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간호학 오답정리 Flashcards

(39 cards)

1
Q

영아의 경우 두피정맥을 이용하여 정맥주사할 수 있다.

A

O, 접근이 쉽고 정맥관을 유지하기 용이하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상대정맥 증후군이 있는 부위에 정맥주사할 수 있다.

A

X
- 상대정맥 증후군인 경우 상대정맥을 통한 혈액 환류에 장애가 발생해 안면, 경부, 상지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팔 쪽에 정맥 주사하는 경우, 상대정맥으로 가는 혈액량이 늘어나 증상을 악화시키므로 상대정맥을 거치지 않고 하대정맥을 거쳐 심장으로 들어가도록 다리 쪽에 정맥주사해야 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___________인 경우, 음식물이 천천히 이동하도록 기댄 자세에서 식사하도록 한다.

A

덤핑증후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답은?

A

약 7gtt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답은?

A

9cc/hr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구토와 위 흡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은 (호흡성/대사성) (산증/알칼리증)이고, 심한 설사와 장루로 인해 발생하는 것은 (호흡성/대사성) (산증/알칼리증)이다.

A

대사성 알칼리증, 대사성 산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가정에서 쉽게 사용 가능하며, 소독할 물품을 물에 잠긴 상태에서 끓는 물에 10~20분간 가열하는 방법은?

A

자비소독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수술용 기계 및 기구, 일반 기구 및 물품, 린넨류, 스테인리스 기구를 소독하는 데 사용되지만, 고무와 내시경과 같이 열과 습기에 약한 기구 및 물품에서의 사용을 금하는 멸균 방법은?

A

고압증기멸균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열에 약하고 마모되기 쉬운 세밀한 수술 기구, 고무, 종이, 플라스틱, 내시경, 각종 카테터를 멸균시키는 데 효과적인 멸균법은?

A

산화에틸렌 가스(EO 가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EO 가스 멸균을 할 수 없지만 열에 약한 물건을 멸균 시에는 어떤 멸균 방법을 사용해야 하는가?

A

글루타르알데히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중심정맥관을 통해 약물을 주입하던 중 공기 색전이 발생했을 때의 우선적인 중재로 옳은 것은?
① 수액 주입속도를 증가시킨다.
② 주사 부위에 냉요법을 적용한다.
③ 주사 부위를 심장의 높이보다 높게 올린다.
④ 다른 부위에 다시 주사하여 약물을 투여한다.
⑤ 트렌델렌버그 체위에서 왼쪽 측위를 취하게 한다.

A

정답: 5
공기 색전은 혈관으로 공기가 들어간 상태를 의미한다. 트렌 델렌버그 체위에서 왼쪽 측위를 취하게 하면 공기가 폐동맥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시 의사에게 보고하며 활력징후 측정 및 환자 사정 등의 간호중재를 수행한다.
공기 색전의 원인
* 수액 세트 내의 공기를 제대로 제거하지 않았을 때
* 수액세트의 각 연결부분이 완전하게 연결되어 있지 않을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출혈성 상처를 지혈하고, 흡수력이 뛰어나 다량의 삼출
물이 있는 상처에 적절한 드레싱은?
①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
② 거즈 드레싱
(3) 필름 드레싱
④ 하이드로젤 드레싱
⑤ 칼슘 알지네이트 드레싱

A

정답: 5
칼슘 알지네이트 드레싱은 다량의 삼출물이 있는 상처에 효과적인 드레싱 재료이다. 칼슘 제제가 함유되어 있어 출혈성 상처를 지혈해주는 효과를 갖고 있으며 상처의 사강을 패킹하기 위해서도 사용할 수 있다. 추가적인 2차 드레싱이 필요하다.
* 칼슘 알지네이트 드레싱: 삼출물의 양이 많을 때 유용
*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 : 삼출물의 양이 비교적 적을 때 유용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3점 보행을 할 때는 양쪽 목발과 (건측/환측) 발을 디딘 후, (건측 / 환측) 발을 내디며 보행한다.

