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학-재고자산 Flashcards
(25 cards)
재고자산의 취득원가 : ㅁㅇ원가+ㅈㅎ원가+기타원가
재고자산의 취득원가 : 매입원가+전환원가+기타원가
재고자산의 매입원가 가감항목
(+) : (-)
ㅊㄷ액. 매입할인
ㅊㄷㅅㅅㄹ. 리베이트
하역료.
ㅁㅇㅇㅇ
_____보관원가
수입관세
제세금
재고자산의 매입원가 가감항목
(+) : (-)
취득액. 매입할인
취득수수료. 리베이트
하역료.
매입운임
원재료보관원가
수입관세
제세금
[재고자산의 취득원가 미포함사항 4가지]
1,재료원가,노무원가 기타 제조원가 중 비정상적으로 ㄴㅂ된 ㅂㅂ
2,후속 생산단계에 투입하기 전에 보관이 필요한 경우 “ㅇㅇㅇ”원가
3.재고자산을 현재장소,현재상테에 이르게 하는 데 기여하지않은
“ㄱㄹㄱㅈㅇㄱ”
4.“ㅍㅁㅇㄱ”
재고자산의 취득원가 미포함사항 4가지
1,재료원가,노무원가 기타 제조원가 중 비정상적으로 낭비된 부분
2,후속 생산단계에 투입하기 전에 보관이 필요한 경우 “이외의”원가
3.재고자산을 현재장소,현재상테에 이르게 하는 데 기여하지않은
관리간접원가
4.판매원가
[재고자산의 정의]
- 기업의 통상적인 ㅇㅇ과정에서 “ㅍㅁ를 위해 보유“중인 ㅅㅍ과 ㅈㅍ
- 판매를 위하여 생산중인 ㅈㄱㅍ 및 생산중인 ㅈㅅ,
- ”용역제공에 사용될“ ㅇㅈㄹ,ㅅㅁㅍ
[재고자산의 정의]
- 기업의 통상적인 영업과정에서 판매를 위해 보유중인상품과제품
- 판매를 위하여 생산중인 재공품 및 생산중인 자산,
- 용역제공에 사용될 원재료,소모품
[매입채무의 ㄷㄱ매입]
=현금매입 +(순)외상매입
=총매입-매입에누리,환출,할인 +ㅁㅇㅇㅁ
매입채무
———————————————
지급 ㅣ기초
기말 ㅣㄷㄱ매입-ㅎㄱ매입=(순)외상매입
[매입채무의 당기매입]
=현금매입 +(순)외상매입
=총매입-매입에누리,환출,할인 +매입운임
매입채무
———————————————
지급 ㅣ기초
기말 ㅣ당기매입-현금매입=(순)외상매입
ㅈㅍ,ㅅㅍ,ㅈㄱㅍ의 보관원가=당기비용처리(NI)
_____의 보관비용 =재고자산의 취득원가에 가산
제품,상품,재공품의 보관원가=당기비용처리
원재료의 보관비용 =재고자산의 취득원가에 가산
[재고자산의 취득원가와 표준원가, 소매재고법의 사용]
- 재고자산의 취득원가는 실제발생한 원가 , 즉 ㅇㅅㅈ 원가에 기초한다.
그러나 취득원가가 실제원가와 유사하다면
편의상 ㅍㅈ원가법이나 ㅅㅁㅈㄱㅂ 등의 원가측정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2.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는 표준원가가 실제원가와 유사하다면
표준원가로 재고자산을 측정할 수 있도록 __하고 있다.
- 이익률이 유사하고, 품종변화가 심한 ㄷㅍㅈ 상품을 취급하는 유통업에서는
실무적으로 다른 원가측정방법을 사용할 수 업는 경우,
“ㅅㅁㅈㄱㅂ”을 사용할 수 있다.
[재고자산의 취득원가와 표준원가, 소매재고법의 사용]
- 재고자산의 취득원가는 실제발생한 원가 , 즉 역사적 원가에 기초한다.
