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st Flashcards

(101 cards)

1
Q

Term

A

Definition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LC50

A

실험동물의 50%가 일정 시간 내 사망하는 가스 농도. 독성가스 분류 및 인체 영향 평가에 사용.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Fail Safe

A

시스템 고장 시에도 인명과 설비의 안전을 확보하는 설계 방식. Passive/Active/Operational 방식 있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LEL/UEL

A

가연성 가스의 연소 가능 농도 범위. LEL(하한)~UEL(상한) 범위 내에서만 연소 가능.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Chattering

A

PSV 등 안전밸브의 반복 진동현상. 설비 피로 유발하므로 방지 필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Blowdown

A

안전밸브 작동 후 설정압력 대비 몇 %에서 밸브가 닫히는지를 나타냄. PSV 재시트 기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질소퍼지

A

산소농도를 MOC 이하로 낮춰 가연성 혼합기 형성을 방지하는 질소치환 공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SIL

A

안전계장시스템의 안전 무결성 수준. IEC 61508 기준으로 SIL1~4 등급 존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SIS

A

SIL 적용되는 안전 계장 시스템. 자동제어 및 경보시스템으로 구성.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PFD

A

장애 발생 확률. SIL 등급 산정 시 사용되는 핵심 수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IPL

A

독립 방호계층. LOPA 분석 시 하나의 사고를 방지하는 안전 기능 단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정압기

A

도시가스 공급 시 고압 → 저압으로 감압하는 설비. 과압방지기능 포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정전기 제거

A

정전기 유도 점화 방지 위한 접지, 이온화장치 등 설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LOPA

A

정량적 위험성 평가기법. 방호계층 중심 사고 발생확률 도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CPQRA

A

정량적 위해도 평가기법. 사고 시나리오 기반 위험 분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MOC

A

변경관리 절차. 설비 변경 시 안전성 확인 필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MOC(Minimum Oxygen Concentration)

A

연소 가능 최소 산소농도. 퍼지 및 화재위험 평가 시 기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도시가스사업법 제2조

A

배관, 본관, 정압기지 등 용어 정의. 도시가스 설비 기준 판단 근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제26조

A

사업자의 자체검사 의무 규정. 안전관리 법적 기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피뢰시스템

A

폭발위험장소 보호 위한 접지·접촉전위차 해소 시스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배관응력 해석 하중

A

지중 배관에 작용하는 하중: 내부압력, 온도하중, 지반침하, 외부하중 등.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최악의 누출시나리오

A

영향 반경이 가장 큰 누출 가정으로, 비상계획 수립의 기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압력퍼지

A

압력을 이용해 내부 가연성가스 제거 후 질소 주입 방식 퍼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가연성가스

