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오답정리 Flashcards
(88 cards)
화재로 인하여 전신에 3도 화상을 입은 환자가 응급실에 내원했을 때 가장 중요한 간호중재는?
1) 화상 부위를 생리식염수로 세척하여 감염을 예방하는 것이다.
2) 수분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적절한 수액 요법을 수행하는 것이다.
3) 화상 부위의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처방에 따라 진통제를 투여하는 것이다.
4) 항생제를 투여하고 추가적인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다.
5) 손상된 피부관리를 위해 연고를 적용하는 것이다.
004 ②
화상을 입은 초기는 체액 상실기로 수분 전해질의 균형유지를 위한 간호중재가 중요하다. 부족한 체액량을 확인하여 적절한 수액 요법을 통해 체액량을 보충해야 한다.
c혈액투석을 할 때, 가장 흔하게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으로 적절한 것은?
① 경련
③ 발열,오한
⑤ 두통
② 저혈압
④ 공기색전
② 저혈압
저혈압은 혈액투석을 할 때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부작용으로 30~50%의 환자들이 경험하게 된다.
①, ③, ④, ⑤ 모두 혈액투석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에 해당한다.
043 각 차단(BBB, Bundle Branch Block)이 발생했을 때
나타나는 특징적인 심전도의 양상으로 적절한 것은?
① P파가 낮고 평평해진다.
② ST 분절이 단축된다.
③ QRS군의 폭이 넓어지고 커진다.
④ T파가 역위되거나 잘 나타나지 않는다.
⑤ P-R간격이 연장되어 맥박수가 저하된다.
③ QRS군의 폭이 넓어지고 커진다.
좌각차단, 우각차단에 따라 심전도의 모양은 달라지나, 각 차단이 발생했을 때 공통적으로 QRS군의 폭이 넓어지고 커진다.
052 다음 중 심한 혈흉이 있는 환자에게 나타날 수 있는 증
상으로 옳은 것은?
① 맥박 저하
③ 호흡수 저하
② 혈압 상승
④ 감소된 호흡음
⑤ 통증 없는 둔한 흉부 불편감
④ 감소된 호흡음
혈흉 발생 환자 -> 흉강 내 혈액축적 -> 폐 허탈 발생 -> 호흡음 감소
편마비 환자에게 옷을 입을 때와 벗을 때 어느 쪽부터 입히거나 벗겨야 하는가?
옷을 입을 때: 마비된 쪽부터
벗을 때: 멀쩡한 쪽부터
054 다음의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게 손상이 의심되는 뇌신
경으로 옳은 것은?
* 얼굴 통증 및 감각 이상
* 저작 운동이 원활하지 않음
제 5뇌신경(삼차신경: 얼굴과 입의 감각, 씹는 운동)
056 다음의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게 필요한 간호중재로 옳
은 것은?
* 경부경직, Kernig 징후(+), Brudzinski 징후(+)
① 경련의 위험이 있으므로 병실을 밝게 하여 환자를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② 공기를 통해 전파되는 질환으로 1인실에 격리하고 병실은 음압을 유지해야 한다.
③ 고삼투성 이뇨제를 투여하고 신경학적 사정을 자주 시행한다.
④ 항생제 투여는 필요하지 않으며 대증요법을 시행한다.
⑤ 스테로이드 약물은 환자의 면역력을 약화시키므로 투여하지 않는다.
③ 고삼투성 이뇨제를 투여하고 신경학적 사정을 자주 시행한다.
경부경직, Kernig 징후(+), Brudzinski 징후(+)의 결과로 보아 수막염임을 알 수 있다. 염증으로 인한 뇌부종을 감소시키기 위해 고삼투성 이뇨제를 투여하고 자주 신경학적 사정을 시행해야 한다.
① 밝은 조명은 경련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어둡게 유지하도록 한다.
② 공기를 통해 전파되는 질환이 아니므로 해당되지 않는다. 공기전파를 통해 감염되는 질환은 결핵, 수두, 홍역 등이 있다.
