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cendence of Bookworm: Volume 2-3 Flashcards
(40 cards)
abstinacy
abstinacy (Form #1)
1. 뜻:
• 고집: 자신의 의견이나 태도를 바꾸지 않으려는 성향, 특히 강한 저항을 나타냄.
• 절제: 어떤 것에서 자발적으로 피하거나 멀리하는 성향, 특히 욕망이나 충동을 억제하는 것.
2. 어원:
• 라틴어 “abstinentia”에서 유래, ‘자제하는’ 또는 ‘절제하는’의 의미.
3. 사용 예시:
• “His abstinacy made it impossible for him to accept the compromise.”
→ “그의 고집은 그가 타협을 받아들이게 만들 수 없었다.”
• “She showed abstinacy in her decision to quit smoking.”
→ “그녀는 금연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 고집을 보였다.”
4. 뉘앙스:
• 강한 저항: 대개 상황이나 사람들의 의견에 대해 단호하게 반대하거나 자신만의 결정을 고수하는 성향을 나타냄.
stubborn tendencies
stubborn tendencies (Form #2)
1. 뜻:
• 고집스러운 경향: 자신의 생각이나 행동을 쉽게 바꾸지 않으려는 성향이나 특성.
2. 설명:
• “stubborn”은 사람이나 성격이 쉽게 변하지 않거나 다른 사람의 의견을 받아들이기 어려운 특성을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tendencies”는 어떤 행동이나 성향이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stubborn tendencies”는 특정한 사람이나 집단이 지속적으로 고집스러운 성향을 보이는 상황을 설명합니다.
3. 사용 예시:
• “His stubborn tendencies often led to conflicts in the workplace.”
→ “그의 고집스러운 경향은 종종 직장에서 갈등을 일으켰다.”
• “She has a few stubborn tendencies, especially when it comes to making decisions.”
→ “그녀는 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 몇 가지 고집스러운 경향이 있다.”
4. 뉘앙스:
• 부정적인 맥락: 대개 이런 고집스러운 성향은 비효율적이거나 상황에 맞지 않는 행동을 유발할 수 있어, 종종 비판적인 시각에서 사용됩니다.
prone to self-savotage
prone to self-sabotage (Form #2)
1. 뜻:
• 자기 파괴적인 경향이 있는: 자신의 성공이나 행복을 방해하는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는 성향.
2. 설명:
• “prone to”는 어떤 행동이나 상태에 취약하거나 그런 경향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self-sabotage”는 자신에게 불리하게 행동하거나 자신이 원하는 것을 방해하는 행동을 뜻합니다. 따라서 “prone to self-sabotage”는 개인이 자주 의도치 않게 자신에게 불리하게 행동하는 경향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3. 사용 예시:
• “He is prone to self-sabotage, often avoiding opportunities because of fear of failure.”
→ “그는 자기 파괴적인 경향이 있어 종종 실패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기회를 피한다.”
• “Her constant procrastination shows that she is prone to self-sabotage.”
→ “그녀의 끊임없는 미루기는 그녀가 자기 파괴적인 경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4. 뉘앙스:
• 부정적인 맥락: 일반적으로 자기 파괴적인 행동은 개인이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지 못하거나 자신에게 불이익을 주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경우를 묘사하며, 이는 심리적, 정서적 문제를 내포할 수 있습니다.
Must everyone be so difficult to deal with?
must everyone be so difficult to deal with? (Form #2)
1. 뜻:
• 왜 모든 사람이 이렇게 다루기 어려운 걸까?: 사람들이 모두 까다롭고 힘들게 느껴질 때, 그 상황에 대한 불만이나 피로감을 표현하는 질문.
2. 설명:
• 이 표현은 사람들이 매우 까다롭고, 대화나 상호작용을 하는 것이 스트레스나 어려움을 초래할 때 쓰입니다. “must”는 강한 의문을 제기하며, “so difficult to deal with”는 어떤 사람이 다루기 어렵거나 힘들게 행동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3. 사용 예시:
• “Must everyone be so difficult to deal with? I just want some peace and quiet.”