A

환측, 건측
- 3점 보행은 한 쪽 다리 (건강한 다리)에 체중의 전부를 지탱할 수 있어야 가능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지속적으로 심한 설사를 보이는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산-염기 불균형의 상태로 적절한 것은?
① 호흡성 산증
③ 대사성 산증
⑤ 고칼륨혈증
② 호흡성 알칼리증
④ 대사성 알칼리증

A

039 (3)
지속적으로 심한 설사를 하는 경우, 중탄산(HCO,)의 소실로 체내 pH가 감소하여 대산성 산증이 나타날 수 있다.
대사성 산증
* 원인: 심한 설사 및 장루를 통한 과도한 배설, 혈액 내 산의 축적, 산성 물질의 증가
* 증상: 혼돈, 혼수, 경련, 고칼륨혈증, 두통, 쿠스마울 호흡, pH 7.35 이하 및 HCO3 감소 등
. 중재: 의식수준 사정, 기도 유지, 중탄산염(Sodium Bicarbonate) 투여, 전해질 교정 등
중탄산 (HCO3)
* 산에 대한 완충역할을 하여 혈액 내 pH가 정상범위로 유지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다음 중 비위관을 삽입할 때의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① 비위관 삽입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코로 숨을 쉬도록 한다.
② 비인두를 지날 때 고개를 뒤로 젖히도록 한다.
③ 귓불에서 코 끝, 코 끝에서 검상돌기까지의 길이를 확인하여 반창고로 표시한다.
④ 플라스틱 비위관은 얼음에 넣어 삽입을 수월하게 한다.
⑤ 무의식 환자에게 비위관을 삽입할 때에는 측위를 취하거나 고개를 돌린 자세에서 시행하도록 한다.

A

042 ⑤
무의식 환자의 경우, 기도 내 흡인을 예방하기 위해 측위를 취하거나 고개를 돌린 자세에서 비위관을 삽입하도록 한다.
① 비위관 삽입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입으로 숨을 쉬도록 한다.
② 비인두를 지날 때 고개를 앞으로 젖히도록 한다. 이는 기도를 좁게 하고 식도를 넓게 하여 비위관 삽입을 돕는다.
® 코 끝에서 귓불, 귓불에서 검상돌까지의 길이를 확인하여 반창고로 표시한다.
④ 플라스틱 비위관은 따뜻한 물에 담그고, 고무 비위관은 얼음에 담궈 삽입을 도울 수 있다.
- 의식이 없는 환자의 비위관을 삽입할 때
* 측위 혹은 머리를 옆으로 돌려 시행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047 당뇨병으로 왼쪽 다리가 감염되어 절단 수술을 받은 대상자이다. 이 대상자에게 중요한 간호중재로 수술한 다리에 대전자 두루마리를 적용하는 이유는?
① 대퇴의 외전 방지
② 대퇴의 내전 방지
③ 대퇴의 외회전 방지
④ 대상자에게 안위감 제공
⑤ 족저굴곡 예방

A

047(3)
고관절의 외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대전자 두루마리를 적용한다.

17
Q

049 다음 중 발열단계에 대한 간호중재로 옳은 것은?
① 오한기에는 오한으로 혈관이 수축하고 추위를 느끼는 시기로 체온이 올라간 상태로 지속되므로 시원한 환경을 조성하고 미온수 목욕을 돕는다.
② 발열단계는 발열기 - 상승기 - 종식기의 순서를 갖는다.
③ 발열기는 시상하부가 지 정 온도를 높은 수준으로 올리는 시기이며 종식기는 올라간 지정온도가 내려가는 시기를 말한다.
④ 종식기는 열소실 기전이 일어나 혈관이 확장되고 발한이 발생하는 시기로 충분한 수분 공급이 필요하다.
⑤ 오한기는 체온이 상승하여 피부가 뜨거워지고 맥박과 호흡이 빨라지는 시기로 탈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A

049 ④
종식기(회복기/해열기)는 시상하부의 지정온도가 내려감으로써 열소실 기전이 일어나는 시기이다. 혈관이 확장되며 발한이 발생하므로 충분한 수분 공급이 필요하다.
① 오한기에는 오한으로 혈관이 수축하고 추위를 느끼는 시기로 보온을 위한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② 발열단계는 오한기 (상승기) — 발열기 — 종식기 (회복기/해열기)의 순서를 갖는다. 발열기는 체온이 상승하여 피부가 뜨거워지고 맥박과 호흡이 빨라지는 시기로 탈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③, ⑤ 오한기는 시상하부가 지정 온도를 높은 수준으로 올리는 시기이며 발열기는 지정 온도에 도달되어 상승된 체온으로 유지되는 시기이며 종식기는 올라간 지정온도가 내려가는 시기를 말한다.

