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신온 해표제 Flashcards

1
Q
  1. 치료의 팔법(八法) 중 표증(表證)을 치료하는 방법은?
A

한법(汗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1. 다음 중 해표하는 방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A. 신온해표
    B. 신량해표
    C. 부정해표
    D. 표리쌍해
    E. 표리화해
A

포리화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1. 다음 중 마황탕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A. 마황탕은 40분 이상 충분히 오래동안 끓여서 복용해야 한다.
    B. 마황탕에는 생감초 대신 자감초를 사용한다.
    C. 빈혈이 심하다면 사용을 조심한다.
    D. 고혈압이 있다면 사용을 조심한다.
    E. 복용한 후 땀이 났다면 다시 복용 해서는 안 된다
A

A. 마황탕은 40분 이상 충분히 오래동안 끓여서 복용해야 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1. 마황탕으로 치료해야 하는 병증의 환자에게서 보일 수 있는 증상이 아닌 것은?
    A. 오한발열
    B. 항배강통(强痛)
    C. 미한출
    D. 맥부긴
    E. 설태박백
A

C. 미한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1. 마황탕과 대청룡탕을 비교할 때 다음 중 잘 설명한 것은?
    A. 마황탕은 표열을 대청룡탕은 이한(裏寒)을 치료한다.
    B. 마황탕은 무한(無汗)한 표증을 대청룡탕은 미한출(微汗出)이 있는 표증을 치료한다.
    C. 마황탕은 외감한 표한(表寒)을 대청룡탕은 표한(表寒)과 함께 이열(裏熱)을 치료한다.
    D. 마황탕은 체력이 약한 사람에게 사용하기에 보다 적합하다.
    E. 두 처방 모두 외표(外表)가 약한 사람에게 충분한 양을 투여해야만 효과가 있다.
A

C. 마황탕은 외감한 표한(表寒)을 대청룡탕은 표한(表寒)과 함께 이열(裏熱)을 치료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1. 만약 외감풍한을 받은 환자에게서 기침과 함께 기관지에서 가래소리가 난다면 다음 중 가장 적합한 방제는?
    A. 삼요탕
    B. 마황가출탕
    C. 마황탕
    D. 화개산
    E. 마행이감탕
A

D. 화개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1. 만약 외감풍습을 받은 환자에게서 표증의 오한발열 증상과 함께 온몸이 무겁고 아프다면 다음 중
    가장 적합한 방제는?
    A. 삼요탕
    B. 마황가출탕
    C. 마황탕
    D. 화개산
    E. 마행이감탕
A

E. 마행이감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1. 만약 외감풍한사를 받은 환자에게서 코가 막히고 기침이 있으며 이와 함께 혀가 뻣뻣하여 말이 잘 안 나오거나 머리나 눈이 어지럽거나 혹은 팔다리가 뻣뻣하고 마비가 온다면 다음 중 가장 적합한 방제는?

A. 삼요탕
B. 마황가출탕
C. 마황탕
D. 화개산
E. 마행이감탕

A

A. 삼요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1. 다음 중 만약 외감풍한습으로 인해서 표증과 함께 백니태가 보인다면 선택할 수 있는 가장 적절한 방제는?
    A. 삼요탕
    B. 마황가출탕
    C. 마황탕
    D. 화개산
    E. 마행이감탕
A

B. 마황가출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1. 다음의 해표제 중에서 기표(肌表)으로부터 표사(表邪)를 제거하는 본초는?
    A. 마황
    B. 계지
    C. 방풍
    D. 형개
    E. 백지
A

B. 계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1. 맥이 부긴(浮緊)하고 무한(無汗)한 환자에게 사하제를 잘못 투여한 후 맥이 부완(浮緩)해지고 복만복통(腹滿腹痛)이 나타났다면 다음 중 어떤 처방이 가장 적합하겠는가?
    A. 화개산
    B. 마행이감탕
    C. 계지탕
    D. 계지가작약탕
    E. 계지거작약탕
A

D. 계지가작약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1. 계지탕은 위강영약(衛强營弱)한 표증을 치료하는데, 다음 어떤 본초가 영약(營弱)을 치료하는가?

A. 계지
B. 작약
C. 생강
D. 대조
E. 감초

A

B. 작약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1. 외감풍한을 받은 환자가 항배강통(項背强痛)이 있으면서 한출과 오풍(惡風)이 있다면 다음 어떤 방제가 가장 적합하겠는가?
    A. 마황가출탕
    B. 계지부자탕
    C. 계지가갈근탕
    D. 계지이월비일탕
    E. 대청룡탕
A

