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 오답정리 Flashcards

(62 cards)

1
Q

중증 임신성 고혈압 환자의 간호중재로 옳은 것 네 가지는?

A

침상안정, 항고혈압제 투여, MgSO4 투여, 필요시 이뇨제도 투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임신 후 변화로 자궁저부가 높아지면서 횡격막이 상승하며, 이로 인해 심첨부위가 변할 수 있다.

A

O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임신 후, ________________의 분비 증가로 식도괄약근이 ____되어 가슴앓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장의 연동운동이 저하되어 변비, 치질 등이 유발될 수 있다.

A

프로게스테론, 이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임신 시 일어나는 자궁경부의 변화로 혈액이 충혈되면서 (경직/부드러워)진다.

A

부드러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072 두 명의 자녀를 둔 대상자가 영구피임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물을 때, 할 수 있는 답변으로 적절한 것은?
① 콘돔
②다이아프램
③경구피임약
④ 정관절제술
⑤ 자궁 내 장치

A

072 ④
정관절제술이란, 정자의 정관 이동을 차단하기 위하여 정관을 절제하는 ‘영구피임법’을 말한다. 영구피임법에는 남성에게 시행되는 정관절제술과 여성에게 시행되는 난관결찰술, 난관절제술이 있다.
①, ②,(3), ⑤ ‘일시피임법’에 해당한다.
정관절제술 관련 주의사항
* 기존에 만들어졌던 정자가 정관에 남아있을 수 있으므로 수술 후 정액검사에서 정자가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피임이 필요함
* 안전한 피임을 위해 수술 후 부부관계 시 약 10회 이상은 다른 피임법을 사용하게 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077 초음파검사 후 자궁내막폴립을 진단받은 34세 미혼 여자에게 우선적인 중재는?
① 전자궁절제술
② 근치자궁절제술
③ 자궁내막소파술
④ 에스트로겐 투여
⑤ 양측 난소난관절제술

A

077(3)
자궁내막폴립 이 란 자궁내막조직이 국소적으로 과도하게 증식하여 돌출된 것으로 다양한 크기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크기 가 크거나 2차적 인 변성 (퇴행성 또는 궤양성 변화) 이 없다면 무증상인 경우가 많다. 치료를 위해 자궁내막소파술을 시행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078 자궁의 융모성선막에 변성이 발생해 낭포를 형성하는 질환을 진단받은 임부가 받게 될 첫 치료로 적절한 것은?
① 흉부 X-ray
② 심 전도 촬영
③ 방사선 요법 시행
④ 피임하며 경과관찰
⑤ 진단 즉시 소파술 시행

A

078 ⑤
자궁의 융모성선막에 변성이 발생해 낭포를 형성하는 질환은 ‘포상기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진단 즉시 소파술을 시행하게 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080 자궁 외 임신일 때 사용할 수 있는 약물로 엽산의 기전을 방해하여 DNA합성을 억제하는 기전을 갖고 있는 것으로 옳은 것은?
① 황산 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②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③ 에리트로마이신 (Erythromycin)
④ 옥시토신 (Oxytocin)
⑤ 메덜진 (Methergine)

A

080 ②
메토트렉세이트(MTX, Methotrexate)는 엽산의 기전을 방해하여 DNA합성을 억제하는 기전을 갖고 있는 약물로 자궁 외 임신일 때 수술을 하지 않아도 자궁 외 임신을 중단하는 약효를 갖고 있다.
① 항경련제에 해당하는 약물이다.
③ 항생제에 해당하는 약물이다.
④, ⑤ 자궁수축제에 해당하는 약물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081 임부가 풍진에 이환된 경우 태아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
① 저혈당
②구개파열
③ 심장의 기형
④ 과체중 출생
⑤ 미숙아 망막증

A

081(3)
임부의 풍진 바이러스는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전달되어 선천성 풍진 증후군을 발현시킨다. 선천성 풍진 증후군에는 심장의 기형, 안구질환(녹내장, 백내장), 뇌성마비, 수막염 등을 포함한다. 이 뿐만 아니라 자궁 내 사망이나 유산 등을 초래할 수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086 제대 압박을 원인으로 발생하게 되는 태아 심박동의 양상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① 조기 감퇴가 나타나 자궁 수축과 함께 태아 심박동이 하강하고 수축이 끝나면 회복된다.
② 조기 감퇴가 나타나 태아 심박동은 15분 이상 1분에 15회 이상 지속된다.
® 후기 감퇴가 나타나 자궁 수축 극기에 태아 심박동이 감소하고 수축이 끝난 후 바로 회복된다.
④ 가변성 감퇴가 나타나 자궁 수축과 관계없이 태아 심박동이 감소한다.
⑤ 가변성 감퇴가 나타나 자궁 수축이 끝난 후 태아 심박동이 회복되는데 시간이 지연된다.