18
Q

050 다리의 근육통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더운 물주머니를 적용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간호중재로 적절한 것은?
① 환자에게 더운 물주머니는 적용부위 혈액의 점도를 증가시켜 근육통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설명한다.
② 따뜻한 정도의 온도로 물을 준비하여 주머니를 가득 채워 넣는다.
③ 효과적인 열전도를 위해 주머니 안의 공기를 제거하고 마개로 잠근다.
④ 물이 새지 않는지 확인한 후, 피부에 직 접 갖다 대어 물주머니를 적용한다.
⑤ 한 부위에 45~60분 이상 충분히 적용하도록 한다.

A

050(3)
효과적인 열전도를 위해 주머니 안의 공기를 완전히 제거하고 마개로 잠근다.
① 환자에게 더운 물주머니는 적용부위의 혈액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혈액순환을 도와 근육통을 감소시켜 준다.
② 따뜻한 정도의 온도로 물을 준비하여 주머니의 2/3 정도를 채워 넣는다.
④ 물이 새지 않는지 확인한 후, 수건이나 겉싸개를 씌워 근육통을 느끼는 부분에 적용한다.
⑤ 20~30분간 적용하며 적용부위를 자주 사정하여 피부 손상을 예방한다. 장시간 한 부분에 적용하는 것은 피부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19
Q

051 다음 중 낙상 위험이 가장 적은 환자는?
① 진정제를 복용 중인 환자
② 지남력이 없는 치매 환자
③ 낙상 과거력이 있는 아동 환자
④ 혼수 상태로 부동인 환자
⑤ 편마비로 보행기를 이용하는 환자

A

051 ④
혼수 상태란, 어떤 자극에 대해서도 아무런 반응이 없는 의식 상태를 의미한다. 그러므로 낙상 고위험군에 해당하지 않는다.
①,(2), ③, ⑤ 낙상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환자이다.
낙상 고위험군
* 65세 이상 노인, 낙상 과거력이 있는 경우, 청력/시력 상실, 보행 및 균형 장애, 이뇨제/진통제/진정안정제/최면제 등의 약물 복용, 체위성 저혈압, 지남력 상실, 심장/신경계 질환, 무릎 관절염, 전신 쇠약, 실금, 혼돈, 우울 등

20
Q

053 인플루엔자에 이환된 환자가 재채기를 할 때 입과 코를
막는 것은 전염의 어느 경로를 차단하기 위한 것인가?
①침입구
③ 민감한 숙주
⑤ 병원성 미생물
②전파방법
④ 저장소로부터의 출구

A

재채기는 병원성 미생물이 인체에서 외부로 탈출하는 출구가 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입과 코를 막는 것은 출구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21
Q

055 멸균된 이동섭자를 꺼내던 중 가장자리에 이동섭자의 끝이 닿았을 때 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가장자리는 멸균 영역에 포함되므로 닿아도 된다.
② 멸균 드레싱 세트를 새로 열어 이동섭자를 꺼내어 사용한다.
③ 끝이 닿은 이동섭자를 버리고 멸균되어 밀봉되어 있는 새 이동섭자를 개봉하여 사용한다.
④ 가장자리가 닿은 이동섭자는 소독실로 보내고, 멸균되어 있는 이동섭자를 꺼내어 사용한다.
⑤ 닿은 부분은 알코올로 깨끗이 닦아 소독한 후, 사용하도록 한다.

A

055 ④
이동섭자통의 가장자리에 닿는 것은 오염된 것으로 간주되어진다. 소독실로 물품을 내리고 멸균되어 있는 이동섭자로 교체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22
Q

060 결핵균의 감염이 의심되어 투베르쿨린 검사를 시행하고자 한다. 투베르쿨린 검사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경결의 직경에 따라 투베르쿨린 검사 결과를 판독한다.
② 투베르쿨린 시약 주사 후 마사지하여 검사의 정확성을 높인다.
③ 투베르쿨린 시약 주사 후 24~48시간 후에 주사부위를 확인한다.
④ 주삿바늘을 피하조직 내 삽입하여 투베르쿨린 시약을 주입한다.
⑤ 활동성 결핵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투베르쿨린 검사를 시행한다

