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압기 Flashcards

(19 cards)

1
Q

부흐홀쯔계전기(Buchholtz Relay)

A
  • 변압기 보호장치 중 기계적 보호장치
  • 권선 소손이나 단락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절연유 분해가스나 절연유 흐름을 감지하여 동작하는 계전기
  • 위치: 본체 탱크와 콘서베이터를 연결하는 배관 중앙부에 설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변압기 손실의 종류 및 특징

A

무부하손 : 유전체손, 철손-히스테리시스/와전류손

부하손 : 표류부하손, 동손 - 저항손/와류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고압 측 및 저압 측 단자를 외부로 인출시 도체를 변압기 외함 과 절연시키는 장치

A
부싱(Bushing)
◇콤파운드(Compound) 부싱
– 중심 도체에 절연물을 감고 애관 사이에 절연 콤파운드 충진
– 애관 사이에 기포제거
» 단일 형 보다 절연 내력 우수
◇유입(Oil-filled) 부싱
– 애관 과 도체 사이에 절연 원통을 동심으로 배치하고 그 사이에 절연유 충진
– 사용전압
» 60kV ~ 161kV
◇콘덴서(Condenser) 부싱
 - 중심 도체 중위에 절여지와 금속박을 번갈아 감아 애관에 넣은 형태
 - 금속박 층이 각각 같은 정전용량을 갖도록 하여 도체와 외함간의 
   전위분포를 균일하게 유지 
 - 부싱 직경이 가늘고 내염해 특성이 우수 60kV 이상 계통에 널리 
   사용 초고압계통에 유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변압기 철심재료의 구비조건

A
  • 전자 유도 작용에 필요한 자속의 통로 형성
  • 규소 함유량이 4 ~ 5% 정도인 박강판을 성층하여 제작
  • 투자율이 높을 것 = 자기저항이 작을 것
  • 히스테리시스 계수가 작을 것
  • 전기저항이 클 것 → 와류손의 방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가스차단기

A

소호능력 및 절연특성이 우수한 SF6 가스를 이용 가스를 대기 중에서 배출시키지 않고 밀폐된 용기 안에서 가스를 전극에 불어 넣어 아크를 소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변압기 고장 종류

A
◇권선단락 및 층간단락
◇권선과철심간의 절연 파괴에 의한 지락
◇고압 권선과 저압 권선의 혼촉
◇단선
◇부싱 파손 및 염해에 의한 지락

기계적 보호 장치
부흐홀쯔 계전기(Buchholz Relay)
충격압력 계전기(Sudden Pressure Relay)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중성점 접지 방식

A

1) 비접지 방식:
- 저전압 단거리 송전선에 채용
- 1선 지락이 발생하면 건전상의 대지전압이 선간전압가지 상승
2) 직접접지 방식:
- 도체를 이용하여 중성점을 대지에 직접 접지하는 방식
- 접지 시 고장전류가 커서 고장 회선의 선택보호가 용이
- 접지 방식 중 고장전류의 크기가 가장 크다.
3) 소호리액터 접지 방식:
- 중성점을 적당한 인덕턴스를 가진 리액터로 접지시켜 1선 지락
고장이 발생하여도 지락전류를 감쇄시켜 자연소호를 도모하는 방식
- 접지 방식 중 고장전류의 크기가 가장 작다.
- 공진의 크기가 같아야 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차단기, 단로기 등의 개폐설비와 변성기, 피뢰기,

주회로 모선 등을 밀폐된 금속제 탱크 내에 일괄 수납하여 탱크 내부에 절연성능과 소호능력이 뛰어난 SF6 가스를 적정 압력으로 충진, 밀봉한 개폐설비 시스템

A

가스절연 개폐장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변압기 병렬운전조건 5가지

A

1) . 변압비가 같을 것 - 2차 권선에 순환전류가 흘러 권선 가열
2) . 상회전 방향 과 각 변위가 같을 것
3) . % 임피던스가 같을 것
4) . 극성이 일치할 것
5) . 저항 및 리액턴스의 비가 같을 것 - 위상차로 동손이 증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절연유 구비조건

A

1) . 큰 절연내력 요구
2) . 낮은 점도요구 -기름의 유동성이 좋아 냉각효과 커짐
3) . 높은 인화점요구 - 쉽게 발화하지 않아야 함
4) . 낮은 응고점 - 응고점이 높으면 유동성 저하로 열 발산불량
5) .쉽게 변질하지 않을 것 - 절연유 변질시 절연내력 저하
6) 화학적 으로 안정 - 절연 재료 나 금속 등에 접촉해도 반응하지 말것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송전 전압 승압 목적

A
  • 송전 손실 감소
  • 전압 강하율 감소
  • 송전용량 증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절연유열화방지장치(콘서베이터 Conservator)

A

변압기 절연유 열화 방지 ⇒ 변압기내부 온도변화에 따라 절연유는 수축 또는 팽창

2) . 대 책
* 기름과 공기가 접촉하는 면적 최소화 - 변압기 본체 위에보조기름통(콘서베이터) 설치
* 본체와 콘서베이터를 가는 관으로 연결
- 본체에는 공기가 존재하지 않음
- 온도가 높아진 절연유는 공기 와 접촉이 안됨
- 콘서베이터 내부에서 공기 와 절연유의 접촉은 최소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탭절환장치(Tap Changer)

A
변압기 권수비를 조정하여 출력 전압 조정
◇계통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기위해 변압기 2차측 전압 조정
1). 종류
* 무부하 탭 절환장치(NLTC : No Load Tap Changer)
 – 무부하상태에서탭절환
 – 정격 전압의 ±5% 범위조정    » 탭 수는 약 5개
* 부하 탭 절환장치(OLTC : On Load Tap Changer)
 – 운전중탭절환 가능
 – 정격 전압의 ±10% 범위조정  » 탭 수는 약 20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모선 구성 방식 종류

A

1 차단기 방식 (표준 2중 모선 방식) - 2중 모선 방식 중 차단기를 가장 적게 소요
◇500MW 표준 석탄화력 수전용 스위치야드 표준

  1. 1.5 차단기 방식 - 모선 연락용 차단기 수가 1차단기 방식의 1.5배
    ◇500MW 표준 석탄화력의 송전용 스위치야드 표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SF6 가스의 특징

A
. 무색, 무취, 무독 및 불연성
. 열 전도율 ≫ 공기의 1.6배
. 비 중 ≫ 공기의 5배
. 소호력 ≫ 공기의 약 100배
. 절연 내력 ≫ 1기압에서 공기의 2.5배 ~ 3.5배
                ≫ 3기압에서 절연유와 동등한 절연 내력 유지
. 화학적으로 불활성이며 열적 안정성 우수 ≫ 약 500℃까지 분해 안됨
. 액화성가스 ≫ 저온에서 액화되지 않도록 주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변압기 사고시 변압기를 선로에서 분리 후 측정항목

A

1) .권선 과 탱크 , 권선간 절연저항 측정
2) .전압비 측정
3) .직류저항 측정
4) .무 부하 전류 측정

17
Q

자기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비 투자율과 자기 저항율이 크고 히스테리시스손이 작은 0.3 ~0.35[mm] 두께의 방향성 냉간압연 규소강판을 사용.

A

변압기 철심

18
Q

권선방식

A

1) .Layer 권선
2) .Helical 권선
3) .Disc 권선

19
Q

차단기 단로기 조작 순서

A
  1. 투입된 것 먼저 개방
  2. 투입시 단로기 먼저
  3. 차단/개방시 차단기 먼저
  4. 부하측 부터 조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