→ “왜 모든 사람이 이렇게 다루기 어려운 걸까? 난 그냥 평화롭고 조용한 시간을 보내고 싶어.”
• “She keeps interrupting me! Must everyone be so difficult to deal with?”
→ “그녀는 계속 나를 방해해! 왜 모든 사람이 이렇게 다루기 어려운 걸까?”
4. 뉘앙스:
• 불만과 피로가 묻어나는 질문입니다. 상황에 대한 답답함을 표현하며, 상대방의 태도나 행동이 과도하게 어렵고 불편하다고 느껴질 때 사용됩니다.
barge in
barge in (Form #2)
1. 뜻:
• 불쑥 들어오다, 끼어들다: 허락 없이 갑작스럽게 방이나 대화 등에 난입하는 것을 의미함.
2. 설명:
• “barge”는 원래 배가 천천히 움직이는 것을 뜻하지만, “barge in”은 무례하고 갑작스럽게 들어오는 행동을 가리킵니다.
• 사적인 공간(방, 사무실)이나 대화에 허락 없이 난입하는 상황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 예의 없이 행동하거나 상대방의 공간을 침해하는 뉘앙스를 가집니다.
3. 사용 예시:
• “He barged in without knocking.”
→ “그는 노크도 없이 불쑥 들어왔다.”
• “Sorry to barge in, but I need to talk to you urgently.”
→ “갑자기 끼어들어서 미안하지만, 급히 할 얘기가 있어.”
• “She always barges in when we’re having a serious conversation.”
→ “우리가 진지한 대화를 할 때마다 그녀는 항상 불쑥 끼어든다.”
4. 뉘앙스:
• 무례함, 갑작스러움이 강조되는 표현입니다.
• 때때로 사과와 함께 사용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상대방이 불쾌하게 느낄 수 있는 행동을 묘사합니다.
usher
안내하다, 인도하다
blissful ignorance
blissful ignorance (Form #2)
1. 뜻:
• 행복한 무지: 어떤 사실을 알지 못하는 상태가 오히려 평온함과 행복을 가져다주는 것.
2. 설명:
• 어떤 문제나 진실을 알게 되면 걱정과 고통이 따를 수 있는데, 차라리 모르는 것이 속 편한 상황을 의미함.
• ‘모르는 게 약이다’라는 한국어 표현과 유사한 개념이지만, 더 긍정적인 감정을 포함할 때 사용됨.
• 무언가를 모르는 상태가 단순한 무지가 아니라 즐겁고 평온한 상태를 가져오는 경우에 쓰임.
3. 사용 예시:
• “He lived in blissful ignorance of the financial troubles his family was facing.”
→ “그는 가족이 겪고 있는 재정적 어려움을 전혀 모르고 행복하게 살았다.”
• “Sometimes, blissful ignorance is better than knowing the harsh truth.”
→ “때때로, 가혹한 진실을 아는 것보다 행복한 무지가 더 나을 때가 있다.”
4. 뉘앙스:
• 대개 긍정적이거나 아이러니한 느낌을 가질 수 있음.
• 진실을 모름으로 인해 평온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을 강조하는 표현.
• 상황에 따라 순진함 또는 현실 회피의 의미를 내
duchies
duchies (Form #1)
1. 뜻:
• 공국(公國), 공작령(公爵領): 공작(duke) 또는 여공작(duchess)이 다스리는 영토.
2. 설명:
• 중세 및 근대 유럽에서 사용된 영토 단위로, 왕국(kingdom)보다 작은 규모지만 일정한 자치권을 가진 지역.
• 일반적으로 한 국가 내에서 반독립적인 영지로 존재하며, 해당 지역을 다스리는 귀족(duke)이 통치함.
