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공간계획 Flashcards

1
Q

부엌 작업대의 배치

A

○배치: 개수대의 위치를 먼저 정하고 다음으로 가열대를 정한 후 나머지 작업대들을 작업순서에 맞게 배치
:냉장고→준비대→개수대→조리대→가열대→배선대→식탁
○배열방법에 따른 부엌의 유형
1)ㅡ자형 부엌→소규모 부엌에 이용: 3600mm이내로
2)ㄴ자형 부엌→작은 규모의 부엌에 효과적인 배치
3)ㄷ자형 부엌→가장 효율적인 배치 형태
4)병렬형 부엌→마주보는 작업대 사이의 간격이 1200mm정도이어야 동선이 짧다
5)아일랜드형 부엌→가열대/개수대를 섬처럼 따로 배치; 간단한 식사 시에 식탁으로 활용
→작업자가 작업 삼각형 사이를 직접 통과함으로써 작업 동선 방해, 안전상의 문제
6)페닌슐라형 부엌:가열대/배선대/개수대 끝부분에 식탁을 한쪽 벽에 붙여 배치→식탁이 부엌과 거실을 구획 짓는 역할(ㄷ자 +식탁)
○작업 삼각형: 부엌의 동선은 냉장고, 개수대, 가열대의 각 지점을 연결한 삼각형
→한 변 길이는 1800mm를 넘지 않고
→세 변을 합한 길이가 4000~6000mm이면 부엌의 동선으로서 적당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조닝

A

○정의: 하나의 공간을 기능, 용도 등을 지표로 하여 몇 개이 작은 부분으로 나누는 작업 또는 그 과정
○조닝의 유형: 정적 공간 대 동적 공간, 공적 공간 대 사적 공간, 주간공간 대 야간공간 등
○조닝의 고려 사항
1) 기능별 분화: 취침공간, 단란공간, 식사공간, 접객공간, 가사작업공간, 설비공간
→취침공간과 식사공간은 완전히 분리
→가사작업공간으 유기적으로 결합되도록
→가사작업공간과 단란, 식사공간 등이 서로 접하거나 결합되도록
2) 평면 설계의 기본 방식
→침실: 독립성 확보, 타실과의 통로가 되지 않게 해야
→거실, 식사실, 주방,마루 등은 통로로 이용되는 면적이 최소가 되는 방향으로
→주방, 욕실, 세면실, 화장실 등 배고나설비를 필요로 하는 곳은 한 곳으로 집중
→주방: 식료품의 용이한 반출입을 위해서는 외부와 직접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주택 평면 형태별 분류

A

○편복도형: 건물의 한쪽 방향에 복도를 두어 각 실을 연결하는 형식→각 실의 통풍이나 일조 등의 환경적 조건은 같으나 동선이 길어질 수 있음. 북쪽에 복도 설치
○중복도형: 중앙에 복도를 두어 양 쪽에 실이 배치되는 형식→동선 줄어드나 건물 전체 밀도가 좁게 되며 각 실이 서로 면해 있으므로 프라이버시 침해 쉬움, 각 실의 환경조건 균일X
○회랑복도형: 외곽에 복도를 돌린 형식→각 실의 독립성이 떨어지고 프라이버시가 침해되기 쉽다. 복도의 길이가 길어지며 면적비율도 커짐.
○중앙홀형: 거실이 중심이 되는 형태로 복도가 없이 각 실에 바로 연결되는 형식→거실에 통과 동선이 발생하여 거실 자체의 독립성 확보 어려움
○코어형: 설비 관련 부분을 건물의 중심으로 집결시키는 방법
1) 평면적: 홀이나 계단을 중심부에
2) 급배수, 전기가스, 배관설비를 집중시켜 공사비 절감
3) 구조적: 내진 설계
○중정형: 건물 가운데 정원을 두고, 그 주위로 각 실을 배치하는 것→커뮤니티용 오프 스페이스를 위한 공간 확보가 용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실내디자인 요소-질감

13, 08, 06

A
○정의: 자연물이나 인공물의 표면적 특성
→촉각적인 것, 시각적인 것이 있다.
○질감의 종류
1) 촉각적 질감
2) 시각적 질감(착시효과)
3) 구조적 질감(재료 자체, 제조과정에서 나타나는 질감-나무 결, 섬유 자체 촉감)
4) 외적 질감( 제조 후 표면 처리→질감 변화시킨 것)
○질감의 특징
1)색채와 조명을 동시에 고려
2)매끄러운 질감→빛을 많이 반사→가볍고 환한 느낌, 주의 집중, 같은 색이라도 강한 느낌
3)거친 질감→빛을 흡수→무겁고 안정된 느낌
4)나무, 돌, 흙 등의 자연재료는 따뜻한, 친근한 느낌
5)단일 색상의 실내→질감 대비를 통하여 풍부한 분위기 연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공간활용의 원칙

A

1) Zoning
2) 공간의 다목적 활용
3) 공간 활용이 효과적인 가구 선택
4) 공간을 입체적으로 활용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시스템 가구(15)

A

몇 개의 규격화된 개별 가구들을 원하는 못ㅂ으로 조합시킬 수 있는 것.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