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Q

아픔을 ___ 참다.

① 지긋이

② 지그시

A

아픔을 지그시 참다.

① 지긋이: 나이가 비교적 많아 듬직하게

② 지그시: 슬며시 힘을 주는 모양 / 조용히 참고 견디는 모양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주량이 __ 정도입니까?

① 어느

② 여느

A

주량이 어느 정도입니까?

① 어느: 둘 이상의 것 가운데 대상이 되는 것이 무엇인지 물을 때 쓰는 말 / 막연한 사람이나 사물을 이를 때 쓰는 말 / 어떤 정도나 얼마만큼의 수량을 막연하게 이를 때 쓰는 말 / 관련되는 대상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음을 이를 때 쓰는 말

② 여느: 그 밖의 예사로운. 또는 다른 보통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굽히지 않고 ___를 잘한다.

① 산소리

② 생소리

③ 신소리

A

굽히지 않고 _산소리_를 잘한다.

① 산소리: 남에게 굽히지 않으려고 하는 말

② 생소리: 이치에 맞지 아니하는 엉뚱한 말 / 노래를 할 때에 가다듬어서 내는 소리가 아니라 목에서 나오는 대로 소리를 냄. 또는 그런 소리

③ 신소리: 엉뚱한 말로 재치 있게 넘기는 말 / 신을 끌면서 걸을 때 나는 소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외투를 ___에 걸었다.

① 옷거리

② 옷걸이

A

외투를 _옷걸이_에 걸었다.

① 옷거리: 옷을 입은 모양새

② 옷걸이: 옷을 걸어 두도록 만든 물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지금 나 ___.

① 어떡해

② 어떻게

A

지금 나 어떡해.

① 어떡해: ‘어떻게 해’가 줄어든 말

② 어떻게: ‘어떠하다’의 준말인 ‘어떻다’의 활용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힘든 일에 몸을 ___.

① 사리다

② 살리다

A

힘든 일에 몸을 사리다.

① 사리다: 국수, 새끼, 실 등을 동그랗게 포개어 감다. / 어떤 일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몸을 아끼다.

② 살리다: ‘살다’의 사동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돌을 잘게 ___.

① 부수다

② 부시다

A

돌을 잘게 부수다.

① 부수다: 조각이 나게 깨뜨리다.

② 부시다: 그릇 따위를 씻다. / 색채가 강렬하여 마주 보기 어렵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투지를 ___.

① 벼르다

② 벼리다

A

투지를 벼리다.

① 벼르다: 어떤 일을 하려고 마음속으로 준비하고 엿보다.

② 벼리다: 무디어인 연장의 끝을 불에 달구어 날카롭게 하다. / 마음이나 의지를 가다듬고 단련하여 강하게 하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라면이 __ 전에 먹어라.

① 불기

② 붇기

A

라면이 붇기 전에 먹어라.

① 불기(불다): 바람이나 풍조 등이 움직이다.

② 붇기(붇다): 물건이 젖어 부피가 커지다. / 분량이 많아지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선생님의 __에 귀를 기울이다.

① 억설

② 역설(力說)

③ 역설(逆說)

A

선생님의 _역설(力說)​_에 귀를 기울이다.

① 억설(臆說): 근거도 없이 억지로 고집을 세워서 우겨 댐. 또는 그런 말

② 역설(力說): 자기의 뜻을 힘주어 말함. 또는 그런 말

③ 역설(逆說): 어떤 주의나 주장에 반대되는 이론이나 말 / [논리] 일반적으로는 모순을 야기하지 아니하나 특정한 경우에 논리적 모순을 일으키는 논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어둠 속에 달빛이 ___.

① 비추다

② 비치다

A

어둠 속에 달빛이 비치다.

① 비추다: 밝게 하거나 견주어 보다.

② 비치다: 빛이 나서 환하게 되거나 모양이 나타나다. / 의사를 넌지시 깨우쳐 주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그 문제의 __은 이제 막을 수가 없다.

① 재연(再演)

② 재연(再燃)

③ 재현

A

그 문제의 _재연(再燃)_은 이제 막을 수가 없다.

① 재연(再演): 연극이나 영화 따위를 다시 상연함. 일을 되풀이함.

② 재연(再燃): 꺼졌던 불이 다시 탐. / 잠잠하던 일이 다시 문제가 되어 시끄러워짐.

③ 재현(再現): 다시 나타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사랑에 __ 아이

① 주린

② 줄인

A

사랑에 주린 아이

① 주린(주리다): 배를 곯다. / 몹시 아쉬워하다.

