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제 B 기말 Flashcards
다음 중 오령산(五苓散)의 조성약재가 아닌 것은?
복령
저령
백출
당귀
택사
당귀
저령탕(猪苓湯)의 조성 약재 중 열을 청(淸)하는 작용과 가장 거리가 먼 것
은?
복령
활석
저령
아교
택사
아교
다음 중 임신수종(姙娠水腫)에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방제는?
오피산
방기황기탕
팔정산
저령탕
오령산
오피산
다음 중 오령산(五苓散)을 적용할 수 있는 증후로서 거리가 먼 것은?
중초의 수습의 정체로 인한 구갈
표증의 두통, 오한과 발열과 함께 번갈욕음
음허를 겸한 조열, 도한, 인건
담음증의 현훈, 심계, 해천
표증을 겸한 중초의 수습정체
음허로 겸한 조열, 도한, 인건
평소에 감기에 잘 걸리는 사람이 오한(惡汗)과 함께 헛 땀이 나며 몸이 붓고 소변이 나오지 않는다면 다음 중 가장 적합한 방제는?
오피산
저령탕
오령산
진무탕
방기황기탕
방기 황기탕
방기(防己) · 황기(黃耆) 각 12g, 백출(白朮) 8g, 감초(甘草) 6g, 생강(生薑) 3쪽, 대조(大棗) 2개. [《동의보감(東醫寶鑑)》] 풍습사(風濕邪)로 몸이 무겁고 아프며 바람을 싫어하고 땀이 저절로 나며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데, 또는 감기 끝에 열이 완전히 내리지 않고 바람을 싫어하며 식은땀이 계속 나고 머리와 온 몸이 아프며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데 쓴다. 신염, 피부염, 근염(筋炎), 관절염, 두드러기 등 때 쓸 수 있다. 또한 몸이 실하면서 땀을 많이 흘리는 데도 쓴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먹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방기황기탕 [防己黃耆湯] (한의학대사전, 2001. 6. 15., 한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수열호결(水熱互結)로 인해서 아랫배가 뻐근하면서 소변에 피가 보인다
면 저령탕(猪苓湯)에 추가할 수 있는 약물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
천화분
숙지황
백모근
생지황
당귀
백모근
혈(血)을 식히고 지혈(止血), 해독(解毒) 하고 이뇨(利尿)하는 효과가 있는 약재임
다음 중 평위산(平胃散)의 조성 약재가 아닌 것은?
후박
창출
생강
진피
자감초
자감초
한 환자가 평소에 기운이 없고 쉽게 피곤하며 퇴근하고 집에 오면 눕고 싶어지며 밥맛도 별로 없다고 한다. 맥을 보니 유완(濡緩)하고 설태는 백니(白膩)하였다. 이 환자가 음식을 먹은 후 구토가 자주 있어서 다음의 약재들을사용하려고 하는데 다음 중 적합하지 않은 약재는?
생강
진피
백작약
반하
복령
백작약
고산량/간비 양혈조경 진간양지통(유간) 염음조영위
다음 중 비위(脾胃)가 조화를 이루지 못했을 때 보일 수 있는 병증들이 아닌것은?
흉협통
설사
오심
식욕저하
구토
흉협통
담석증(膽石症)이 있는 한 환자에게서 갑자기 황달이 보여서 다음의 약물
들을 사용하여 치료하고자 한다. 다음 중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석위
울금
금전초
해금사
계내금
석위
다음 중 평위산(平胃散)을 사용할 수 있는 증후의 증상에 속하지 않는 것
은?
자꾸 구역질이 남
굶어도 배가 고프지 않음
사지가 무겁고 움직이기 귀찮음
기름진 식사 후에 특히 배가 창만함
충분히 자고 난 후에도 자고 싶음
굶어도 배가 고프지 않음
다음 방제 중 평소에 소화력이 안 좋은 사람이 식체(食滯)로 인한 복부의 창통(脹痛)이 보다 심한 경우에 선택할 수 있는 것은?