• 신성 로마 제국, 영국, 프랑스 등 유럽 여러 나라에서 존재했던 정치적 단위.
3. 사용 예시:
• “The duchies of Bavaria and Saxony played crucial roles in the Holy Roman Empire.”
→ “바이에른과 작센 공국은 신성 로마 제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 “She inherited vast lands, including several duchies across Europe.”
→ “그녀는 유럽 전역에 걸쳐 여러 개의 공국을 포함한 광대한 토지를 상속받았다.”
4. 뉘앙스:
• 역사적 맥락에서 사용되며, 귀족제 사회의 구조를 반영하는 단어.
• 현대에서는 대개 역사적, 문화적 설명에서 등장하며, 현재 실제로 남아 있는 공국(예: 룩셈부르크 대공국)은 매우 드문 사례.
corriders
corridors (Form #1)
1. 뜻:
• 복도, 회랑: 건물 내부에서 방과 방을 연결하는 긴 통로.
• 좁고 긴 길: 협곡, 산맥 사이의 통로처럼 특정 지역을 연결하는 좁고 긴 지형.
• 정치·외교적 통로: 외교, 무역 등의 목적으로 특정 국가나 지역을 연결하는 경로.
2. 설명:
• 건축적 의미: 주로 학교, 병원, 사무실 등에서 방과 방을 잇는 긴 실내 통로를 의미함.
• 지리적 의미: 국가 간 혹은 지역 간 좁고 긴 지형적 경로(예: 회랑 지대, 교통로).
• 정치·외교적 의미: 두 지역 사이의 전략적 연결로(예: ‘무역 회랑’, ‘외교적 통로’).
3. 사용 예시:
• “She walked down the dimly lit corridor, her footsteps echoing in the silence.”
→ “그녀는 희미한 불빛이 비치는 복도를 걸어갔고, 발소리가 정적 속에 울려 퍼졌다.”
• “The corridor between the two countries was crucial for trade.”
→ “두 나라 사이의 회랑 지역은 무역에 필수적이었다.”
• “Diplomatic corridors were buzzing with discussions on the new treaty.”
→ “외교 통로에서는 새로운 조약에 대한 논의로 분주했다.”
4. 뉘앙스:
• 물리적인 공간(실내 복도, 지형적 회랑)뿐만 아니라, 추상적인 의미(외교·정치적 경로)로도 사용됨.
• 종종 긴장감, 은밀한 대화가 오가는 장소로 묘사될 수 있음.
brazenly
brazenly (Form #1)
1. 뜻:
• 뻔뻔스럽게, 대담하게, 부끄럼 없이
2. 설명:
• 어떤 행동을 할 때 전혀 부끄러움이나 수치심을 느끼지 않고, 매우 대담하고 뻔뻔하게 행동하는 방식.
• 사회적 규범이나 도덕을 무시하면서도 거리낌 없이 행동하는 태도를 강조함.
3. 사용 예시:
• “He brazenly lied to the teacher about his missing homework.”
→ “그는 숙제를 안 해 놓고도 선생님께 뻔뻔하게 거짓말했다.”
• “She brazenly walked into the VIP section without a pass.”
→ “그녀는 출입증도 없이 VIP 구역으로 대담하게 들어갔다.”
• “The thief brazenly stole the wallet in broad daylight.”
→ “그 도둑은 대낮에 뻔뻔스럽게 지갑을 훔쳤다.”
4. 뉘앙스:
• 단순히 용기가 있는 것이 아니라, 타인의 시선을 개의치 않고 대담하게 행동하는 태도를 뜻함.
• 종종 부정적인 의미(무례함, 부끄러움 없는 태도)로 쓰이지만, 맥락에 따라 긍정적으로도 해석될 수 있음.