그러나 취득원가가 실제원가와 유사하다면
편의상 표준원가법이나 소매재고법 등의 원가측정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2.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는 표준원가가 실제원가와 유사하다면 표준원가로 재고자산을 측정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 이익률이 유사하고, 품종변화가 심한 다품종 상품을 취급하는 유통업에서는
실무적으로 다른 원가측정방법을 사용할 수 업는 경우,
소매재고법을 사용할 수 있다.
1.계속기록법에 의한 기말재고 수량
*기초+당기 - ________수량=______수량
2.실재조고조사법
*기초+당기 -________수량 =_____수량
1.계속기록법에 의한 기말재고 수량
*기초+당기 - “당기판매수량”=기말재고수량
2.실재조고조사법
*기초+당기 - 기말실사수량 = 당기판매수량
[기말재고자산 포함사항 ]
+기말 실사 창고수량
+선적지인도조건의 ㅁㅊㅅㅍ수량
+시용판매분 중 고객이 매입의사를 표하지 않은 수량
+위탁판매분 (적송품)중 수탁자에게 가있는 ____ 수량
+창고에 없는 ㅈㄷ ㅅㅎ전 상품 수량
+ㅇㄷㄱㅈ ㅍㅁㅈㄱ(인도되어야 자금수령)
+창고에없는 ㅈㅁㅇㅇㅈㅍㅁ
[기말재고자산 포함사항 ]
+기말 실사 창고수량
+선적지인도조건의 미착상품 수량
+시용판매분 중 고객이 매입의사를 표하지 않은 수량
+위탁판매분 (적송품)중 수탁자에게 가있는 미판매분 수량
+창고에 없는 저당실행 전 상품 수량
+인도결제 판매조건(인도되어야 자금수령)
+창고에없는 재매입약정판매분
[재고자산 단위원가 결정방법 말문제]
1.원가흐름의 가정에 따라 다양한 단위원가 결정방법을 사용하여도
계속기록법과 실지재고조사법이 결합되어 사용된다.
**2.
-“성격과 용도면에서 ㅇㅅ한 재고자산”에는
“ㄷㅇ한 단위원가 결정방법을 적용”하여야하며,
-”성격이나 용도에 ㅊㅇ가 있는 재고자산“에는
서로 다른 단위원가 결정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3.
재고자산의 ”지역별 ㅇㅊ나 ㄱㅅ방식“이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동일한 재고자산에 다른 단가 결정방법”을 적용할 수 ___,
**4.개별법
1.통상적으로 상호교환될 수 “__” 재고자산의 항목의 원가와
”특정 프로젝트 별로 생산되고 분리되는 재화,용역의 원가“는 “개별법을 사용”한다.
*개별법이 적용되지 않는 재고자산의 단위원가는
ㅅㅇㅅㅊㅂ이나 ㄱㅈㅍㄱㅂ을 사용하여 결정한다.
2.통상적으로 ㅅㅎㄱㅎ이 가능한 “대량의 재고자산” 항목에
개별법을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재고자산 단위원가 결정방법 말문제]
1.원가흐름의 가정에 따라 다양한 단위원가 결정방법을 사용하여도
계속기록법과 실지재고조사법이 결합되어 사용된다.
**2.
-“성격과 용도면에서 유사한 재고자산”에는
“동일한 단위원가 결정방법을 적용”하여야하며,
-”성격이나 용도에 차이가 있는 재고자산“에는
서로 다른 단위원가 결정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3.
재고자산의 지역별위치나 과세방식이 다르다는 이유만으로
동일한 재고잣나에 다른 단가 결정방법을 적용할 수 없다.
**4.개별법
1.통상적으로 상호교환될 수 “없는” 재고자산의 항목의 원가와
특정 프로젝트 별로 생산되고 분리되는 재화,용역의 원가는 “개별법을 사용”한다.
*개별법이 적용되지 않는 재고자산의 단위원가는
선입선출법이나 가중평균법을 사용하여 결정한다.
2.통상적으로 상호교환이 가능한 대량의 재고자산 항목에
개별법을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______법
-계속기록법
-실지재고조사법
*ㅍㄱ법
-계속기록법
-실지재고조사법
- ㅅㅇㅅㅊㅂ을 사용하는 경우, 매출원가와 기말재고자산의
ㄱㅅㄱㄹㅂ과 ㅅㅈㅈㄱㅈㅅㅂ의 결과는 항상 동일하다.