향사평위산
육화탕
평위산
불환금정기산
곽향정기산
향사평위산
① 창출(蒼朮) 8g, 진피(陳皮) · 향부자(香附子) 각 4g, 지실(枳實) · 곽향(藿香) 각 3.2g, 후박(厚朴) · 사인(砂仁) 각 2.8g, 목향(木香) · 감초(甘草) 각 2g, 생강(生薑) 3쪽. [《동의보감(東醫寶鑑)》] 음식에 체한 데 쓴다. 소화가 안 되면서 윗배가 트적지근하고 불러오르며 배가 아픈 데도 쓴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먹는다.
② 창출(蒼朮) · 후박(厚朴) · 진피(陳皮) · 향부자(香附子: 연한 소금물에 불려 덖은 것) 각 4g, 산사육(山樝肉) · 사인(砂仁) · 지각(枳殼) · 맥아(麥芽) · 신국(神麴) · 건강(乾薑) · 목향(木香) 각 2g, 자감초(炙甘草) 1.2g, 생강(生薑) 3쪽, 내복자(萊菔子: 덖아서 간 것) 한 움큼. [《동의보감(東醫寶鑑)》] 식울(食鬱)로 명치 밑이 트적지근하고 입맛이 없으며 가슴이 쓰리고 신트림이 올라오는 데 쓴다. 급성 및 만성 위염, 위십이지장 궤양 등에 쓸 수 있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먹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향사평위산 [香砂平胃散] (한의학대사전, 2001. 6. 15., 한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다음 방제 중 평소 소화력이 안 좋은 사람이 특히 비기허(脾氣虛)의 증상이 심한 경우에 선택할 수 있는 방제는?
곽향정기산
향사평위산
육화탕
불환금정기산
평위산
육화탕
① 향유(香薷) · 후박(厚朴) 각 6g, 적복령(赤茯苓) · 곽향(藿香) · 백편두(白扁豆) · 모과(木瓜) 각 4g, 사인(砂仁) · 반하(半夏) · 행인(杏仁) · 인삼(人參) · 감초 (甘草) 각 2g, 생강(生薑) 3쪽, 대조(大棗) 2개. [《동의보감(東醫寶鑑)》] 여름철에 서습사(暑濕邪)에 상하여 추웠다 열이 났다 하며 배가 아프고 메스껍거나 토하고 설사하며 기침하고 머리가 아프며 가슴과 명치 아래가 그득하면서 부어오르고 음식을 잘 먹지 못하는 데, 온 몸이 노곤하고 가슴이 답답한 데 쓴다. 여름철 급성 위장염 때 쓸 수 있다. 위의 약을 물에 달여 따뜻하게 해서 아무 때나 먹는다.
② 상산(常山) 8g, 지모(知母) · 천패모(川貝母) · 인삼(人參) · 초과(草果) · 백지(白芷) · 오매(烏梅) · 빈랑(檳榔) · 시호(柴胡) 각 4g, 생강(生薑) 3쪽, 대조(大棗) 2개. [《동의보감(東醫寶鑑)》] 학질이 오래도록 낫지 않는 데 쓴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술과 물을 절반씩 섞은 데에 달여서 하룻밤 두었다가 발작하는 날에 먹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육화탕 [六和湯] (한의학대사전, 2001. 6. 15., 한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다음 방제 중 서습사(暑濕邪)를 외감(外感)하여 토사곽란과 함께 약간의 오 한발열이 함께 보인다면 선택할 수 있는 것은?
불환금정기산
육화탕
평위산
곽향정기산
향사평위산
곽향 정기산
① 곽향(藿香) 6g, 자소엽(紫蘇葉) 4g, 백지(白芷) · 대복피(大腹皮) · 백복령(白茯苓) · 후박(厚朴) · 백출(白朮) · 진피(陳皮) · 반하(半夏: 법제한 것) · 길경(桔梗) · 자감초(炙甘草) 각 2g, 생강(生薑) 3쪽, 대조(大棗) 2개. [《동의보감(東醫寶鑑)》] 풍한사(風寒邪)에 상한 데다 음식을 잘못 먹고 체하여 오슬오슬 춥다가 열이 나면서 머리가 아프고 명치 아래가 그득하며 배가 아프면서 토하며 배에서 소리가 나고 설사하는 데 쓴다. 여름철 감기, 더위, 급성 위장염, 위십이지장 궤양(gastroduodenal ulcer), 오조(惡阻) 등 때에도 쓸 수 있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먹는다.