A

060 ①
경결의 직경에 따라 결핵균 감염(노출)에 대한 양성 여부를 판독한다.
② 마사지를 하는 것은 투베르쿨린 시약을 새어 나오게 하거나 주위 조직으로 흡수시 킬 수 있으므로 마사지하지 않는다.
(3) 투베르쿨린 시약 주사 후 48~72시간 후에 주사부위를 확인한다.
④ 주삿바늘을 피내에 삽입하여 투베르쿨린 시약을 주입한다.
⑤ 투베르쿨린 검사로 활동성 결핵 여부는 확인할 수 없다.
투베르쿨린 시약
* PPD(purified protein derivatives)라고 불리며 결핵균 배양액의 단백질 침전물로 제조된 항원임

23
Q

061 인슐린을 피하주사할 때, 여러 부위를 돌아가며 투여하는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피부조직 괴사 방지
② 피하종양 예방
③ 극심한 통증 경감
④ 피하지방조직 경화 예방
⑤ 대상자의 심리적 안정 도모

A

061 ④
한 부위에 반복하여 주사하면 피하조직의 위축과 손상을 유발하여 인슐린 흡수를 방해한다. 인슐린을 피하주사할 때에는 매번 주사 부위를 돌아가면서 투여해야 한다.

24
Q

041 연하반사가 저하되어 비위관을 통해 영양액을 지속적 주입하는 환자의 간호중재로 옳은 것은?
① 영양액 및 세트는 24시간마다 교환해준다.
② 다량의 물을 주입하여 비위관을 관류시킨다.
③ 사용 직전 냉장고에서 꺼내어 그 상태로 주입한다.
④ 적정량의 영양액을 하루 동안 여러 번에 걸쳐 주입한다.
⑤ 영양액을 주입할 때에는 밀어 넣지 말고 중력에 의해 천천히 주입한다.

A

041 ①
영양액은 고농도의 포도당으로 미생물 성장이 용이하므로 감염 예방을 위해 24시간 마다 영양액 및 세트를 교환해주어야 한다.
② 30mL 정도 소량의 물을 주입하여 관류시킨다.
③ 차가운 영양액은 장을 자극할 수 있으므로 실내온도와 비슷한 정도로 준비한다.
④, ⑤ 영양액의 간헐적 주입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지속적 주입의 경우 영양주입펌프를 이용해 주입속도를 조절하여 일정하게 주입한다.

