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덴서 Flashcards
(19 cards)
역률을 개선하는 원리
콘덴서에 의해 진상무효분의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유도성 부하의 지상 무효전류를 감소시켜 역률을 개선
부하설비의 역률이 90%이하로 저하하는 경우(지상역률) 수용가가 볼 수 있는 손해는?
① 전력손실이 커진다.
② 전압강하가 커진다.
③ 부하용량이 증가한다.
④ 전기요금이 증가한다.
콘덴서용량 결정의 상한값은 어떤 성분의 전력값보다 크지 않아야 하는가?
부하의 지상 무효분
역률을 개선시키면 전기 요금의 저감과 배전선의 손실 경감, 전압강하 감소, 설비 여력의 증가 등을 기대할 수 있으나, 너무 과보상하면 역효과가 나타난다. 즉, 경부하시에 콘덴서가 과대 삽입되는 경우의 결점을 4가지 쓰 시오.
① 앞선 역률에 의한 전력 손실이 생긴다. ② 모선 전압의 과상승 ③ 설비용량 여력이 감소하여 과부하가 될 수 있다. ④ 고조파 왜곡의 증대 ⑤ 계전기 오동작
전동기에 개별로 콘덴서를 설치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자기여자현상의 발생 이유와 현상을 설명하시오.
(1) 이유 : 콘덴서 전류가 전동기의 무부하 전류보다 큰 경우
(2) 현상 : 전동기 단자전압이 일시적으로 정격 전압을 초과하는 현상
개별로 콘덴서 설치할 경우 장단점
장점 : 전력손실 경감효과가 크다
단점 :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한다.
역률을 높게 유지하기 위하여 개개의 부하에 고압 및 특고압 진상용 콘덴서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현장 조작 개폐기 보다도 부하측에 접속하여야 한다. 콘덴서의 용량, 접속 방법 등은 어떻게 시설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지와 고조파 전류의 증대 등에 대한 다음 각 물음에 답하시오
(1) 콘덴서의 용량은 부하의 ( )보다 크게 하지 말것
(2) 콘덴서는 본선에 직접 접속하고 특히 전용의 ( ),( ),( )등을 설치하지 말 것
(3) 고압 및 특고압 진상용 콘덴서의 설치로 공급회로의 고조파 전류가 현저하게 증대할 경우는 콘덴서 회로에 유효한 ( )를 설치하여야 한다.
(4) 가연성유 봉입의 고압 진상용 콘덴서를 설치하는 경우는 가연성의 벽, 천장 등과 ( )[m] 이상 이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콘덴서의 용량은 부하의 (무효분)보다 크게 하지 말것
(2) 콘덴서는 본선에 직접 접속하고 특히 전용의 (개폐기),(퓨즈),(유입차단기)등을 설치하지 말 것
(3) 고압 및 특고압 진상용 콘덴서의 설치로 공급회로의 고조파 전류가 현저하게 증대할 경우는 콘덴서 회로에 유효한 (직렬 리액터)를 설치하여야 한다.
(4) 가연성유 봉입의 고압 진상용 콘덴서를 설치하는 경우는 가연성의 벽, 천장 등과 (1)[m] 이상 이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력용 콘덴서 개폐제어의 자동조작제어 요소에 따라 분류할 때 그 제어요소는?
① 무효전력에 의한 제어 ② 전압에 의한 제어 ③ 역률에 의한 제어 ④ 전류에 의한 제어 ⑤ 시간에 의한 제어
콘덴서 설비의 주요 사고 원인
① 콘덴서 설비의 모선단락 및 지락
② 콘덴서 소체 파괴 및 층간 절연파괴
③ 콘덴서 설비내의 배선단락
고압회로용 진상콘덴서 보호장치
① 과전압 계전기 ② 저전압 계전기 ③ 과전류 계전기 ④ 지락 과전류계전기 ⑤ 지락 과전압 계전기
전력용 진상 콘덴서의 정기점검(육안검사) 항목 3가지를 쓰시오.
① 단자의 이완 및 과열유무 점검
② 용기의 발청 유무 점검
③ 유 누설유무 점검
“고압 및 특고압 진상용 콘덴서 회로에 설치하는 방전장치는 콘덴서 회로에 직접 접속하거나 또는 콘덴서회로 를 개방하였을 경우 자동적으로 접속되도록 장치하고 또한 개로 후 ( ) 이내에 콘덴서의 잔류전하를 ( )로 저하시킬 능력이 있는 것을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저압콘덴서용 방전장치는 ( ) 이내에 ( ) 이하로 저하
5초,
50V 이하,
3분,
75V
전력용 콘덴서의 부속설비인 방전코일과 직렬 리액터의 사용 목적은 무엇인가?
(1) 방전 코일 : 콘덴서에 축적된 잔류전하를 방전
(2) 직렬 리액터 : 제 5고조파를 제거하여 파형을 개선
전력용 콘덴서 설치장소(2가지)와 전력용 콘덴서 및 직렬리액터의 역할을 간단히 설명하시오.
(1) 전력용 콘덴서 설치장소
① 부하측에 설치
② 수전측 모선에 집중하여 설치
(2) 전력용 콘덴서의 역할
☞ 역률 개선
(3) 직렬 리액터의 역할 ① 제5고조파 제거 ② 콘덴서 사용시 고조파에 의한 전압파형의 왜곡방지 ③ 콘덴서 투입시 돌입전류 억제 ④ 콘덴서 개방시 재점호한 경우 모선의 과전압 억제 ⑤ 고조파 발생원에 의한 고조파전류의 유입억제와 계전기 오동작 방지
직렬리액터의 용량
① 이론상 : 4%
② 실제상 : 6%
리액터의 설치목적
① 병렬리액터 : 페란티 방지
② 직렬리액터 : 제5고조파 제거
③ 소호리액터 : 지락전류 제한
④ 한류리액터 : 단락전류 제한
페란티 현상이란?
수전단전압이 송전단 전압보다 높아지는 현상
페란티 발생원인
장거리 송전선로에서 무부하시 흐르는 충전전류에 의해 발생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SVC)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하시오.
정지형 무효전력 보상장치는 사이리스터를 이용하여 병렬 콘덴서와 분로리액터를 신속하게 접속 제어하여 무효전력 및 전압을 제어하는 장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