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Q

집안 __

① 내력

② 내역

A

집안 내력

① 내력(來歷): 지금까지 지내온 경로나 경력 / 일정한 과정을 거치면서 이루어진 까닭 / =내림.

② 내역(內譯): 물품이나 금액 따위의 내용. ‘명세(明細)’로 순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__ 노력을 다하다.

① 가진

② 갖은

A

갖은 노력을 다하다.

① 가진: ‘가지다’의 관형사형. ‘가지다’의 준말인 ‘갖다’는 다음에 모음 어미가 올 수 없으므로, 이때는 ‘갖은’을 쓰면 안 된다.

② 갖은: 관형사. 골고루 다 갖춘. 또는 여러 가지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돈을 ___ 너를 도운 게 아니다.

① 바라고

② 바래고

A

돈을 바라고 너를 도운 게 아니다.

① 바라고(바라다): 어떤 일이나 상태가 이루아지거나 그렇게 되었으면 하고 생각하다. / 원하는 사물을 얻거나 가졌으면 하고 생각하다. / 어떤 것을 향하여 보다.

② 바래고(바래다): 볕이나 습기를 받아 색이 변하다. / 볕에 쬐거나 약물을 써서 빛깔을 희게 하다. / 가는 사람을 일정한 곳까지 배웅하거나 바라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진실은 반드시 ____.

① 드러난다

② 드러낸다

③ 들어낸다

A

진실은 반드시 드러난다.

① 드러난다(드러나다): 가려 있거나 보이지 않던 것이 보이게 되다. /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 널리 밝혀지다.

② 드러낸다(드러내다): ‘드러나다’의 사동사

③ 들어낸다(들어내다): 물건을 들어서 밖으로 옮기다. / 사람을 있는 자리에서 쫓아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행사 일정표의 __

① 게시

② 계시

A

행사 일정표의 게시

① 게시(揭示): 여러 사람에게 알리기 위하여 두루 보게 함

② 계시(啓示): 깨우쳐 보여 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저놈을 여기서 당장 ____ 못할까!

① 드러나지

② 드러내지

③ 들어내지

A

저놈을 여기서 당장 들어내지 못할까!

① 드러나지(드러나다): 가려 있거나 보이지 않던 것이 보이게 되다. /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 널리 밝혀지다.

② 드러내지(드러내다): ‘드러나다’의 사동사

③ 들어내지(들어내다): 물건을 들어서 밖으로 옮기다. / 사람을 있는 자리에서 쫓아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유전 __

① 개발

② 계발

A

유전 개발

① 개발(開發): 토지·자원·산업·경제 등을 유용하게 만들거나 발전하게 함. / 지식이나 재능 따위를 발달하게 함.

② 계발(啓發): 슬기나 재능, 사상 따위를 일깨워 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시간을 __

① 마치다

② 맞추다

③ 맞히다

A

시간을 맞추다.

① 마치다: 어떤 일이 끝나다. 또는 그렇게 하다.

② 맞추다: 서로 떨어져 있는 부분을 제자리에 맞게 대어 붙이다. / 대상들을 나란히 놓고 비교하여 살피다. / 어긋남이 없이 조화를 이루다. / 기준이나 정도에 어긋나지 아니하게 하다.

③ 맞히다: ‘맞다’의 사동사. 목표에 맞게 하다. / 물음에 옳은 답을 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공과 사의 __

① 구별

② 구분

A

공과 사의 구별

① 구별(區別): 성질이나 종류에 따라 차이가 남. 또는 갈라놓음.

② 구분(區分): 일정한 기준에 따라 전체를 몇 개로 갈라 나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그는 개인주의적 사고가 뼛속까지 __ 사람이다.

① 박인

② 박힌

③ 배긴

A

그는 개인주의적 사고가 뼛속까지 박힌 사람이다.

① 박인(박이다): 버릇, 생각, 태도 따위가 깊이 배다. / 손바닥, 발바닥 따위에 굳은살이 생기다.

② 박힌(박히다): ‘박다’의 피동사 . 사람이 한곳에 들어앉아 나가지 아니하는 상태를 계속하다. / 머릿속에 어떤 사상이나 이념 따위가 깊이 자리 잡다. / 행동이나 생활이 딱딱하게 느껴질 정도로 규격화되다.

③ 배긴(배기다): 단단한 것이 받치는 힘을 느끼게 되다. / 참기 어려운 일을 잘 참고 견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그 이론은 __을(를) 거치지 않은 것이므로 신뢰할 수 없다.

