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 editor Flashcards
1
Q
명령 모드로 변경하는 키
A
i, I, a, A, o, O
2
Q
입력 모드로 변형하는 키
A
esc
3
Q
마지막 행 모드로 변경하는 키
A
:, /, ?
4
Q
마지막 행 모드에서 명령 모드로 변경하는 키
A
enter, esc
5
Q
저장하지 않고 종료
A
:q, :q!
6
Q
저장한 후 종료
A
:wq, :wq!, ZZ(shift + zz)
7
Q
저장만
A
:w 파일명
8
Q
현재 커서 자리에 입력
A
i
9
Q
현재 커서 다음 자리에 입력
A
a
10
Q
커서가 위치한 행의 첫 칼럼으로 이동하여 입력
A
I(대문자 i)
11
Q
커서가 위치한 행의 마지막 칼럼으로 이동하여 입력
A
A
12
Q
커서가 위치한 행의 이전 행에 입력
A
O(대문자 o)
13
Q
커서를 한 행 위로 이동
A
k
14
Q
커서를 한 행 아래로 이동
A
j
15
Q
커서를 한 글자 오른쪽으로 이동
A
l(소문자 L)
16
Q
커서를 한 글짜 왼쪽으로 이동
A
h
17
Q
커서를 현재 행의 처음으로 이동
A
^ 또는 0
18
Q
커서를 현재 행의 마지막으로 이동
A
$
19
Q
커서를 앞 행의 처음으로 이동
A
-
20
Q
커서를 다음 행의 처음으로 이동
A
+ 또는 enter
21
Q
커서를 화면 맨 위 행으로 이동
A
H
22
Q
커서를 화면 중간 행으로 이동
A
M
23
Q
커서를 화면 맨 아래 행으로 이동
A
L
24
Q
커서를 다음 단어 처음 글자로 이동
A
w
25
커서를 다음 단어 마지막 글자로 이동
e
26
커서를 앞 단어의 첫 글자로 이동
b
27
반 화면 위로 이동
^u(ctrl + u)
28
반 화면 아래로 이동
^d(ctrl + d)
29
한 화면 위로 이동
^b(ctrl + b) 또는 page up
30
한 화면 아래로 이동
^f(ctrl + f) 또는 page down
31
화면을 한 행만 아래로 이동
^e(ctrl + e)
32
화면을 한 행만 위로 이동
^y(ctrl + y)
33
파일의 마지막 행으로 커서 이동
G
34
지정한 행 번호로 커서 이동
행번호G, :행번호, 행번호gg
35
파일의 마지막 행으로 커서 이동
:$
36
커서가 위치한 글자를 다른 글자로 수정
r (r수정글자)
37
커서 위치부터 현재 단어 끝까지 수정
cw, #cw(#: 수정할 단어의 수)
38
커서 위치부터 esc 입력할 때까지 수정
s, #s(#: 수정할 글자의 수)
39
커서가 위치한 행의 내용을 모두 수정
cc
40
커서 위치부터 행의 끝까지 수정
C
41
커서 위치 글자 삭제
x, #x
42
커서 위치 단어 삭제
dw, #dw
43
커서 위치 행 삭제
dd, #dd
44
커서 위치부터 행의 끝까지 삭제
D
45
명령을 취소
u
46
해당 행에서 한 모든 명령을 취소
U(대문자 u)
47
마지막으로 저장한 내용 이후의 것을 버리고 새로 작업한다
:e!
48
커서 위치 행을 복사
yy, #yy(#: 복사할 행의 수)
49
커서가 위치한 행의 아래쪽에 붙임
p
50
커서가 위치한 행의 위쪽에 붙임
P
51
커서가 위치한 행을 잘라둠. 삭제와 같은 기능임
dd, #dd
52
언네임드 버퍼
yy(복사) 또는 dd(잘라내기)할 경우 언네임드 버퍼에 저장됨.
