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주요 준말의 정리 Flashcards

(73 cards)

1
Q

‘만만하지 않다’의 준말

A

만만찮다

-하지+않-&raquo_space; -찮-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나사는 죄어야 하나?

A

O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뜨이어’의 준말

A

띄어

‘ㅏ, ㅗ, ㅜ, ㅡ’ 뒤에 ‘-이어’가 어울려 줄어질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생각하건대’의 준말

A

생각건대

"’하’ 앞에 안울림소리”

‘하’가 탈락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거북하지’의 준말

A

거북지

"’하’ 앞에 안울림소리”

‘하’가 탈락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깨끗하지 않다’의 준말

A

깨끗지 않다

"’하’ 앞에 안울림소리”

‘하’가 탈락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나사를 좼다.

A

O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쏘이어’의 준말

A

쐬어, 쏘여

‘ㅏ, ㅗ, ㅜ, ㅡ’ 뒤에 ‘-이어’가 어울려 줄어질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될 대로 돼라는 식의 사고는 좋지 않아.

A

X

될 대로 되라는 식의 사고는 좋지 않아.

돼라는(X)&raquo_space; 되라는 (O)

“명령문이 간접 인용절로 안길 때에는 종결어미가 모두 ‘-(으)라’로 바뀐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나사는 좨야 하나?

A

O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나사는 조이어야 하나?

A

O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흔하다’의 준말

A

흔타

"’하’ 앞에 울림소리”

어간 끝음절 ‘하’의 ‘ㅏ’가 줄고, ‘ㅎ’이 다음 음절의 첫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가 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나사는 조여야 하나?

A

O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나사를 죄어 본다.

A

O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큰 인물이 돼라.

A

O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볕을 쬐어라.

A

O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생각컨대 조금 더 기다려 보자.

A

X

생각건대 조금 더 기다려 보자.

생각하건대&raquo_space; 생각건대

"’하’ 앞에 안울림소리”

‘하’가 탈락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보이어’의 준말

A

뵈어, 보여, 봬

‘ㅏ, ㅗ, ㅜ, ㅡ’ 뒤에 ‘-이어’가 어울려 줄어질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못하지 않다’ 의 준말

A

못지않다

"’하’ 앞에 안울림소리”

‘하’가 탈락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섭섭하지 않다’의 준말

A

섭섭지 않다

"’하’ 앞에 안울림소리”

‘하’가 탈락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그는 훌륭한 사람이 되서 돌아왔다.

A

X

그는 훌륭한 사람이 돼서 돌아왔다.

되서(X)&raquo_space; 돼서(O)

“우리 말에 ‘-서’라는 어미가 없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큰 인물이 되라.

A

X

큰 인물이 돼라.

되라(X)&raquo_space; 돼라(O)

“되+어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쓰이어’의 준말

A

씌어, 쓰여

‘ㅏ, ㅗ, ㅜ, ㅡ’ 뒤에 ‘-이어’가 어울려 줄어질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어머니는 큰 인물이 돼라고 하셨다.

A

X

어머니는 큰 인물이 되라고 하셨다.

돼라고(X)&raquo_space; 되라고(O)