① 검수(檢收)

② 검수(檢數)

③ 검증

④ 검역

⑤ 검정

A

그 이론은 _검증_을 거치지 않은 것이므로 신뢰할 수 없다.

① 검수(檢收): 물건의 규격, 수량, 품질 따위를 검사한 후 물건을 받음.

② 검수(檢數): 물건의 개수를 헤아려 검사하는 일

③ 검증(檢證): 검사하여 증명함.

④ 검역(檢疫): 전염병을 막기 위해 하는 일

⑤ 검정(檢定): 일정한 규정에 따라 자격이나 조건을 검사하여 결정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친구 집에 ___.

① 들르다

② 들리다

A

친구 집에 들르다.

① 들르다: 지나는 길에 잠깐 들어가 머무르다.

② 들리다: 병이 걸리다. / ‘들다’의 피동사·사동사 / ‘듣다’의 피동사·사동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친구 집에서 며칠 __.

① 묵다

② 묶다

A

친구 집에서 며칠 묵다.

① 묵다: 오래된 상태가 되다. / 머무르다.

② 묶다: 매듭으로 만들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고무줄을 ___.

① 늘리다

② 늘이다

A

고무줄을 늘이다.

① 늘리다: ‘늘다’의 사동사. 세력이나 양 따위를 본디보다 커지게 하다.

② 늘이다: 본디보다 더 길게 하다. 선 따위를 연장하다. / 아래로 길게 처지게 하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일을 ___ 시작하다.

① 깐보고

② 깔보고

A

일을 깐보고 시작하다.

① 깐보고(깐보다): 마음속으로 가늠하다.

② 깔보고(깔보다): 얕잡아 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콩나물을 ___.

① 무치다

② 묻히다

A

콩나물을 무치다.

① 무치다: 나물 따위에 갖은 양념을 넣고 한데 뒤섞다.

② 묻히다: ‘묻다’의 피동사·사동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보약을 ___.

① 다린다

② 달인다

A

보약을 달인다.

① 다린다(다리다): 다리미나 인두로 문지르다.

② 달인다(달이다): 끓여서 진하게 만들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가방이 __ 손

① 들른

② 들린

A

가방이 들린

① 들른(들르다): 지나는 길에 잠깐 들어가 머무르다.

② 들린(들리다): 병이 걸리다. / ‘들다’의 피동사·사동사 / ‘듣다’의 피동사·사동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상처가 ___.

① 당기다

② 댕기다

③ 땅기다

A

상처가 땅기다.

① 당기다: 저절로 끌리거나 입맛이 돋우어지다. / 가까이 오게 하다.

② 댕기다: 불이 옮아 붙다, 또는 그렇게 하다.

③ 땅기다: 몹시 단단하고 팽팽하게 되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새 책상으로 __하였다.

① 가늠

② 가름

③ 갈음

A

새 책상으로 _갈음_하였다.

① 가늠: 사물을 어림잡아 헤아림.

② 가름: 따로따로 나누는 일.

③ 갈음: 다른 것으로 바꾸어 대신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__을 겪다.

① 곤욕

② 곤혹

A

_곤욕_을 겪다.

① 곤욕(困辱): 심한 모욕. 또는 참기 힘든 일

② 곤혹(困惑): 곤란한 일을 당하여 어찌할 바를 모름.

22
Q

교과서 __

① 검수(檢收)

② 검수(檢數)

③ 검증

④ 검역

⑤ 검정

A

교과서 검정

① 검수(檢收): 물건의 규격, 수량, 품질 따위를 검사한 후 물건을 받음.

② 검수(檢數): 물건의 개수를 헤아려 검사하는 일

③ 검증(檢證): 검사하여 증명함.

④ 검역(檢疫): 전염병을 막기 위해 하는 일

⑤ 검정(檢定): 일정한 규정에 따라 자격이나 조건을 검사하여 결정함.

23
Q

물품의 재고량을 __하다.

① 검수(檢收)

② 검수(檢數)

③ 검증

④ 검역

⑤ 검정

A

물품의 재고량을 _검수(檢數)_하다.

① 검수(檢收): 물건의 규격, 수량, 품질 따위를 검사한 후 물건을 받음.

② 검수(檢數): 물건의 개수를 헤아려 검사하는 일

③ 검증(檢證): 검사하여 증명함.

④ 검역(檢疫): 전염병을 막기 위해 하는 일

⑤ 검정(檢定): 일정한 규정에 따라 자격이나 조건을 검사하여 결정함.

24
Q

이불이 ___.

① 두껍다

② 두텁다

A

이불이 두껍다.