A

086 ④
제대 압박이 원인인 경우 가변성 감퇴가 나타나게 되어 자궁 수축과 관계없이 태아 심박동이 감소하는 양상을 볼 수 있다.
①, ② 조기감퇴는 정상인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자궁 수축과 함께 태아 심박동이 하강하고 수축이 끝나면 회복되는 것을 의미한다.
® 후기감퇴는 자궁과 태반간의 혈류가 원활하지 않아 발생하는 것으로 자궁 수축 극기에 태아심박동이 감소하고 수축이 끝난 후 회복되나 시간이 지연되는 양상을 보인다.
⑤ 가변성 감퇴는 자궁 수축과 관계없이 태아 심박동이 감소하는 양상을 말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089 초임부가 밑으로 뭔가 흐르는 것 같다고 하며 병원에 내원하였다. 임부의 양막 파열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양막 파열과 동시에 대량 출혈이 발생하므로 육안으로 판단할 수 있다.
② 니트라진 검사(Nitrazine test)를 하는 경우, 황색으로 변한다면 양막이 파열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③ 양치상 검사를 통해 양치상 모양이 관찰된다면 양막이 파열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④ 예리한 통증과 복부 팽만감이 있을 때 양막 파열이 있음을 알 수 있다.
⑤ 부구감이 느껴지고, 태동이 느껴지지 않는다면 양막이 파열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A

089(3)
양치상 검사에서 양치상 모양이 관찰되었다면, 양막이 파열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② 양막이 파열되었다면, 양수가 알칼리성이므로 청색으로 변화한다.
①, ④, ⑤ 양막 파열과 관계없는 내용이다.
니트라진 검사(Nitrazine test)
* 파막검사를 위해 니트라진 검사를 시행함
* 산성인 경우, 황색으로 변화함
* 알칼리성인 경우, 청색으로 변화함
* 양수는 알칼리성 (pH 7.0~7.5)으로 양막이 파열되었다면 청으로 변화하게 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자궁 수축으로 인하여 자궁 저부는 짧고 두꺼워지며 자궁 경부는 늘어나 현저히 얇아져 반지모양의 상태를 의미하는 것은?

A

091 ④
계속적인 자궁 수축과 견축으로 자궁저부는 두꺼워지고 자궁 경부는 현저하게 늘어나 얇아져 반지모양으로 보이는 것은 ‘병리적 견축륜’을 의미한다.
병리적 견축륜
* 중재: 자궁파열의 위험이 있으므로 즉시 제왕절개 술을 해야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097 임신 39주된 임부가 분만을 위해 내원하였다. 경막외마취로 분만 통증을 조절하던 중 혈압이 저하되었을 때, 가장 우선적인 중재로 옳은 것은?
① 옥시토신 투여를 시작한다.
② 저농도의 산소를 공급한다.
③ 즉시 제왕절개수술을 준비한다.
④ 앙와위를 취하고 심호흡을 교육한다.
⑤ 정맥을 통한 수액주입 속도를 증가시킨다.

A

정답: 5)
경막외마취로 인한 저혈압 발생 시 수액 주입 속도를 증가시켜 증상을 완화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099 어제 분만한 산모가 다음의 사정결과를 보일 때 예상되는 이유로 옳은 것은?
* 체온 36.3《3
* 옷이 젖을 정도로 땀이 많이 남
* 소변량이 많아짐
① 자궁수축 지 연
② 프로락틴의 분비 증가
③ 자궁 내 태반조직 잔류
④ 자궁내막에서의 세균감염
⑤ 임신 중 증가된 체액의 배출

