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오답정리 Flashcards

(88 cards)

1
Q

화재로 인하여 전신에 3도 화상을 입은 환자가 응급실에 내원했을 때 가장 중요한 간호중재는?
1) 화상 부위를 생리식염수로 세척하여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다.
2) 수분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수액 요법을 수행하는 것이다.
3) 화상 부위의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하는 것이다.
4) 항생제를 투여하고 추가적인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다.
5) 손상된 피부관리를 위해 연고를 적용하는 것이다.

A

004 ②
화상을 입은 초기는 체액 상실기로 수분 전해질의 균형유지를 위한 간호중재가 중요하다. 부족한 체액량을 확인하여 적절한 수액 요법을 통해 체액량을 보충해야 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c혈액투석을 할 때, 가장 흔하게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으로 적절한 것은?
① 경련
③ 발열,오한
⑤ 두통
② 저혈압
④ 공기색전

A

② 저혈압
저혈압은 혈액투석을 할 때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부작용으로 30~50%의 환자들이 경험하게 된다.
①, ③, ④, ⑤ 모두 혈액투석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에 해당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043 각 차단(BBB, Bundle Branch Block)이 발생했을 때
나타나는 특징적인 심전도의 양상으로 적절한 것은?
① P파가 낮고 평평해진다.
② ST 분절이 단축된다.
③ QRS군의 폭이 넓어지고 커진다.
④ T파가 역위되거나 잘 나타나지 않는다.
⑤ P-R간격이 연장되어 맥박수가 저하된다.

A

③ QRS군의 폭이 넓어지고 커진다.
좌각차단, 우각차단에 따라 심전도의 모양은 달라지나, 각 차단이 발생했을 때 공통적으로 QRS군의 폭이 넓어지고 커진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052 다음 중 심한 혈흉이 있는 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증
상으로 옳은 것은?
① 맥박 저하
③ 호흡수 저하
② 혈압 상승
④ 감소된 호흡음
⑤ 통증 없는 둔한 흉부 불편감

A

④ 감소된 호흡음
혈흉 발생 환자 -> 흉강 내 혈액축적 -> 폐 허탈 발생 -> 호흡음 감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편마비 환자에게 옷을 입을 때와 벗을 때 어느 쪽부터 입히거나 벗겨야 하는가?

A

옷을 입을 때: 마비된 쪽부터
벗을 때: 멀쩡한 쪽부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054 다음의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게 손상이 의심되는 뇌신
경으로 옳은 것은?
* 얼굴 통증 및 감각 이상
* 저작 운동이 원활하지 않음

A

제 5뇌신경(삼차신경: 얼굴과 입의 감각, 씹는 운동)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056 다음의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게 필요한 간호중재로 옳
은 것은?
* 경부경직, Kernig 징후(+), Brudzinski 징후(+)
① 경련의 위험이 있으므로 병실을 밝게 하여 환자를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② 공기를 통해 전파되는 질환으로 1인실에 격리하고 병실은 음압을 유지해야 한다.
③ 고삼투성 이뇨제를 투여하고 신경학적 사정을 자주 시행한다.
④ 항생제 투여는 필요하지 않으며 대증요법을 시행한다.
⑤ 스테로이드 약물은 환자의 면역력을 약화시키므로 투여하지 않는다.

A

③ 고삼투성 이뇨제를 투여하고 신경학적 사정을 자주 시행한다.
경부경직, Kernig 징후(+), Brudzinski 징후(+)의 결과로 보아 수막염임을 알 수 있다. 염증으로 인한 뇌부종을 감소시키기 위해 고삼투성 이뇨제를 투여하고 자주 신경학적 사정을 시행해야 한다.
① 밝은 조명은 경련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어둡게 유지하도록 한다.
② 공기를 통해 전파되는 질환이 아니므로 해당되지 않는다. 공기전파를 통해 감염되는 질환은 결핵, 수두, 홍역 등이 있다.
④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무균성 수막염은 자연적으로 호전되는 경우가 많지만, 세균 감염에 의한 세균성 수막염은 항생제를 투여하여 치료해야 한다.
⑤ 뇌부종 감소를 위해 스테로이드 약물을 투여할 수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067 항이뇨호르몬 부적절분비 증후군을 진단받은 대상자에
게 필요한 간호중재로 적절한 것은?
① 섭취량과 배설량, 탈수 여부를 사정한다.
② 수액을 증량하여 충분히 공급한다.
③ 바소프레신을 투여한다.
④ 신경학적 증상을 주의 깊게 사정한다.
⑤ 고나트륨혈증, 저혈압 등의 합병증 발생에 주의한다.

A

전해질 불균형으로 인하여 경련, 혼수 등 신경학적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 에 대한 사정 이 필요하다.
①, ②, ③, ⑤ 요붕증에 대한 내용에 해당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068 망막박리 수술 후 안압 감소를 위해 투여하는 약물로 옳
은 것은?
① 아트로핀 (atropine)
(2)시클로스포린 (cyclosporine)
(3)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
④ 니트로글리세린 (nitroglycerin)
⑤ 아세타졸아마이드(acetazolamide)

A

⑤ 아세타졸아마이드(acetazolamide)
아세 타졸아마이 드(acetazolamide)는 탄산탈수효소억 제제의
약물로서 방수생성을 억제하여 안압을 낮춰준다.
① 아트로핀(atropine): 항콜린제로 부교감신경의 작용을 억제한다.
(2) 시클로스포린(cyclosporine): 면역억제제로 이식 수술 등에서 면역 억제를 위해 투여한다.
③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진통소염해열제로 대표적인 비마약성 진통제의 하나다.
④ 니트로글리세린(nitroglycerin): 혈관확장제로 협심증 환자에게 흉통 완화를 위해 투여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069 백내장 환자의 수술 후 간호중재에 대한 내용으로 적절
한것은?
① 수술 후 폐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기침과 심호흡, 조기이상을 격려한다.
② 수술 부위의 출혈을 방지하고 유착을 돕기 위해 수술한 쪽으로 측위를 취한다.
③ 안대를 착용하여 안구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안구 손상을 예방한다.
④ 수술 후 바로 정상시력을 되찾으므로 침상 난간을 내리고 자유롭게 활동하도록 한다.
⑤ 수술 부위를 자주 촉진하여 부종 및 출혈이 있는지 사정하도록 한다.

A

069 백내장 환자의 수술 후 간호중재에 대한 내용으로 적절
한것은?
① 수술 후 폐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기침과 심호흡, 조기이상을 격려한다.
② 수술 부위의 출혈을 방지하고 유착을 돕기 위해 수술한 쪽으로 측위를 취한다.
③ 안대를 착용하여 안구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안구 손상을 예방한다.
④ 수술 후 바로 정상시력을 되찾으므로 침상 난간을 내리고 자유롭게 활동하도록 한다.
⑤ 수술 부위를 자주 촉진하여 부종 및 출혈이 있는지 사정하도록 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폐렴으로 입원해 항생제 치료중인 환자의 사정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우선적인 간호중재로 옳은 것은?
- 혈압 118/72, 맥박 68회, 호흡 20회/분, 체온 36.8도
- 의식 수준: 명료, 식욕부진, 수면부족, 묽은 변
- MRSA(+)
1) 관장 시행
2) 비위관 삽입
3) 진통제 투여
4) 반좌위로 체위 변경
5) 접촉주의에 따른 격리

A

5) 접촉주의에 따른 격리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은 접촉에 의해 전파되는 대표적인 병원균으로 확인 즉시 지침에 따라 접촉주의에 따른 격리를 시행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019 골연화증으로 의심할 수 있는 사정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발한
② 골량 증가
③ 사지 부종
④ 비타민D 결핍
⑤ 칼슘 농도 증가

A

④ 비타민D 결핍
골연화증이란, 비타민D의 결핍으로 뼈가 연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뼈의 무기질화가 적절하지 않아 뼈의 변형,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020 양성 전립샘 비대증으로 경요도 전립샘 절제술을 받은
환자이다. 수술 후 필요한 간호중재로 적절한 것은?
① 간단한 수술과정으로 출혈로 인한 합병증은 거의 없다.
② 체온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직장체온을 측정 한다.
③ 6개월간은 무거운 물건을 들지 말아야 하며 힘든 운동이나 운전도 피하도록 한다.
④ 수술 후 침상안정 하도록 하고 진통제는 요도괄약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최대한 투여하지 않는다.
⑤ 방광세척을 시행하며 필요시 항생제를 투여할 수 있다.