• “She brazenly stood up to the corrupt official.” 같은 문장에서는 정의로운 대담함을 나타낼 수도 있음.
void
void (Form #1)
1. 뜻:
• (형용사): 텅 빈, 공허한, 무효의
• (명사): 공허, 빈 공간, 허무함
• (동사): (법적으로) 무효로 하다, 취소하다
2. 설명:
• 형용사
• “The contract is void.” → “그 계약은 무효다.”
• “His eyes looked void of emotion.” → “그의 눈은 감정이 없는 것처럼 보였다.”
• 명사
• “After she left, he felt an empty void in his heart.”
→ “그녀가 떠난 후, 그는 마음속에 텅 빈 공허함을 느꼈다.”
• 동사
• “The court voided the agreement.” → “법원이 그 계약을 무효로 만들었다.”
3. 뉘앙스:
• 형용사로 사용될 때, 주로 ‘무(無)의 상태’, ‘내용이 없는’ 느낌을 강조함.
• 명사로 사용될 때, 감정적으로 ‘허전함, 상실감’ 등의 깊은 공허함을 나타낼 때 자주 쓰임.
• 동사로 사용될 때, 법적/공식적인 문서나 계약을 무효로 할 때 사용됨.
antagonistic
antagonistic (Form #1)
1. 뜻:
• (형용사): 적대적인, 반감을 가진, 대립하는
2. 설명:
• “He has an antagonistic attitude toward authority.”
→ “그는 권위에 대해 적대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
• “The two countries have had an antagonistic relationship for decades.”
→ “그 두 나라는 수십 년 동안 대립 관계에 있었다.”
• “She became antagonistic after hearing his harsh criticism.”
→ “그녀는 그의 가혹한 비판을 듣고 적대적으로 변했다.”
3. 뉘앙스:
• 강한 적대감 또는 대립적인 태도를 강조할 때 사용됨.
• 누군가 혹은 어떤 대상과 적극적으로 반대하거나 싸우는 느낌을 줌.
• 논쟁적이거나 갈등이 있는 상황에서 자주 쓰이는 단어.
vengeance
vengeance (Form #1)
1. 뜻:
• (명사): 복수, 보복, 앙갚음
2. 설명:
• “He swore to take vengeance on those who betrayed him.”
→ “그는 자신을 배신한 자들에게 복수하겠다고 맹세했다.”
• “She plotted her vengeance carefully, waiting for the perfect moment.”
→ “그녀는 완벽한 순간을 기다리며 신중하게 복수를 계획했다.”
• “The story is about a warrior seeking vengeance for his fallen comrades.”
→ “그 이야기는 쓰러진 전우들의 복수를 하려는 전사에 대한 것이다.”
3. 뉘앙스:
• 감정적으로 강한 분노와 정의 구현의 의미가 포함될 수 있음.
• 보통 고통을 당한 것에 대한 응징이나 강한 원한을 표현하는 문맥에서 사용됨.
• 개인적인 복수뿐만 아니라, 전쟁이나 서사적 이야기에서도 흔히 등장하는 단어.
keen acumen
keen acumen (Form #2)
1. 뜻:
• 날카로운 통찰력
2. 설명:
• keen은 어떤 것이 예리하고, 강렬하며, 민감하다는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따라서 keen acumen은 특별히 탁월하고 세밀한 판단력이나 통찰력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 acumen은 문제를 빠르고 정확하게 판단하고 이해하는 능력, 즉 통찰력이나 예리함을 뜻합니다.
3. 문맥 예시:
• “Her keen acumen in business decisions made her one of the top CEOs in the industry.”
→ “그녀의 날카로운 통찰력 덕분에 비즈니스 결정에서 그녀는 업계에서 최고의 CEO 중 한 명이 되었다.”
• “The detective’s keen acumen allowed him to solve the case before anyone else.”