C. 계지가갈근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1. 다음 중 외감풍한의 표증(表證)과 이증(裏證)을 함께 치료하지 않는 방제는?

A. 향소산
B. 대청룡탕
C. 소청룡탕
D. 계지가갈근탕
E. 대강활탕

A

D. 계지가갈근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1. 풍한감기에 걸린 환자가 오한발열과 기침이 심하며 가래가 많이 나온다면 다음 중 가장 적절한
    방제는?
    A. 향소산
    B. 대청룡탕
    C. 소청룡탕
    D. 계지가갈근탕
    E. 대강활탕
A

C. 소청룡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1. 표증(表證)의 오한발열이 있는 환자가 기침과 함께 누런 가래가 나온다면 다음 중 함께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하지 않는 본초는?

A. 마황
B. 행인
C. 석고
D. 황금
E. 백작

A

E. 백작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1. 여름철에 찬음료를 마신 후에 오한발열과 함께 머리와 몸이 무거우며 속이 울렁거리면서 가슴이 답답하다면 다음 중 서로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본초로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A. 연교
B. 향유
C. 백편두
D. 후박
E. 생강

A

A. 연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1. 다음 중 외감풍한한 환자에게서 천증과 함께 숨쉴 때 목안에서 가래소리가 심한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방제는?

A. 소청룡탕
B. 대청룡탕
C. 사간마황탕
D. 소청룡가석고탕
E. 구미강활탕

A

C. 사간마황탕

19
Q
  1. 다음 중 대강활탕과 구미강활탕을 비교하여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는 것은?

A. 둘 다 외감풍한습의 병증을 치료한다
B. 둘 다 몸살 증상을 치료한다
C. 대강활탕은 가래기침을 더 잘 치료한다.
D. 대강활탕은 이열을 더 잘 치료한다.
E. 둘 다 표(表와) 이(裏)를 치료한다

A

C. 대강활탕은 가래기침을 더 잘 치료한다.

20
Q
  1. 다음 중 외감풍열로 인한 감모에 걸린 후 목이 붓고 아프다면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은것은?

A. 단삼
B. 현삼
C. 우방자
D. 길경
E. 사간

A

A. 단삼

21
Q
  1. 한 환자가 외감풍한을 한 후에 가래가 많은 기침을 하며 맥은 부(浮)하다고 한다. 다음 중 적합
    한 방제를 고른다면?
    A. 소청룡탕
    B. 소청룡가석고탕
    C. 사간마황탕
    D. 향유산
A

A. 소청룡탕

22
Q
  1. 한 환자가 외감풍한을 한 후에 숨을 헐떡거리며 쉬며 목안에서 그륵거리는 가래소래가 있다고
    한다? 다음 중 적당한 방제를 고른다면?
    A. 소청룡탕
    B. 소청룡가석고탕
    C. 사간마황탕
    D. 향유산
A

C. 사간마황탕

23
Q
  1. 한 환자가 외감풍한을 한 후에 목안에 가래가 있으며 호흡이 급촉하고 가슴이 열이나서 답답하
    다고 한다. 다음 중 가장 적합한 방제는?
    A. 소청룡탕
    B. 소청룡가석고탕
    C. 사간마황탕
    D. 향유산
A

B. 소청룡가석고탕

24
Q
  1. 한 환자가 여름철에 에어컨 바람을 쐰 후부터 오한발열과 함께 머리가 무겁고 구토가 있다면 다
    음 중 가장 적합한 방제는?
    A. 마황행인감초석고탕
    B. 향유산
    C. 신가향유음
    D. 향유산
A

B. 향유산

25
Q
  1. 한 어린 환자가 홍역에 걸렸는데 피부의 발진이 약간 있으면서 열이 난다고 한다. 기침과 구갈이 있고 혀는 붉다고 한다면 다음 중 가장 적합한 방제는 무엇인가?
    A. 상국음
    B. 은교산
    C. 시갈해기탕
    D. 승마갈근탕
A