선입선출법
-계속기록법
-실지재고조사법
-계속기록법
-실지재고조사법
선입선출법을 사용하는 경우, 매출원가와 기말재고자산의
계속기록법과 실지재고조사법의 결과는 항상 동일하다.
[감모손실]
정상감모손실 : _____에서 차감
비정상감모손실 : ___처리
[평가손실]
평가손실 : ____처리
재고자산평가충당금 :“재고자산의 차감계정”
*재고자산 감액 후 매기말 순실현가능가치 재평가하여
재고자산평가충당금을 한도로 “평가손실을 환입한다.(N/I)“
[감모손실]
정상감모손실 : 매출원가에서 차감
비정상감모손실 : 당기 비용처리
[평가손실]
평가손실 : 비용처리
재고자산평가충당금 :재고자산의 차감계정
*재고자산 감액 후 매기말 순실현가능가치 재평가하여
재고자산평가충당금을 한도로 평가손실을 환입한다.(N/I)
[기말 재고자산의 평가]
감모손실 : 감모수량 (정상/비정상) x ____
평가손실 : 기말재고수량 x _______
기말재고금액 : 기말실재고수량 x ____________
[기말 재고자산의 평가]
감모손실 : 감모수량 (정상/비정상) x @
평가손실 : 기말재고수량 x (@-NRV)
기말재고금액 : 기말실재고수량 x 저가법 min[@,NRV]
1,재고자산의 비용합계 : ㄱㅊ+ㄷㄱ-ㄱㅁㅈㄱ금액
2.매출금액(정상,비정상감모 포함 가정)
= 매출원가+정상,비정상ㄱㅁ+평가손실
=기초+당기-기말재고금액-_____
1,재고자산의 비용합계 : 기초+당기-기말재고금액
2.매출원가(정상,비정상감모 포함 가정)
= 당기판매+정상,비정상감모+평가손실
=기초+당기-기말재고금액-비정상감모
원재료와 저가법 NRV 빈출문구
1)제품이 @로 팔릴때 -원재료 : 원가
완성될 제품이 원가 이상으로 판매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그 생산에 투입하기 위해 보유하는 원재료 및 기타 소모품을 __하지 ____
2)제품이 @이하로 팔릴때 - 원재료:현행대체원가
그러나 원재료가격이 하락하여
“제품의 원가가” 순실현가치(NRV)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해당 원재료를 순실현가치 (NRV=현행대체원가)로 감액한다.
이 경우, 원재료의 현행대체원가는 순실현가능가치에 대한 최선의 측정치가 될 수 있다.
원재료와 저가법 NRV 빈출문구
1)제품이 @로 팔릴때 -원재료 : 원가
완성될 제품이 원가 이상으로 판매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그 생산에 투입하기 위해
보유하는 원재료 및 기타 소모품을 감액하지 아니한다.
2)제품이 @이하로 팔릴때 - 원재료:현행대체원가
그러나 원재료가격이 하락하여 제품의 원가가 순실현가치(NRV)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해당 원재료를 순실현가치 (NRV=현행대체원가)로 감액한다.
이 경우, 원재료의 현행대체원가는 순실현가능가치에 대한 최선의 측정치가 될 수 있다.
[공정가치와 순실현가능가치의 비교]
공정가치 [시장에서 거래되는 FV]
:측정일에 시장참여자 사이의 ”ㅈㅅㄱㄹ“에서 자산을 매도할 때 받거나,
부채를 이전할 때 ”ㅈㄱ하게 될 가격“
순실현가능가치 [ ㅇㅅㅍㅁㄱㄱ-부대비용]
:통상적인 영업과정에서 “재고자산의 판매를 통해 실현할 것으로
기대하는 “ㅅㅁㄱㄱㅇ”으로서 기업의 특유가치.
[공정가치와 순실현가능가치의 비교]
공정가치 [시장에서 거래되는 FV]
:측정일에 시장참여자 사이의 ”정상거래“에서 자산을 매도할 때 받거나,
부채를 이전할 때 ”지급하게 될 가격“
순실현가능가치 [ 예상판매가격-부대비용]
:통상적인 영업과정에서 재고자산의 판매를 통해 실현할 것으로
기대하는 “순매각금액”으로서 기업의 특유가치.