① 두껍다: 두께가 보통의 정도보다 크다.

② 두텁다: 신의, 믿음, 인정 따위가 굳고 돈독하다.

25
먹은 것이 자꾸 \_\_\_. ① 바쳤다 ② 받쳤다 ③ 받혔다 ④ 밭쳤다
먹은 것이 자꾸 _받쳤다_. ① 바쳤다(바치다): 신이나 웃어른에게 정중하게 드리다. / 무엇을 위하여 모든 것을 아낌없이 내놓거나 쓰다. ② 받쳤다(받치다): 먹은 것이 소화되지 않고 위로 치밀다. / 앉거나 누운 자리가 바닥이 딴딴하게 배기다. / 화 따위의 심리적 작용이 강하게 일어나다. / 어떤 물건 밑에 다른 물체를 올리거나 대다. / 어떤 일을 할 수 있도록 뒷받침해 주다. ③ 받혔다(받히다): '받다'의 피동사 / '받다(여러 사람에게 팔거나 대어 주기 위해 한꺼번에 많은 물품을 사다)'의 사동사 ④ 밭쳤다(밭치다): '밭다'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 / 구멍이 뚫린 물건 위에 국수나 야채 따위를 올려 물기를 빼다.
26
\_\_(를) 치다 ① 금새 ② 금세
_금새_(를) 치다: 어떤 물건의 시세나 값이 얼마 정도라고 정하다. ① 금새: 물건의 값. 또는 물건값의 비싸고 싼 정도 ② 금세: '금시(今時)에'의 준말. 지금 바로
27
그는 신의 \_\_를 받은 듯 홀연히 사라졌다. ① 게시 ② 계시
그는 신의 _계시_를 받은 듯 홀연히 사라졌다. ① 게시(揭示): 여러 사람에게 알리기 위하여 두루 보게 함 ② 계시(啓示): 깨우쳐 보여 줌.
28
객지 생활을 오래 해서 몸이 많이 \_\_\_. ① 골았다 ② 곯았다
객지 생활을 오래 해서 몸이 많이 _곯았다_. ① 골았다(골다): 잠잘 때 거친 숨결이 콧구멍을 울려 드르렁거리는 소리를 내다. ② 곯았다(곯다): 속이 물크러져 상하다. / 은근히 해를 입어 골병이 들다. / 양에 아주 모자라게 먹거나 굶다.
29
살림이 제법 \_\_\_\_. ① 낙낙하다 ② 낙락하다
살림이 제법 _낙낙하다_. ① 낙낙하다: 크기, 수효, 부피 따위가 조금 크거나 남음이 있다. ② 낙락하다(落落--): 큰 소나무의 가지 따위가 아래로 축축 늘어져 있다. / 여기저기 떨어져 있다. / 남과 서로 어울리지 않다. / 작은 일에 얽매이지 않고 대범하다.
30
문이 저절로 \_\_\_. ① 다쳤다 ② 닫쳤다 ③ 닫혔다
문이 저절로 _닫혔다_. ① 다쳤다(다치다): 부딪치거나 맞거나 하여 신체에 상처를 입다. / 남의 마음이나 체면, 명예에 손상을 끼치다. ② 닫쳤다(닫치다): 문이나 뚜껑 따위를 꼭꼭 또는 세게 닫다. ③ 닫혔다(닫히다): '닫다'의 피동사
31
선생님께서 한자를 ___ 주셨다. ① 가르쳐 ② 가리켜
선생님께서 한자를 _가르쳐_ 주셨다. ① 가르쳐(가르치다): 지식 등을 익히게 하다. ② 가리켜(가리키다): 집어서 보이거나 말하거나 알리다.
32
우리 팀은 \_\_이 잘된다. ① 단합 ② 담합
우리 팀은 _단합_이 잘된다. ① 단합(團合): =단결. '뭉침'으로 순화 ② 담합(談合): 서로 의논하여 합의함. '짬짜미'로 순화
33
얼굴에 미소를 \_\_. ① 떼다 ② 띄다 ③ 띠다
얼굴에 미소를 _띠다_. ① 떼다: 떨어지게 하거나 덜어 내다. ② 띄다: '뜨이다'의 준말. 남보다 훨씬 두드러지다. / '띄우다'의 준말. 공간적으로 거리가 멀게 하다. ③ 띠다: 물건, 색채, 용무, 성질, 감정 등을 지니다.
34
자신의 능력 \_\_ ① 개발 ② 계발
자신의 능력 _개발·계발_ ① 개발(開發): 토지·자원·산업·경제 등을 유용하게 만들거나 발전하게 함. / 지식이나 재능 따위를 발달하게 함. ② 계발(啓發): 슬기나 재능, 사상 따위를 일깨워 줌.
35