A

020 ⑤
도뇨관의 개통성이 유지되도록 방광세척을 시행하고 필요
시 감염예방을 위해 항생제를 투여할 수 있다.
① 수술 후, 수술 부위의 출혈 증상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② 직장으로 체온을 측정하거나 관장하는 것은 금기사항이다.
③ 6~8주간은 무거운 물건을 들지 말아야 하며 힘든 운동이나 운전도 피하도록 한다.
④ 수술 후 침상안정 하도록 하고 통증이 있다면 진통제를 투여하여 통증을 완화시켜야 한다. 만약 방광세척을 위한 배액관을 갖고 있는 대상자가 수술 부위의 통증을 호소한다면, 먼저 배액관의 개통성을 확인하고 증상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즉시 담당의사에게 알려 적절한 중재를 수행해야 한다.
- 방광세척
* 무균적으로 시행되어야 함
* 생리식염수로 방광을 세척함
* 맑은 소변이 배출되면 2~3일 후 유치도뇨관을 제거할 수 있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024 동정맥루를 이용한 혈액투석을 앞둔 만성신부전 환자에게 교육을 실시하였다. 추가교육이 필요한 환자의 반응은?
① “수분 섭취를 줄이겠습니다.”
② “항고혈압제를 복용하겠습니다.”
® “앞으로 단백질 섭취를 최대한 줄이겠습니다.”
④ “칼륨이 많이 함유된 식품의 섭취를 주의하겠습니다.”
⑤ “동정맥루가 있는 팔로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겠습니다.”

A

투석을 하게 되면 단백질 소모가 발생하므로 적정량의 단백질 섭취가 필요하다. 반면에 염분, 수분, 칼륨, 인의 섭취는 제한한다.
⑤ 혈액투석을 위해 동정맥루를 생성한 경우 동정맥루 부분의 손상을 방지하는 중재가 중요하게 수행되어야 한다.
- 동정맥루 간호
* 동정맥루가 있는 부위에서는 정맥주사, 채혈, 혈압을 측정하지 않음
* 매일 자주 동정맥루 부위의 진동을 촉진, 잡음 청진, 말초맥박과 순환을 사정함
* 동정맥루가 있는 사지를 압박하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음
* 수술 직후 환측 사지를 상승시킴, 일상적인 ROM 운동권장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신장이식 후 2개월이 지나 다음과 같은 증상이 발생했을 때 할 수 있는 중재로 옳은 것은?
* 무뇨, 체중 증가
* 혈청 크레아티닌 상승, 혈압 150/90mmHg
* 이식부위 통증, 발열, 부종
① 고용량의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를 투여한다.
② 초급성 이식 거부반응으로 즉시 신장적출술을 시행한다.
@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없으므로 주의 깊은 사정이 필요하다.
④ 일시적인 증상으로 자극이 되지 않는 조용한 환경을 조성한다.
⑤ 순환을 증진하고 울혈을 방지하기 위해 디곡신 및 라식스를 투여한다.

A

025 ①
이식 후 수일 내~3개월(수개월)내 발생한 급성 이식 거부반응으로 고용량의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방사선 조사 등의 중재가 필요하다.
* 면역 억제제의 종류: cyclosporine, tacrolimus, MPA (mycophenolic acid) 등
- 이식 합병증 중 급성 거부반응
: 수술 후 수일 내-3개월(수개월)내 발생 - 고용량의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방사선 조사 시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혈청 칼슘의 정상 수치는?

A

8.4~10.2mg/dL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032 하지 정맥이 확장되고 늘어난 것으로 예상되는 대상자의 진단을 위해 시행하는 검사로 옳은 것은?
① 알렌(alien) 검사
② 쉴러 (schiller) 검사
(3) 롬버그(romberg) 검사
④ 호만 징후(homan’s sign) 검사
⑤ 트렌델렌버그(trendelenberg) 검사

A

하지 정맥이 확장되고 늘어난 것은 ‘정맥류’를 의미한다. 정
맥류의 진단을 위해 트렌델렌버그 검사(trendelenberg test)
를 시행할 수 있으며 양성인 경우 정맥류의 가능성을 예측
할 수 있다.
① 알렌 검사(alien test): 손의 요골동맥과 척골동맥의 순환을 확인하는 검사이다.
② 쉴러 검사(schiller test): 자궁경부암 진단을 위해 자궁경부에 요오드 용액을 묻혀 색의 변화를 사정하는 검사이다.
(3) 롬버그 검사(romberg test): 평형 상태를 사정하기 위한 검사이다.
④ 호만 징후 검사(homan’s sign test): 혈전성 정맥염을 사정하기 위한 검사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심도자술을 시행한 환자에게 교육해야 할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① “좌측위를 취합니다.”
② “시술 부위를 굴곡시킵니다.”
③ “가능한 빨리 활동을 시작합니다.”
④ “모래 주머니로 시술 부위를 압박합니다.”
⑤ “얼음 주머니를 시술 부위에 올려줍니다.”

A

043 ④
심도자술이란, 카테터를 삽입하여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 및 폐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시술을 말한다. 카테터가 삽입되었던 부위의 출혈을 방지하기 위해 시술이 끝난 후 일정시간 시술 부위에 모래주머니를 올려놓을 수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049 급성 부비동염으로 불편감을 호소하는 대상자에게 할
수 있는 간호중재로 옳은 것은?
① 진통제는 호흡 중추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② 부비동 내 자극을 줄이기 위해 세척을 금한다.
③ 차갑고 건조한 환경은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④ 부비동염의 증상을 완화하고 치료하기 위해 항생제를 투여한다.
⑤ 염증으로 인한 분비물은 전염력이 강하므로 배액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A

049 ④
여러 가지 바이러스 및 세균에 의해 염증이 발생되는 것으로 적절한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다.
①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진통제를 투여할 수 있다.
②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부비동 세척은 분비물에 의한 가피 형성을 억제하여 콧물, 코막힘 등의 증상을 완화시킨다.
③ 따뜻하고 건조하지 않은 환경을 조성한다. 가습기를 적용하거나 충분한 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⑤ 식염수를 이용해 부비동을 세척하고 분비물 배액을 촉진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052 기관지 확장증이 예상되는 환자로 진단적 검사를 위해 기관지경 검사를 시행하였다. 검사가 끝난 후 환자가 목의 불편함을 호소하며, 청색증, 빈호흡, SpO2 88%로 관찰되었을 때, 가장 우선적인 간호중재로 옳은 것은?
① 측위를 취하게 한 후, 심호흡을 격려하고 주의 깊게 관찰한다.
② 호흡곤란으로 인한 심리적 불안감을 완화시키기 위해 심리적 지지를 제공한다.
® 비강캐뉼라를 이용해 저농도의 산소를 즉시 제공한다.
④ 적극적인 기침을 통해 기도 내 분비물을 제거하도록 돕는다.
⑤ 즉시 담당 의사에게 알리고 처방에 따라 적절한 간호중재를 수행한다.

A

052 ⑤
기관지경 검사 후, 후두부종이 발생한 것으로 즉각적인 대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심각한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즉시 담당 의사에게 알려 적절한 중재가 수행되어야 한다.

  • 기관지 확장증 환자의 객담
  • 3층으로 구분되는 다량의 화농성 객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다음 중 표재성 반사에 해당하는 것은?
1) 상완요골 반사
2) 무릎 반사
3) 삼두근 반사
4) 아킬레스건 반사
5) 복부 반사

A

복부반사는 표재성 반사(피부 반사에 해당한다.
나머지는 심부건 반사(DTR, Deep Tendon Reflex)에 해당한다.
표재성 반사
* 의미: 피부나 점막 자극에 의해 나타나는 반사
* 종류: 복부 반사, 각막 반사, 구개인두 반사, 고환거근 반사, 항문 반사, 족저 반사
심부건 반사
* 의미: 뇌를 거치지 않고 말초신경과 척수 등이 작용하여 발생하는 단일 시냅스 반사
* 종류: 이두근 반사, 상완요골 반사, 삼두근 반사, 무릎(슬개) 반사, 아킬레스건 반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058 Tensilon 투여 후 근력이 상승되고 증상이 눈에 띄게 호
전 되었을 때, 예상할 수 있는 질환은?
① 중증 근무력증 ② 길랑-바레 증후군
③ 다발성 경화증 ④ 헌팅톤 무도병
⑤ 근위축성 축삭경화증

A

① 중증 근무력증
중증 근무력증은 신경근 접합부위의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대한 자가 항체가 형성되어 아세틸콜린이 감소하는 것으로 콜린 분해효소 억제제인 Tensilon을 IV 하면 30초 내에 근력이 상승되고 증상이 눈에 띄게 호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065 정상 혈당을 유지하다 새벽에 고혈당이 발생하는 현상
을 보일 때 적절한 중재는?
① 운동량 증가
② 식사량 조절
(3)전해질 불균형 조절
④ 인슐린 투여량 감량
⑤ 인슐린 투여량 증량

A

065 ⑤
‘새벽현상’이란, 정상 혈당을 유지하다 새벽에 혈당치가 상승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조절하기 위해 인슐린 용량을 증가하여 투여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070 청력이 저하되고 반복적인 어지러움, 이명이 생겨 병원을 내원한 환자이다. 이 환자의 질환과 관련된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외과적 치료법은 존재하지 않으며 대증요법을 통해 증상만을 완화할 수 있다.
② 과도한 스트레스와 흡연이 주원인으로 내림프액이 비정상적으로 감소하여 내림프관이 손상된 상태를 의미한다.
⑥ 저염식을 권장하고 처방에 따라 이뇨제, 항히스타민제, 진정제 등을 복용할 수 있다.
④ 움직임을 제한하고 밝고 조용한 방에서 휴식을 취하도록 하며 낙상 예방을 위해 침상 난간을 올려놓도록 교육한다.
⑤ 텔레비전 시청 등을 통해 기분 전환을 하여 극심한 귀의 통증을 완화하도록 한다.

