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II.기권과 우리 생활 2.대기 중의 물_4) 구름 5) 강수 Flashcards
(17 cards)
수증기가 응결하여 생긴 작은 물방울이나 빙정1)이 하늘 높이 떠 있는 것을 _____이라고 한다.
수증기가 응결하여 생긴 작은 물방울이나 빙정1)이 하늘 높이 떠 있는 것을 구름이라고 한다.
1) 구름이 만들어지는 과정
① 공기 상승과 팽창
지표면에서 공기 덩어리가 상승하면 주변 공기의 압력이 __아지므로 공기 덩어리가 ___한다.
② 공기의 냉각
상승하는 공기 덩어리는 단열 팽창하면서 주변의 공기를 밀어내는 데 열을 소모하여 기온이 __아진다.
③ 이슬점 도달과 수증기의 응결
공기 덩어리의 온도가 점점 낮아져서 ____점에 도달하면 수증기가 ____하기 시작한다.
④ 구름의 생성
수증기가 응결하여 생긴 작은 물방울(0℃ 이상일 때)이나 빙정(0℃ 이하일 때)이 모여 ____이 된다.
1) 구름이 만들어지는 과정
① 공기 상승과 팽창
지표면에서 공기 덩어리가 상승하면 주변 공기의 압력이 (낮)아지므로 공기 덩어리가 (팽창)한다.
② 공기의 냉각
상승하는 공기 덩어리는 단열 팽창하면서 주변의 공기를 밀어내는 데 열을 소모하여 기온이 (낮)아진다.
③ 이슬점 도달과 수증기의 응결
공기 덩어리의 온도가 점점 낮아져서 (이슬점)에 도달하면 수증기가 (응결)하기 시작한다.
④ 구름의 생성
수증기가 응결하여 생긴 작은 물방울(0℃ 이상일 때)이나 빙정(0℃ 이하일 때)이 모여 (구름)이 된다.
※ 단열 변화
공기가 외부에서 열을 주고받지 않으면서 부피가 변하는 것으로, 이때 기온이 변한다.
① 단열 팽창
외부와 열의 출입이 없는 상태에서 물체의 ___가 늘어나는 현상으로, ___가 늘어나면서 기온이 __아진다.
※ 단열 변화
공기가 외부에서 열을 주고받지 않으면서 부피가 변하는 것으로, 이때 기온이 변한다.
① 단열 팽창
외부와 열의 출입이 없는 상태에서 물체의 (부피)가 늘어나는 현상으로, (부피)가 늘어나면서 기온이 (낮)아진다.
※ 단열 변화
② 단열 압축
외부와 열의 출입이 없는 상태에서 물체의 부피가 줄어드는 현상으로, 부피가 줄어들면서 기온이 __아진다.
※ 단열 변화
② 단열 압축
외부와 열의 출입이 없는 상태에서 물체의 부피가 줄어드는 현상으로, 부피가 줄어들면서 기온이 (높)아진다.
2) 구름이 생성되는 경우
① 공기가 산을 타고 ____할 때
공기가 이동하다가 산과 같은 장애물을 만나면 산을 타고 ____하면서 구름이 만들어진다.
2) 구름이 생성되는 경우
① 공기가 산을 타고 (상승)할 때
공기가 이동하다가 산과 같은 장애물을 만나면 산을 타고 (상승)하면서 구름이 만들어진다.
2) 구름이 생성되는 경우
② 지표면이 불균등하게 가열될 때
가열되어 따뜻해진 공기는 상대적으로 ___워져서 상승하여 구름이 만들어진다.
2) 구름이 생성되는 경우
② 지표면이 불균등하게 가열될 때
가열되어 따뜻해진 공기는 상대적으로 (가벼)워져서 상승하여 구름이 만들어진다.
2) 구름이 생성되는 경우
③ 공기가 저기압 중심으로 모여들 때
공기가 저기압 중심으로 모여들면 ___이 일어나 구름이 만들어진다.
2) 구름이 생성되는 경우
③ 공기가 저기압 중심으로 모여들 때
공기가 저기압 중심으로 모여들면 (상승)이 일어나 구름이 만들어진다.
2) 구름이 생성되는 경우
④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만날 때
비교적 가벼운 _____ 공기가 __ 공기 위로 상승하여 구름이 만들어진다.
2) 구름이 생성되는 경우
④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만날 때
비교적 가벼운 (따뜻한) 공기가 (찬) 공기 위로 상승하여 구름이 만들어진다.
- 구름의 분류
구름의 모양에 따라 적운형 구름과 층운형 구름으로 분류한다.
→ 모양이 다른 이유: 공기의___ ___가 다르기 때문
- 구름의 분류
구름의 모양에 따라 적운형 구름과 층운형 구름으로 분류한다.