A

099 ⑤
임신 중 증가한 체액을 배출하기 위해 다뇨, 발한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100 분만 후 2일 된 산모가 출혈로 인하여 한 시간에 하나 이상의 패드를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환자 사정 시 자궁이 부드럽고 물렁물렁한 상태일 때, 할 수 있는 간호중재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자궁수축제의 사용을 금지한다.
② 충분한 수분 섭취와 절대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 감염 예방을 위해 회음부를 청결하게 하고 항생제를 복용하도록 한다.
④ 저혈량성 쇼크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지 주의 깊게 사정하고 자궁저부를 마사지하도록 한다.
⑤ 복부에 온찜질을 시행하여 근육을 이완시키고 수태 산물이 완전히 배출되도록 한다

A

100 ④
자궁이 부드럽고 물렁물렁한 상태인 것을 통해 자궁 수축 부전으로 인해 출혈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출혈로 인해 저혈량성 쇼크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지 사정하고 자궁저부를 마사지하여 자궁 수축을 돕는 간호중재를 수행해야 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078 1 년 동안 임신 시도를 시행하였으나 임신이 되지 않고 평소 심한 월경곤란증으로 병원에 내원한 30대 여성이 자궁내막증을 진단받았다. 이때 간호중재로 옳은 것은?
① 2~3개월 후 정상 회복됨을 설명한다.
② 보존요법으로 원추 절개술을 시행한다.
③ 출혈의 위험이 있어 난소는 제거하지 않는다.
④ 확진 후 신속하게 자궁적출술을 시행한다.
⑤ 에스트로겐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호르몬요법을 시행한다.

A

078 ⑤
자궁내막증이란 자궁 내 존재해야 할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강 이외의 부분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며 난소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자궁내막증을 치료하지 않을 경우 난임이 초래될 수 있다. 흔한 증상으로 통증이 발생하게 되며 월경통, 하복부 통증, 성교통, 골반통, 불임 등이 나타나게 된다. 중재로는 임신을 원하는지의 여부 및 질병의 정도에 따라 결정되며 젊은 여성이 임신을 원하는 경우 호르몬요법을 시행하게 되며 질병의 정도가 심하여 보존적 치료가 되지 않거
나 임신을 원하지 않는 경우 자궁적출술이나 난소적출술 등을 시행하게 된다. 호르몬요법은 주로 에스트로겐의 생성을 억제하여 자궁내막증 병변의 위축을 유발하여 병변의 자극과 출혈을 감소시킨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083 양수의 기능에 대해 물어보는 임신부를 위한 교육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태아에게 산소 및 영양분을 공급합니다.”
② “가능한 많은 양수를 유지하는게 좋습니다.”
③ “자궁의 개대 및 분만의 진행을 도와줍니다.”
④ “태아의 체온이 낮게 유지되도록 도와줍니다.”
⑤ “양수량이 적을 때 태아의 식도폐쇄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A

083(3)
양수는 외부로부터 태아를 보호한다. 이외 노폐물의 저장고 및 구강액의 근원이 되며 태아의 체온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양수량이 적은 경우, 태아의 신장 이상이나 요로폐쇄증을 의심하며 양수량이 많은 경우, 태아의 위장계 이상이나 식도폐쇄증을 의심한다. 분만 시 자궁 개대를 도와주고 분만 진행을 촉진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085 임신 28주 된 임부로 조산 가능성이 높아 안정을 취하고 있다. 태아의 폐 성숙 상태를 고려해 최대한 임신기간을 지속하려고 할 때, 다음 중 태아의 폐 성숙과 관련된 내 용으로 옳은 것은?
① 임신 28주경이 되면 계면활성제가 충분히 분비되므로 태아는 출생 후에도 원활히 호흡할 수 있다.
② 임신 30주경이 되면 레시틴/스핑고마이엘린(L/S)의 비율은 2:1이 된다.
③ 계면활성제의 주요 성분인 레시틴은 임신 24주경에 분비되기 시작한다.
④ 레시틴/스핑고마이엘린(L/S)의 비율을 확인하여 기관지 형성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⑤ 계면활성제는 폐포 세포에서 분비되는 물질로 폐의 표면장력을 증가시켜 폐 확장을 용이하게 한다.

A

085(3)
계면활성제의 주요 성분인 레시틴은 임신 24주경에 분비되기 시작하여 35주 이후 충분히 분비되어 태아는 출생 후에도 원활히 호흡할 수 있다.
① 임신 35주 이후 계면활성제가 충분히 분비되므로 태아는 출생 후에도 원활히 호흡할 수 있다.
② 임신 36주 경이 되면 레시틴/스핑고마이엘린(L/S)의 비율은 2:1이 된다.
④ 레시틴/스핑고마이엘린(L/S)의 비율을 확인하여 태아의 폐 성숙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⑤ 계면활성제는 폐포 세포에서 분비하는 물질로 폐의 표면장력을 감소시켜 폐 확장을 용이하게 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088 다음 그림의 태향에서 태아심음을 측정하려 할 때, 태아 심음이 가장 잘 들리는 위치로 옳은 것은?