→ “그 탐정의 날카로운 통찰력 덕분에 그는 다른 누구보다 먼저 사건을 해결할 수 있었다.”
decreed
decreed (Form #1)
1. 뜻:
• 법령으로 정하다, 명령하다, 선언하다
2. 설명:
• decreed는 보통 공식적인 권위나 권력에 의해 결정을 내리거나 명령을 내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단어는 법적이거나 정부의 명령, 명확한 명령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 예를 들어, 왕이나 정부가 특정한 결정을 법적으로 선언하거나 명령할 때 이 단어를 사용합니다.
3. 문맥 예시:
• “The king decreed that all citizens must pay their taxes by the end of the month.”
→ “왕은 모든 시민들이 이번 달 말까지 세금을 내야 한다고 명령했다.”
• “The judge decreed a sentence of ten years in prison.”
→ “판사는 10년의 징역형을 선고했다.”
Docked his pay
docked his pay (Form #2)
1. 뜻:
• 급여를 삭감하다, 급여에서 차감하다
2. 설명:
• “docked his pay”는 일반적으로 직장에서 직원의 급여가 일부 또는 전체 차감되는 상황을 묘사할 때 사용됩니다. 이 표현은 종종 직원이 규칙을 위반하거나 기대에 미치지 못할 때 처벌로서 급여가 삭감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 docked는 dock의 과거형으로, 본래의 의미는 배를 부두에 정박시키는 것이지만, 여기서는 급여나 혜택이 차감되거나 줄어드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3. 문맥 예시:
• “He was late three times in a row, so they docked his pay for the week.”
→ “그는 연속으로 세 번 늦었기 때문에 그 주의 급여가 삭감되었다.”
• “The company docked her pay because she missed an important meeting.”
→ “회사는 그녀가 중요한 회의를 놓쳤기 때문에 급여를 차감했다.”
hefty fee
hefty fee (Form #2)
1. 뜻:
• 상당한 금액의 요금, 큰 요금
2. 설명:
• “hefty fee”는 보통 크고 부담스러운 금액의 요금이나 비용을 의미합니다. “hefty”는 크고 무거운 것을 나타내는 형용사로, 여기서는 금전적으로 큰 부담을 주는 요금을 강조합니다.
• 이 표현은 일반적으로 예상보다 높은 금액을 지불해야 할 때 사용되며, 다소 부정적인 뉘앙스를 가질 수 있습니다.
3. 문맥 예시:
• “The hotel charged a hefty fee for parking in their lot.”
→ “그 호텔은 주차장에 주차하는 것에 대해 상당한 요금을 부과했다.”
• “She had to pay a hefty fee to get her car repaired.”
→ “그녀는 차 수리비로 큰 금액을 지불해야 했다.”
exploit
exploit (Form #1)
1. 뜻:
• (동사) 착취하다, 이용하다, 개발하다
• (명사) 위업, 공적
2. 설명:
• 동사로서, “exploit”는 주로 다른 사람을 부당하게 이용하거나 착취하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때는 종종 부정적인 뉘앙스를 가지고 있으며, 약자나 자원을 자신의 이익을 위해 부당하게 활용하는 경우를 나타냅니다.
• 명사로서는 “exploit”가 어떤 대단한 업적이나 위업을 의미합니다. 이때는 긍정적인 뉘앙스로, 주로 큰 성취나 뛰어난 공적을 나타냅니다.
3. 문맥 예시:
• (동사) “The company exploited its workers for profit.”
→ “그 회사는 이윤을 위해 노동자들을 착취했다.”
• (명사) “The explorers were remembered for their heroic exploits.”
→ “탐험가들은 그들의 영웅적인 공적들로 기억되었다.”
extenuating
extenuating (Form #1)
1. 뜻:
• (형용사) 정상 참작의, 경감할 수 있는, 변명의 여지가 있는
2. 설명:
• “extenuating”은 어떤 행동이나 상황을 설명할 때 그로 인해 발생한 잘못이나 과오가 덜 나쁘게 보이도록 하는 이유나 상황을 나타냅니다. 이는 보통 그 행동에 대한 변명을 제공하여 그 심각성을 줄이려는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3. 문맥 예시:
• “The judge considered the extenuating circumstances before passing the sentence.”