D. 승마갈근탕

26
Q
  1. 한 환자가 외감풍한을 한 후 점점 열이 심해지고 밤에 열이 나면서 가슴이 답답하여 잠을 이루지 못하다면 다음 중 적합한 방제는?
    A. 상국음
    B. 은교산
    C. 시갈해기탕
    D. 승마갈근탕
A

C. 시갈해기탕

27
Q
  1. 한 환자가 풍열감기에 걸린 후 발열이 있고 약간 땀이 있으며 오풍이 있고 약간의 구갈이 있다. 겸하여 목이 붓고 아프다면 다음 중 가장 적합한 방제는?
    A. 상국음
    B. 은교산
    C. 시갈해기탕
    D. 승마갈근탕
A

B. 은교산

28
Q
  1. 한 환자가 풍열감기를 막 걸렸는데 오한과 발열이 아직 미약하지만 마른 기침이 심하게 난다고 한다면 다음 중 적합한 방제는?
    A. 상국음
    B. 은교산
    C. 시갈해기탕
    D. 승마갈근탕
A

A. 상국음

29
Q
  1. 한 환자가 풍한감기에 걸린 후 점점 열이 나면서 입이 마르고 갈증이 심해져서 시갈해기탕에 가감하여 치료하고자 한다. 다음 중 가장 적합하지 않은 약재를 고른다면?

A. 지모
B. 천화분
C. 노근
D. 황금

A

D. 황금

30
Q
  1. 다음 중 태양양명의 병병(倂病)에 사용할 수 있는 방제는?

A. 마행감석탕
B. 소청룡탕
C. 대청룡탕
D. 시갈해기탕
E. 승마갈근탕

A

D. 시갈해기탕

31
Q

조성성분이 서로 관련이 있는 방제를 고르시오. (No.31~35)
( ) 인삼패독산 a. 인삼, 황기, 계지, 감초, 부자, 세신, 강활, 방풍, 천궁, 생강
( ) 소청룡탕 b. 방풍, 강활, 세신, 창출, 천궁, 백지, 생지황, 황금, 감초
( ) 구미강활탕 c. 마황, 백작, 세신, 건강, 감초, 계지, 반하, 오미자
( ) 재조산 d. 금은화, 연교, 길경, 박하, 담죽엽, 감초, 형개, 담두시, 우방자
( ) 은교산 e. 인삼, 시호, 전호, 천궁, 지각, 강활, 독활, 복령, 길경, 감초
( ) 상국음 f. 상엽, 국화, 연교, 박하, 길경, 행인, 노근, 감초

A

e c b a d f

32
Q

다음 해표제에 대한 설명 중 서로 관련이 되는 것을 찾으시오. (No.36~41)

( ) 계지가갈근탕(桂枝加葛根湯) a. 외감풍한습(外感風寒濕)에 함께 뚜렷한 이열(裏熱)이 있는 경우
( ) 갈근탕(葛根湯) b. 태양병과 함께 내재된 담음(痰飮)으로 인한 기침과 다량의 가래가 있는 경우
( )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 c. 항배강통(項背强痛)이 있고 무한(無汗)한 태양병
( ) 소청룡탕(小靑龍湯) d. 한출이 있고 항배(項背)의 뻣뻣함이 있는 태양병
( ) 대강활탕(大羌活湯) e. 심한 해천(咳喘)과 함께 목안에 가래소리가 있는 경우
( ) 사간마황탕(射干麻黃湯) f. 외감풍한습(外感風寒濕)의 표증(表證)과 함께 안에는 열이 울결되어 있는 경우

A

d c f b a e

33
Q
  1. 한 환자가 풍한사(風寒邪)를 외감(外感)한 후에 오한발열, 무한, 두통이 있었는데 점차로 발열, 불면, 번열감이 생기면서 이와 함께 안와통(眼窩痛), 비건(鼻乾)하고 맥부(脈浮)하면서 살짝 홍(洪) 하다고 한다. 다음 중 이 환자를 가장 잘 치료할 수 있는 방제는?