A

청력저하 및 반복적인 어지러움, 이명을 통해 ‘메니에르병’임을 알 수 있다. 메니에르병이란 내림프액이 증가된 상태를 의미하므로 저염식을 권장하고 처방에 따라 이뇨제 및 항히스타민제, 진정제 등을 복용할 수 있다.
① 약물요법을 시행하거나 외과적 수술을 통해 중재할 수 있다.
②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내림프액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여 내림프관이 부어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④ 움직임을 제한하고 어둡고 조용한 방에서 휴식을 취하도록 하며 현훈으로 인한 낙상 위험성이 있으므로 침상 난간을 항상 올려놓도록 해야한다.
⑤ 귀의 극심한 통증이 아닌 먹먹함과 청력저하, 어지러움, 이명, 오심, 구토, 두통, 균형장애 등의 증상을 보인다.
메니에르병
* 3대 증상: 이명(귀 울림), 난청, 현훈(어지러움)
* 진단검사: 롬버그 검사(Romberg test)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항생제 투여 후 제1 형 즉시형 과민반응이 나타난 환자의 기도유지를 위한 약물로 적절한 것은? ① 코데 인 (codeine) (3)페니실린(penicillin) ② 아스피린 (aspirin) ④ 에피네프린(epinephrine) ⑤ 프로프라놀롤(propranolol)
에피네프린은 기관지 확장의 효과를 갖고 있어 호흡곤란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 외 기관지확장제, 항히스타민제 등을 투여하여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26
018 상부 위장관 조영술이 예정된 환자에게 교육할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검사 전, 2시간 정도의 금식이 필요하다. ② 검사 후, 묽은 변의 양상이 나타남을 설명한다. ③ 검사 후, 연하반사가 돌아올 때까지 금식해야 한다. ④ 검사 중, 다양한 체위로 변경해야 한다. ⑤ 검사 후, 심부담을 줄이기 위해 수분 섭취를 제한한다.
④ 검사 중, 다양한 체위로 변경해야 한다. 효과적인 검사를 위해 다양한 체위로 변경하면서 검사를 진 행한다. ① 검사 전, 효과적인 검사를 위해 8시간 정도의 금식이 필요하다. ② 검사 전, 검사를 위해 바륨 현탁액을 마시게 되는데 이로 인해 변비가 발생할 수 있다. ③ 검사 후, 금식은 필요하지 않다. ⑤ 검사 후, 바륨 배출을 위하여 충분한 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27
023 신증후군을 진단받은 환자로 부종과 단백뇨, 저알부민혈증을 보일 때 섭취할 수 있는 식이로 적절한 것은? ①충분한수분섭취 ② 고단백식이 ③ 저염분식이 ④ Vit.c가 풍부한 식이 ⑤고섬유식이
③ 저염분식이 신증후군은 사구체 손상으로 발생하는 것이므로 특징적으로 부종 및 단백뇨, 저알부민혈증이 나타난다. 부종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염분과 수분 섭취를 제한해야 한다.
27
020 2주 전, 호흡기 감염에 이환된 후 혈뇨가 관찰되어 병원을 방문한 대상자로 급성 사구체 신염의 진단을 내리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는? ① ASO titer ② 요 분석 ③ WBC ④ PLT ⑤ CRP
020 ① 급성 사구체 신염의 원인균이 되는 연쇄상구균에 의한 반응 으로 ASO titer가 증가한다. 이를 통해 ‘사구체 신염’의 진단 을 내릴 수 있다. ② 요 분석을 통해 혈뇨 및 단백뇨를 확인하지만 이것만으로 급성 사구체 신염을 진단하기는 어렵다. ® WBC(White blood cell)는 백혈구 수를 확인하는 검사로 감염 증상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④ PLT(Platelet)는 혈소판 수를 확인하는 검사로 응고와 관련된 검사이다. ⑤ CRP(C-reactive protein) 는 감염과 관련된 검사로 감염증상이 있을 때 수치 가 증가한다.
28
024 신 생검이 예정된 환자에게 검사와 관련하여 설명해야 할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① 검사 전, 금식은 필요하지 않으나 소화가 잘 되는 유동식을 섭취하도록 한다. ② 검사는 앙와위의 상태에서 양쪽 팔을 들어올려 진행하게 됨을 설명한다. ③ 검사 후, 활동제한은 없으며 혈전 예방을 위해 조기 이상을 권장한다. ④ 검사 후, 폐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기침과 심호흡을 격려한다. ⑤ 검사 부위는 멸균적으로 압박 드레싱을 시행한다.
024 ⑤ 검사 부위는 멸균적으로 압박 드레싱을 시행하여 출혈을 예 방한다. ① 검사 전, 충분한 금식 이 필요하다. ② 검사는 복위 상태에서 진행하게 됨을 설명한다. ® 검사 후, 하루 정도 침상안정이 필요하며 출혈 합병증이 있는지 주의 깊게 사정해야 한다. ④ 검사 부위의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가급적 기침을 삼가도록 한다.
29
025 방광암으로 요로전환술을 받은 대상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 정상 소견에 해당하는 것은? ① 섭취량보다 소변배설량이 적다. ② 요로의 색깔이 검붉은 자주색이다. ③ 소변 색깔이 뿌옇고 점점 붉게 변한다. ④ 요로 주변의 피부에 발적과 열감이 있다. ⑤ 복부 통증이 있고 장음이 청진되지 않는다.
① 섭취량보다 소변배설량이 적다. 요로전환술 후 결장에서의 수분 전해질 재흡수로 섭취량에 비해 소변 배설량이 적을 수 있다. ② 요로의 색깔은 분홍색 혹은 붉은색이며 검붉거나 회색을 띄는 경우 부적절한 혈액순환 및 괴사의 가능성을 의미 할수있다. ③ 소변 색깔이 뿌옇고 점점 붉게 변하는 것은 감염 및 출혈을 의미할 수 있다. ④ 요로 주변의 피부에 발적과 열감이 있는 것은 피부 손상을 의미할 수 있다. ⑤ 복부 통증 및 장음 소실은 장폐색을 의미할 수 있다.
30
029 다음 중 골다공증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약물로 적절 한것은? ① 캡토프릴 (captopril) (2)프로베 네 시 드(probenecid) (3)덱사메타손(dexamethasone) ④ 알렌드로네이트 (alendronate) ⑤ 코르티코스테로이드(corticosteroid)
④ 알렌드로네이트 (alendronate) 029 ④ 알렌드로네이트(Alendronate/Fosamax)는 뼈 조직을 파괴 및 흡수하는 세포를 억제하고 뼈를 생성하는 조골세포의 활동을 촉진하는 약물로 골다공증 치료를 위해 사용된다. ① 캡토프릴: 항고혈압제의 약물이다. ② 프로베네시드: 요산 배설을 촉진시키는 약물이다. ③ 덱사메타손: 스테로이드제의 약물이다. ⑤ 코르티코스테로이드 : 스테로이드제의 약물이다.
31
036 심전도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예상할 수 있는 부정맥의 유형은? * P파: 규칙적, 톱니 모양 * P파와 QRS파의 비율 3:1 * 심실수축수 80회/분
'심방조동' P파가 규칙적이나 톱니 모양이고 P파와 QRS파의 비율이 3:1인 것으로 보아 ‘심방조동’임을 알 수 있다
32
다음과 같은 심전도 리듬의 특징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적절한 것은? ① Adams-Stokes syndrome일 때, 볼 수 있는 심전도 리 듬으로 뇌 혈류량이 감소하여 사망에 이를 수 있다. ②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부정맥으로 P파가 보이 지 않 으며 QRS군은 좁고 얕은 형태를 나타낸다. ③ 250회/분 정도로 맥박이 빠르며 톱니모양의 조동파가 나타나는 심전도 리듬이다. ④ 응급상황으로 3개 이상의 조기심실수축이 연속해서 발생한 경우를 의미한다. ⑤ P파와 PR 간격은 일정하다 QRS군이 보이지 않는 리듬을 의미한다.
037 ① Adams-Stokes syndrome일 때, 볼 수 있는 심전도 리듬으로 3 도 방실차단에 해당한다. 3도 방실차단은 심방의 전기자극이 심실로 완전히 전달되지 않아 심방과 심실이 제각기 따로 수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심실에서 만들어지는 수축은 효과적이지 않으므로 뇌 혈류량이 감소하여 실신, 경련 등 심각한 증상을 야기한다. ②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부정맥으로 P파가 보이 지 않으며 QRS군은 넓고 이상한 형태는 ‘조기심 실수축(PVC, Pre-matxire ventricular contraction)’을 의1기한다. ® 톱니모양의 조동파가 나타나는 것은 ‘심방조동’을 의미한다. ④ 응급상황으로 3개 이상의 조기심 실수축이 나타나는 것은 ‘심실빈맥’을의미한다. ⑤ P파와 PR 간격이 일정하다 QRS군이 보이지 않는 리듬은 2도 방실차단의 ‘Mobitz II’를 의미한다.