→ “판사는 선고를 내리기 전에 정상 참작할 사정을 고려했다.”
• “His extenuating circumstances were taken into account when making the decision.”
→ “그의 경감할 수 있는 사정들이 결정할 때 고려되었다.”
crinkled
crinkled (Form #1)
1. 뜻:
• (형용사) 구겨진, 주름진, 주름이 잡힌
2. 설명:
• “crinkled”는 물건이나 표면이 주름이나 구겨짐으로 인해 표면이 부풀어 오른 상태를 의미합니다. 보통 종이나 천, 얼굴 표정 등에 사용되어 구겨지거나 주름이 생긴 상태를 묘사할 때 쓰입니다.
3. 문맥 예시:
• “The paper was crinkled after being tossed around.”
→ “그 종이는 여기저기 던져져서 주름이 졌다.”
• “Her crinkled smile suggested she was enjoying the moment.”
→ “그녀의 주름진 미소는 그녀가 그 순간을 즐기고 있음을 암시했다.”
feigning
feigning (Form #1)
1. 뜻:
• (동사) ~인 척하다, 가장하다, 꾸미다
2. 설명:
• “Feigning”은 어떤 감정, 상태, 행동 등을 실제로는 경험하지 않으면서 일부러 그런 척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감정이나 상태를 거짓으로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3. 문맥 예시:
• “He was feigning illness to avoid going to school.”
→ “그는 학교에 가기 싫어서 아픈 척했다.”
• “She feigned surprise when she received the gift.”
→ “그녀는 선물을 받았을 때 놀란 척 했다.”
cradling
cradling (Form #1)
1. 뜻:
• (동사) 부드럽게 감싸 안다, 살며시 들고 있다
2. 설명:
• “Cradling”은 두 손이나 팔로 조심스럽고 다정하게 무언가를 안거나 받치는 동작을 의미합니다. 특히 아기나 연약한 대상을 부드럽게 안을 때 자주 쓰입니다.
3. 문맥 예시:
• “She was cradling the newborn baby in her arms.”
→ “그녀는 갓 태어난 아기를 품에 부드럽게 안고 있었다.”
• “He sat on the floor, cradling his injured arm.”
→ “그는 바닥에 앉아 다친 팔을 감싸 안고 있었다.”
stammer
stammer (Form #1)
1. 뜻:
• (동사) 말을 더듬다, 말을 막히면서 더듬거리며 말하다
2. 설명:
• “Stammer”는 긴장하거나 당황했을 때, 혹은 신경적인 이유로 말을 부드럽게 이어가지 못하고 끊기거나 반복적으로 더듬으며 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3. 문맥 예시:
• “He stammered out an apology.”
→ “그는 말을 더듬으며 사과했다.”
• “She tends to stammer when she’s nervous.”
→ “그녀는 긴장하면 말을 더듬는 경향이 있다.”
chirp
chirp (Form #1)
1. 뜻:
• (동사) 새나 작은 곤충이 짧고 날카로운 소리를 내다 (짹짹 울다, 찍찍 소리를 내다)
• (동사) 사람이나 기계가 짧고 경쾌한 소리를 내다
• (명사) 새나 벌레의 짹짹, 찍찍거리는 소리
2. 설명:
• “Chirp”는 주로 새나 곤충이 내는 높은 음의 짧은 소리를 뜻합니다. 또한, 사람이 밝고 경쾌한 목소리로 짧게 말할 때나, 전자 기기에서 나는 신호음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문맥 예시:
• “The birds were chirping outside my window.”
→ “창밖에서 새들이 짹짹 울고 있었다.”
• “She chirped a cheerful greeting.”
→ “그녀는 발랄하게 인사말을 건넸다.”
• “The phone chirped to notify a new message.”
→ “핸드폰이 새 메시지를 알리는 소리를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