A. 재조산
B. 마황탕
C. 시갈해기탕
D. 승마갈근탕

A

C. 시갈해기탕

34
Q
  1. 한 환자가 권태감이 있으면서 사지냉(四肢冷)하고 따듯한 것을 좋아하는데 최근 감기에 걸렸다. 이 환자는 오한(惡寒)이 좀 더 중한 오한발열(惡寒發熱)이 있으면서 무한(無汗)하고 두통, 맥이침(沈)하고 무력(無力)하거나 혹은 홍대무력(洪大無力)하다면, 다음 어떤 방제가 이 환자의 치료에 가장 적합하겠는가?

A. 재조산
B. 마황탕
C. 시갈해기탕
D. 승마갈근탕

A

A. 재조산

35
Q
  1. 다음 방제 중 외감풍한사로 인한 병증을 가감하여 사용하기에 가장 적절하지 못한 것은?
    A. 마황탕
    B. 재조산
    C. 소청룡탕
    D. 시갈해기탕
    E. 은교산
A

E. 은교산

36
Q
  1. 시갈해기탕(柴葛解肌湯)을 조성하는 본초 중 이열(裏熱)을 치료하는 것들로 짝지어진 것은?

A. 시호, 갈근
B. 황금, 석고
C. 강활, 백지
D. 길경, 갈근
E. 백작, 감초

A

B. 황금, 석고

37
Q
  1. 다음의 해표약 중 투진(透疹)을 할 수 없는 것은?

A. 선태
B. 갈근
C. 박하
D. 승마
E. 상엽

A

E. 상엽

38
Q
  1. 다음 중 외감풍한 혹은 외감풍습(外感風濕)에 겸하여 이열(裏熱)이 있는 병증을 치료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방제는?

A. 구미강활탕
B. 대청룡탕
C. 소청룡탕
D. 시갈해기탕

A

C. 소청룡탕

39
Q
  1. 다음 방제 중 마진초기나 뚜렷하게 피부 밖으로 나오지 않는 발진을 치료할 수 있는 것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A. 승마갈근탕
B. 시갈해기탕
C. 구미강활탕
D. 형방패독산
E. 삼소음

A

A. 승마갈근탕

40
Q
  1. 다음 중 창종(瘡腫)의 초기에 빨갛게 붓고 열이 나며 무한하고 구갈(口渴)하며 맥이 부삭한 병증을 치료할 수 있는 것은?

A. 승마갈근탕
B. 시갈해기탕
C. 구미강활탕
D. 형방패독산
E. 삼소음

A

D. 형방패독산

41
Q
  1. 다음 중 바탕에 혈허(血虛)가 있는 환자가 외감사(外感邪)를 받았을 때 치료할 수 있는 방제는?

A. 삼소음
B. 재조산
C. 총백칠미음
D. 가미위유탕
E. 갈근탕

A

C. 총백칠미음

42
Q
  1. 다음 중 바탕에 음허(바虛)가 있는 환자가 외감사를 받았을 때 치료할 수 있는 방제는?

A. 삼소음
B. 재조산
C. 총백칠미음
D. 가미위유탕
E. 갈근탕

A

D. 가미위유탕

43
Q
  1. 다음 중 표증(表證)에서 보일 수 있는 발열과 이증(裏證)에서 보일 수 있는 발열의 차이점을 바르게 설명하지 않은 것은?

A. 이열증은 한출을 보이지 않는다.
B. 표증의 열증은 백태(白苔)를 보이고 이열증은 황태(黃苔)를 보인다.
C. 이실열증(裏實熱證)에서는 부맥(浮脈)이 보이지 않는다.
D. 표열증은 담홍설(淡紅舌)을, 이열증은 홍설(紅舌)을 보인다.
E. 표열증은 후태(厚苔)가 없으나 이열증은 후태(厚苔)가 보일 수 있다.

A

D. 표열증은 담홍설(淡紅舌)을, 이열증은 홍설(紅舌)을 보인다.

44
Q
  1. 마황세신부자탕(麻黃附子細辛湯)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틀린 것은?

A. 외감한 풍한사(風寒邪)가 소음경(少바經)에 영향을 미쳤을 때 사용된다.
B. 이 병의 초기에 오한(惡寒)이 아닌 발열(發熱)이 나타난다.
C. 초기에 맥상은 부맥이 아닌 침약(沈弱)한 맥을 보인다.
D. 이 병증은 바탕에 심한 양허(陽虛)를 포함하고 있다.
E. 이 병증은 대량의 한출(汗出)을 보인다.

A

E. 이 병증은 대량의 한출(汗出)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