언네임드 버퍼는 내용을 하나만 저장
53
네임드 버퍼
"문자 또는 "숫자
행을 저장하려면 "문자yy (예: "ayy, "1yy)
네임드 버퍼의 내용을 붙이려면 "문자p (예: "ap, "1p)
54
마지막 행 모드에서 1행부터 마지막행까지 지정
:1,$ 또는 :1,%
55
마지막 행 모드에서 1행부터 커서가 있는 행까지 지정
:1,.
56
마지막 행 모드에서 커서있는 행부터 마지막 행까지 지정
:.,$
57
마지막 행 모드에서 현재 행과 이전 세 행까지(총 네 행) 지정
:,-3
58
범위: 10행부터 20행까지 지정
10,20
59
마지막 행 모드에서 #로 지정한 행 복사
:#y
60
마지막 행 모드에서 범위로 지정한 행 복사
:<범위>y
61
마지막 행 모드에서 #로 지정한 행으로 잘라냄
:#d
62
마지막 행 모드에서 범위로 지정한 행 잘라냄
:<범위>d
63
마지막 행 모드에서 현재 행 다음에 버퍼의 내용을 붙임
:pu
64
마지막 행 모드에서 #로 지정한 행 다음에 버퍼의 내용을 붙임
:#pu (예: :4pu는 4행 뒤에 붙임)
65
문자열을 아래 방향으로 검색
/문자열
66
문자열을 위 방향으로 검색
?문자열
67
원래 찾던 방향으로 다음 문자열을 검색
n
68
역방향으로 다음 문자열을 검색
N
69
커서 위치 행에서 첫번째로 나오는 문자열1을 문자열2로 바꿈
:s/문자열1/문자열2/
70
파일 전체에서 모든 문자열1을 문자열2로 바꿈
:%s/문자열1/문자열2/g
71
범위 내 모든 각 행에서 첫 번째로 나오는 문자열1을 찾아 문자열2로 바꿈
:<범위>s/문자열1/문자열2/
72
범위 내 모든 행에서 문자열1을 문자열2로 바꿈
:<범위>s/문자열1/문자열2/g
73
범위 내 모든 행에서 문자열1을 문자열2로 바꿀 때 수정할지 여부를 묻는다
:<범위>s/문자열1/문자열2/gc
74
지정한 파일을 읽어들여 현재 커서 위치에 삽입
:r 파일
75
지정한 파일로 전환
:e 파일(기존 파일을 :w로 저장한 뒤에 실행해야 한다)
76
vi 시작 시 여러 파일을 지정했을 경우 다음 파일로 작업을 이동한다
:n
77
vi 작업을 잠시 중단하고 셸 명령을 실행
:! 셸 명령
(vi로 돌아오려면 enter를 누른다)
78
vi를 잠시 빠져나가서 셸 명령을 실행한다
:sh
(vi로 돌아오려면 exit 명령을 입력한다)
79
현재 화면을 다시 출력한다
ctrl + l(소문자 L)
80
현재 커서 위치의 행 번호를 마지막 행에 출력
ctrl + g
81
현재 행과 아래 행을 연결하여 한 행으로 만든다
J (대문자 j)
82
바로 직전에 했던 명령을 반복한다
.
83
커서 위치의 글자를 대문자나 소문자로 바꾼다
~(틸드)
84
파일 내용의 각 행에 행 번호를 표시한다/감춘다
set nu/set nonu
85
보이지 않는 특수문자를 표시한다/감춘다 (tab:^|, eol:$ 등)
set list/set nolist
86
현재 모드를 표시한다/감춘다
set showmode/set noshowmode
87
set으로 설정한 모든 vi 환경 설정 값을 출력한다
set
88
모든 vi 환경 변수와 현재 값을 출력
set all
89
vi 환경 설정 하는 법
- 사용자 홈 디렉터리에 .exrc 파일로 vi 환경설정 저장
- 셸의 환경 변수인 EXINIT에 vi 환경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