A

088 ⑤
태아가 두정위 상태로 있으므로 후두골(o, occiput)이 준거 지표가 된다. 후두골이 임부의 골반 오른쪽(R)앞(A)에 있으므로 ROA가 된다. ROA 시 오른쪽 하복부에서 태아 심음이 가장 잘 들린다.
선진부의 준거지표
* 두정위: 후두골(O, Occiput)
* 안면위: 턱(M, Mentum)
* 둔위: 천골(S, Sacrum)
* 견갑위 : 견갑골 돌줄부(A, Acromion process)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095 자궁 내 조직의 배출은 없으나 양막의 파열과 자궁경관의 소실 및 개대로 발생하는 필연적인 유산의 형태는?
① 절박 유산
③ 습관성 유산
⑤ 불가피 유산
② 완전 유산
④ 불완전 유산

A

095 ⑤
불가피 유산은 태반 및 수태산물의 배출은 없으나 양막의 파열과 자궁경관의 소실 및 개대로 발생하는 필연적인 유산을 의미한다. 산모 상태에 따라 수혈 및 소파술 등의 중재를 수행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097 당뇨의 과거력이 없는 26주 산모가 임신성 당뇨를 진단 받았다. 산모가 “태아에게는 아무런 영향이 없나요?”라고 했을 때, 간호사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태반에 의해 혈당이 조절되므로 아무런 영향이 없습니다.”
② “과도한 인슐린 분비로 인해 저체중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③ “계면활성제의 합성이 지연되어 폐가 성숙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④ “태반의 기능 저하로 인해 혈류가 저하되어 만성적인 빈혈이 나타나게 됩니다.”
⑤ “출산 직후 혈당이 다량으로 유입되어 일시적으로 고혈당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A

097(3)
임신성 당뇨 시 태아 혈청 내의 높은 인슐린 농도로 인해 계면활성제의 합성이 지연되어 폐가 성숙하지 못할 수 있다.
② 높은 혈당은 태아의 췌장을 자극하여 인슐린을 분비한다. 인슐린 분비로 다량의 포도당이 세포 내로 이동하면서 태아거구증이 유발된다.
④ 임신성 당뇨와 태아의 빈혈과는 관련이 없다.
⑤ 태반이 만출되면 모체로부터의 혈당 공급이 갑자기 중단되어 분만 후 저혈당이 나타날 수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100 분만 중인 산모의 전자태아감시기(EFM) 결과 다음과
같은 그래프가 나타났다. 우선적인 간호중재는?

A

100 ④
위 그래프는 제대가 압박되어 태아 심박동수가 변화하게 되는 가변성 감퇴를 의미한다. 제대가 압박되면 태아 심박동 수가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원활한 제대 혈류를 유지하기 위해 임부에게 좌측위 혹은 골반고위를 취하게 하고 산소를 공급한다. 제대탈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내진을 시행한다.
② 태아 두개골 골절 여부는 가변성 감퇴로 알 수 없다. 그러나 가변성 감퇴가 반복되어 태아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 제왕절개를 시행할 수 있다.
⑤ 가변성 감퇴가 나타난 경우 옥시토신 투여를 중단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102 1시간 전 질분만한 산모의 정상적인 생리적 변화로 옳은 것은?
① 소변량이 감소한다.
② 심박출량이 증가한다.
③ 일시적 빈맥이 발생한다.
④ 혈액응고인자가 감소한다.
⑤ 땀이 없고 피부가 건조해진다.

A

102 ②
분만 후 48시간 동안 심박출량이 증가하므로 심장질환을 갖고 있는 산모의 경우 주의를 요한다.
① 임신 중 증가한 체액이 배출되면서 소변량이 증가한다.
® 일시적 서맥 및 기립성 저혈압이 발생한다.
④ 혈액응고인자가 증가하여 혈전증의 위험이 높아진다.
⑤ 임신 중 증가한 체액이 배출되면서 발한이 발생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104 2주 전 출산한 산모가 오른쪽 다리의 통증과 부종이 있으며 피부가 창백해지는 증상을 호소할 때, 제공할 간호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항응고제를 투여할 수 있다.
② 혈전을 제거하기 위해 즉시 응급수술을 시행한다.
③ 호흡 증진을 위해 좌위를 취한 후 심호흡을 격려한다.
④ 근력 강화를 위해 가볍게 걷거나 뛰는 운동을 격려한다.
⑤ 수일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증상이 사라지므로 증상을 관찰한다.