④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무균성 수막염은 자연적으로 호전되는 경우가 많지만, 세균 감염에 의한 세균성 수막염은 항생제를 투여하여 치료해야 한다.
⑤ 뇌부종 감소를 위해 스테로이드 약물을 투여할 수 있다.
067 항이뇨호르몬 부적절분비 증후군을 진단받은 대상자에
게 필요한 간호중재로 적절한 것은?
① 섭취량과 배설량, 탈수 여부를 사정한다.
② 수액을 증량하여 충분히 공급한다.
③ 바소프레신을 투여한다.
④ 신경학적 증상을 주의 깊게 사정한다.
⑤ 고나트륨혈증, 저혈압 등의 합병증 발생에 주의한다.
전해질 불균형으로 인하여 경련, 혼수 등 신경학적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 에 대한 사정 이 필요하다.
①, ②, ③, ⑤ 요붕증에 대한 내용에 해당한다.
068 망막박리 수술 후 안압 감소를 위해 투여하는 약물로 옳
은 것은?
① 아트로핀 (atropine)
(2)시클로스포린 (cyclosporine)
(3)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
④ 니트로글리세린 (nitroglycerin)
⑤ 아세타졸아마이드(acetazolamide)
⑤ 아세타졸아마이드(acetazolamide)
아세 타졸아마이 드(acetazolamide)는 탄산탈수효소억 제제의
약물로서 방수생성을 억제하여 안압을 낮춰준다.
① 아트로핀(atropine): 항콜린제로 부교감신경의 작용을 억제한다.
(2) 시클로스포린(cyclosporine): 면역억제제로 이식 수술 등에서 면역 억제를 위해 투여한다.
③ 아세트아미노펜(acetaminophen): 진통소염해열제로 대표적인 비마약성 진통제의 하나다.
④ 니트로글리세린(nitroglycerin): 혈관확장제로 협심증 환자에게 흉통 완화를 위해 투여한다
069 백내장 환자의 수술 후 간호중재에 대한 내용으로 적절
한것은?
① 수술 후 폐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기침과 심호흡, 조기이상을 격려한다.
② 수술 부위의 출혈을 방지하고 유착을 돕기 위해 수술한 쪽으로 측위를 취한다.
③ 안대를 착용하여 안구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안구 손상을 예방한다.
④ 수술 후 바로 정상시력을 되찾으므로 침상 난간을 내리고 자유롭게 활동하도록 한다.
⑤ 수술 부위를 자주 촉진하여 부종 및 출혈이 있는지 사정하도록 한다.
069 백내장 환자의 수술 후 간호중재에 대한 내용으로 적절
한것은?
① 수술 후 폐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기침과 심호흡, 조기이상을 격려한다.
② 수술 부위의 출혈을 방지하고 유착을 돕기 위해 수술한 쪽으로 측위를 취한다.
③ 안대를 착용하여 안구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안구 손상을 예방한다.
④ 수술 후 바로 정상시력을 되찾으므로 침상 난간을 내리고 자유롭게 활동하도록 한다.
⑤ 수술 부위를 자주 촉진하여 부종 및 출혈이 있는지 사정하도록 한다.
폐렴으로 입원해 항생제 치료중인 환자의 사정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우선적인 간호중재로 옳은 것은?
- 혈압 118/72, 맥박 68회, 호흡 20회/분, 체온 36.8도
- 의식 수준: 명료, 식욕부진, 수면부족, 묽은 변
- MRSA(+)
1) 관장 시행
2) 비위관 삽입
3) 진통제 투여
4) 반좌위로 체위 변경
5) 접촉주의에 따른 격리
5) 접촉주의에 따른 격리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은 접촉에 의해 전파되는 대표적인 병원균으로 확인 즉시 지침에 따라 접촉주의에 따른 격리를 시행한다.