확정판매계약의 금액
: 계약수량 x ______
확정판매 계약 외 재고자산의 금액
: 계약수량 x _____
*저가법 적용 대상
= ㅈㅍ,ㅈㄱㅍ, 확정판매계약 외 기말 재고자산
*조건부 적용대상
=원재료
확정판매계약의 금액
: 계약수량 x 계약가격
확정판매 계약 외 재고자산의 금액
: 계약수량 x 저가법
*저가법 적용 대상
= 제품, 재공품, 확정판매계약 외 기말 재고자산
*조건부 적용대상
=원재료
ㅊㅇㅇㄱ ㅈㅂㅎ
[재고자산,유형자산,무형자산,투자부동산의 비교]
1.정의 및 인식요건
-__자산
정의 : ㅌㅅ적이 ㅇㅇ활동 과정에서 ㅍㅁ를 위해 보유중인 자산 또는
재화의 생산, 용역제공에 사용될 ㅇㅈㄹ및 ㅅㅁㅍ
인식요건 : 높은미경효, 원가를 신뢰성있게 측정 가능
-__자산
정의: 재화,용역의ㅅㅅ,ㅈㄱ되거나 타인에게 ㅇㄷ목적, ㅈㄱㅅㅇ목적의 물리적 실체가 있는 자산
인식요건 : 높은미경효, 원가를 신뢰성있게 측정 가능
-__부동산
의의:ㅇㄷ수익,ㅅㅅ차익을 얻기위해 보유중인 자산
인식요건 : 높은미경효, 원가를 신뢰성있게 측정 가능
-__자산
의의: 물리적 실체가 없는 비화폐성 자산
정의:식별가능성, 통제성, 미래경제적효익
인식요건 : 높은 미경효, 원가를 신뢰성있게 측정가능.
2.취득시 BV
-재고자산 : 매입원가+전환원가+기타원가
-투자부동산 : 취득원가+추가원가(자본적지출)+후속 대체,유지원가
-무형자산 : 취득시 FV or 내부적으로창출한 무형자산은 사용가능상태까지 이르게 하는 직접적으로 드는 원가
-유형자산 : 취득시 BV+ 후속적 원가(자본적지출)
1.건물,토지의 경우
2.교환거래의 경우- 상업적실질의 여부
3.정부보조금과 복구충당금
3.후속측정
-재고자산 : 기말재고자산평가(매출원가의 감모손실, 평가손실)
-투자부동산: 원가모형, 재평가모형
-무형자산 : 내용연수 한정/비한정에 따른 후속측정 횟수,DEP,손상차손 여부
-유형자산 : 원가모형, 재평가모형 ( 상각자산의 재평가, 비상각자산의 재평가)
의의: 의도된 용도사용, 판매가능상태에 도달하기까지 1년이상 자산에 투입되는ㅇㅈㅂㅇ을 ㅇㄱ에 가산하는 것.(차입금자본화)
대상 : ㅈㄱㅈㅅ,ㅇㅎㅈㅅ,ㅁㅎㅈㅅ,ㅌㅈㅂㄷㅅ,ㅅㅅㅇㅅㅁ
일정한 요건을 만족하는 적격자산의 취득. 건설 또는 제조와 직접 관련된 차입원가는
당해 자산원가의 일부로 자본화하도록 (강제) 규정하고 있다.
차입원가 자본화
[재고자산,유형자산,무형자산,투자부동산의 비교] +@차입자본화원가
1.정의 및 인식요건
-재고자산
정의 : 통상적인 영업활동과정에서 판매를 위해 보유중인 자산 또는 재화의 생산, 용역제공에 사용될 원재료 및 소모품
인식요건 : 높은미경효, 원가를 신뢰성있게 측정 가능
-유형자산
정의: 재화,용역의 생산,제공되거나 타인에게 임대목적, 자가사용목적의 물리적 실체가 있는 자산
인식요건 : 높은미경효, 원가를 신뢰성있게 측정 가능
-투자부동산
의의: 임대수익, 시세차익을 얻기위해 보유중인 자산
인식요건 : 높은미경효, 원가를 신뢰성있게 측정 가능
-무형자산
의의: 물리적 실체가 없는 비화폐성 자산
정의:식별가능성, 통제성, 미래경제적효익
인식요건 : 높은 미경효, 원가를 신뢰성있게 측정가능.
