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과 Flashcards

1
Q

경구피임약(oral contraceptives, OCs) 종류

A

복합 경구피임약 (합성 에스트로겐+프로게스테론)

프로게스틴 단독제제(levonorgestrel, Cyproterone acetate, Drospirenon)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복합 경구 피임약 기전 및 투약방법

A

기전: FSH, LH 억제-> 난 성숙 억제, LH surge 일어나지 않음

투여방법: 3주 복용 1주 휴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프로게스틴 단독 제제 기전 및 투여방법

A

기전: 에스트로겐의 위험 피하고, 농도에 따 효과 다름( low level에서는 ovulation 이 될 수 있음, high level 에선 난포 거의 성숙하지 못함)

투여방법: 쉬는 날 없이(28day pack, 1주일간 inactive pill 복용)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피임약 투여 실수 시 대처

A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OCs 부작용

A
  1. 정맥혈전증
  2. 심뇌혈관질환 risk 상승
  3. 지방대사 : E는 LDL ↓, HDL ↑, P는 그 반대
  4. 간 샘종(Hepatic adenoma) : E가 중요한 유발요인
    - > (골다공증 내용이긴한데) 활성 간/담낭 질환(담석 포함)에서 상대적 금기라고 함
  5. 유방암, 자궁경부암과 관련 X : 오히려 P는 자궁내막암, 난소암 위험 낮춤 -> 단 최신 연구결과는 자궁경부암 위험도는 약간 증가한다고 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OCs 금기

A
  1. 임신
  2. 35세 이상이면서 하루 15개비 이상 흡
  3. 심혈관질환
  4. 고혈압
  5. 정맥혈전색전증(E이 혈액응고 증가)
  6. 허혈성 심질환
  7. 뇌졸증 과거력
  8. 심장판막실환
  9. 유방암 (E 유발원인)
  10. 간경화, 간암(간 기능 이상 시 스테로이드 대사 기능 장애)
  11. 전조증상 동반한 편두통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IUD 종류

A
  1. LNG-IUD, mirena
  2. Copper T380, Paragard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레보노르게스트렐 자궁내장치 기전 및 기간

A

프로게스틴의 분비로 자궁 내막 위축 및 염증 반응

사용기간 5년

프로게스틴 효과로 월경통 및 월경량 감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구리 자궁내장치 기전 및 기간

A

자궁 내막에 약한 염증반을 일으켜 정자 통과 못함

사용기간 10년

삽입 후 통증과 출혈이 흔함(mirena 와 반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IUD 금기증

A
  1. 임신
  2. 자궁의 해부학적 기형
  3. 최근 3개월 내 골반염(PID)
  4. 산욕 패혈증
  5. 구리 알레르기, 윌슨병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응급 피임법

A
  1. 경구 Levonorgestrel: 성관 후 최대 5일 이내(3일이내가 효과적)
  2. 구리 IUD: 성관계 후 7일 이내(사용시 거의 100%)
  3. Ulipristal acetate(UPA): 5일까지 피임효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복강 내로 빠져나간 IUD, 실이 안 보일 경우

A

US 로 확인, 관찰되지 않으면 X-ray로 관찰

복강 내로 빠져나와있다면 통증, 출혈 등의 합병증으로 나타나므로 복강경 수술 시행 제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분만 후 다음 임신까지 피임하려하고, 혼합 수유시 권장하는 피임법은?

A

프로게스테론 단독피임제

에스트로겐은 모유의 양과 질의 감소때문에 사용x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OCs 와 IUD의 금기증에 해당 될 시 피임선택은?

A

콘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성폭행 피해 시 기본검사 6항목

A
  1. 자궁목, 구강, 항문에서 배양검사
    - N. gonorrhoeael, C. trachomatis, HSV
  2. Wet smear(트리코모나스)
  3. 매독 혈청 검사
  4. B형 간염 검사(HBsAg)
  5. HIV 항체 검사
  6. 임신 검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성폭행 피해 시 의사 대처

A
  1. 가장 먼저 동의서 확보
  2. 동의 받은 후 경찰 연락(반드시)
  3. 피해자의 언어로 상황 기록
  4. 진찰(보호자 혹은 증인의 참관)
  5. 연관된 물품 수집 및 보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성폭행 피해 시 검체 채취

