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기문장! Flashcards
(107 cards)
나는 지난 10년간 당첨되지 않을 걸 잘 알면서도 계속 복권을 샀다.
I’ve been buying lottery over the last 10 years in full knowledge that I wouldn’t win./ I’ve been buying lottery over the last 10 years knowing full well that I wouldn’t win.
하지만 이번 통계는 저출산이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장기•고착화되고 있음을 확인시켰다는 점에서 더욱 큰 우려를 낳는다.
Still what leaves us particularly concerned is that the new numbers out today are a final nail in the coffin that low births are, rather than a temporary blip only to go away with time, here to stay for a long time to come.
Ohio주의 Dayton에 있는 Wright-Patterson 공군기지 사람들이 바로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Well, people at Wright Patterson Air Force Base based in Dayton, Ohio are doing just that.
눈을 감고 뚱뚱한 비둘기 한마리를 떠올려보세요. 대충 그 정도가 제일 큰 사이즈에요.
If you close your eyes and think of a fat pigeon, that’s about the biggest size that we want to use.
청취자분들께서 두 손이 자유롭고 운전하지 않고 있으시다면, 여러분의 새끼손가락 정도가 동체의 크기가 됩니다.
If your listeners are free with their hands and not driving, your pinky finger is about the size of the fuselage.
그리고 손바닥 길이 정도가 날개 크기에요.
And the span of your hands is about the size of the wings.
이런 식물성 플라스틱 광고를 둘러싸고 아주 조금이긴 하지만 진정한 진전이 있기는 합니다
That said, there’s a kernel of real progress amid the plant-plastic hype.
그 화학물질이 지난 10년 간 개천과 강으로 흘러 들어갔다는 것이 이번 조사결과 밝혀졌다.
A study found that the chemical had been leaking into streams and rivers over the past 10 years.
난 그 사람을 내 고등학교 친구로 착각했다.
I mistook him for my high school friend.
그 화학물질로 그 마을 전체가 2~3년 안에 완전히 황폐화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There’s a good chance that the chemical could turn the whole village into a barren land.
정부 추산치에 따르면 현재 성범죄자의 수는 약 20만에 달한다고 한다.
The government puts the number of sex offenders at about 200,000.
나는 새나 뭐 그런 거에 맞은 줄 알았다.
I was struck by what I thought was a bird or something.
이봐 친구, 이러지 말라구.
Hey, dude. You don’t want to do this.
그 사람 말만 거창하게 잘하지, 행동으로 옮기는 일은 별로 없어.
He is high in rhetoric but low in action.
그 멀리 떨어져 있는 행성은 직경이 약 4,000km이다.
The faraway planet is about 4,000km in diameter.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지만, 우주왕복선은 미국의 우주 프로그램의 상징입니다.
In both its triumphs and its disappointments, the space shuttle is the icon of the American space program.
그 임무를 행하면서, 지금의 우주왕복선이 있기까지를(그간의 변천사를) 되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As that mission goes on, it’s worth recalling how the shuttle became what it is.
그 모든 것들을 할 수 있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희생을 감수해야 했습니다.
In order to be able to do all those things, certain compromises had to be made.
그러니까, 정부로부터 내려온 바에 의해 우주왕복선을 아주 안전하게 만들어서 우리는 승무원 탈출 시스템이 필요 없었습니다. 그게 이전의 모든 유인 우주비행기에는 있었던 것들이었죠.
I mean the fact that the shuttle was decreed from top down to be so safe that we didn’t need a crew escape system, which all previous human spaceflight vehicles had had.
제 생각에 우주왕복선으로부터 우리가 배운 것들 중 하나는, 원래 목적이 무거운 화물을 우주공간에 운반하는 것이었던 그 우주선에 미래에는 사람을 태울 필요가 없다는 것입니다.
I think one of the things we’ve learned from the shuttle is that in the future we don’t need to put people on a flight whose primary purpose is to carry heavy cargo into space.
이것은 훨씬 더 작고, 짧고 둥근 날개가 달려있습니다.
It was much smaller, it had two little stubby wings on it.
하지만 그 시대의 정치적, 경제적 요구들을 충족시키지 못했습니다.
But that didn’t meet the political and economic requirements of the time.
그래서 우리는 결국 현재 모습의 우주왕복선을 갖게 되었습니다.
So we ended up with the shuttle that we have.
나는 민간기업들이 더 많은 사람들이 내가 운좋게 경험했던 일을 경험 할 수 있을 때 까지 우주비행기를 발전시켰으면 좋겠습니다.
I hope that the private sector will develop spaceflight to the point where many more people will have access to the experience that I’ve been fortunate enough to ha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