25
043 변비를 호소하는 환자에게 좌약 형태의 관장약을 삽입하고자 한다. 좌약을 직장 내 삽입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① 환자에게 우측위를 취하도록 하고 좌약을 삽입한다. ② 좌약을 삽입할 때에는 얕은 호흡을 여러 번 하도록 하여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③ 직장벽을 따라 부드럽게 삽입해야 하며 삽입 후 둔부를 모아 좌약이 빠지지 않도록 한다. ④ 대변을 보는 것이 중요하므로 배설하였는지 정도만 확인하여 기록한다. ⑤ 성인의 경우 약 20cm 정도, 소아는 약 10cm 정도 삽입하여야 한다.
043(3) 직장벽을 따라 부드럽게 삽입해야 하며 삽입 후 둔부를 모아 좌약이 빠지지 않도록 한다. 일정 시간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① 환자에게 직장의 굴곡에 따라 좌약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좌측 심스위(Sim’s position)를 취하도록 한다. ② 좌약을 삽입할 때 심호흡을 하게 되면 항문괄약근을 이완시 켜 삽입을 수월하게 도와준다. ④ 배설 여부 및 대변의 양상 등을 사정하여 기록한다. ⑤ 성인의 경우 약 10cm 정도, 소아는 약 5cm 정도 삽입하여야 한다.
26
051 심정지로 인하여 혈액순환이 되지 않아 혈액이 모인 부 위가 자줏빛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은? ① 사후한랭 ③ 사후시반 ⑤ 사지반점 ② 사후강직 ④ 저산소증
051(3) 사후시반이란, 심정지로 인하여 혈액순환이 되지 않으면서 중력에 따라 혈액이 모이고 모세혈관을 투과하면서 그 부위가 자줏빛으로 보이는 현상을 말한다. ① 사후한랭: 사망 후, 체온이 저하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② 사후강직: 사망 후, 근육이 수축하여 딱딱하게 굳어진 강직상태를 의미한다. ④ 저산소증: 혈액 내 산소가 부족한 상태를 의미한다. ⑤ 사지반점: 임종을 앞두고 나타나는 특징적인 신체적 징후 중 하나이다.
27
054 갑자기 발생한 뇌출혈로 전신의 움직임이 불가능한 대상자이다. 담당간호사로서 침상 목욕을 수행하려고 할 때, 다음 중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신체의 근위부를 시작으로 점차 말초부위 방향으로 닦아야 한다. ② 침상목욕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침상 난간을 내려 놓고 수행한다. © 담요가 물에 닿아 젖는 경우 오한을 유발하여 체온을 저하시키므로 담요를 치우고 환의를 다 벗은 상태에서 신속히 침상목욕을 수행한다. ④ 침상목욕은 대상자와의 접촉이 있는 간호행위로 대상자에게 불안을 조장할 수 있으므로 자극되지 않도록 조용히 수행한다. ⑤ 대상자가 스스로 움직일 수 없기 때문에 완전한 도움이 필요하며, 만약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있다면 그 부분은 스스로 닦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54 ⑤ 대상자의 독립성을 위해 스스로 할 수 있는 범위가 있다면 그 부분은 혼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혼수상태의 대상자이므로 전적인 도움을 주어 침상목욕을 시행해야 한다. 만약 움직임이 가능한 경우라면, 대상자의 독립성을 위해 스스로 할 수 있는 범위 안에서 혼자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바람직하다. ① 정맥혈의 흐름을 돕기 위해 말단 원위부에서 시작하여 근위부 방향으로 진행한다. ② 낙상을 예방하기 위해 침상 난간을 내리지 말고 올린 상태에서 수행하도록 한다. ③ 필요한 부분만을 열어 닦고, 닦고 있지 않은 부분은 담요를 덮어주어 오한을 예방한다. ④ 침상목욕은 대상자와의 접촉을 통해 감각 자극의 효과를 갖는다.
28
058 다음 중 손 씻기를 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에 해당하는 것은? ① 손씻는시간 ② 씻는물의온도 ③ 손을 비벼 마찰하는 것 ④ 흐르는 물에 씻는 것 ⑤ 적용하는 소독제의 종류
058(3) 손을 비벼 기계적 마찰을 이용하여 유기물과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29