2.취득시 BV
-재고자산 : 매입원가+전환원가+기타원가
-투자부동산 : 취득원가+추가원가(자본적지출)+후속 대체,유지원가
-무형자산 : 교환취득시 FV or 내부적으로창출한 무형자산은 사용가능상태까지 이르게 하는 직접적으로 드는 원가
-유형자산 : 취득시 BV+ 후속적 원가(자본적지출)
1.건물,토지의 경우
2.교환거래의 경우- 상업적실질의 여부에 따라 원가포함사항 달라짐.
3.정부보조금과 복구충당금
3.후속측정
-재고자산 : 기말재고자산평가(매출원가의 감모손실, 평가손실)
-투자부동산: 원가모형, 재평가모형
-무형자산 : 내용연수 한정/비한정에 따른 후속측정 방식,DEP,손상차손 여부
-유형자산 : 원가모형, 재평가모형 ( 상각자산의 재평가, 비상각자산의 재평가)
의의: 의도된 용도사용, 판매가능상태에 도달하기까지 1년이상 자산에 투입되는 이자비용을 원가에 가산하는 것.(차입금자본화)
대상 : 재고자산, 유형자산, 무형자산, 투자부동산, 전력생산설비, 생산용식물
일정한요건을 만족하는 적격자산의 취득. 건설 또는 제조와 직접 관련된 차입원가는
당해 자산원가의 일부로 자본화하도록 (강제) 규정하고 있다.
[재고자산]
1.재고자산의 정의
: 통상적인 영업과정에서 ㅈㅎ나 ㅇㅇ의 “ㅍㅁ를 위하여 ㅂㅇ중인 자산”
혹은 생산이나 용역에 사용될 ㅇㅈㄹ나 ㅅㅁㅍ
2.재고자산의 취득원가 : 매입원가+전환원가+기타원가
-“기초 재고자산의 포함되는 항목 ”: ____ 인도조건의 미착상품
-재고자산의 취득원가 불포함 사항
: 제조원가(DM,DL,OH)에서 비정상적으로 낭비된 부분- 감모손실,공손
:후속 생산단계에 투입하기 전 _____보관원가
-제품.상품 재공품의 보관원가는 _____처리
:재고자산을 현재상태에 이르게하는데 기여하지 않은 관리간접원가 (마케팅부직원월급)
:판매원가
*매입원가의 산정
(+)ㅊㄷㅇ,ㅊㄷㅅㅅㄹ,ㅎㅇㄹ,ㅁㅇㅇㅇ,“ㅇㅈㄹ”보관원가,ㅅㅇ관세,ㅈㅅㄱ,ㅂㄱㄱㅊㅅ
(-) 매입에누리, 환출,환입,리베이트, 환급예정인 ㅅㅇㄱㅅ,ㅂㄱㄱㅊㅅ
*재고자산의 매입이나 생산완료 후 단순한 위치 이동에 소요되는 비용은__으로 인식한다.
*관세 환급금은 매출원가에서 차감한다.
1.재고자산의 정의
: 통상적인 영업과정에서 재화나용역의 판매를 위하여 보유중인 자산
혹은 생산이나 용역에 사용될 원재료나 소모품
2.재고자산의 취득원가 : 매입원가+전환원가+기타원가
-기초 재고자산의 포함되는 항목 : 선적지 인도조건의 미착상품
-재고자산의 취득원가 불포함 사항
: 제조원가(DM,DL,OH)에서 비정상적으로 낭비된 부분- 감모손실,공손
:후속 생산단계에 투입하기 전 원재료(만) 보관원가
-제품,상품,재공품의 보관원가는 당기비용처리
:재고자산을 현재상태에 이르게하는데 기여하지 않은 관리간접원가 (마케팅부직원월급)
:판매원가
-매입원가의 산정
+취득액, 취득수수료, 하역료,매입운임, 원재료보관원가, 수입관세,제세금
-매입할인, 리베이트, 환급예정인 수입관세,부가치세
*재고자산의 매입이나 생산완료 후 단순한 위치 이동에 소요되는 비용은 비용으로 인식한다.
