는 빈혈을 가지고 태어난다. ④ 임신 중 철결핍성 빈혈은 경구 투여로는 교정이 힘들어 정맥내투입이 필요하다. ⑤ 임신 중 철결핍성 빈혈은 주로 임신 제1삼분기에 생긴다.
① 임신과 산욕기의 빈혈의 가장 흔한 원인은 철결핍성 빈혈과 급성 실혈이다.
68
임신 중 HBsAg+, HBeAg-인 산모에 대한 처치 중 옳은 것은? ① 경과 관찰한다. ② 임신을 종결(termination of pregnancy)한다. ③ 수직감염(vertical transmission)을 예방하기 위해 반드시 제왕절개를 실시한다. ④ 출산 직후 신생아에게 vaccination과 immunoglobulin을 투여한다. ⑤ 모유수유를 하면 안된다.
④ 출산 직후 신생아에게 vaccination과 immunoglobulin을 투여한다.
69
``` 임신 중 영상의학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radioiodine은 산모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사용할 수 있다. ② 임신 중 복부 x-ray(KUB)를 찍게 되면 태아기형이 발생한다. ③ 임신 중 충수돌기염이 의심되면 MRI를 시행할 수 있다. ④ 신장결석이 의심되면 즉시 IVP를 시행한다. ⑤ real time imaging에 쓰이는 low-intensity ultrasound라도 임신 중 자주 사용하면 임신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
③ 임신 중 충수돌기염이 의심되면 MRI를 시행할 수 있다.
70
``` 임신한 여성도 여러 가지 질병을 앓을 수 있다. 질병에 이환된 산모를 치료하기 위해 임신 8주 산모에게 사용할 약 중 태아에게 기형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어 사용을 금해야 할 약은? ① 갑상선 호르몬제 ② 인슐린 ③ 페니실린계 항생제 ④ 헤파린 (heparin) ⑤ 와파린 (wafarin) ```
⑤ 와파린 (wafarin)
71
3개월 전 결혼한 간질을 앓고 있는 30세 여성이 임신 전 상담을 위해 내원하였다. 신경과 전문의와 상의하여 태아에게 비교적 안전한 약을 복약하고 있다고 하였다. 지속적인 복약과 임신전 준비 사항에 대해 문의한다. 가장 적절한 답변은? ① 항간질제는 태아에 위험하므로 미리 약을 중단하고 엽산(400mg/일)을 복용하도록 한다. ② 항간질제는 태아에 위험하므로 미리 약을 중단하고 고용량 엽산 (4~5mg/일)을 복용하도록 한다. ③ 지속적으로 항간질제를 복약하고 고용량 엽산(4~6g/일)을 복용하도록 한다. ④ 지속적으로 항간질제를 복약하고 엽산(400mg/일)을 복용하도록 한다. ⑤ 지속적으로 항간질제를 복약한다.
③ 지속적으로 항간질제를 복약하고 고용량 엽산(4~6g/일)을 복용하도록 한다.
72
``` 임신성 당뇨와 관계있는 문제를 나열하였다. 이 중 관계가 없는 것은? ① 태아 신경관 결손 발생 증가 ② 거대아 출산 증가 ③ 당뇨 유병율 증가 ④ 임신성 고혈압 발생 증가 ⑤ 제왕절개율 증가 ```
① 태아 신경관 결손 발생 증가
73
``` 인슐린으로 당뇨를 치료하던 대상이 임신을 하였다. 임신 35주에 이르자 산모가 분만 시기를 궁금해한다. 조기분만을 고려해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① 혈당 조절이 잘 되지 않는다. ② 전자간증이 발생하였다. ③ 태아 성장 저하가 유발되었다. ④ 산모의 신장 기능이 저하되었다. ⑤ 태아 성장이 과도하다. ```
⑤ 태아 성장이 과도하다.
74
``` 16세 남아가 2차 성징이 없어 내원하였다. 키는 180cm, 하반신이 길고 미소음경이 있었으며, 여성형 유방이 있었다. 이 환아의 염색체 검사 소견으로 맞는 것은? ① 47, XXY ② 47, XYY ③ 45, X ④ 46, XY ⑤ 47, XY, +21 ```
① 47, XXY
75
``` 다음중 17번 염색체 장완의 q3 band 부분의 결실이 있는 여성의 핵형 (karyotype)을 옳게 표시한 것은? ① 46,XY,del(17)(q3) ② 46,del(17)(q3) ③ 46,XX,del(17)(q3) ④ XX,46,del(17)(q3) ⑤ 46,XX,del(q3)(17) ```
③ 46,XX,del(17)(q3)
76
``` 다음 염색체중 장완이 동완염색체(isochromosome)를 가장 흔하게 형성하는 것은? ① 6 ② X ③ Y ④ 21 ⑤ 14 ```
② X
77
``` 취약X증후군의 발현은 이 3염기반복부위의 팽창에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초기 변이(premutation)에 해당하는 반복횟수를 고르시오. ① <45 ② 45~54 ③ 55~200 ④ 201~501 ⑤ 500 ```
③ 55~200
78
``` 아이를 혈우병 A(Hemophilla A) 남아로 출산한 산모가 다시 임신하였다. 남편은 혈우병이 없었다. 태아는 양수검사상 남아였다. 태아가 혈우병에 이환될 확률은? ① 0% ② 25% ③ 50% ④ 75% ⑤ 100% ```
③ 50%
79
``` 위의 경우 초음파 검사후 바로 양수 검사를 시행하여 의심되던 염색체 질환을 확진 하였다. 이 질환의 경우 출생 후 생후 1년까지 생존할 확률은 얼마인가? ① 95% ② 50% ③ 25% ④ 10% ⑤ 5% 미만 ```
⑤ 5% 미만
80
A “terminal cardiotocogram” includes which of the following? ① occasional accelerations ② spontaneous decelerations ③ late decelerations with spontaneous contractions ④ baseline oscillation greater than 5 beats per minutes ⑤ repeated early deceleration
③ late decelerations with spontaneous contractions
81
``` Biophysical profiles are composed of all except which of the following? ① Fetal tone ② contraction stress test ③ Fetal movement ④ fetal breathing movements ⑤ amniotic fluid volume measurement ```
② contraction stress test
82
What controls fetal heart rate accelerations? ① Aortic baroreceptor reflexes ② Carotid baroreceptor reflexes ③ Chemoreceptors reflex to alpha adrenergic stimulation ④ Humoral factors such as atrial natriuretic peptide ⑤ Autonomic functions at the brainstem level
⑤ Autonomic functions at the brainstem level
83
``` Decreased fetal heart rate variability most closely reflects which of the following? ① fetal hypoxia ② fetal acidemia ③ fetal hyperglycemia ④ fetal anemia ⑤ none of the above ```
② fetal acidemia
84
In 2008, the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convened a conference and Report on Electronic Fetal Monitoring Update on Definitions, Interpretation. Which of the following accurately characterizes the different tiers? ① Category I: absence of early deceleration and presence of normal baseline variablity ② Category II: presence of late decelerations and abscent baseline variabilty ③ Category III: presence of recurrent variable decelerations and normal baseline variablity ④ Category IV: sinusoidal pattern or absent variability with recurrent late decelerations ⑤ None of the above
① Category I: absence of early deceleration and presence of normal baseline variablity
85
``` if prescribing combination oral contraceptive pills to a woman with hypertension, which clinical criteria should be met? ① Nonsmoker ② Younger than 35 years ③ Hypertension well controlled ④ no signs of end-organ vascular disease ⑤ all of the above ```
⑤ all of the ab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