A

104 ①
산욕기 중 혈액응고인자의 상승으로 ‘혈전성 정맥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오한, 권태, 혈전 발생 다리의 경직, 통증, 부종, 백고종, 호만 징후 검사 양성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혈전성 정맥염 시 항응고제인 헤파린과 같은 약물을 투여할 수 있다. 또한 통증 완화를 위해 진통제를 투여하며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항생제를 투여한다.
② 외과적 치료는 증상이 매우 심하거나 내과적 치료로 반응이 없을 때 시행할 수 있으며 우선적으로 시행하지는 않는다.
③ 심호흡은 혈전성 정맥염과는 관계없는 간호이다.
④ 혈괴가 떨어져 나와 색전이 될 우려가 있으므로 침상 안정을 하고 침범된 부위를 만지지 않도록 한다.
⑤ 혈괴로 인해 폐경색 등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내과적 치료를 병행하며 환자의 증상을 관찰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105 4주째 모유수유를 하고 있는 산모가 유방의 부종 및 발열감, 통증을 호소한다. 산모에게 할 수 있는 간호중재로 적절한 것은? ① 즉시 모유수유를 중단하고 절대안정을 취하도록 한다. ② 세균에 의한 염증이 발생한 것으로 항생제를 투여 하여 치료해야 한다. ③ 항생제와 같은 내과적 중재방법이 최선으로 외과적 중재방법은 수유 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적용하지 않는다. ④ 대부분 양측에 발생하므로 다른 한 쪽도 곧 발현될 것임을 설명하도록 한다. ⑤ 수유 자세와 상관없이 면역력이 저하되었을 때 발생하는 것으로 수유 후 모유가 남아 있지 않도록 완전히 짜내도록 설명한다.
105 ② 지속하여 모유수유를 하고 있는 산모로 유방의 부종과 발열감, 통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유방염’임을 알 수 있다. 유방염은 유두 열상등의 부분을 통해 균이 들어가 발생하게 되므로 항생제 투여를 통해 치료하게 된다. 주 원인균은 황색포도상구균이다. ① 염증으로 인해 농양이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면 모유수유를 중단할 필요는 없다. ③ 농양을 제거하여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절개를 통한 배액을 시행할 수 있다. ④ 유방염은 대개 편측에 발생한다. ⑤ 잘못된 수유 자세가 원인일 수 있으므로 아기가 유륜까지 젖을 물 수 있도록 자세를 고쳐주고 수유 후 모유가 남았다면 완전히 짜내어 고여 있지 않도록 해야 한다
26
073 여성생식기 검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직장 질 검사를 할 때는 윤활제를 사용해서는 안된다. ② 임균배양검사는 파파니콜로검사 전 시행한다. ③ 정상적인 난소, 난관은 양손진찰법 시 촉진된다. ④ 질경검사와 검사물을 채취한 후 외생식기를 검진한다. ⑤ 질경검사 시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윤활제를 사용한다.
073 ② 파파니콜로검사(pap smear) 후에는 필요한 분비물이 제거되 어 임균 배양검사 시 음성으로 나올 수 있으므로 임균 배양 검사는 파파니콜로 검사 전 시행한다. ① 직장-질 검사를 할 때는 윤활제를 바른 후 검지는 질강에, 중지는 항문에 넣고 밑으로 힘을 주게 하여 검사한다. ③ 양손진찰법은 양손으로 촉진하여 사정하는 방법으로 난소는 정상적으로 촉진되나, 난관은 정상인 경우 만져지지 않는다. ④ 여성의 생식기를 검진할 때에는 ‘복부 진찰 — 외생식기 검사 — 질경검사 一> 검사물 채취 — 양손진찰법’의 순서로 진행한다. 시진 및 촉진을 먼저 시행하고 외생식기를 검사한 후 질경을 통해 검사하고 검사물을 채취하며 마지막에 양손진찰법으로 검진을 시행하도록 한다. ⑤ 질경검사 시 윤활제를 사용하면 정균작용으로 인해 검사 결과에 영향을 주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양손진찰법 • 한 손의 검지와 중지: 질강, 다른 한손: 치골결합과 제와 사이의 복부에 놓음
27