019 골연화증으로 의심할 수 있는 사정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발한
② 골량 증가
③ 사지 부종
④ 비타민D 결핍
⑤ 칼슘 농도 증가
④ 비타민D 결핍
골연화증이란, 비타민D의 결핍으로 뼈가 연화된 상태를 의미한다. 뼈의 무기질화가 적절하지 않아 뼈의 변형,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020 양성 전립샘 비대증으로 경요도 전립샘 절제술을 받은
환자이다. 수술 후 필요한 간호중재로 적절한 것은?
① 간단한 수술과정으로 출혈로 인한 합병증은 거의 없다.
② 체온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직장체온을 측정 한다.
③ 6개월간은 무거운 물건을 들지 말아야 하며 힘든 운동이나 운전도 피하도록 한다.
④ 수술 후 침상안정 하도록 하고 진통제는 요도괄약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최대한 투여하지 않는다.
⑤ 방광세척을 시행하며 필요시 항생제를 투여할 수 있다.
020 ⑤
도뇨관의 개통성이 유지되도록 방광세척을 시행하고 필요
시 감염예방을 위해 항생제를 투여할 수 있다.
① 수술 후, 수술 부위의 출혈 증상을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② 직장으로 체온을 측정하거나 관장하는 것은 금기사항이다.
③ 6~8주간은 무거운 물건을 들지 말아야 하며 힘든 운동이나 운전도 피하도록 한다.
④ 수술 후 침상안정 하도록 하고 통증이 있다면 진통제를 투여하여 통증을 완화시켜야 한다. 만약 방광세척을 위한 배액관을 갖고 있는 대상자가 수술 부위의 통증을 호소한다면, 먼저 배액관의 개통성을 확인하고 증상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즉시 담당의사에게 알려 적절한 중재를 수행해야 한다.
- 방광세척
* 무균적으로 시행되어야 함
* 생리식염수로 방광을 세척함
* 맑은 소변이 배출되면 2~3일 후 유치도뇨관을 제거할 수 있음
024 동정맥루를 이용한 혈액투석을 앞둔 만성신부전 환자에게 교육을 실시하였다. 추가교육이 필요한 환자의 반응은?
① “수분 섭취를 줄이겠습니다.”
② “항고혈압제를 복용하겠습니다.”
® “앞으로 단백질 섭취를 최대한 줄이겠습니다.”
④ “칼륨이 많이 함유된 식품의 섭취를 주의하겠습니다.”
⑤ “동정맥루가 있는 팔로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겠습니다.”
투석을 하게 되면 단백질 소모가 발생하므로 적정량의 단백질 섭취가 필요하다. 반면에 염분, 수분, 칼륨, 인의 섭취는 제한한다.
⑤ 혈액투석을 위해 동정맥루를 생성한 경우 동정맥루 부분의 손상을 방지하는 중재가 중요하게 수행되어야 한다.
- 동정맥루 간호
* 동정맥루가 있는 부위에서는 정맥주사, 채혈, 혈압을 측정하지 않음
* 매일 자주 동정맥루 부위의 진동을 촉진, 잡음 청진, 말초맥박과 순환을 사정함
* 동정맥루가 있는 사지를 압박하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지 않음
* 수술 직후 환측 사지를 상승시킴, 일상적인 ROM 운동권장
신장이식 후 2개월이 지나 다음과 같은 증상이 발생했을 때 할 수 있는 중재로 옳은 것은?
* 무뇨, 체중 증가
* 혈청 크레아티닌 상승, 혈압 150/90mmHg
* 이식부위 통증, 발열, 부종
① 고용량의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를 투여한다.
② 초급성 이식 거부반응으로 즉시 신장적출술을 시행한다.
@ 효과적인 치료방법이 없으므로 주의 깊은 사정이 필요하다.
④ 일시적인 증상으로 자극이 되지 않는 조용한 환경을 조성한다.
⑤ 순환을 증진하고 울혈을 방지하기 위해 디곡신 및 라식스를 투여한다.
025 ①
이식 후 수일 내~3개월(수개월)내 발생한 급성 이식 거부반응으로 고용량의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방사선 조사 등의 중재가 필요하다.