A
  1. 우드등 : 정자, 정액 검출
  2. 회음부 빗질, 질액 채취
  3. 혈액검사 : 매독, HBV, HIV, b-hCG, 알코올, 약물
  4. 매독이랑 HIV만 혈액이고 나머지는 타액검사!!
  5. 매독, B형간염, HIV는 6, 12, 24주에 반복 검사
  6. HIV 항체 음성인 경우 (Western blot) : 6주, 3개월, 6개월, 12개월 재검사 + 예방적 화학요법(필수)
  7. 타액 배양 : 임질, 클라미디아, 헤르페스, 트리코모나스, ABO 항원 분비형 여부 확인
    - > (증) 성폭력 피해자의 ABO 항원 분비형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채취할 검체 : 혈액 (X), 타액 (ㅇ)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성폭행 피해 시 임신 예방(응급피임법)

A
  1. 경구 Levonorgestrel: 최대 5일 이내 복용(3일 이내가 효과적)
  2. 구리 IUD: 7일 이내
  3. Ulipristal: 5일까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성폭행 피해 후 예방

임질

플라미디아

트리코모나스

A
  1. 임질: Ceftriaxone
  2. 클라미디아: Azithromycin (산모는 erythromycin)
  3. 트리코모나스: Metronidazole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성교 후 응급 피임

A
  1. Levonorgestrel alone: 72시간 이내
  2. High dose estrogen: 72 시간 이내
  3. E+P combination: 2알+12시간 후 2알
  4. Copper IUD: 7일, 5일 내 100%
  5. Mifepristone: 3-5일 사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피임약 선택 주의 사항

A
  1. 응고 질환:
    - OC는 출혈성 난소낭종과 월경 출혈을 예방
    - 혈전 질환에는 E 포함 OC 피해라
  2. 이상지질혈증:
    - 중성지방이 올라가 있으면 경구피임약 피해야됨
    - Progestin-only OC, DMPA, IUD 등 가능
  3. 고혈압: 저용량 OC 가능 조절안되고 나이많고 흡연하는 고혈압 환자는 복합 OC 피함
  4. 당뇨병: 나이 많고 혈관 합병증에는 복합 OC 안씀, 혈관 합볍증 없으면 저용량 OC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OC 와 암과의 관계

A

간샘종(hepatic adenoma): OC는 간샘종 유발인자, 복용 중단시 사라짐

유방암: 관련없음

복합 OC 는 주기적 월겸을 일으켜 자궁 내막암의 가능성 낮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sterilization 효과

A

Pomeroy 법이 높고 electrocoagulation 법이 가장 낮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아동 성폭행이 일어난 경우

A

문진 시 환아의 감정과 걱정에 공감해주며 과정을 스스로 통제하게 해주는 것이 좋다.

(사건을 자유롭게 묘사하게 함이라고 보기에 나왔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Q

ABO 항원 분비형 여부 위해 채취해야 할 검체

A

타액

26
Q

성폭행 당한 여성이 입원 했을 때 제일 먼저 해야되는 것

A
27
Q

성폭행 당한 환자에게 의학적으로 고려해야되는 검사

A

임질, 클라미디아, 매독, 트리코모나스, HBV, HIV감염, 임신

(풍진은 STD 가 아니므로 안해도됨)

28
Q

성폭행 여성 추적진료

A
  1. HIV(0, 1, 6, 12개월 째)
  2. B형 간염 바이러스에 노출될 경우 항체, 항원의 보유여부에 따라 면역글로불린과 백신 투여할 수 있음
  3. 매독혈청검사 재검(4-6주)
  4. 모든 가임기 피해자에게 응급 사후피임약 투여(이전에 임신여부를 확인한지 먼저 확인)
29
Q

불임 기본 검사 생리 일 기준 순서

A
  1. MCD 3: 호르몬 기초검사, FSH, LH
  2. MCD 6-13: 자궁난관 조영술
  3. MCD 14: LH surge, 자궁 경관 점액( 점액 증가, 맑은 점액 by E 효과)
  4. MCD 21-23: 황체호르몬
  5. MCD 24-28: 자궁 내막 조직 검사
30
Q

배란 확인 방법

A
  1. LH monitoring
  2. BBT(기초 체온)
  3. midluteal progesterone
  4. USG
  5. 자궁경관점액
31
Q