*관세 환급금은 매출원가에서 차감한다.
3.기말재고자산의 배분
기초 + 당기매입
=max판매가능재고자산
=매출원가+기말재고자산
*매출원가
: 당기에 ㅂㅇ으로 인식하는 재고자산 ( (+)환급금,(-)매출,감모,평가,공손,위치이동비용 등)
*기말재고자산에 포함될 항목
-ㅅㅈㅈㅇㄷㅈㄱ의 ㅁㅊㅅㅍ
-ㅅㅇㅍ중 ㄱㄱ이 ㄱㅇㅇㅅ를 표하지 않은 ㅅㅅㅍ
-위탁판매 미판매분(____의 재고자산의 가산)
-저당권 실행 전 창고에 ___저당자산 (창고에 __저당자산은 이미 기말수량에 포함됨)
-ㅁㅇㄷㅊㄱㅍㅁ
-재매입약정판매
*재고자산의 수량Q 결정 방법: 현실에서는 혼합사용, “혼합법은 ㄱㄱㅅㅅ 찾아내는데 유용”
1.계속기록법 (기초~기말)
: 기초재고수량+당기매입수량-ㄷㄱㅍㅁㅅㄹ=ㄱㅁㅈㄱㅅㄹ (역산)
2.실지재고조사법(기말 창고 재고조사)
: 기초재고수량+당기매입수량-ㄱㅁㅈㄱㅅㄹ(실사진행)=ㄷㄱㅍㅁㅅㄹ(역산)
*재고자산의 가격P 결정방법
1.ㅅㅇㅅㅊㅂ
2.가중평균법(______법-이동평균법 / ______법-총평균법)
3.기말재고자산의 배분
기초 + 당기매입
=max판매가능재고자산
=매출원가+기말재고자산
*매출원가
: 당기에 비용으로 인식하는 재고자산 ( (+)환급금,(-)매출,감모,평가,공손,위치이동비용 등)
*기말재고자산에 포함될 항목
-선적지인도조건의 미착상품
-시용품 중 고객이 구입의사를 표하지 않은 시송품
-위탁판매 미판매분(위탁자 재고자산의 가산)
-저당권 실행 전 창고에 없는 저당자산 (창고에 있는 저당자산은 이미 기말수량에 포함됨)
-미인도청구판매
-재매입약정판매
*재고자산의 수량Q 결정 방법: 현실에서는 혼합사용, 혼합법은 감모손실 찾아내는데 유용
1.계속기록법 (기초~기말)
: 기초재고수량+당기매입수량-당기판매수량=기말재고수량 (역산)
2.실지재고조사법(기말 창고 재고조사)
: 기초재고수량+당기매입수량-기말재고수량(실사진행)=당기판매수량(역산)
*재고자산의 가격P 결정방법
1.선입선출법
2.가중평균법(계속기록법-이동평균법 / 실지재고조사법-총평균법)
원가흐름의 가정별 비교 (인플레이션가정하에 기말재고가 계속적으로 누적되는경우)
*기말재고자산 : 선입선출법>이동평균법>총평균법>후입선출법
*매출원가 : 선입선출법<이동평균법<총평균법<후입선출법
*당기순이익. : 선입선출법>이동평균법>총평균법>후입선출법
*법인세비용
(과세소득있는경우): 선입선출법>이동평균법>총평균법>후입선출법
*현금흐름
-법인세효과전: 선입선출법=이동평균법=총평균법-후입선출법
-법인세효과후: 선입선출법<이동평균법<총평균법<후입선출법
원가흐름의 가정별 비교 (인플레이션가정하에 기말재고가 계속적으로 누적되는경우)
*기말재고자산 : 선입선출법>이동평균법>총평균법>후입선출법
*매출원가 : 선입선출법<이동평균법<총평균법<후입선출법
*당기순이익. : 선입선출법>이동평균법>총평균법>후입선출법
*법인세비용
(과세소득있는경우): 선입선출법>이동평균법>총평균법>후입선출법
*현금흐름
-법인세효과전: 선입선출법=이동평균법=총평균법-후입선출법
-법인세효과후: 선입선출법<이동평균법<총평균법<후입선출법
원재료와 저가법 NRV 빈출문구
1)제품이 @로 팔릴때 -원재료 : ____
완성될 제품이 원가 이상으로 판매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그 생산에 투입하기 위해
보유하는 원재료 및 기타 소모품을 감액하지 아니한다.