등산하는 버릇이 몸에 \_\_\_. ① 박였다 ② 박혔다 ③ 배겼다
등산하는 버릇이 몸에 _박였다_. ① 박였다(박이다): 버릇, 생각, 태도 따위가 깊이 배다. / 손바닥, 발바닥 따위에 굳은살이 생기다. ② 박혔다(박히다): '박다'의 피동사 . 사람이 한곳에 들어앉아 나가지 아니하는 상태를 계속하다. / 머릿속에 어떤 사상이나 이념 따위가 깊이 자리 잡다. / 행동이나 생활이 딱딱하게 느껴질 정도로 규격화되다. ③ 배겼다(배기다): 단단한 것이 받치는 힘을 느끼게 되다. / 참기 어려운 일을 잘 참고 견디다.
36
기술자는 역시 \_\_\_. ① 다르다 ② 틀리다
기술자는 역시 _다르다_. ① 다르다: 비교가 되는 두 대상이 서로 같지 아니하다. / 보통의 것보다 두드러진 데가 있다. ② 틀리다: 셈이나 사실 따위가 그르게 되거나 어긋나다. / 바라거나 하려는 일이 순조롭게 되지 못하다. / 마음이나 행동 따위가 올바르지 못하고 비뚤어지다.
37
옷을 \_\_\_. ① 다린다 ② 달인다
옷을 _다린다_. ① 다린다(다리다): 다리미나 인두로 문지르다. ② 달인다(달이다): 끓여서 진하게 만들다.
38
몸과 마음을 \_\_\_. ① 바치다 ② 받치다 ③ 받히다 ④ 밭치다
몸과 마음을 _바치다_. ① 바치다: 신이나 웃어른에게 정중하게 드리다. / 무엇을 위하여 모든 것을 아낌없이 내놓거나 쓰다. ② 받치다: 먹은 것이 소화되지 않고 위로 치밀다. / 앉거나 누운 자리가 바닥이 딴딴하게 배기다. / 화 따위의 심리적 작용이 강하게 일어나다. / 어떤 물건 밑에 다른 물체를 올리거나 대다. / 어떤 일을 할 수 있도록 뒷받침해 주다. ③ 받히다: '받다'의 피동사 / '받다(여러 사람에게 팔거나 대어 주기 위해 한꺼번에 많은 물품을 사다)'의 사동사 ④ 밭치다: '밭다'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 / 구멍이 뚫린 물건 위에 국수나 야채 따위를 올려 물기를 빼다.
39
사적 감정의 \_\_가 이 일의 변수이다. ① 개재 ② 게재 ③ 계제
사적 감정의 _개재_가 이 일의 변수이다. ① 개재(介在): 어떤 것들 사이에 끼여 있음. ② 게재(揭載): 글이나 그림 따위를 신문이나 잡지에 실음. ③ 계제(階梯): 일이 되어 가는 순서나 절차/ 어떤 일을 할 수 있게 된 형편이나 기회
40
일의 성패가 여러분에게 __ 있습니다. ① 달려 ② 딸려
일의 성패가 여러분에게 _달려_ 있습니다. ① 달려(달리다): '달다'의 피동사·사동사 / 어떤 일에 줄곧 매이다. / 어떤 일이나 상태 따위가 무엇에 의존하다. / 재물이나 기술, 힘 따위가 모자라다. ② 딸려(딸리다): 어떤 것에 매이거나 붙어 있다. / 어떤 부서나 종류에 속하다. / '따르다'의 사동사
41
속옷을 볕에 \_\_\_. ① 바라다 ② 바래다
속옷을 볕에 _바래다_. ① 바라다: 어떤 일이나 상태가 이루아지거나 그렇게 되었으면 하고 생각하다. / 원하는 사물을 얻거나 가졌으면 하고 생각하다. / 어떤 것을 향하여 보다. ② 바래다: 볕이나 습기를 받아 색이 변하다. / 볕에 쬐거나 약물을 써서 빛깔을 희게 하다. / 가는 사람을 일정한 곳까지 배웅하거나 바라보다.
42
\_\_\_가 단정하다. ① 매무시 ② 매무새
_매무새_가 단정하다. ① 매무시: 옷을 입을 때 매고 여미는 따위의 뒷단속 ② 매무새: 매무시한 모양새
43
둘로 \_\_. ① 가늠 ② 가름 ③ 갈음
둘로 _가름_. ① 가늠: 사물을 어림잡아 헤아림. ② 가름: 따로따로 나누는 일. ③ 갈음: 다른 것으로 바꾸어 대신함.
44
학생들은 공책에 책받침을 ___ 쓴다. ① 바치고 ② 받치고 ③ 받히고 ④ 밭치고