33
038 각 심전도 리듬에 따른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P파는 심방의 재분극을 의미하는 것으로 0.06-0.12초 동안 형성된다. ② P-R간격은 활동전위의 차이가 없어 심실의 정체기가 유지되는 구간을 의미한다. ③ QRS군은 심실 탈분극을 의미하는 것으로 0.12초 이내로 지속된다. ④ U파는 T파 후 나타나는 작은 파형으로 심장질환이 없는 사람에는 항상 나타난다. ⑤ T파는 심실 탈분극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로 역위되어 나타난다.
QRS군(QRS complex)은 심실 탈분극을 의미하는 것으로 0.12초 이내로 지속되며 조기 심실 수축, 심실 비대 등의 경우 폭이 넓고 시간이 연장되는 양상이 나타난다. ① P파는 심방의 탈분극을 의미하는 것으로 0.06~0.12초 동안 형성된다. ② P-R간격은 방실 결절에서 일시적인 휴지기를 의미한다. ④ U파는 T파 후 나타나는 원인을 알 수 없는 작은 파형으로 심전도에서 간혹 나타날 수 있다. ⑤ T파는 심실 재분극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로 상향파로 나타난다.
34
040 전신 소양증과 두통으로 입원한 환자의 사정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간호중재로 옳은 것은? * 피부와 점막이 붉은 빛을 띰 * 혈색소: 19g/dL, 헤마토크리트: 58% * 혈소판: 450,000/mm3 ① 절대안정이 필요하다. ② 부드러운 칫솔을 사용한다. ③ 비타민 B12를 근육주사한다. ④ 가급적 다리를 내리도록 한다. ⑤ 비타민C와 함께 철분제제를 복용하게 한다.
진성적혈구증가증(polycythemia vera)이란, 골수증식성 장애로서 혈색소 또는 헤마토크리트의 증가 및 유전자 돌연변이 여부, 골수검사 상 특징적인 증상 등을 통해 진단할 수 있다. 혈액 점도가 높아 혈전 위험성이 크므로 1 일 3L 이상의 충분한 수분 섭취를 권장하며 조이는 옷을 피하도록 한다. 필요시 정맥절개술을 통해 혈량을 감소시키고 혈전을 예방한다. 이와 함께 출혈의 위험도 있을 수 있어 이를 예방하기 위해 전기면도기 및 부드러운 칫솔을 사용하게 하고 치실 사용을 금한다. ① 적절한 활동은 혈관상태를 증진시키고 혈액정체를 예방해준다. ③ 비타민 B12를 근육주사하는 것은 악성빈혈의 중재에 해당한다. ④ 다리를 거상하여 혈액순환을 돕는다. ⑤ 철분제제의 투여는 철분결핍성빈혈의 중재에 해당한다.
35
049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환자가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일 때, 우선적인 중재는? * 혈소판 15,000/mm3 * 백혈구 10,000/mm3 * 비출혈, 잇몸출혈, 점상출혈 * 출혈시간 연장 ① 변비 완화를 위해 관장을 시행한다. ② 통증 완화를 위해 아스피린을 투여한다. @ 신체기능 향상을 위해 격렬한 운동을 권장한다. ④ 면역반응 억제를 위해 스테로이드제제를 투여한다. ⑤ 2차적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출혈 부위는 압박하지 않는다.
049 ④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이란 면역기전의 이상으로 혈소판이 파괴되어 출혈이 초래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손상이 없어도 자연적으로 출혈이 발생하며 작은 상처에도 출혈이 지속될 수 있다. 비출혈, 잇몸출혈, 점상출혈, 반상출혈, 토혈, 혈뇨, 월경과다, 심한 출혈 시 창백,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발생한 다. 면역반응을 억제하기 위해 스테로이드제제를 투여한다. 이외 혈소판 수혈 및 면역글로불린 투여 등의 중재를 수행 할수있다. ① 관장은 출혈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시행하지 않는다. 변비 완화를 위해 필요시 배변 완화제를 투여한다. ② 아스피린은 출혈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투여하지 않는다. ③ 격렬한 운동은 신체 손상으로 인해 출혈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제한한다. ⑤ 출혈 부위를 압박하여 지혈할 수 있다.
36
056 교통사고로 복합적인 늑골 골절이 발생한 환자의 사정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이에 대한 간호중재로 옳은 것은? * 흡기 : 흉곽 함몰, 호기: 흉곽 팽창 * 심한 흉통, 호흡부전, 저산소증, SpO2 85% ① 저농도의 산소를 공급한다. ② 앙와위에서 절대안정하게 한다. ③ 필요시 인공호흡기를 적용할 수 있다. ④ 부종을 사정하고 수액 주입을 제한한다. ⑤ 환측 반대편으로 눕게 하여 손상 부위 자극을 줄인다.
056(3) 복합적 인 늑골 골절로 흡기에 흉곽이 함몰되고 호기 에 흉곽이 팽창되는 것으로 보아 ‘연가양 흉곽’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호흡양상을 흉곽의 역리운동 혹은 호흡 시 발생하는 역행성 운동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이는 호흡부전 및 저산소증, 탄산증 등의 증상을 유발하므로 필요시 인공호흡기를 적용하여 산소를 공급한다.
37
057 운동 중 사고로 척수가 손상되어 입원한 환자에게 메틸프레드니솔론(methylprednisolone)을 투여하는 이유로 옳은 것은? ① 혈압 감소 ② 근력 강화 ③ 이뇨 작용 ④ 출혈 예방 ⑤ 부종 완화
057 ⑤ 메 틸프레드니솔론(methylprednisolone)은 스테로이드제제로 척수 부종과 허혈을 감소시키기 위해 투여한다.
38
갑자기 의식을 잃고 쓰러진 환자가 응급실을 통해 입원했다. 환자의 사정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글라스고 혼수 척도 점수로 적절한 것은? * 강한 통증에만 눈을 뜸 * 신음소리 * 비정상적인 신전 ① 4점 ② 5점 ③ 6점 ④ 7점 ⑤ 8점
58 ③ 글라스고혼수척도(GCS)에 따라 강한 통증을 주어야 눈을 뜨므로 2점이 되고, 알아들을 수 없는 신음소리를 내므로 2점, 자극을 주었을 때 비정상적인 신전을 보이므로 2점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GCS 점수는 6점이 된다.
39
062 요추에서 추간판 탈출증이 발생한 환자에게 통증 완화 를 위해 할 수 있는 간호중재로 적절한 것은? ① 가급적 복위를 취하여 척추에 가해지는 압박을 감소시키도록 한다. ② 보행은 추간판 탈출증의 증상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가급적 활동을 삼가도록 한다. ③ 약간은 힘이 든 물건을 들어 올리도록 하여 허리 근력을 강화한다. ④ 체위 변경을 할 때에는 통나무 굴리기 방법을 이용해 통증을 줄일 수 있다. ⑤ 잠을 잘 때 높은 베개를 베어 추간판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인다.
062 ④ 체위 변경을 할 때에는 통나무 굴리기 방법을 이용해 통증을 줄일 수 있다. ① 복위는 요추에 부담을 가중시키는 체위로 추간판 탈출증인 환자에게 적절하지 않다. ② 걷는 운동은 추간판 탈출증의 통증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③ 무거운 물건을 드는 것은 추간판 탈출증의 통증을 악화시킨다. ⑤ 목, 허리의 신체선열을 바르게 유지할 수 있는 자세가 중요하다. 추간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반좌위 상태에서 무릎 밑에 베개를 넣거나 보조기를 착용한다. 요추 추간판 탈출증의 진단검사 * 하지 직거상 검사(Lasegue 검사) 양성 * 하지 직거상 검사: 베개를 베지 않고 앙와위를 취한 상태에서 다리를 들어올려 통증과 허약감을 사정하는 검사
40
065 다음 중 뇌하수체 전엽 기능이 항진되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질환으로 적절한 것은? ① 그레이브스병 ② 크레틴병 ③ 점액수종 ④ 애디슨병 ⑤ 요붕증
065 ① 그레이브스병 (Graves disease)는 갑상샘 기능 항진증으로 T3, T4가 과다하게 분비되어 발현되는 질환으로 뇌하수체 전엽 기능이 항진되었을 때 나타나는 질환에 해당한다. ② 크레틴병: 선천적 갑상샘 기능 저하증으로 뇌하수체 전엽 기능이 저하된 상태를 의미한다. ③ 점액수종: 성인에게 발생하는 갑상샘 기능 저하증으로 뇌하수체 전엽 기능이 저하된 상태를 의미한다. ④ 애디슨병: 부신피질 기능 저하증으로 뇌하수체 전엽 기능이 저하된 상태를 의미한다. ⑤ 요붕증: 항이뇨호르몬의 분비가 부족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뇌하수체 후엽 기능이 저하된 상태를 의미한다.
