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환경심리 Flashcards

1
Q

개인공간(09)

A

○정의: 침입자가 들어올 수 없는 개인의 신체를 둘러싼 눈에 보이지 않는 경계를 갖는 영역
○특징
1) 개인공간의 크기는 사람에 따라 다르며 대인관계에서만 의미가 있음
2) 눈에 보이지 않고 사람 중심으로 이동하며 타인과 어떻게 상호작용할 것인가를 정하는 것
→친밀한 거리: 0~45cm
→개인적 거리: 46~1.2m-친한 친구/잘 아는 사람들 간의 일상적 대화에서 유지되는 거리
→사회적 거리:1.2m~3.6m-대부분의 공적인 상호작용이 관찰되는 거리
→공적 거리:3.6~7.6m-연사와 청중 간의 거리와 같은 공적인 모임에서 유지되는 거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영역성(15,09)

A
○정의: 개인이나 집단의 물리적 공간에 대한 소유권 행사를 위한 일련의 인식 및 행동
○특징
1)주로 집을 중심으로 고정적이며 누구와 상호작용할 것인가를 정하는 개념
2)영구적이거나 잠재적인 영역으로 표현되는 시간성을 지니며 다양한 영역표시 행위 및 침입에 대한 방어행위를 하는 특성이 있다.
3)거주자에게 개체성, 안전성, 적절한 자극 제공
→각 발달단계에서 필요한 자율성을 성취 가능
○스콧과 라이먼의 영역 구분
→공공영역, 주거영역, 상호작용 영역, 신체 영역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프라이버시(09)

A
○정의: 타인에 대한 자아개폐의 조절 및 선택의 자유를 통해 바람직한 상호작용 수준을 달성시켜 주는 것
○기능
1)개인 또는 집단과 사회환경과의 상호작용 조절
2)자아와 사회 간의 사회작용을 조절
3)자아정체감을 부여하는 기능
○특징
1)자녀 성년기에 가족에게 있어서의 프라이버시 요구수준이 높음
→주거 계획시 시각적, 청각적, 영역적 프라이버시의 침해를 방지하여야 하며, 동시에 상호접촉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
2)공간의 구성, 벽이나 천장의 구조와 재료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과밀(09)

A
○정의: 개인이 원하는 정도보다 프라이버시를 적게 확보하여 개인이 원하는 이상의 상호관계를 경험하게 될 때 느끼는 것.
→주어진 밀도 상황에서 느끼는 개인의 인지에 의존하는 주관적인 용어
○고밀도 상황→정서, 생리적 각성, 질병에 부정적인 영향, 업무 수행 감소
○과밀 현상 완화 방법
1) 천장 높게 디자인
2)직사각형의 실내공간 계획
3)문이나 창문 등의 시각적 출구를 만듦
4)이동식 칸막이
5)벽에 걸린 그림과 같이 시각을 분산시키는 설치물을 배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주거규범

A

○정의: 개인/가족이 자신과 타인의 주거 상황을 평가하는 데 사용하는 표준 또는 규칙
→이상적인 주거 수준을 나타냄
cf) 주거 선호: 현 상황의 제약을 감안하여 현실적으로 적용하는 완화된 주거 규범
○유형
1) 정의적 vs. 명시적=정의적+a:최저주거기준을 초과한 주택이 여전히 갖추어야 할 정교한 요건
2)공감규범, 주거소유규범,주거유형규범, 주거의 질 규범, 주거비 규범, 근린환경 규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주거결합과 주거 행동

A
○주거 결함=현주거 상황-{가중치를 둔(문화+가족)규범}
○주거 행동
1)조절: 이동→개조
2)적응: 규범적 가족 적응→가족 주거 규범 변화
→구성적 가족 적응→가족 주거 규범 변화
→조직적 가족 적응→가족 자원의 변화
    (가족의 역할분담, 가족 통합도 같은 가족 조직 바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