② 줄인(줄이다): ‘줄다’의 사동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습기가 ___ 배어 나는 목소리였다.

① 진드기

② 진득이

A

습기가 진득이 배어 나는 목소리였다.

① 진드기: 진드깃과의 절지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② 진득이: 성질이나 행동이 검질기게 끈기가 있게 / 잘 끊어지지 아니할 정도로 눅진하고 차지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가을은 말이 ___ 계절이다.

① 살지는

② 살찌는

A

가을은 말이 살찌는 계절이다.

① 살지는(살지다): [형용사] 살이 많고 튼실하다. / 땅이 기름지다.

② 살찌는(살찌다): [동사]: 살이 많아지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꼼꼼한 성격은 _나 지금이나 조금도 달라진 것이 없다.

① 예

② 옛

A

꼼꼼한 성격은 _예_나 지금이나 조금도 달라진 것이 없다.

① 예: 아주 먼 과거 / =네

② 옛: 지나간 때의 / 윗사람의 명령이나 요구에 대답할 때 하는 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육상 대회에서 신기록을 ___.

① 새우다

② 세우다

A

육상 대회에서 신기록을 세우다.

① 새우다: 한 숨도 자지 아니하고 밤을 지내다.

② 세우다: ‘서다’의 사동사 / 내년 예산을 세우다. / 주장이나 고집 따위를 강하게 내세우다. / 공로나 업적 따위를 이룩하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태양이 __하였다.

① 작렬

② 작열

A

태양이 _작열_하였다.

① 작렬(炸裂): 포탄 따위가 터져서 쫙 퍼짐.

② 작열(灼熱): 불 따위가 이글이글 뜨겁게 타오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재주를 ___.

① 썩이다

② 썩히다

A

재주를 썩히다.

① 썩이다: ‘썩다’의 사동사. 마음이 괴로운 상태라 되게 하다.

② 썩히다: 부패하게 되다. / 재능을 버리다.

‘속을 썩이다’만 ‘썩이다’, 그 밖에는 ‘썩히다’를 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_ 날벼락이람.

① 왠

② 웬

A

날벼락이람.

① 왠(X)

② 웬: [관형사] 어떠한 / 어찌 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군불을 ___.

① 지피다

② 짚이다

A

군불을 지피다.

① 지피다: 불을 붙이다. / 사람에게 신이 내려 묘한 힘이 생기다.

② 짚이다: 짐작이 가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언니는 발이 유난히 __.

① 작다

② 적다

A

언니는 발이 유난히 작다.

① 작다: 길이, 넓이, 부피 따위가 덜하다.

② 적다: 수효나 분량, 정도가 일정한 기준에 미치지 못하다.

23
Q

정상을 __하다.

① 지양

② 지향

A

정상을 _지향_하다.

① 지양(止揚): 더 높은 단계로 가기 위하여 어떠한 것을 하지 아니함. ‘피함’, ‘하지 않음’으로 순화 / 변증법의 중요한 개념. ‘벗어남’, ‘삼감’으로 순화

② 지향(志向): 어떤 목표로 뜻이 쏠리어 향함.

24
Q

취미를 ___.

① 부치다

② 붙이다

A

취미를 붙이다.

① 부치다: 모자라거나 미치지 못하다. / 어떤 문제를 다른 곳에 넘기어 맡기다. / 어떤 일을 거론하지 아니하는 상태에 있게 하다. / 마음을 다른 것에 의지하여 대신 나타내다. / 먹고 자는 일을 제집이 아닌 다른 곳에서 하다. / 특별한 날에 즈음하여 의견을 나타내다.