진단적 hysteroscopy(자궁경) 적응증

A

원인 불명의 비정상 자궁출혈

원인불명의 불임

반복 자연유산

32
Q

정액검사 수치

A
  1. 부피: 1.5ml 이상
  2. 정자 농도: 15*106/ml 이상
  3. 총 정자 수: 39*106/ml 이상
  4. Progressive motility(PR %): 32% 이상
  5. Total motility(PR+NP, %): 40% 이상
  6. 생존률: 58% 이상
  7. 형태: 4% 이상
  8. pH: 7.2 이상
  9. 백혈구: 106/ml 미만
33
Q

정액 검사 시 정자에 관련된 terminology

A
  1. 정자부족증(Oligozoospermia): 20*106/ml 미만
  2. 정자 무력증(Asthenozoospermia): 운동성 감사
  3. 기형 정자증(Teratozoospermia): 비정상 형태의 정사
  4. 정자사멸증(Necrozoospermia) 운동성이 없는 정자
  5. 정자무발생증(Aspermatogenesis): 정액에 정자가 검출 안됨
34
Q

배란 예측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

A

Urine LH

LH surge 가 보이면 48시간 안에 배란 일어남, 하지만 월경주기가 불규칙한 여성에서는 사용 못함

35
Q

estrogen challenge test

A

에스트로겐 부하검사

무월경 w/u 때 자궁내막의 상태를 보는 검사

36
Q

Ovarian reserve 검사

A
  1. Serum FSH(월경주기 3일에 층정): reserve 부족할수록 증가
  2. Clomiphen citrate challenge test(CCCT): 월경주기 3일에 FSH 층정 후 5-9일에 Clomiphen citrate 먹고 10일째 다시 측정-> reserve 부족하면 FSH 증가
  3. Serum inhibin B: reserve 부족할수록 감소
  4. Serum antimullerian hormone: reserve 부족할수록 감소
  5. Antral follicle count: TVUSG 사용

CCCT 의 경우만 reserve 가 부족할 때 FSH 가 증가하고 나머지는 다 감소

37
Q

자궁근종이 불임의 직접적인 원인 되는가?

A

될수도 있지만 매우 드물다.

문제에 제시되면 다른 원인을 우선 찾아보자.

예를들면, 유산 과거력이 있을 시 구조적 이상을 확인하기 위해 자궁난관 조영술을 볼 수 있다.

38
Q

성교 후 검사에서 자궁경관점액의 상태는 정상이나 점액 내의 정자가 발견되지 않았다. 다음 단계의 조치는?

A

비정상적인 결과가 가장 흔한 원인으므로 다시 한 번 더 검사를 진행

39
Q

Luteal phase defect 황체기 결함

A

자궁내막의 조직학적 날짜와 실제 생리주기가 2일이상 차이를 보이는 상태가 2회이상 지속될 때로 정의

40
Q

자궁내유착증(Asherman’s syndrome) 인

A

D&C (m/c)

자궁 내 감염

Endometrial Tb

41
Q

자궁내유착증 치료

A
  1. Hysteroscopic resection or D&C 로 유착제거
  2. Pediatric Foley catheter(or IUD): 수술 후 7-10일간 자궁강내 유치
  3. broad spectrum Ab
  4. E(+P) 2개월간
42
Q

배란 여부 확인 위해 endometrial biopsy(자궁내막조직검사)를 시행하기 가장 적당한 시기

A
43
Q

불임검사 중 모든 검사가 정상일 때 마지막 할 수 있는 검사는?

(정액검사, LH, FSH, prolactin, TSH의 혈중농도, 성교 후 검사, 기초체온검사, 자궁내막검사 실행)

A

복강경 검사(laparoscopy)

44
Q

황체기 결함 진단 하는 가장 적절한 검사는?

A
45
Q

IVF&ET 적응증

A
  1. 양쪽 난관이 모두 없고 복구 불가능
  2. Preimplantation genetic screening or diagnosis(PGS or PGD)
  3. 자궁견관의 점액 상태 불량
  4. 자궁내막증 치료 후에도 불임이 계속 진행
  5. 남편의 정자가 어느정도 운동성을 보이는 경우

2*106/ml이하의 경우는 안됨

46
Q

IVF&ET 금기증

A

운동성 있는 정자수가 100만 이하(이 경우ICSI 의 적응증)

자궁내막 결핵에 의한 불임(임신 불가능)