* 면역 억제제의 종류: cyclosporine, tacrolimus, MPA (mycophenolic acid) 등
- 이식 합병증 중 급성 거부반응
: 수술 후 수일 내-3개월(수개월)내 발생 - 고용량의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방사선 조사 시행
혈청 칼슘의 정상 수치는?
8.4~10.2mg/dL
032 하지 정맥이 확장되고 늘어난 것으로 예상되는 대상자의 진단을 위해 시행하는 검사로 옳은 것은?
① 알렌(alien) 검사
② 쉴러 (schiller) 검사
(3) 롬버그(romberg) 검사
④ 호만 징후(homan’s sign) 검사
⑤ 트렌델렌버그(trendelenberg) 검사
하지 정맥이 확장되고 늘어난 것은 ‘정맥류’를 의미한다. 정
맥류의 진단을 위해 트렌델렌버그 검사(trendelenberg test)
를 시행할 수 있으며 양성인 경우 정맥류의 가능성을 예측
할 수 있다.
① 알렌 검사(alien test): 손의 요골동맥과 척골동맥의 순환을 확인하는 검사이다.
② 쉴러 검사(schiller test): 자궁경부암 진단을 위해 자궁경부에 요오드 용액을 묻혀 색의 변화를 사정하는 검사이다.
(3) 롬버그 검사(romberg test): 평형 상태를 사정하기 위한 검사이다.
④ 호만 징후 검사(homan’s sign test): 혈전성 정맥염을 사정하기 위한 검사이다.
심도자술을 시행한 환자에게 교육해야 할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① “좌측위를 취합니다.”
② “시술 부위를 굴곡시킵니다.”
③ “가능한 빨리 활동을 시작합니다.”
④ “모래 주머니로 시술 부위를 압박합니다.”
⑤ “얼음 주머니를 시술 부위에 올려줍니다.”
043 ④
심도자술이란, 카테터를 삽입하여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 및 폐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시술을 말한다. 카테터가 삽입되었던 부위의 출혈을 방지하기 위해 시술이 끝난 후 일정시간 시술 부위에 모래주머니를 올려놓을 수 있다.
049 급성 부비동염으로 불편감을 호소하는 대상자에게 할
수 있는 간호중재로 옳은 것은?
① 진통제는 호흡 중추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② 부비동 내 자극을 줄이기 위해 세척을 금한다.
③ 차갑고 건조한 환경은 증상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④ 부비동염의 증상을 완화하고 치료하기 위해 항생제를 투여한다.
⑤ 염증으로 인한 분비물은 전염력이 강하므로 배액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049 ④
여러 가지 바이러스 및 세균에 의해 염증이 발생되는 것으로 적절한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다.
① 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진통제를 투여할 수 있다.
② 생리식염수를 이용한 부비동 세척은 분비물에 의한 가피 형성을 억제하여 콧물, 코막힘 등의 증상을 완화시킨다.
③ 따뜻하고 건조하지 않은 환경을 조성한다. 가습기를 적용하거나 충분한 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⑤ 식염수를 이용해 부비동을 세척하고 분비물 배액을 촉진한다.
052 기관지 확장증이 예상되는 환자로 진단적 검사를 위해 기관지경 검사를 시행하였다. 검사가 끝난 후 환자가 목의 불편함을 호소하며, 청색증, 빈호흡, SpO2 88%로 관찰되었을 때, 가장 우선적인 간호중재로 옳은 것은?
① 측위를 취하게 한 후, 심호흡을 격려하고 주의 깊게 관찰한다.
② 호흡곤란으로 인한 심리적 불안감을 완화시키기 위해 심리적 지지를 제공한다.
® 비강캐뉼라를 이용해 저농도의 산소를 즉시 제공한다.
④ 적극적인 기침을 통해 기도 내 분비물을 제거하도록 돕는다.
⑤ 즉시 담당 의사에게 알리고 처방에 따라 적절한 간호중재를 수행한다.