2)제품이 @이하로 팔릴때 - 원재료:_____
그러나 원재료가격이 하락하여 제품의 원가가 순실현가치(NRV)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해당 원재료를 순실현가치 (NRV=현행대체원가)로 감액한다.
이 경우, 원재료의 현행대체원가는 순실현가능가치에 대한 최선의 측정치가 될 수 있다.
원재료와 저가법 NRV 빈출문구
1)제품이 @로 팔릴때 -원재료 : @
완성될 제품이 원가 이상으로 판매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는 그 생산에 투입하기 위해
보유하는 원재료 및 기타 소모품을 감액하지 아니한다.
2)제품이 @이하로 팔릴때 - 원재료:현행대체원가
그러나 원재료가격이 하락하여 제품의 원가가 순실현가치(NRV)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해당 원재료를 순실현가치 (NRV=현행대체원가)로 감액한다.
이 경우, 원재료의 현행대체원가는 순실현가능가치에 대한 최선의 측정치가 될 수 있다.
순실현가능가치와 공정가치의 차이
*공정가치 : =시장정상거래 시 ㅈㅅ ㅁㄷㅅㅊ가격, ㅂㅊ ㅇㅈ ㅈㄱ 가격
시장에서 정상거래 될 때 자산을 매도할 때 수취하거나, 부채를 이전할 때 지급하게 될 가격
즉, ”ㅅㅈ의 가치“이다.
*순실현가능가치 : “재고자산의 판매를 통해 실현될 ”ㅅㅁㄱㄱㅇ“
( 예상판매가격-(추가완성원가)-부대비용) 으로서
”ㄱㅇㅌㅇ의 가치를 반영“한다.
순실현가능가치와 공정가치의 차이
*공정가치 : =시장정상거래 시 자산 매도 수취 가격, 부채 이전 지급 가격
시장에서 정상거래 될 때 자산을 매도할 때 수취하거나, 부채를 이전할 때 지급하게 될 가격
즉, ”시장의 가치“이다.
*순실현가능가치 : 재고자산의 판매를 통해 실현될
순매각금액 ( 예상판매가격-(추가완성원가)-부대비용) 으로서
기업특유의 가치를 반영한다.
Max판매 가능수량 = 매출원가 +기말재고자산 (제품,재공품, 원재료)
1.매출원가 = (매출원가+감모손실+평가손실)
매출원가 : 판매수량 x___
감모손실 : 감모수량 x____
평가손실 : 기말실사재고수량 x (_-___)
2.기말재고자산 ( 제품,재공품,원재료)
기말재고자산 = 기말ㅅㅅ수량 x 저가법NRV min[ @,NRV]
3.저가법 적용 ( 제품,재공품/ 원재료 : 조건부)
1.제품 = 예정판매가격 - 부대비용
2.재공품 = 예정판매가격 -추가가공원가-부대비용
3.조건부원재료 : 현행대체원가
Max판매 가능수량 = 매출원가 +기말재고자산 (제품,재공품, 원재료)
1.매출원가 = (매출원가+감모손실+평가손실)
매출원가 : 판매수량 x @
감모손실 : 감모수량 x @
평가손실 : 기말실사재고수량 x (@-NRV)
2.기말재고자산 ( 제품,재공품,원재료)
기말재고자산 = 기말실사수량 x 저가법NRV min[ @,NRV]
3.저가법 적용 ( 제품,재공품/ 원재료 : 조건부)
1.제품 = 예정판매가격 - 부대비용
2.재공품 = 예정판매가격 -추가가공원가-부대비용
3.조건부원재료 : 현행대체원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