061 미골주변에 3도 욕창이 있으며 요실금을 보이는 환자로 의식이 저하되어 움직일 수 없는 상태이다. 이 환자에게 3ml 되는 약물을 근육주사하려고 할 때 가장 적절한 부분은? ① 전완 내측 ® 둔부 배면 ⑤ 삼각근 ② 둔부 복면 ④ 복부
061 ② 미골주변의 3도 욕창이 있고 요실금을 보이므로 최대한 오염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는 부분에 주사해야 한다. 삼각근은 상지에 위치하므로 가장 좋은 부분이나 1ml 이하의 약물을 투여해야 하므로 적절하지 않다.
30
065 탈수 증상을 보이는 영아에게 정맥주사를 통해 수분 및 전해질을 보충하려고 한다. 머리 부위에 정맥주사를 하려고 할 때 영아에게 적용할 수 있는 신체보호대(억제대)의 형태로 적절한 것은? ① 홑이불을 이용해 전신을 감싼다. ② 장갑 모양의 신체보호대를 손에 적용한다. (3) 손목과 발목에 신체보호대를 적용한다. ④ 팔꿈치 돌출 부위에 부목을 대어 신체보호대를 적용한다. ⑤ 자켓 모양의 신체보호대를 입히고 등쪽에서 고정하여 적용한다.
065 ① 영아의 머리나 목부위에서의 채혈 혹은 정맥주사를 할 때는 홑이불을 이용하여 전신을 감싸주는 전신 신체보호대가 적절하다. ② 장갑 신체보호대를 의미하는 것으로 손가락으로 피부를 긁거나 치료장치를 제거하려할 때 적용한다. ③ 팔/다리(손목/발목) 신체보호대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지를 억제할 때 적용한다. ④ 팔꿈치 신체보호대를 의미하는 것으로 팔꿈치를 굽혀 피부를 긁거나 치료장치를 제거하려할 때 적용한다. ⑤ 자켓 신체보호대를 의미하는 것으로 침상 혹은 의자, 휠체어에서의 낙상을 예방하기 위해 적용한다.
31
040 완전비경구영양(TPN)을 통한 영양분 공급과 관련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① 감염예방을 위해 영양액과 연결되는 튜브는 1주일마다 교환한다. ② 일반적으로 TPN관을 통해 영양분 및 약물을 동시에 주입할 수 있다. ③ TPN의 주입 속도는 갑자기 증감량하지 않는다. ④ 고칼로리 영양 공급에는 부적절한 방법이다. ⑤ 반좌위 또는 좌위를 취한 상태로 투여하여 역류를 방지한다.
040〈3) 완전비경구영양(TPN)을 통한 영양분은 고장액으로 급속하게 증, 감량할 경우 고혈당 및 삼투성 이뇨, 탈수, 저혈당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처방에 따라 정확한 속도로 주입해야 하며 주입속도를 점진적으로 증감량한다. ① 완전비경구영양(TPN) 을 통한 영양분은 고농도의 포도당으로 감염 예방을 위해 연결되는 튜브는 24시간마다 교환해야 한다. ② 완전비경구영양(TPN)관을 통해 영양분과 약물을 동시에 주입하지 않는다. ④ 완전비경구영양(TPN)은 고농도의 포도당 주입이 가능한 방법이다. ⑤ 반좌위 또는 좌위를 취한 상태로 투여하여 역류를 방지하는 것은 비위관을 통한 영양액 공급과 관련된 간호중재이다. 완전비경구영양(TPN, Total Parenteral Nutrition) * 정의: 인체에 필요한 영양분을 위장계가 아닌 정맥혈관을 통해 공급하는 방법 * 주의사항: TPN은 대개 중심 정맥관(쇄골하정맥, 경정맥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외과적 무균술에 따른 드레싱 및 관리가 필요함
32
042 척추수술을 받고 2시간이 지난 환자로 요의는 느끼지만, 소변 배출이 되지 않을 때 할 수 있는 간호중재로 옳은 것은? ① 대퇴 안쪽을 가볍게 문지른다. ② 쪼그려 앉는 자세를 취한다. ③ 차가운 것을 섭취하도록 한다. ④ 자외선을 받으며 기분 전환을 유도한다. ⑤ 쥬스를 다량 마시게 하고, 차가운 변기를 제공한다
042 ① 대퇴 안쪽을 가볍게 문지르거나 두드리는 것은 배뇨 반사를 자극하여 배뇨를 촉진한다. ② 배뇨할 때의 자세를 취하는 것도 배뇨를 촉진할 수 있으나, 척추수술을 받은지 얼마 지나지 않은 환자이므로 적절하지 않다. (3), ④, ⑤ 배뇨를 촉진하는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다.
33
044 편마비 환자가 지팡이를 이용해 계단을 올라가는 방법에 대한 교육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마비된 다리를 가장 먼저 올리고 지팡이를 올린다. ② 지팡이를 가장 먼저 올리고 마비된 다리를 올린다. ® 건강한 다리를 가장 먼저 올리고 지팡이를 올린다. ④ 지팡이를 가장 먼저 올리고 건강한 다리를 올린다. ⑤ 지팡이와 마비된 다리를 가장 먼저 올리고 건강한 다리를 올린다.