학생들은 공책에 책받침을 _받치고_ 쓴다. ① 바치고(바치다): 신이나 웃어른에게 정중하게 드리다. / 무엇을 위하여 모든 것을 아낌없이 내놓거나 쓰다. ② 받치고(받치다): 먹은 것이 소화되지 않고 위로 치밀다. / 앉거나 누운 자리가 바닥이 딴딴하게 배기다. / 화 따위의 심리적 작용이 강하게 일어나다. / 어떤 물건 밑에 다른 물체를 올리거나 대다. / 어떤 일을 할 수 있도록 뒷받침해 주다. ③ 받히고(받히다): '받다'의 피동사 / '받다(여러 사람에게 팔거나 대어 주기 위해 한꺼번에 많은 물품을 사다)'의 사동사 ④ 밭치고(밭치다): '밭다'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 / 구멍이 뚫린 물건 위에 국수나 야채 따위를 올려 물기를 빼다.
45
김치를 __ 그릇 ① 담은 ② 담근
김치를 _담은_ 그릇 ① 담은(담다): 어떤 물건을 넣거나 내용을 포함하다. ② 담근(담그다): 액체 속에 넣다. / 김치·술·젓갈 따위를 익거나 삭도록 그릇에 넣어 두다.
46
\_\_\_ 수 없이 흐르는 눈물 ① 걷잡을 ② 겉잡을
_걷잡을_ 수 없이 흐르는 눈물 ① 걷잡을(걷잡다): 한 방향으로 치우쳐 흘러가는 형세 따위를 붙들어 잡다. / 마음을 진정하거나 억제하다. ② 겉잡을(겉잡다): 겉으로 보고 대강 짐작하여 헤아리다.
47
실연을 당한 뒤 방구석에 __ 나오질 않는다. ① 박여 ② 박혀 ③ 배겨
실연을 당한 뒤 방구석에 _박혀_ 나오질 않는다. ① 박여(박이다): 버릇, 생각, 태도 따위가 깊이 배다. / 손바닥, 발바닥 따위에 굳은살이 생기다. ② 박혀(박히다): '박다'의 피동사 . 사람이 한곳에 들어앉아 나가지 아니하는 상태를 계속하다. / 머릿속에 어떤 사상이나 이념 따위가 깊이 자리 잡다. / 행동이나 생활이 딱딱하게 느껴질 정도로 규격화되다. ③ 배겨(배기다): 단단한 것이 받치는 힘을 느끼게 되다. / 참기 어려운 일을 잘 참고 견디다.
48
어깨를 ____ 옷차림 ① 드러나는 ② 드러내는 ③ 들어내는
어깨를 _드러내는_ 옷차림 ① 드러나는(드러나다): 가려 있거나 보이지 않던 것이 보이게 되다. /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 널리 밝혀지다. ② 드러내는(드러내다): '드러나다'의 사동사 ③ 들어내는(들어내다): 물건을 들어서 밖으로 옮기다. / 사람을 있는 자리에서 쫓아내다.
49
\_\_ 좋은 부부 ① 금슬 ② 금실
_금슬·금실_ 좋은 부부 ① 금슬(琴瑟): 거문고와 비파 / '금실'의 원말 ② 금실(琴瑟): '금실지락(琴瑟之樂)'의 준말. 부부간의 사랑
50
이 법은 \_\_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① 공포 ② 공표
이 법은 _공포_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① 공포(公布): 널리 알림. / 확정된 법령이나 조약을 알림. ② 공표(公表): 여러 사람에게 드러내어 알림. '공개 발표', '발표'로 순화
51
\_\_ 짓 ① 몹쓸 ② 못 쓸
_몹쓸_ 짓 ① 몹쓸: 악독하고 고약한 ② 못 쓸: 사용하지 못하는
52
그가 목이 마르다며 물을 벌컥벌컥 \_\_\_\_. ① 들이켠다 ② 들이킨다
그가 목이 마르다며 물을 벌컥벌컥 _들이켠다_. ① 들이켠다(들이켜다): 물이나 술 따위의 액체를 단숨에 마구 마시다. / 공기나 숨 따위를 몹시 세차게 들이마시다. ② 들이킨다(들이키다): 안쪽으로 가까이 옮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