② 붙이다: ‘붙다’의 사동사

25
비가 내리던 __ 가을 저녁 ① 어느 ② 여느
비가 내리던 _어느_ 가을 저녁 ① 어느: 둘 이상의 것 가운데 대상이 되는 것이 무엇인지 물을 때 쓰는 말 / 막연한 사람이나 사물을 이를 때 쓰는 말 / 어떤 정도나 얼마만큼의 수량을 막연하게 이를 때 쓰는 말 / 관련되는 대상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음을 이를 때 쓰는 말 ② 여느: 그 밖의 예사로운. 또는 다른 보통의
26
마음을 \_\_\_. ① 조리다 ② 졸이다
마음을 _졸이다_. ① 조리다: 바짝 끓여서 양념이 배어들게 하다. ② 졸이다: '졸다'의 사동사 / 속을 태우다시피 초조해하다.
27
커튼을 걷어 \_\_\_. ① 젖히다 ② 제치다
커튼을 걷어 _젖히다_. ① 젖히다: '젖다'의 사동사 / 안쪽이 겉으로 나오게 하다. / [보조 동사]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막힌 데 없이 해치움을 나타내는 말 ② 제치다: 거치적거리지 않게 처리하다. / 일정한 대상이나 범위에서 빼다. / 경쟁 상대보다 우위에 서다. / 일을 미루다.
28
\_을 그리는 마음 ① 임 ② 님
_임_을 그리는 마음 ① 임: [명사] 사모하는 사람 ② 님: [의존 명사] 사람을 높여 부르는 말 / '높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29
범행 현장 \_\_ ① 재연(再演) ② 재연(再燃) ③ 재현
범행 현장 _재연(再演)_ ① 재연(再演): 연극이나 영화 따위를 다시 상연함. 일을 되풀이함. ② 재연(再燃): 꺼졌던 불이 다시 탐. / 잠잠하던 일이 다시 문제가 되어 시끄러워짐. ③ 재현(再現): 다시 나타남.
30
"숙제 다 했니?" "\_\_\_. 조금 남았어요." ① 아니오 ② 아니요
"숙제 다 했니?" "_아니요_. 조금 남았어요." ① 아니오: '아니다'의 활용형 ② 아니요: 감탄사 예 ⇔ 아니요(아뇨)
31
중공업 \_\_ ① 부문 ② 부분
중공업 _부문_ ① 부문(部門): 일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하거나 나누어 놓은 낱낱의 범위나 부분 ② 부분(部分): 전체를 이루는 작은 범위. 또는 전체를 몇 개로 나눈 것의 하나
32
\_\_ 처리되어 학교에 다니지 못한다. ① 재적 ② 제적
**① 재적(在籍)**: 학적, 병적 따위의 명부(在籍)에 이름이 올라 있음. ② 제적(除籍): 학적, 당적 따위에서 이름을 지워 버림.
33
\_\_에 두다. ① 엄두 ② 염두
_염두_에 두다. ① 엄두: 감히 무엇을 하려는 마음 ② 염두(念頭): 생각의 시초 / 마음속
34
김 씨는 야채 \_\_로 먹고 산다. ① 장사 ② 장수
김 씨는 야채 _장사_로 먹고 산다. ① 장사: 이익을 얻으려고 물건을 사서 팖. ② 장수: 장사하는 사람
35
\_\_의 인물을 직접 확인했다. ① 실재 ② 실제
_실재_의 인물을 직접 확인했다. ① 실재(實在): 실제로 존재함. ② 실제(實際): 사실의 경우나 형편
36
그는 나를 보면 ___ 농담을 하곤 했다. ① 시름없이 ② 실없이
그는 나를 보면 _실없이_ 농담을 하곤 했다. ① 시름없이: 근심과 걱정으로 맥이 없이 / 아무 생각이 없이 ② 실없이: 말이나 하는 짓이 실답지 못하게
37
신앙을 가지고 산다는 것은 이성으로 믿기 어려운 \_\_을 순순히 받아들이는 것이다. ① 억설 ② 역설(力說) ③ 역설(逆說)
신앙을 가지고 산다는 것은 이성으로 믿기 어려운 _역설(逆說)_을 순순히 받아들이는 것이다. ① 억설(臆說): 근거도 없이 억지로 고집을 세워서 우겨 댐. 또는 그런 말 ② 역설(力說): 자기의 뜻을 힘주어 말함. 또는 그런 말 ③ 역설(逆說): 어떤 주의나 주장에 반대되는 이론이나 말 / [논리] 일반적으로는 모순을 야기하지 아니하나 특정한 경우에 논리적 모순을 일으키는 논증
38
\_\_ 옥토 ① 살진 ② 살찐
_살진_ 옥토 ① 살진(살지다): [형용사] 살이 많고 튼실하다. / 땅이 기름지다. ② 살찐(살찌다): [동사]: 살이 많아지다.
39
병이 들어 \_\_한 몸 ① 쇠락 ② 쇄락