044 ④ 지팡이를 이용해 계단을 올라갈 때는 지팡이 -> 건강한 다리 — 마비된 다리 순으로 올린다. 반대로 지팡이를 이용해 계단을 내려갈 때는 지팡이 一 마비된 다리 - 건강한 다리 순으로 내린다.
34
047 팔이 골절된 환자의 붕대를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말단에서 중앙으로 감아올린다. ② 관절을 최대한 신전시켜 감는다. ③ 상처부위에 압력을 가해 단단하게 감는다. ④ 붕대 적용부위의 말단부까지 완전하게 감는다. ⑤ 붕대의 시작 및 마지막 부위는 압력을 세게 주어 풀리지 않게 한다.
047 ① 붕대를 적용할 때는 말단에서 중앙부로 감아 올린다. ② 해부학적 체위를 고려하여 관절은 약간 굴곡된 상태가 적절하다. ③ 상처부위, 뼈 돌출부위, 감염부위 등은 가급적 피해 붕대를 적용한다. ④ 붕대 적용부위의 말단부를 노출시켜 혈액순환 상태를 자주 사정한다. ⑤ 균등한 압력으로 적절하게 붕대를 감아 올린다
35
048 다음과 같은 특성이 나타나는 수면 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델타 수면 * 피곤할 때 더 증가 * 가장 깊은 수면 상태 * 성장호르몬이 분비되는 단계 ① 생생한 꿈을 꾸기도 한다. ② 전체 수면의 45-55% 정도를 차지한다. ③ 안구운동 및 뇌파가 활동적 인 단계이다. ④ 소리, 접촉, 다른 감각에 의해 쉽게 잠에서 깬다. ⑤ 근육이 완전히 이완되고 몽유증, 야뇨증이 나타날 수 있다.
048 ⑤ NREM 4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깊은 수면상태를 의미한다. 델타(delta)파가 보이는 수면 단계로 델타 수면이라고도 하며 근육이 완전히 이완되고 움직임이 없으며 깨우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체온, 맥박, 혈압, 호흡 등이 감소한다. 성장호르몬이 분비되며 몽유증 및 야뇨증 등이 나타나는 단계이다. ①, ③ ‘REM 단계’에 해당한다. ② ‘NREM 2단계’에 해당한다. ④ ‘NREM 1단계’에 해당한다
36
055 활동성 결핵으로 진단받은 환자의 간호중재로 옳은 것은? ① 멸균 장갑 및 가운을 착용한다. ② 격리병실 문을 가능한 자주 열어 환기시킨다. O 격리병실 내 압력은 외부에 비해 높게 설정한다. ④ 격리병실에 들어갈 때는 수술용 마스크를 착용하고 간호한다. ⑤ 격리병실 밖으로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 환자에게 수술용 마스크를 착용하게 한다.
055 ⑤ 격리병실 밖으로의 환자 이동은 가능한 한 제한하며, 이동이 필요한 경우 환자에게 수술용 마스크를 착용하게 한다. ① 해당되지 않는 내용이다. ② 격리병실 문은 출입 시를 제외하고는 항상 닫아 둔다. ③ 격리병실 내 압력은 외부에 비해 낮게 설정한다.(음압 설정) ④ 격리병실에 들어갈 때는 N95 마스크를 착용한다.
37
058 수술 후 가스 배출이 확인된 환자이다. 갈증 해소의 목적 으로 당질과 물만으로 구성된 식이를 제공하였을 때, 이 를 의미하는 식이는? ① 연식 ③ 일반식 ⑤ 맑은 유동식 ② 경식 ④ 전 유동식
058 ⑤ 맑은 유동식은 수분 공급 및 갈증 해소의 목적으로 제공되는 식이를 의미한다. 당질과 물만으로 구성된 식이로서 물, 맑은 국물, 차류 등이 해당된다. ① 연식: 반고형으로 소화가 잘 되고 씹기 쉬운 형태의 음식을 의미한다. ② 경식: 연식에서 일반식으로 변경 전 제공하는 전환기 음식으로 소화되기 쉬운 형태의 음식을 의미한다. ® 일반식: 특별한 제한이 없는 식이를 의미한다. ④ 전 유동식: 반고형식, 고형식을 섭취할 수 없는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미음, 주스, 스프, 우유 등이 해당된다.
38
062 수액을 주입하던 오른쪽 팔의 말초정맥관 삽입 부위에 통증, 부종이 발생했을 때 우선적인 중재로 옳은 것은? ① 수액 주입속도를 높여 준다. ② 수액세트를 새것으로 교환한다. O 모르핀 (morphine) 약물을 투여한다. ④ 수액 주입을 중단하고 삽입 부위를 사정한다. ⑤ 오른쪽 손이 아래를 향하게 하여 팔을 낮춰 준다.
062 ④ 정맥주사 부위에 이상증상이 발생하였으므로 즉시 수액 주입을 중단하고 정맥관 삽입 부위를 사정하며 말초정맥관을 제거한다. 필요시 새로운 부위에 말초정맥관을 삽입하여 수액을 주입한다.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