“명령문이 간접 인용절로 안길 때에는 종결어미가 모두 ‘-(으)라’로 바뀐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볕을 쬐어야 한다.
O
26
'변변하지 않다'의 준말
변변찮다 -하지+않- >> -찮-
27
'적지 않은'의 준말
적잖은 -지+않- >> -잖-
28
'안'은 어떤 말의 준말?
'아니'의 준말 >> 부사 거기에 가면 안 된다.
29
볕을 쫴라
O
30
'생각하다 못해'의 준말
생각다 못해 "'하' 앞에 안울림소리" '하'가 탈락
31
'트이어'의 준말
틔어, 트여 'ㅏ, ㅗ, ㅜ, ㅡ' 뒤에 '-이어'가 어울려 줄어질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32
나사를 죄어야 한다.
O
33
봄 신상품을 선봬야 매출이 오를 거야.
O
34
'넉넉하지 않다'의 준말
넉넉지 않다 "'하' 앞에 안울림소리" '하'가 탈락
35
자네 덕에 생일을 잘 쇠서 고맙네.
X 쇠서(X) >> 쇄서, 쇠어서(O)
36
그는 오랜만에 고향 땅에 발을 딛는 감회가 새로웠다.
O
37
'그렇지 않은'의 준말
그렇잖은 -지+않- >> -잖-
38
볕을 쫴야 한다.
O
39
볕을 쬈다.
O
40
'가하다'의 준말
가타 "하' 앞에 울림소리" 어간 끝음절 '하'의 'ㅏ'가 줄고, 'ㅎ'이 다음 음절의 첫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가 된다."
41
점점 목을 죄어 오는 느낌이야.
O
42
나쁜 사람이 돼면 안 되.
X 나쁜 사람이 되면 안 돼. 돼면(X) >> 되면(O) 안 되(X) >> 안 돼(O)
43
점점 목을 죄여 오는 느낌이야.
X 점점 목을 죄어 오는 느낌이야. 죄여(X) >> 죄어(O)
44
'간편하게'의 준말
간편케 "하' 앞에 울림소리" 어간 끝음절 '하'의 'ㅏ'가 줄고, 'ㅎ'이 다음 음절의 첫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가 된다."
45
'다정하다'의 준말
다정타 "하' 앞에 울림소리" 어간 끝음절 '하'의 'ㅏ'가 줄고, 'ㅎ'이 다음 음절의 첫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가 된다."
46
'누이어'의 준말
뉘어, 누여 'ㅏ, ㅗ, ㅜ, ㅡ' 뒤에 '-이어'가 어울려 줄어질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47
자네 덕에 생일을 잘 쇄서 고맙네.
O
48
나사를 좨 본다.
O
49
나사는 죄야 하나?
X 죄야(X) >> 좨야, 죄어야, 조이어야, 조여야(O)
50
'익숙하지 않다'의 준말
익숙지 않다 "'하' 앞에 안울림소리" '하'가 탈락
51
나사를 죄였다.
X 나사를 죄었다[좼다]. 죄였다(X) >> 죄었다[좼다](O)
52
집은 허름하지만 아까 본 집보다 가격이 만만잖다.
X 집은 허름하지만 아까 본 집보다 가격이 만만찮다. 만만하지 않다 >> 만만찮다 -하지+않- >> -찮-
53
그는 끝까지 일을 말끔케 처리하였다.
O
54
이번 수해로 우리 마을은 적잖은 피해를 봤다.
O
55
'싸이어'의 준말
쌔어, 싸여 'ㅏ, ㅗ, ㅜ, ㅡ' 뒤에 '-이어'가 어울려 줄어질 적에는 준 대로 적는다.
56
'연구하도록'의 준말
연구토록 "하' 앞에 울림소리" 어간 끝음절 '하'의 'ㅏ'가 줄고, 'ㅎ'이 다음 음절의 첫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가 된다."
57
'정결하다'의 준말
정결타 "하' 앞에 울림소리" 어간 끝음절 '하'의 'ㅏ'가 줄고, 'ㅎ'이 다음 음절의 첫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가 된다."
58
집은 허름하지만 아까 본 집보다 가격이 만만찮다.
O
59
그러면 안 돼지.
X 그러면 안 되지. 안 돼지(X) >> 안 되지(O)
60
볕을 쬐었다.
O
61
그는 훌륭한 사람이 돼서 돌아왔다.
O
62
나사를 죄었다.
O
63
'말끔하게'의 준말
말끔케 "하' 앞에 울림소리" 어간 끝음절 '하'의 'ㅏ'가 줄고, 'ㅎ'이 다음 음절의 첫소리와 어울려 거센소리가 된다."
64
나쁜 사람이 되면 안 돼.
O
65
불 좀 쬐어야겠구나.
O
66
장마 후 날씨가 개어서 가족과 함께 가까운 곳으로 소풍을 갔다.
O
67
집은 허름하지만 아까 본 집보다 가격이 만만잖다.
X 만만잖다(X) >> 만만찮다(O)
68
어머니는 큰 인물이 되라고 하셨다.
O
69
나사를 좨야 한다.
O
70
될 대로 되라는 식의 사고는 좋지 않아.
O
71
'않-'은 어떤 말의 준말?
'아니하-'의 준말' >> 주로 '-지 않다'의 구성으로 쓰임 나는 학교에 가지 않았다.
72
봄 신상품을 선뵈어야 매출이 오를 거야.
O
73
나사를 죄여 본다.
X 나사를 죄어[좨] 본다. 죄여(X) >> 죄어[좨](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