A

공기와 혼합 시 점화되는 가스. 폭발범위, 점화에너지 고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독성가스
급성 독성 있는 가스로, 실린더 저장 및 취급시 특별관리 대상.
26
Galvanic Isolation
전기회로 간 절연. 센서/안전기기 간 간섭방지.
27
TIB
변압기 절연 장벽. 정전기 및 고압 간섭 방지용.
28
연소기
가스 연료를 안정적으로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기기.
29
도시가스 배관 설계
관경 산정은 흐름식(수리계산) 또는 단위부하법 활용.
30
내압시험
가스배관/탱크 용접부 건전성 검토용 비파괴검사. 육안, RT, PT 등 적용.
31
LNG 저장탱크 방호방식
단일, 이중, 완전 방호 방식. 방호기준 만족 필요.
32
압축가스 저장용기
압력기준 용량계산: PV=nRT 법칙 적용.
33
부취제
가스누출 감지를 위해 냄새 추가. THT, DMS 등 사용.
34
PH3
포스핀. 독성가스이며, 화학반응 시 발생 가능.
35
수소연료전지 원리
수소+산소의 전기화학반응. 전기+물 생산.
36
LOHC
액상유기수소 운반체. 수소 저장/이송/방출이 용이.
37
촉매
연료전지 반응 활성화 역할. Pt 등 귀금속 사용.
38
화염검지기
화염 유무 실시간 감지. 경보/차단 연동.
39
방류둑
액체 위험물 누출 시 외부 확산 방지 위한 구조물.
40
방호계층
사고를 저지하는 설계/설비/절차. 중첩 설계 필요.
41
위험장소 구분
Zone 0/1/2. 가연성 가스 존재 가능성 기준.
42
방폭설비
폭발위험지역 전기설비. 내압/본질안전방식 등.
43
역류방지장치
가스나 액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설비. 안전밸브나 체크밸브 포함.
44
긴급차단장치
누출 시 자동 차단되는 밸브. 가스누출 대응 필수.
45
가스누출경보장치
센서가 가스 농도 감지 후 경보 발생. 도시가스 의무설비.
46
압력용기
고압가스를 저장하는 강재 용기. 설계압력, 재질 기준 법령 규정.
47
계량기
가스사용량 측정. 도시가스 부과기준.
48
도시가스 중압
0.1 MPa 이상 1 MPa 미만. 정압기 선택기준.
49
가연성가스 저온탱크
영하 온도에서 저장 가능한 탱크. LNG 등 저장용.
50
LNG
메탄 위주 액화가스. -162°C 이하, 초저온 저장 필요.
51
플레어 시스템
비정상 가스 배출 시 연소 처리. 환경 및 안전 확보.
52
방폭구조
내압형, 유입형, 압력방폭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위험장소 대응.
53
비파괴검사
설비 건전성 검토 방법. RT, PT, UT, MT, VT 등 존재.
54
정전기 방지
접지, 이온화기, 습도조절로 점화방지.
55
정압기지
정압기+계량기+차단기 설치된 도시가스 설비.
56
배관 내진설계
지반운동, 진도 고려하여 등급별 안전 확보 설계.
57
폭연압
가연성가스가 공기 중에서 폭연 시 발생하는 최대 압력. 설비 내압설계의 기준이 되며, 일반적으로 7~8 bar.
58
폭발삼각형
연소에 필요한 3요소인 산소, 연료, 점화원이 존재할 때 폭발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삼각형 이론.
59
점화원
정전기, 마찰, 고온표면, 아크, 화염 등으로 구성되며, 위험장소에서 관리되어야 할 요소.
60
가스밀도
표준상태에서의 단위부피당 질량으로, 공기 대비 상대밀도 판단에 활용. 가스 감지기 설치 기준에 영향.
61
용기충전계수
고압가스 용기 내 가스를 충전할 수 있는 기준. 온도에 따라 달라지며, 안전충전 한도 설정에 필요.
62
배관응력
내부압력, 온도, 지반침하 등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 설계 기준으로 Hoop 응력, 축방향응력 등이 고려됨.
63
가스폭발
폐쇄 공간에서 가연성가스가 연소하며 고압이 발생하는 현상. 방폭설비, 환기설비 등으로 예방.
64
도시가스차단기