41
067 애디슨병을 진단받은 환자에게 질병과 관련하여 설명할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① 부신피질 기능 항진증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② 고혈압 및 고혈당 증상이 나타나므로 혈압과 혈당 조절이 필요하다. ③ 심박출량 저하로 인한 부종으로 피부 손상의 위험성이 크다. ④ 저나트륨혈증, 고칼륨혈증과 같은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다. ⑤ 성호르몬의 과잉 분비로 성욕이 증가하고 불규칙적인 월경이 발생할 수 있다.
067 ④ 알도스테론 결핍으로 인해 저나트륨혈증, 고칼륨혈증, 산증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다. ① 부신피질 기능 저하증으로 발생하는 질환이다. ② 알도스테론과 당질 코르티코이드 결핍으로 저혈압과 저혈당이 나타날 수 있다. ③ 알도스테론 결핍으로 저혈량성 쇼크가 발생할 수 있다. ⑤ 성호르몬인 안드로겐의 결핍으로 성욕이 감퇴하고, 발기부전 및 불규칙적 월경, 불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42
069 녹내장에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 옳은 것은? ① 안압저하 ② 번쩍이는섬광 ③ 눈물 분비 부족 ④ 암순응의 어려움 ⑤ 초기 중심시력 손실
069 ④ 녹내장 환자들은 암순응에 어려움을 느낀다. 암순응이란, 밝은 곳에서 어두운 곳으로 들어갔을 때 망막이 적응하는 것을 의미한다. ① 안압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진다. ② 번쩍이는 섬광은 망막박리의 특징적인 증상에 해당되며 녹내장에서는 불빛 주위 달무리(halo)가 나타난다. ③ 과도한 눈물이 분비된다. ⑤ 주변시야 손실이 먼저 발생한다
43
화상 환자의 간호중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 1) 응급기에는 피부 손상을 보상하기 위해 항이뇨 작용이 발생하므로 수분제한이 필요하다. 2) 모세혈관 손상은 혈관의 투과성을 감소시켜 부종을 유발한다. 3) 화상은 좁은 부위의 전층 화상이 넓은 부위의 부분층 화상보다 더 위험할 수 있다. 4) 화상으로 손상된 피부에 얼음주머니를 대어 열감을 감소시켜야 한다. 5) 감염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하기 위해 역격리를 할 수 있다.
001 ⑤ 화상으로 인한 신체 손상으로 감염에 취약해지기 때문에 감염예방 간호는 중요한 부분으로 환자를 보호하기 위해 역격리를 시행하기도 한다. ① 응급기에는 체액 상실로 인한 저혈량성 쇼크를 예방하기 위해 수액공급이 필요하다. ② 화상으로 인한 모세혈관의 손상으로 투과성이 증가하여 체액상실이 발생한다. ③ 넓은 부위의 화상은 수분, 전해질의 불균형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좁은 부위의 화상보다 더 위험할 수 있다. ④ 얼음주머니는 감각저하로 인한 추가적인 피부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용하지 않는다.
44
통증 사정 PQRST가 무엇인지 각 요소를 설명하시오.
P(Provoking factors, 자극 요인)는 통증을 악화시키거나 완화시 키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 * Q(Quality, 특성)은 통증이 쑤시는지 예리한지 으스러지는지 무딘지 등의 양상을 확인하는 것 * R (Region or radiation, 부위 또는 방사)은 통증부위가 어디인지, 어느 부위로 방사되는지를 확인하는 것 * S(Severity or intensity, 심각성 또는 강도)는 통증이 얼마나 심한지, 강도를 확인하는 것 * T(Time, 시간)는 통증이 있는 시기, 지속기간을 확인하는 것 * P를 통증 부위(Position, R을 통증에 영향을 주는 요인(Relief or aggravation)으로 보기도 한다.
45
황달이 있고 혈액검사상 AST, ALT가 상승되어 있는 환자로 간의 일부분을 떼어 내어 병리적 상태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 검사에 대한 간호중재로 적절한 것은? 1) 검사 전 금식은 필요하지 않으며, 전신마취 하에 진행됨을 알린다. 2) 검사를 할 때에는 앙와위에서 왼쪽 팔을 들어올리거나 우측위를 취하도록 한다. 3) 흡기 말에 숨을 잠시 멈춘 상태에서 바늘을 삽입해 검사하게 됨을 설명한다. 4) 간 생검은 미세한 바늘이 삽입되어 검사하는 것이므로 출혈로 인한 합병증이 없음을 설명하고 심리적 안정을 도모한다. 5) 검사 후 하루 정도 충분한 안정을 취하도록 하고 1~2시간 정도 우측위를 취하도록 한다.
012 ⑤ 간의 일부분을 떼어 내어 병리적 상태를 확인하는 검사는 ‘간 생검’에 해당한다. 간 생검 검사 후에는 하루정도 충분한 안정을 취하도록 하고 1~2시간 정도 우측위를 취하여 출혈을 예방하도록 한다. ① 검사 전 충분한 금식이 필요하며 검사는 국소마취 하에 진행됨을 알린다. ② 검사를 할 때에는 앙와위에서 오른쪽 팔을 들어올리거나 좌측위를 취하도록 한다. ③ 환자가 호흡에서 호기 말에 숨을 잠시 멈추도록 하여 바늘을 삽입해 검사하게 됨을 설명한다.(cf. 신생검은 흡기 시) ④ 검사 후 생검 부위의 합병증으로 출혈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간 생검 검사 * 간 병변의 확실한 진단을 위해 필요함 * 생검 부위의 출혈 예방을 위해 Vit.K를 투여해야 함 * 검사 전, 출혈 위험성을 확인하기 위해 PT(Prothrom-bin time)검사를 시행함 * 제 8~9 늑간 부위에 바늘을 삽입하여 생검을 하게 됨
46
과도한 산 분비가 원인으로 발생하는 소화성 궤양의 특징과 이와 관련된 간호중재로 적절한 것은? 1) 공복 상태일 때 통증이 완화된다. 2) 식후 30분 이내에 통증이 시작된다. 3) 제산제 복용은 통증을 완화하는 데 비효과적이다. 4) 과도한 산분비로 한밤 중에도 통증을 느낄 수 있다. 5) 확실한 진단을 CT 검사를 시행하도록 한다.
과도한 산 분비가 원인인 소화성 궤양은 ‘십이지장 궤양’을 의미한다. 십이지장 궤양의 경우, 공복 상태일 때 통증이 증가하므로 한밤 중 심와부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①,② 공복 상태 일 때 통증이 악화될 수 있다. ③ 과도한 산분비가 원인이므로 제산제의 복용은 증상 완화에 효과적이다. ⑤ 진단을 위해 위장조영술이나 상부위장관내시경을 할 수 있다.
47
요즘 들어 식사 후 속이 쓰리고 답답한 느낌이 들어 병원을 방문한 30대 대상자로 위 내시경 결과,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해 식도에 염증이 발생하였음을 알게 되었다. 이 대상자에게 해야 하는 간호중재로 적절한 것은? 1) 한 번에 많은 음식을 섭취하여 위장 자극을 줄인다. 2) 식사 중 수분 섭취는 음식물의 소화를 저해하여 증상을 악화시킨다. 3) 음주, 흡연은 증상과 특별히 관계되지 않으며 적정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4) 제산제의 복용은 증상을 완화시키며, 수면을 취할 때 침상 머리를 약간 상승시키는 것도 도움이 된다. 5) 잠자기 전, 소량의 크래커를 먹거나 우유를 마시는 것은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015 ④ 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해 식도에 염증이 발생하였다는 상황을 통해 ‘역류성 식도염’임을 알 수 있다. 제산제를 복용하는 것은 증상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수면을 취할 때 침상 머리를 약간 상승시키는 것도 도움이 된다. ① 한 번에 많은 음식을 섭취하지 말고 소량씩 자주 섭취하도록 한다. ② 식사 중 수분을 섭취하는 것은 음식물이 장을 따라 내려가도록 돕는다. ® 금연, 금주하고 자극적인 음식을 섭취하지 않으며 적정한 체중을 유지하도록 한다. ⑤ 잠들기 전에는 음식을 섭취하지 않는다.
48
간경화증 환자가 식도정맥류가 의심되는 다음의 혈액검사 및 임상증상을 보일 때 우선적인 중재로 옳은 것은? - 토혈 200mL, 창백한 얼굴 - 혈색소 7.6g/dL, 헤마토크릿 26% - 혈압 86/50mmHg, 맥박 102회/분, 호흡 24회/분 ① 고농도의 산소를 투여한다. ② 기침과 심호흡을 격려한다. ⑥ 농축적혈구 수혈을 시행한다. ④ 지혈을 위해 L-tube를 삽입한다. ⑤ 기관 내 삽관을 준비하고 기계 환기를 시행한다