병이 들어 _쇠락_한 몸 ① 쇠락(衰落): 쇠약하여 말라서 떨어짐. '쇠퇴'로 순화 ② 쇄락(灑落): 기분이나 몸이 상쾌하고 깨끗함.
40
시간적 \_\_를 갖다. ① 여유 ② 여지
시간적 _여유_를 갖다. ① 여유(餘裕): 넉넉하여 남음이 있는 상태 ② 여지(餘地): 가능성이나 희망
41
김치를 \_\_\_. ① 삭이다 ② 삭히다
김치를 _삭히다_. ① 삭이다: 소화시키다. / 마음을 가라앉히다. ② 삭히다: 젓, 김치 따위를 삭게 하다.
42
생기거나 이루어진 틀 작품의 구성과 \_\_ ① 체계 ② 체재 ③ 체제
생기거나 이루어진 틀 작품의 구성과 _체재_ ① 체계(體系): 조직되어 통일된 전체 ② 체재(體裁): 생기거나 이루어진 틀. '형식'으로 순화 ③ 체제(體制): 사회의 조직이나 양식, 상태를 이르는 말
43
고집을 \_\_\_. ① 새우다 ② 세우다
고집을 _세우다_. ① 새우다: 한 숨도 자지 아니하고 밤을 지내다. ② 세우다: '서다'의 사동사 / 내년 예산을 세우다. / 주장이나 고집 따위를 강하게 내세우다. / 공로나 업적 따위를 이룩하다.
44
세 __ 되는 느티나무 ① 아름 ② 알음 ③ 앎
세 _아름_ 되는 느티나무 ① 아름: 두 팔을 둥글게 모아서 만든 둘레 ② 알음: 사람끼리 아는 일 ③ 앎: 아는 일. 지식
45
그는 이제 ___ 적응이 되었다. ① 왠만큼 ② 웬만큼
그는 이제 _웬만큼_ 적응이 되었다. ① 왠만큼(X) ② 웬만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아니할 만큼 / 보통은 넘는 정도로
46
그 애는 조금만 _____ 기고만장해진다. ① 추어올리면 ② 추어주면
그 애는 조금만 _추어올리면·추어주면_ 기고만장해진다. ① 추어올리면(추어올리다): 위로 끌어 올리다. / 실제보다 높여 칭찬하다. =추어주다 ② 추어주면(추어주다): 실제보다 높여 칭찬하다. =추어올리다
47
시내버스 노선의 \_\_ ① 조정(調整) ② 조정(調停) ③ 조종
시내버스 노선의 _조정(調整)_ ① 조정(調整): 어떤 기준이나 실정에 맞게 정돈함. / 다듬기. 날 따위를 만들 때 잔손질로 매만지는 일 ② 조정(調停): 분쟁을 중간에서 화해하게 하거나 서로 타협점을 찾아 합의하도록 함. ③ 조종(操縱): 비행기나 선박, 자동차 따위의 기계를 다루어 부림. / 다른 사람을 자기 마음대로 다루어 부림.
48
신발이 커서 자꾸 \_\_\_\_. ① 벗겨진다 ② 벗어진다
신발이 커서 자꾸 _벗어진다_. ① 벗겨진다(벗겨지다): 외부의 힘에 의하여 떨어지다. ② 벗어진다(벗어지다): 물건이 흘러내리거나 떨어져 나가다. / 머리카락이나 몸의 털 따위가 빠지다.
49
자동차나 기차 따위가 뒤에서 들이받음. 앞차와 \_\_하다. ① 추돌 ② 충돌
자동차나 기차 따위가 뒤에서 들이받음. 앞차와 _추돌_하다. ① 추돌(追突): 자동차나 기차 따위가 뒤에서 들이받음. ② 충돌(衝突): 서로 맞부딪치거나 맞섬.
50
그것은 내 잘못이 \_\_\_. ① 아니오 ② 아니요
그것은 내 잘못이 _아니오_. ① 아니오: '아니다'의 활용형 ② 아니요: 감탄사 예 ⇔ 아니요(아뇨)
51
신발이 꽉 끼어 잘 ____ 않는다. ① 벗겨지지 ② 벗어지지
신발이 꽉 끼어 잘 _벗겨지지_ 않는다. ① 벗겨지지(벗겨지다): 외부의 힘에 의하여 떨어지다. ② 벗어지지(벗어지다): 물건이 흘러내리거나 떨어져 나가다. / 머리카락이나 몸의 털 따위가 빠지다.
52
그에게 내가 당한 수모를 \_\_\_할 날이 빨리 와야 할 텐에. ① 안갚음 ② 앙갚음
그에게 내가 당한 수모를 _앙갚음_할 날이 빨리 와야 할 텐에. ① 안갚음: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일 / 자식이 커서 부모를 봉양하는 일. 반포(反哺) ② 앙갚음: 남이 저에게 준 해를 준 대로 저도 그에게 해를 줌.
53
잠을 \_\_\_. ① 좇았다 ② 쫓았다
잠을 _쫓았다_. ① 좇았다(좇다): 목표, 이상, 행복 따위를 추구하다. ② 쫓았다(쫓다): 뒤를 급히 따르다. / 잡념 따위를 물리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