가스누출, 지진 등 이상 징후 시 자동으로 가스를 차단하는 기기. 타이머식, 연동식 등 존재.
65
위험물안전관리자
위험물 시설의 안전관리를 담당하는 자격 보유자. 일정규모 이상 설비에 선임 필수.
66
방폭구역Zone
위험물 누출 빈도와 지속 시간에 따라 Zone 0, 1, 2로 구분. 전기기기 선택기준에 사용.
67
가스누출센서
산업용 가스농도 측정기. 감지범위, 응답속도, 설치위치 등이 설계 요소.
68
과압방지장치
설비 압력이 설계치 초과 시 작동하여 가스를 방출하거나 차단하는 안전장치.
69
대기배출계통
정상/비정상 상태에서의 가스 배출을 제어하는 계통. 플레어 또는 스택을 포함.
70
정압밸브
2차측 압력 변동을 억제하기 위한 자동 조절밸브. 공급압력 또는 유량에 따라 응답.
71
압력스위치
설정 압력 초과 또는 미달 시 신호를 출력하는 기기. 계장 시스템과 연동.
72
트랩
응축수 제거 설비. 연료가스 배관이나 스팀 배관에서 수분 제거용.
73
계기용 배관
센서와 계기류에 연결되는 배관. 응답속도와 정확도 보장을 위해 최소길이 필요.
74
차단밸브
가스 공급을 차단하는 수동 또는 자동 밸브. 긴급시 정지 기능 담당.
75
연료전지 시스템구성
스택, BOP, 컨트롤러 등으로 구성. 수소 공급, 공기 유입, 냉각계, 배수계 필수.
76
수소의 최소점화에너지
0.02 mJ로 매우 낮으며, 정전기만으로도 점화 가능. 점화원 관리 필수.
77
누출시나리오
가스 누출경로, 양, 조건 등을 가정하여 대응계획 수립. QRA 분석 기초.
78
가스화학식
가스의 구성 성분을 나타내는 분자식. 예: CH₄(메탄), C₃H₈(프로판)
79
가스 저장압력
탱크 내 가스를 저장하는 기준 압력. 설계압력보다 낮게 설정 필요.
80
안전거리
가스시설과 외부 건축물 간 필요한 이격거리. 고압가스법령에 규정.
81
이중차단+배출(DBB)
차단 후 배관 내 잔류가스를 방출하기 위한 구조. 안전한 정비를 위한 기본 구성.
82
이론공기량
완전연소에 필요한 최소 공기량. 연소계산 시 기준값.
83
복합가스
두 가지 이상의 가스로 구성된 연료. 예: LNG+수소 혼합가스.
84
가스연료별 CO2 배출량
연료 연소 시 이산화탄소 발생량. LNG는 약 2.75 kg/m³, LPG는 3.02 kg/kg.
85
도시가스 수요계획
공급량, 사용패턴, 계절별 소비예측을 통한 배관망 설계 기준.
86
가스계량기 설치기준
주거용은 다이어프램형, 산업용은 터빈형 사용. 이격거리 및 내진설치 필수.
87
KGS GC 코드
연소기 안전 기준. 도시가스 연소기, LPG 연소기, 산업용 연소기 등 구분.
88
도시가스 완성검사
설비 설치 후 최초 가스 주입 전 실시하는 검사. 도시가스법령에 규정.
89
도시가스 정압기 성능시험
작동압력, 응답속도, 차단성능 등 시험. 완성검사 항목 포함.
90
고압가스 고정식탱크기준
설계압력, 재질, 이중벽구조, 안전밸브 설치 등 KGS GA 기준.
91
배관 내 온도영향
온도 상승 시 팽창 발생. 팽창보상장치(신축이음)로 해결.
92
PE관 융착방식
가열 후 용융 융착 방식. 정전기 제거와 청결상태 필수.
93
고정식 가스검지기 설치기준
위험물 저장소, 충전소 등에 설치. 감지기+경보+차단장치 연동.
94
플레어팁
가스를 안전하게 연소시키는 장치. 산소혼합비, 방염기술 고려.
95
도시가스 배관 재질
탄소강(STS), 구리관, PE관 등 사용. 적용압력, 유체에 따라 선택.
96
고압가스 기준압력
1MPa 이상 또는 0.2MPa 이상 충전된 용기 포함. 법적 규정 기준.
97
용기표시사항
재질, 용량, 제조번호, 설계압력, 검사일자 등. 식별 및 안전관리용.
98
용기보관기준
고정대, 직립보관, 통풍필수. 인화성 가스일 경우 위험물 기준 포함.
99
자동가스차단기 리셋기준
누출 경보 해제 후 수동 리셋. 작동 이력은 기록 보관.
100
도시가스 공급차단 해제기준
이상 없음 확인, 설비점검 후 개방. 전문기술자 입회 필수.
101
가스감지기 점검주기
고정식 가스감지기는 월 1회 이상 점검해야 하며, 연 1회 이상 교정이 필요하다. 감지기 성능은 누출대응의 핵심 요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