017(3) 간경화증으로 인한 문맥성 고혈압으로 식도정맥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토혈 및 혈색소 수치 감소, 헤마토크릿 수치 감소를 통해 식도정맥류 출혈을 예상할 수 있으며 출혈에 대한 중재로써 수혈을 시행한다. 이외 S-B tube 삽입, 바소프레신(vasopressin) 투여, 베타차단제 투여 등의 중재를 수행할 수 있다.
49
020 다음의 증상을 호소하며 환자가 응급실에 내원했을 때, 예측할 수 있는 질환은? * 갑자기 시작된 옆구리 통증 * 오심, 구토, 오한, 체온 38.21 * 소변색은 뿌옇고 악취가 남, 배뇨통 있음 ① 요도염 ② 방광염 ③ 요실금 ④ 급성 신우신염 ⑤ 급성 사구체 신염
020 ④ 급성 신우신염은 특징적으로 옆구리 통증이 나타나며, 이 외에도 고열, 오한, 전신 피로, 악취나는 소변, 배뇨통, 빈뇨, 긴급뇨, 야간뇨, 오심,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을 보인다. 소변검사에서는 백혈구와 세균이 검출된다.
50
021 방광염으로 내원한 환자에게 교육할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① 하루 1L 정도의 수분과 Vit.B 섭취를 권장한다. ② 온수 좌욕과 통목욕으로 전신을 이완시키도록 한다. ③ 염증 치료를 위해 항생제 복용이 필요함을 설명한다. ④ 성생활을 한 후에는 자극을 줄이기 위해 바로 소변을 보지 않도록 한다. ⑤ 몸에 꼭 맞는 속옷과 바지는 압박의 효과가 있어 통증을 감소시켜 준다
021(3) 요로감염 증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질환은 ‘방광염’으로 염증 치료를 위해 항생제를 복용해야 한다. ① 하루 2-3L 이상의 수분과 Vit.C 섭취를 권장한다. 충분한 수분섭취는 소변을 희석해주고 요도를 씻어내주는 효과를 가지며, Vit.C는 소변을 산성화시켜 균 성장을 저해시키는 효과를 갖기 때문이다. ② 온수 좌욕과 통목욕이 아닌 샤워를 권장한다. ④ 성생활을 한 후에는 소변을 보도록 한다. ⑤ 회음부가 습하지 않도록 꼭 끼는 속옷을 피하고 면제품을 사용하도록 한다. * 급성 방광염의 원인균: 대장균이 가장 흔함(약 80%)
51
023 요비중 1.3으로 측정되며 혈액검사상 Na 160mEq/L, Hct 65%의 검사결과를 보이는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증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부종 ② 호흡저하 ③ 혈압 상승 ④ 맥박 저하 ⑤ 소변량 감소
023 ⑤ 요비중이 높고 혈액검사 결과 Na과 Het이 높은 것으로 보아 ‘탈수’임을 알 수 있다. 체액량이 감소하였으므로 소변량이 감소하고 피부의 탄력성 저하, 혈압 하강, 호흡 및 맥박 상승, 건조 등의 증상을 예상할 수 있다
52
024 유방 자가검진을 했을 때 악성 종양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① 유두가 함몰되고 오렌지 껍질같은 피부 ② 통증이 있으나 부드러움 ③ 유방과 유두의 위치가 대칭적임 ④ 유동적인 덩어리가 촉지됨 ⑤ 유두 분비물이 없음
024 ① 악성 종양은 유방 자가검진에서 단단하고 불규칙적인 모양의 고정된 덩어리가 만져지며 유두가 함몰되는 특징을 갖는다. 유방과 유두의 위치가 비대칭적이거나, 피부가 두꺼워져 오렌질 껍질 같거나, 분비물 등이 나는 것은 비정상소견으로 유방암에 대한 추가적인 검사가 필요하다.
53
025 추간판 탈출증으로 척추 유합술(spinal fusion) 후 입실한 환자의 간호중재로 옳은 것은? ① 수술 직후부터 조기이상을 격려한다. ② 수술 부위 유합을 위해 측위를 유지하게 한다. ③ 수술 부위 지지를 위해 보조기와 코르셋을 착용하게 한다. ④ 마약성 진통제는 다른 이상 증상을 가릴 수 있으므로 금지한다. ⑤ 높은 베개를 사용하도록 하며 부드럽고 폭신한 침요를 제공한다.
025 ③ 척추 유합술은 추골 사이에 뼛조각을 이식하여 두 추골을 융합시켜 고정하는 수술이다. 수술 후 척추를 지지하기 위해 보조기와 코르셋을 일시적으로 착용한다. 근육의 힘이 강화되면 점차적으로 착용 시간을 줄여나간다. ①, ② 수술 직후 앙와위로 침상안정하며 척추가 일직선이 되도록 통나무 굴리기 방법을 이용하여 체위를 변경한다. ④ 수술 후 신경의 자극으로 등과 대퇴근의 경련이 발생하고 여러 조직에 압력을 주어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 이때 PCA 또는 마약성 진통제 등의 약물을 투여해 통증을 조절한다. ⑤ 높은 베개의 사용을 금하며 단단한 침요를 제공한다
54
029 통풍 치료약물 중 요산의 생성을 억제해주는 약물은? ① 콜히 친 (colchicin) (2)알로푸리놀(allopurinol) (3) 프로베네시드(probenecid) ④ 설핀피라존(sulfinpyrazone) ⑤ 히 드로클로로티 아지 드(hydrochlorothiazide)
029 ② 알로푸리놀(allopurinol)은 통풍 치료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약제로 xanthine에서 요산으로의 변환을 매개하는 xanthine oxidase(XO)억제제로서 요산의 생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① 통증 완화의 효과를 갖는다. ③, ④ 요산배설을 촉진하는 약물이다. ⑤ 이뇨 작용을 돕는 약물이다. - 통풍 약물 * 요산 생성 억제: allopurinol * 요산 배설 족진: probenecid, benzbromarone, sulfin- pyrazone * 콜히친(colchicine)은 염증반응을 억제하여 통증을 완화시키나 오심, 구토, 복통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음
55
035 침습적 시술이나 검사를 하기 전 예방적 항생제 치료가 필요한 환자로 옳은 것은? ① 심부전으로 입원한 환자 ② 편도선염으로 치료받은 환자 ③ 인공판막 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④ 심부정맥혈전증을 진단받은 환자 ⑤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약물치료 중인 환자
035(3) 판막치환술을 받은 환자는 감염성 심내막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치과진료나 침습적 시술, 검사를 시행하기 전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한다.
56
037 다음의 심전도 리듬에서 알 수 있는 부정맥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① 1분 동안 300~350회 이상의 심방수축을 보인다. ② 불규칙한 리듬을 보이 며 QRS파는 P파에 가려져잘 보이지 않는다. ③ 심실이 매우 빠르고 비효과적으로 떨리는 상태를 의미한다. ④ 불안정한 조기심실수축이 3개 이상 연속해 출연하는 리듬이다. ⑤ 심방의 한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반복해 흥분하여 발생하게 된다.
037 ④ 불안정한 조기심실수축이 3개 이상 연속해 출현하는 ‘심실 빈맥’의 리듬이다. ① 1분 동안 140~250회의 심실수축을 보인다. ② 규칙적인 리듬으로 P파는 QRS파에 가려져 잘 보이지 않는다. ③ 심실이 매우 빠르고 비효과적으로 떨리는 상태는 ‘심실 세동’을의미한다. ⑤ 심방의 한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반복적으로 흥분해 발생하는 것은 ‘심방조동’을 의미한다. * 심실빈맥의 중재: 발견 즉시 응급조치가 필요함
57
038 전날 심장수술을 받은 환자가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일 때, 예측할 수 있는 상태는? * 혈압 89/55mmHg, 맥박 110회/분, 호흡 22회/분 * 소변량 감소, 경정맥 울혈, 사지 청색증 * 기이맥 있음, 심음 감소, 심낭 내 혈액 관찰됨 ① 저혈량성 쇼크 ③ 급성 폐부종 ⑤ 고혈압 위 기 ② 울혈성 심부전 ④ 심장압전
038 ④ 심근과 심낭막 사이의 공간에 혈액 및 체액이 가득 차 심장을 압박하는 것을 ‘심장(심낭)압전’이라고 한다. 심장압전인 경우, 혈압 저하, 빈맥, 호흡곤란, 경정맥 울혈, 소변량 감소, 기이맥, 청색증, 심음 감소 등의 증상을 보인다.
58
052 혈흉으로 흉곽천자를 앞두고 있는 환자로 혈압 110/85mmHg, 맥박 90회/분, 호흡 19회/분, 체온 36.8℃로 측정되었다. 환자에게 할 수 있는 간호중재로 적절한 것은? ① 흉곽천자를 할 때에는 앙와위 자세에서 약간 옆으로 돌린 자세를 취하게 한다. ② 흉곽을 천자할 때에는 혈액의 원활한 배액을 위해 자세를 여러번 바꾸도록 환자에게 설명한다. ③ 활력징후는 시술의 처음과 끝에 시행하여 기록한다. ④ 흉곽천자 부위는 위쪽으로 향하도록 눕고, 천자부위의 합병증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⑤ 흉곽천자 후, 8시간 이상의 금식이 필요하며 환자의 상태가 안정적일 때 식이섭취를 진행하게 된다.