052 ⑤
기관지경 검사 후, 후두부종이 발생한 것으로 즉각적인 대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심각한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즉시 담당 의사에게 알려 적절한 중재가 수행되어야 한다.
- 기관지 확장증 환자의 객담
- 3층으로 구분되는 다량의 화농성 객담
다음 중 표재성 반사에 해당하는 것은?
1) 상완요골 반사
2) 무릎 반사
3) 삼두근 반사
4) 아킬레스건 반사
5) 복부 반사
복부반사는 표재성 반사(피부 반사에 해당한다.
나머지는 심부건 반사(DTR, Deep Tendon Reflex)에 해당한다.
표재성 반사
* 의미: 피부나 점막 자극에 의해 나타나는 반사
* 종류: 복부 반사, 각막 반사, 구개인두 반사, 고환거근 반사, 항문 반사, 족저 반사
심부건 반사
* 의미: 뇌를 거치지 않고 말초신경과 척수 등이 작용하여 발생하는 단일 시냅스 반사
* 종류: 이두근 반사, 상완요골 반사, 삼두근 반사, 무릎(슬개) 반사, 아킬레스건 반사
058 Tensilon 투여 후 근력이 상승되고 증상이 눈에 띄게 호
전 되었을 때, 예상할 수 있는 질환은?
① 중증 근무력증 ② 길랑-바레 증후군
③ 다발성 경화증 ④ 헌팅톤 무도병
⑤ 근위축성 축삭경화증
① 중증 근무력증
중증 근무력증은 신경근 접합부위의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대한 자가 항체가 형성되어 아세틸콜린이 감소하는 것으로 콜린 분해효소 억제제인 Tensilon을 IV 하면 30초 내에 근력이 상승되고 증상이 눈에 띄게 호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065 정상 혈당을 유지하다 새벽에 고혈당이 발생하는 현상
을 보일 때 적절한 중재는?
① 운동량 증가
② 식사량 조절
(3)전해질 불균형 조절
④ 인슐린 투여량 감량
⑤ 인슐린 투여량 증량
065 ⑤
‘새벽현상’이란, 정상 혈당을 유지하다 새벽에 혈당치가 상승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조절하기 위해 인슐린 용량을 증가하여 투여한다.
070 청력이 저하되고 반복적인 어지러움, 이명이 생겨 병원을 내원한 환자이다. 이 환자의 질환과 관련된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외과적 치료법은 존재하지 않으며 대증요법을 통해 증상만을 완화할 수 있다.
② 과도한 스트레스와 흡연이 주원인으로 내림프액이 비정상적으로 감소하여 내림프관이 손상된 상태를 의미한다.
⑥ 저염식을 권장하고 처방에 따라 이뇨제, 항히스타민제, 진정제 등을 복용할 수 있다.
④ 움직임을 제한하고 밝고 조용한 방에서 휴식을 취하도록 하며 낙상 예방을 위해 침상 난간을 올려놓도록 교육한다.
⑤ 텔레비전 시청 등을 통해 기분 전환을 하여 극심한 귀의 통증을 완화하도록 한다.
청력저하 및 반복적인 어지러움, 이명을 통해 ‘메니에르병’임을 알 수 있다. 메니에르병이란 내림프액이 증가된 상태를 의미하므로 저염식을 권장하고 처방에 따라 이뇨제 및 항히스타민제, 진정제 등을 복용할 수 있다.
① 약물요법을 시행하거나 외과적 수술을 통해 중재할 수 있다.
②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으나 내림프액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하여 내림프관이 부어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④ 움직임을 제한하고 어둡고 조용한 방에서 휴식을 취하도록 하며 현훈으로 인한 낙상 위험성이 있으므로 침상 난간을 항상 올려놓도록 해야한다.
⑤ 귀의 극심한 통증이 아닌 먹먹함과 청력저하, 어지러움, 이명, 오심, 구토, 두통, 균형장애 등의 증상을 보인다.
메니에르병
* 3대 증상: 이명(귀 울림), 난청, 현훈(어지러움)
* 진단검사: 롬버그 검사(Romberg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