→ 모양이 다른 이유: 공기의 (상승 속도)가 다르기 때문
1) 모양에 따른 구름의 분류 ① \_\_\_형 구름: 위로 솟는 모양의 구름 • 생성 조건: \_\_\_ 기류가 강할 때 생성 • 강수 형태: 좁은 지역에 \_\_\_\_\_성 비 • 예: 적운, 고적운, 적란운 등
1) 모양에 따른 분류 ① (적운)형 구름: 위로 솟는 모양의 구름 • 생성 조건: (상승 기류)가 강할 때 생성 • 강수 형태: 좁은 지역에 (소나기성) 비 • 예: 적운, 고적운, 적란운 등
② 층운형 구름: __으로 퍼지는 모양의 구름
• 생성 조건: 상승 기류가 __할 때 생성
• 강수 형태: 넓은 지역에 ____적인 비
• 예: 층운, 고층운, 난층운 등
② 층운형 구름: (옆)으로 퍼지는 모양의 구름
• 생성 조건: 상승 기류가 (약)할 때 생성
• 강수 형태: 넓은 지역에 (지속)적인 비
• 예: 층운, 고층운, 난층운 등
2) 높이에 따른 구분
① 상층운: 높이 약 6 ~ 12km에 생기는 구름
예)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② 중층운: 높이 약 2 ~ 6km에 생기는 구름
예)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③ 하층운: 지표 ~ 높이 약 2km에 생기는 구름
예)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높이에 따른 구분
① 상층운: 높이 약 6 ~ 12km에 생기는 구름
예) 권운(새털구름), 권층운(털층구름), 권적운(털쌘구름)
② 중층운: 높이 약 2 ~ 6km에 생기는 구름
예) 고층운(높층구름), 고적운(높쌘구름)
③ 하층운: 지표 ~ 높이 약 2km에 생기는 구름
예) 층운(층구름), 층적운(층쌘구름), 난층운(비층구름)
대기 중의 물이 비, 눈, 우박 등의 형태로 지표에 떨어진 것을 ___라고 한다. 구름을 이루는 구름 입자가 빗방울로 성장해야 ___ 현상이 일어난다.
대기 중의 물이 비, 눈, 우박 등의 형태로 지표에 떨어진 것을 (강수)라고 한다. 구름을 이루는 구름 입자가 빗방울로 성장해야 (강수) 현상이 일어난다.
※ 빗방울의 크기 비교
구름 입자가 약 ____만 개 이상 모여야 1개의 빗방울이 된다.
※ 빗방울의 크기 비교
구름 입자가 약 (100)만 개 이상 모여야 1개의 빗방울이 된다.
- 비와 눈의 생성 과정
1) 병합설
저위도 지방(열대 지방)에서 내리는 강수 과정을 설명한다.
① 구름 속 입자: _____ (저위도 지방은 기온이 높기 때문에 구름의 온도가 0℃ 이상이다.)
② 강수 과정: 구름 속의 크고 작은 물방울들이 서로 ___하여 합쳐져서 커지면 떨어져서 비(따뜻한 비)가 된다.
- 비와 눈의 생성 과정
1) 병합설
저위도 지방(열대 지방)에서 내리는 강수 과정을 설명한다.
① 구름 속 입자: 물방울 (저위도 지방은 기온이 높기 때문에 구름의 온도가 0℃ 이상이다.)
② 강수 과정: 구름 속의 크고 작은 물방울들이 서로 충돌하여 합쳐져서 커지면 떨어져서 비(따뜻한 비)가 된다.
2) 빙정설
중위도나 고위도 지방(온대나 한대 지방)에서 내리는 강수 과정을 설명한다.
① 구름 속 입자: ___(얼음 알갱이), _____ 물방울, 물방울
② 강수 과정: 구름 속의 ____에 수증기가 달라붙어 커지면 눈이 되고, 이것이 내리다 녹으면 비(찬비)가 된다.
2) 빙정설
중위도나 고위도 지방(온대나 한대 지방)에서 내리는 강수 과정을 설명한다.
① 구름 속 입자: 빙정(얼음 알갱이), 과냉각 물방울3), 물방울
② 강수 과정: 구름 속의 (빙정)에 수증기가 달라붙어 커지면 눈이 되고, 이것이 내리다 녹으면 비(찬비)가 된다.
• 구름 속 -40℃ ~ 0℃ 구간에 과냉각 물방울과 빙정이 함께 존재한다.
→ 과냉각 물방울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____하여 빙정에 달라붙는다.
→ ____에 의해 빙정이 커져서 무거워진다.
→ 커진 빙정이 그대로 떨어지면 ___이 되고, 떨어지다 녹으면 __가 된다.
• 구름 속 -40℃ ~ 0℃ 구간에 과냉각 물방울과 빙정이 함께 존재한다.
→ 과냉각 물방울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승화)하여 빙정에 달라붙는다.
→ (승화)에 의해 빙정이 커져서 무거워진다.
→ 커진 빙정이 그대로 떨어지면 (눈)이 되고, 떨어지다 녹으면 (비)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