② 곽향(藿香) 6g, 자소엽(紫蘇葉) 4g, 창출(蒼朮) · 백출(白朮) · 반하(半夏) · 진피(陳皮) · 청피(靑皮) · 대복피(大腹皮) · 계피(桂皮) · 건강(乾薑) · 익지인(益智仁) · 자감초(炙甘草) 각 2g, 생강(生薑) 3쪽, 대조(大棗) 2개.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소음인(少陰人)이 땀이 나지 않는 데, 아랫배가 단단하고 불러오르는 데, 태양병(太陽病)이 있으면서 대장이 찬 증상이 있는데, 양명병(陽明病) 증상이 있으면서 표증(表證) 증상이 풀리지 않는 데, 태음병(太陰病) 때 소화되지 않은 것을 설사하는 데 쓴다. 해산하고 난 뒤에 태반이 나오지 않는 데는 오배자(五倍子) · 진피(陳皮) 각 4g을 더 넣어 쓴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한 번에 먹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곽향정기산 [藿香正氣散] (한의학대사전, 2001. 6. 15., 한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다음 방제들은 모두 습열(濕熱)을 동반한 증후(證候)를 치료하는 방제들이다. 이들 중 농혈이 동반된 습열사리(濕熱瀉痢)에 특히 더 효과적인 것은?
작약탕
삼인탕
감로소독단
팔정산
인진호탕
작약탕
① 백작약(白芍藥) 8g, 황련(黃連) · 황금(黃芩) · 당귀미(當歸尾) 각 4g, 대황(大黃) 2.8g, 목향(木香) · 빈랑(檳榔) · 계심(桂心) · 감초(甘草) 각 2g. [《동의보감(東醫寶鑑)》] 농혈리(膿血痢)로 배가 아프고 열이 나며 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가슴이 답답한 데 쓴다. 급 · 만성 대장염, 세균성 및 아메바성 적리(赤痢) 등 때 쓸 수 있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먹는다.
② 백작약(白芍藥) · 치자(梔子) · 황련(黃連) · 석고(石膏) · 연교(連翹) · 박하(薄荷) 각 4g, 감초(甘草) 2g. [《동의보감(東醫寶鑑)》] 비위(脾胃)에 열사(熱邪)가 성하여 입 안과 입술이 허는 데와 소갈증(消渴症)으로 입과 목이 마르고 음식을 많이 먹어도 이내 배가 고프며 찬물을 자주 마시는 데 쓴다. 당뇨병에 쓸 수 있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먹는다.
[네이버 지식백과] 작약탕 [芍藥湯] (한의학대사전, 2001. 6. 15., 한의학대사전 편찬위원회)
다음 방제 중 특히 방광염(膀胱炎)에 보다 효과적인 방제는?
작약탕
인진호탕
삼인탕
감로소독단
팔정산
팔정산
다음 중 특히 양황(陽黃)에 특효인 방제는?
인진호탕
팔정산
작약탕
감로소독단
삼인탕
인진호탕
만약 어떤 환자에게서 요로결석(尿路結石)으로 인한 소변빈삭과 통증을 보일 때 다음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약물들이다. 이들 중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해금사
계내금
치자
석위
금전초
치자
청열거습제는 습열(濕熱)이 일으키는 병증을 치료하는 방제이다. 다음 중
습열이 하초로 내려가서 일으킬 수 있는 병증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설사
소변청장(小便淸長)
황대(黃帶)
이급후중(裏急後重)
열림(熱淋)
소변청장
이급후중(裏急後重)이 동반된 설사에 농혈(膿血)이 보이므로 다음의 약재들을 사용하여 방제를 조성하고자 한다. 다음 중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백두옹
작약
목향
빈랑
우슬
우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