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I.기권과 우리 생활 1.기권_1.기권 Flashcards
(16 cards)
- 기권(대기권)
지구를 둘러싼 ( )가 존재하는 영역으로, 두께는 약 ( )km이다.
- 기권(대기권)
지구를 둘러싼 (대기)가 존재하는 영역으로, 두께는 약 (1,000)km이다.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여러 가지 기체를 (
)라고 하며, 지표로부터 높이 약 1,000km까지 분포한다.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여러 가지 기체를 (대기)라고 하며, 지표로부터 높이 약 1,000km까지 분포한다.
대기의 대부분 ( ) 부근에 존재하며, 높이 올라갈수록 ( )해진다. (높이 올라갈수록 _____이 작아지기 때문)
대기의 대부분 (지표) 부근에 존재하며, 높이 올라갈수록 희박해진다. (높이 올라갈수록 (중력)이 작아지기 때문)
대기는 질소, 산소, 이산화 탄소, 수증기 등의 기체들이 섞여 있다.
그 중 ____(약 78%)와 ____(약 21%)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대기는 질소, 산소, 이산화 탄소, 수증기 등의 기체들이 섞여 있다.
그 중 질소(약 78%)와 산소(약 21%)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_______를 제외한 기체들은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대기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거의 일정하다. (지표면에서 약 100km 높이까지는 공기의 ____ 작용이 활발하기 때문)
(수증기)를 제외한 기체들은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대기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거의 일정하다. (지표면에서 약 100km 높이까지는 공기의 (혼합) 작용이 활발하기 때문)
기권은 높이에 따른 ____ 변화를 기준으로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의 4개 층으로 구분한다.
기권은 높이에 따른 (기온) 변화를 기준으로 대류권, 성층권, 중간권, 열권의 4개 층으로 구분한다.
1) 대류권
① 구간: 지표면 ~ 높이 약 11km
② 기온 변화: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___진다.
→ 이유: 위로 갈수록 지표면에서 방출하는 열을 ___ 받기 때문
1) 대류권
① 구간: 지표면 ~ 높이 약 11km
② 기온 변화: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진다.
→ 이유: 위로 갈수록 지표면에서 방출하는 열을 (적게) 받기 때문
1) 대류권
③ 특징
• 아래쪽 공기의 기온이 ___ 공기의 ___가 활발하게 일어난다.
• 전체 대기의 약 ( ) ~ ( )%가 대류권에 분포한다.
• 대류가 일어나고, 수증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 ) 현상이 나타난다.
1) 대류권
③ 특징
• 아래쪽 공기의 기온이 (높아) 공기의 (대류)가 활발하게 일어난다.
• 전체 대기의 약( 75 ~ 80)%가 대류권에 분포한다.
• 대류가 일어나고, 수증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기상) 현상이 나타난다.
2) 성층권
① 구간: 높이 약 11 ~ 50km
② 기온 변화: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___한다.
→ 이유: _____이 자외선을 흡수하여 가열되기 때문
2) 성층권
① 구간: 높이 약 11 ~ 50km
② 기온 변화: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상승)한다.
→ 이유: (오존층)이 자외선을 흡수하여 가열되기 때문
※ 성층권의 기온이 오존층에서 가장 높지 않은 이유
오존의 밀도는 높이 약 25km에서 최대이지만, 태양 에너지는 대기를 통과해 내려오면서 점차 감소하므로 오존량과 태양 에너지가 적절히 많은 _________에서 온도가 가장 높다.
※ 성층권의 기온이 오존층에서 가장 높지 않은 이유
오존의 밀도는 높이 약 25km에서 최대이지만, 태양 에너지는 대기를 통과해 내려오면서 점차 감소하므로 오존량과 태양 에너지가 적절히 많은 (성층권 계면)에서 온도가 가장 높다.
2) 성층권
③ 특징
• 위쪽 공기의 기온이 높아 ____ 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기층이 안정하다.
→ 대기가 안정하기 때문에 ______의 항로로 이용된다.
• 높이 20 ~ 30km 구간에 ______이 있어 자외선을 흡수한다.
2) 성층권
③ 특징
• 위쪽 공기의 기온이 높아 (대류) 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기층이 안정하다.
→ 대기가 안정하기 때문에 (비행기)의 항로로 이용된다.
• 높이 20 ~ 30km 구간에 (오존층)이 있어 자외선을 흡수한다.
3) 중간권
① 구간: 높이 약 50 ~ 80km
② 기온 변화: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___한다.
→ 이유: 높이 올라갈수록 ___에서 방출되는 에너지가 적게 도달하기 때문
3) 중간권
① 구간: 높이 약 50 ~ 80km
② 기온 변화: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하강)한다.
→ 이유: 높이 올라갈수록 (지표)에서 방출되는 에너지가 적게 도달하기 때문
3) 중간권
③ 특징 • 아래쪽 공기의 기온이 높아 공기의 \_\_\_가 활발하게 일어난다. • 대류가 일어나지만 \_\_\_\_가 거의 없기 때문에 \_\_\_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 중간권 계면 부근에서 기권 중 \_\_\_ 기온이 나타난다. • \_\_\_\_을 볼 수 있다.
3) 중간권
③ 특징 • 아래쪽 공기의 기온이 높아 공기의 대류가 활발하게 일어난다. • 대류가 일어나지만 수증기가 거의 없기 때문에 기상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 중간권 계면 부근에서 기권 중 최저 기온이 나타난다. • (유성)을 볼 수 있다.
4) 열권
① 구간: 높이 약 80 ~ 1,000km
② 기온 변화: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___한다.
→ 이유: ___ 에너지에 의해 위쪽부터 직접 가열되기 때문
4) 열권
① 구간: 높이 약 80 ~ 1,000km
② 기온 변화: 높이 올라갈수록 기온이 (상승)한다.
→ 이유: (태양) 에너지에 의해 위쪽부터 직접 가열되기 때문
4) 열권
③ 특징
• 공기가 희박하여 낮과 밤의 기온 차가 매우 ____.
• ________의 궤도로 이용된다.
• 극지방의 상공에서는 _____가 관측된다.
4) 열권
③ 특징
• 공기가 희박하여 낮과 밤의 기온 차가 매우 (크다).
• (인공위성)의 궤도로 이용된다.
• 극지방의 상공에서는 (오로라)가 관측된다.
- 기권의 역할
① 생물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_\_\_를 제공해 준다. ② 태양으로부터 오는 \_\_\_\_을 막아 준다. ③ \_\_\_\_이 지표면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막아 준다. ④ 지구의 \_\_\_을 따뜻하게 유지시켜 준다. ⑤ 저위도와 고위도 지방의 \_\_\_ 차이를 줄여 준다. (대기가 이동하면서 저위도의 남는 에너지를 고위도로 운반)
- 기권의 역할
① 생물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기체)를 제공해 준다. ② 태양으로부터 오는 (해로운 빛)(자외선)을 막아 준다. ③ (운석)이 지표면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막아 준다. ④ 지구의 (기온)을 따뜻하게 유지시켜 준다. ⑤ 저위도와 고위도 지방의 (기온) 차이를 줄여 준다. (대기가 이동하면서 저위도의 남는 에너지를 고위도로 운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