47
Q

ICSI 적응증

A
  1. 정자수가 적고(500만이하), 운동성이 낮고(총 운동성 정사 수 100만 이하), 형태학적 이상, 무정자증 환자이나 부고환이나 고환에서 정자를 채취한 경우
  2. 특별히 원인 없이 수정률이 낮은 경우
  3. 남성암환자에서 동결보존한 정자를 이용한 체외수정시
  4. 척수손상 환자, 사정장애가 있는 확자, 역방향사정 환자
  5. HIV 양성자
  6. 동결보존된 난자, 체외성숙된 난자 수정시
  7. 난자가 형태학적으로 비정상인 경우
48
Q

난소과다자극증후군(OHSS)

A
  1. 모세혈관의 투과성이 증가되서 ascites, hydrothorax 등 유발하며 심한경우 renal failure, thromboebolism, ARDS 생김

  1. 증상이 심한 경우, 우선 입원시켜서 V/S, I/O, BW, abdominal girth, Hct, leukocyte count, PT,. PTT, 등 검사 반복적으로 실행
  2. 검사시행하면서, 대증적인 치료: N/S 1L 주입 후 D5W N/S 로 유지, 필요한 경우 알부민 IV투여
  3. 심각한 복수가 있는 경우 복수전자
  4. 항구토제, 진통제 사용 가능
  5. Hypovolemia 교정 후 소변량 감소와 체중 증가 시 이뇨제 사용
49
Q

배란 유도 적응증

A
  1. 무배란 여성에서 수태능력의 증진
  2. 희발 배란 여성에서 배란 시점의 예견
  3. H-P-O axis 의 건재 확인
  4. 사춘기 부정자궁출혈의 조절
50
Q

다른 질환에서의 배란 유도

hyperprolactinemia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Hypothyroidism

A

hyperprolactinemia-> bromocriptine, cabegoline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gonadotropin(hMG)

Hypothyroidism->thyroxine

51
Q

자궁내 정자 주입법(IUI), 인공수정 적응증, 금기증

A

적응증: 요도 하열, 정액의 양 적을때, 발기부전 ,역행성 사정

금기증: TMSC(total motile sperm count): 정자농도(수/ml) * 정액량(ml) * 운동성(%) * 정상형상정자(%) 가 5백만~천만개 이하 일때 IVF-ET 나 ICSI 권고

52
Q

ART 시행 순서 (다 외우자)

A
  1. GnRH agonist 사용 : HPO axis 의 Down regulation = HPO axis 말려버리기(초기화)
  2. Gonadotropin(성선자극호르몬 = hMG = FSH+LH) 으로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 시행
    - GnRH agonist로 HPO axis 말려놓고 그 위에 hMG 뿌려서 인위적으로 FSH 증가시켜 follicle 성숙시킴!!
    - 성숙도 monitor : Estradiol (E2), USG
  3. hCG 사용-> oocyte maturation
  4. Oocyte retrieval (oocyte 채취) : US-guided(TVUSG)
  5. IVF, ICSI, GIFT 등 방법으로 체외수정
  6. In vitro embryo culture
  7. Progesterone 사용 : 수정 다음 날 부터 시행
    - > 임신 한 것 처럼 P 높여서 자궁내막이 luteal phase 유지하도록 셋팅
  8. Embryo 다시 넣어줌 : oocyte 채취 3일 후 다시 넣어줌
  9. 1st trimester pregnancy
53
Q

무월경으로 내원한 환자(FSH와 LH 가 낮음)가 임신을 원할 때 적절한 배란 유도제는?

A

hypogonadotropic hypogonadism 이르모 hMG(FSH+LH) 사용

54
Q

과배란 유도 후 체외수정을 위해 progesterone을 투여하여 황체기를 보완하는 시기는?

A

oocyte retrieval 하루 뒤부터 Progesterone 으로 황체기 보완

55
Q

정관폐쇄 판정 받은 무정자증 남자, 고환 조직검사 정상, 여자는 불임검사 정상

처치는?

A

ICSI

56
Q

4년의 임신 시도 후 다양한 불임검사 후 경미한 자궁내막증만이 확인된 경우 할 수 있는 처치는?

A

경미한 자궁내막증의 경우

57
Q

불임환자에서 과배란 유도위해 gonadotropin치료를 시행한 경우 난소방응(난포발달)을 monitoring 시 검사는?

A

Serum estradiol(E2)

US(1~3일 간격으로 시행)

58
Q
A
59
Q
A
60
Q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