052 ④ 흉곽천자 부위는 위쪽으로 향하도록 누워 늑막액의 유출을 방지하고 천자부위의 출혈 및 피부손상 등의 합병증이 있는지 주의 깊게 사정한다. ① 흉곽천자를 할 때에는 앉은 자세에서 팔을 테이블에 올리고 엎드린 자세를 취하게 한다. ② 흉곽을 천자할 때에는 안전하게 시술이 진행되도록 움직이지 말 것을 환자에게 설명한다. ③ 시술이 진행되는 동안 계속 주의 깊게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기록하며 환자를 사정해야 한다. ⑤ 흉곽천자 후, 특별히 금식은 필요하지 않다.
59
059 뇌종양으로 두개내압이 상승된 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특징적인 증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빠른 맥박 ② 맥압 증가 ③체온 저하 ④ 심한 오심 있는구토 ⑤ 위장관 출혈
059 ② 두개내압이 상승하면 수축기압은 상승하나 이완기압은 유지 또는 저하되어 맥압이 증가한다. 두개내압 상승 증상 * 대표적인 증상: 심한 두통, 오심 없는 투사성 구토, 유두부종 * 쿠싱 3대 증상: 수축기혈압 증가(맥압 증가), 서맥, 불규칙적인 호흡
60
060 다음 중 전두엽의 기능에 해당하는 것으로 옳은 것은? ① 시각중추 ② 청각중추 ③ 공간, 감각 중추 ④ 베르니케 영역 ⑤ 1차운동영역
060 ⑤ 전두엽은 1차 운동영역에 해당하며 이 외에도 운동성 언어 영역 (Broca area)를 관장하며 고도의 인지 , 지적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① ‘후두엽’의 기능에 해당한다. ②, ④ ‘측두엽’의 기능에 해당한다. ③ ‘두정엽’의 기능에 해당한다.
61
061 뇌수종으로 수술을 앞 둔 환자의 두개내압 상승을 예방 하기 위한 간호중재로 옳은 것은? ① 충분한 수분을 제공하고, 수액을 주입해 척수의 원활한 순환을 돕는다. ② 앙와위를 취하고 가급적 움직 임을 삼가며 자극을 줄여 주어야 한다. ③ 발살바 수기는 미주신경을 자극하여 두개내압을 하강시켜 증상을 완화시킨다. ④ 체온이 상승하거나 두통이 있을 때에는 일차적으로 모르핀을 투여한다. ⑤ 과호흡을 유도하여 co2 분압을 정상범위보다 낮춰야 한다.
061 ⑤ 과호흡을 유도하여 co2 분압을 낮추게 되면 뇌혈관이 수축하여 뇌혈류량이 감소되므로 결과적으로 두개내압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다. ① 체액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수분 섭취를 제한한다. ② 침상머리를 15-30° 정도 상승한 체위를 취하고 자극을 줄여 주도록 한다. ③ 변비를 예방하고 발살바 수기 (Valsalva maneuver)는 두개 내압을 상승시키므로 삼가야 한다. ④ 체온이 상승하거나 두통이 있을 때에는 비마약성 진통제를 투여하도록 한다. 모르핀은 연수의 기능을 저하시키므로 두개내압 상승 환자에게 투여하지 않는다.
62
063 당뇨병으로 약물 복용 중인 70세 노인 환자이다. 3개월마다 혈액검사를 통해 혈당이 잘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 혈당이 정상범위 내 유지가 잘 되고 있다는 결과를 얻었을 때, 예상할 수 있는 환자의 검사결과로 적절한 것은? ① 당화혈색소 5.5%인 경우 ② 당화혈색소 7.5%인 경우 ③ 식후 2시간 혈당검사 200mg/dL ④ 식전 혈당검사 100mg/dL ⑤ 식전 혈당검사 80mg/d
063 ① 당화혈색소 검사는 최근 2~3개월간의 평균적인 혈당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6.5% 이상일 때 당뇨병으로 진단내릴 수 있다.
63
파킨슨병의 주 치료제로 도파민의 전구물질에 해당하는 약물은?
레보도파(levodopa)
64
카테콜라민을 분비하는 부신수질에 주로 발생하는 종양을 의미하는 질환은?
갈색세포종
65
067 갑상샘 기능 항진증을 진단받은 45세 여성 환자에게 할 수 있는 간호중재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안정을 취할 수 있는 조용하고 밝은 환경을 조성하도록 한다. ② 안구 돌출 증상은 크레틴병의 초기 증상으로 즉시 응급실을 방문하도록 한다. ③ 체중 조절을 위해 열량을 낮추어 식사를 제공한다. ④ 고섬유식이를 통해 변비를 예방하고 위장 자극을 줄인다. ⑤ 발한으로 인한 피부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피부를 자주 사정한다.
067 ⑤ 갑상샘 기능 항진증의 환자들은 대사가 항진되어 발한을 보일 수 있다. 피부가 건조하게 유지되도록 자주 사정하여 피부 손상 및 욕창을 예방하도록 한다. ① 마음의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조용하고 어두운 환경을 조성하도록 한다. ② 크레틴병은 선천성 갑상샘 기능저하증을 의미한다. ③ 체중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한 열량과 영양소를 갖춘 식사를 제공한다. ④ 고섬유식이는 오히려 위장을 자극하여 설사를 유발할 수 있다.
66
004 혈청 내 가장 많이 존재하고 유일하게 태반을 통과할 수 있는 항체는? ① IgA ② IgD ③ IgE ④ IgG ⑤ IgM
004 ④ 항체는 크게 IgA, IgD, IgE, IgG, IgM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중 IgG는 혈청 내 항체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며 유일하게 태반을 통과할 수 있다.
67
006 요오드화 조영제를 투여하는 검사가 예정된 당뇨병 환자에게 메트포르민(metformin) 복용을 중단하는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급성 저혈당 발생의 예방 ② 급성 고혈당 발생의 예방 ③ 칼륨의 과다 배출 방지 ④ 젖산산증 발생의 예방 ⑤ 테타니 발생의 예방
006 ④ 메트포르민 (metformin)은 혈당강하제 중 하나로 혈당 조절을 위해 복용하며 대부분 신장을 통해 배설된다. 요오드화 조영제 투여로 신기능이 감소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신기능 감소 상태에서 메트포르민을 투여하게 되면 배설이 지연되면서 젖산산증의 위험성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젖산산증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검사 전 메트포르민 복용 중단을 고려할수있다. * 검사하기 48시간 전부터 메트포르민 복용을 중단함 - 테타니: 저칼슘혈증일 때 나타
68
017 극심한 통증으로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을 장기간 투여하였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은? ① 간독성 ② 감각이상 ③ 설사, 변비 ④ 위장관 출혈 ⑤ 신경학적 변화
017 ① 진통, 해열의 효과를 갖고 있는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의 가장 큰 부작용은 간 독성이다. 아세트아미노펜을 장기간 과량 복용하게 되면 간 손상이 유발될 수 있다. - 아세트 아미노펜: 위장관 출혈 유발 XX
69
033 두근거림을 호소하는 환자의 심전도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예상할 수 있는 분당 심박수의 범위는?
120-130회
70
037 협심증 진단을 받고 입원해 치료 중인 환자이다. 환자에게 할 수 있는 간호중재로 적절한 것은? ① 활동은 혈액순환을 증진시키므로 최대한 많이 운동을 하도록 돕는다. ② 극심한 흉통을 완화하기 위해 모르핀을 경구 복용하도록 한다. ③ 앙와위 혹은 측위를 취해 호흡하기 편한 체위를 취할 수 있도록 돕는다. ④ 비재호흡 마스크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산소를 공급한다. ⑤ 유동식을 제공하여 소화를 돕고 변비 예방을 위해 배변완화제를 복용하도록 한다.
037 ⑤ 유동식을 제공하여 소화를 돕고 변비로 인한 발살바 수기는 심장에 부담을 주기 때문에 필요 시 배변완화제를 복용하도 록 한다. ① 심장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안정을 취해야 한다. ② 극심한 흉통을 완화하기 위해 모르핀을 투여한다. 빠른 효과를 보기 위해 정맥주사 하는 것이 적절하다. ③ 호흡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반좌위나 좌위를 취하도록 한다. ④ 비강캐뉼라를 이용해 저농도의 산소를 공급한다.
71
036 승모판협착증으로 인공판막치환술을 시행한 환자에게 평생 동안 복용이 필요한 약물은? ① 헤파린 (heparin) ② 와파린 (warfarin) ③ 프로프라놀롤 (propranolol) ④ 스트렙토키나아제 (streptokinase) ⑤ 프로타민황산염 (protamine sulfate
036 ② 인공판막은 내구성이 뛰어나지만(=수명이 길지만) 혈전형성의 부작용이 커 인공판막치환술을 시행한 경우 와파린을 평생 동안 복용해야 한다. 다만, 와파린은 항응고제이므로 출혈 예방을 위한 환자 교육이 필요하다. ① 헤파린(heparin): 항응고제 약물로 와파린과 동일한 약효를 갖고 있다. 정맥주사, 피하주사로 투여 가능하므로 환자의 자가 복용을 위해서는 와파린이 처방된다. ③ 프로프라놀롤(propranolol): 베타차단제로 심혈관계질환 등의 치료에 사용된다. ④ 스트렙토키나아제(streptokinase): 혈전용해제 약물이다. ⑤ 프로타민황산염(protamine sulfate): 헤파린 약물의 길항제로 헤파린 투여로 인한 부작용이 있을 때 투여할 수 있다.
72
038 다음과 같은 특징을 호소하며 환자가 내원했을 때, 예상할 수 있는 질환은? * 관상동맥의 간헐적인 경련이 원인임 * 대개 새벽이나 아침 휴식 중 흉통이 발생함 * 중요한 위험인자: 흡연 © 안정형협심증 ③ 이형성협심증 ⑤ 폐울혈 ② 불안정형협심증 ④ 폐기종
038(3) 이형성 협심증(변이형 협심증)은 운동이나 스트레스 등에 의해 유발되는 것이 아니라 관상동맥의 간헐적인 경련에 의해 유발된다. 휴식 중에 잘 발생하며 이른 아침에 흉통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남성에서 발생 빈도가 더 높으며, 흡연이 중요한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73
041 심부하를 감소시키나 마른 기침, 저혈압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는 약물로 옳은 것은? ① 디곡신 (digoxin) ⑥ 질산염 제제 (nitrate) ② 캡토프릴 (captopril) ④ 도부타민 (dobutamine) ⑤ 니트로글리 세 린 (nitroglycerin)
041 ② 캡토프릴(captopril)은 안지오텐신 전환효소(ACE) 억제제 중 하나로 후부하 감소의 효능을 갖고 있으나 마른 기침, 저혈압 등의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다.
74
045 백혈병 환자의 사정결과 다음과 같을 때, 내릴 수 있는 간호진단으로 적절한 것은? * 백혈구 3,000/H 혈소판 200,000/X 혈색소 13g/dL * 혈압 110/80mmHg, 맥박 99회/분, 호흡 18회/분, 체온 38.l도 ① 영양부족 ③ 전해질불균형 ⑤ 감염 위험성 ② 심박출량저하 ④ 피부손상 위험성
045 ⑤ 백혈구 3000/uL로 낮고, 체온 38.1 도로 높은 상태인 것을 통해 ‘감염 위험성’을 간호진단으로 내릴 수 있다.
75
047 흉관배액관을 통한 배액량이 줄어 거의 나오지 않아 제거하는 환자의 중재로 옳은 것은? ① 흉관배액관을 제거하기 전 진통제를 미 리 투여한다. ② 흉관배액관을 제거한 후에는 드레싱을 적용하지 않아도 된다. ③ 초음파 촬영을 통해 폐 확장이 잘 되어 있는지 확인한 후 제거한다. ④ 환자가 숨을 들이마신 상태에서 숨을 참도록 한 후 흉관배액관을 제거한다. ⑤ 상태가 호전되었으므로 흉관배액관을 제거한 후에는 활력징후를 측정하지 않아도 된다
047 ① 흉관배액관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통증이 발생하므로 흉관 배액관을 제거하기 전 진통제를 미리 투여한다. ② 흉부 배액관을 제거하자마자 즉시 폐쇄드레싱을 적용한다. 삽입부위가 회복될 때까지 드레싱을 유지한다. ③ 흉부 방사선 촬영을 통해 폐 확장 상태를 확인한 후 제거할 수 있다. ④ 심호흡 후 호기 끝에 숨을 참도록 하며 기흉을 예방하기 위해 빠르게 흉관배액관을 제거한다. ⑤ 흉관배액관을 제거한 후 합병증 여부를 사정하기 위해 활력징후를 주의 깊게 사정한다.
76
051 인두염으로 입원한 환자의 치료를 위해 투여하는 약물로 옳은 것은? ① 아스피린 (aspirin) ③ 페니실린 (penicillin) ② 니스타틴 (nystatin) ④ 이부프로펜 (ibuprofen) ⑤ 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
051(3) 인두염의 대표적인 원인균은 A군 p-용혈성 연쇄상구균으로 항생제를 투여하여 치료한다. 대표적인 약물에는 페니실린 (penicillin),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 등이 있다.
77
055 요추천자를 시행할 때 요추 3~4번째에 바늘을 삽입하는 이유로 적절한 것은? ① 환자의 편의를 보장하기 위함이다. ② 척수신경이 요추 1~2번째까지 내려오기 때문이다. ⑥ 요추천자로 인한 두통이 가장 적게 나타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④ 바늘 삽입이 가장 용이하며 통각이 가장 적은 부분이기 때문이다. ⑤ 의료진이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부분으로 합병증 사정에 용이한 부분이기 때문이다.
055 ② 척수신경이 요추 1~2번째까지 내려오므로 척수신경의 손상을 피하기 위해 요추 3~4번째에서 요추천자를 시행한다.
78
두개내압 상승 징후는?
의식 저하, 서맥, 혈압 상승
79
059 안면신경마비 환자의 사정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간호 중재로 옳은 것은? * 입이 비뚤어짐 * 한쪽 눈을 감지 못함 * 눈물과 침이 계속 흘러내림 * 이마에 주름잡기가 불가능함 ① 앙와위 상태에서 다리를 올려준다. ② 금식하고 정맥으로 영양분을 주입한다. ③ 감각을 자극하기 위해 단단한 음식을 제공한다. ④ 각막 건조를 예방하기 위해 인공 눈물을 적용한다. ⑤ 마비된 부분의 불편감 완화를 위해 냉습포를 대어준다.
059 ④ 안면신경마비란 제7번 뇌신경(안면신경)을 침범하여 얼굴 근육의 마비가 초래된 질환을 의미한다. 마비가 나타나기 전 귀 뒤쪽과 안면의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안면신경마비 환자는 표정을 상실하고 마비된 쪽의 눈을 감기 어려우며 입은 반대쪽으로 비뚤어지는 모습이 나타난다. 이로 인해 눈물과 침이 계속 흐를 수 있으며 음식물을 섭취할 때도 새어 나올 수 있다. 중재로는 각막 건조를 예방하기 위해 인공 눈물을 사용하며 주기적으로 눈을 부드럽게 감겨준다. 치료를 위해 스테로이드제제, 항바이러스제제 등을 투여한다. ① 해당되지 않는 내용이다. ②, ® 마비되지 않은 쪽으로 부드러운 음식물을 제공하고 너무 덥거나 찬 음식은 제한한다. ⑤ 통증 및 불편감 완화를 위해 온습포를 적용할 수 있다.
80
062 몇 년째 스테로이드제제를 복용 중인 환자가 애디슨병 이 의심될 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 옳은 것은? ①고혈당 ②고혈압 ③ 고칼륨혈증 ④ 고나트륨 혈증 ⑤ 심박출량 증가
062 ③ 애 디 슨병 이 란, 부신피 질 자극호르몬(ACTH)의 비정상적인 분비로 부신피질의 3가지 호르몬이 모두 감소된 상태를 의미한다. 이로 인해 탈수, 저혈압, 저나트륨혈증, 고칼륨혈증, 심박출량 감소, 저혈당 등이 나타난다.
81
066 그레이브스병(Grave’s disease)! 진단받은 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 적절한 것은? ① 서맥 ③ 체중 증가 ⑤ 기초대사율 감소 ② 저혈압 ④ 안구 돌출
066 ④ 그레이브스병(Grave’s disease)은 갑상샘기능항진증의 대표적인 질환이다. 혈청 내 갑상샘 호르몬의 과다 분비로 말초 조직의 대사가 항진된다. 증상으로는 빈맥, 혈압 상승, 심계항진, 식욕 증가, 체중 감소, 피로, 안구 돌출, 갑상샘 비대, 기초대사율 증가 등이 나타나게 된다.
82
갑상샘 기능저하증이 발생하면, TSH가 (증가/감소)하고, T3/T4가 (증가/감소)한다.
증가, 감소
83
갑상샘 기능저하증이 발생하면 신장 혈류가 (증가/감소)하여 수분 배설이 (증가/감소)한다.
감소, 감소
84
갑상샘 기능저하증으로 인해 보상기전이 나타나면 갑상샘종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연하곤란이 나타난다.
o
85
만성 신부전 시, 신장에서 중탄산염 재흡수가 (증가/감소)하고, 수소이온 배설이 (증가/감소)하여 대사성 (산증/알칼리증)이 나타나게 된다. 그로 인한 보상 작용으로, ____수가 증가한다.
감소, 증가, 산증, 호흡
86
만성 신부전 시, 사구체 여과율이 (증가/감소)하여 __칼륨혈증, ___나트륨혈증, ___인산혈증 등 전해질 불균형이 발생한다.
고, 고, 고
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