075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로 발생하는 성전파성 질환으로 외음, 질, 경관, 항문 등의 피부에 원형의 융기성 병변이 발생하는 질환은?
첨형 콘딜로마 -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로 발생하며 피부부위에 있는 콘딜로마가 성교로 감염되어 발생함. 보통 다발성으로 외음, 질, 경관, 항문 등에서 발생하게 되며 발생한 부위에 따라 소양증, 통증, 출혈 등이 나타나게 됨 ① 임질: 성 접촉에 의해 발생하는 흔한 질환으로 임균에 의해 발생한다. 감염 초기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으며 다량의 화농성 황록색의 질 분비물이나 배뇨곤란, 발적, 부종 등이 나타나게 된다. ② 매독: 감염된 사람과의 성접촉, 태반을 통한 감염, 혈액을 통한 감염 등으로 전파되며 트레포네마 팔리듐균에 의해 발생한다. ③ 음부포진: 단순 포진 바이러스 II형에 의한 감염으로 발생하며 음부에 수포 형성, 작열감, 배뇨곤란, 성교통 등이 나타난다. ④ 경성하감 : 1기 매독에서 볼 수 있는 증상으로 단단하고 무통성인 결절을 의미한다.
28
임신 5주가 된 임신부가 매독으로 진단받은 후, 태아에게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언제부터 치료를 받아야 하는지 물을 때 담당 간호사의 답변으로 적절한 것은? 1) 출산 후 바로 항생제 치료를 받으면 됩니다. 2) 적어도 임신 16~18주 이내에는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3) 태반을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4) 나타나는 증상이 없다면, 태아에게도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5) 태아의 안전을 위해 임신 20주가 지난 후 치료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
2번 - 매독균인 트레포네마 팔리듐은 태반을 통과하기 때문에 전파되기 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개 임신 16~18주 이내에 치료를 시작해야 태아의 선천성 매독을 예방할 수 있다.
29
078 임신 3개월이 된 임부가 태아의 모습과 변화에 대해 물을 때, 할 수 있는 답변으로 적절한 것은? ① “두피에 머리카락이 형성됩니다.” ② “태아의 움직임을 느낄 수 있게 됩니다.” ③ “아기의 손, 발바닥 표면에 지문이 모두 형성됩니다.” ④ “외생식기의 구분이 가능해서 성별을 알 수 있습니다.” ⑤ “심장이 발달하기 시작하여 한 달 뒤 심장박동 소리 를 들을 수 있습니다.”
4번 임신 3개월(12주)가 되면 외생식기 구분이 가능하여 태아의 성별을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심장박동을 들을 수 있으며 소변이 생성되기 시작한다. 손톱 및 발톱이 생성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 머리카락 및 지문은 ‘임신 16주’에 형성됨 - 태아의 움직임(태동)은 ‘임신 20주’에 느낄 수 있음 - 심장은 임신 4주에 가장 먼저 발달하기 시작하며 임신 12주’가 되면 초음파(도플러)를 이용한 심장박동 소리의 청진이 가능해진다.
30
083 임신 후기, 태아가 만출되기 전에 태반의 일부 또는 전체가 자궁에서 먼저 떨어질 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 옳은 것은? ① 자궁이 나무판자처럼 단단해짐 ② 무통성의 질출혈이 발생함 (3) 전신 부종이 발생함 ④ 소변량이 과다해짐 ⑤ 혈압이 상승함
1번 - 임신 후기, 태아가 만출되기 전 태반의 일부 또는 전체가 자궁에서 먼저 분리되는 것은 ‘태반조기박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자궁이 나무판자처럼 단단해지는 증상을 나타낸다. - 복부 및 허리 통증이 나타날 수 있고 질출혈이 발생한다. 은닉출혈인 경우, 암적색의 질출혈을 보이고 외출혈인 경우, 선홍색의 질출혈을 보인다. 출혈로 인해 소변량이 줄고 혈압이 하강할 수 있으며 저혈량성 쇼크가 유발될 수 있다.
31
087 다음의 무자극검사(NST) 결과에 따른 우선적인 중재로 옳은 것은? • 20분 동안 2회 이상 태아심박수가 기준선보다 15박동 이상, 15초 이상 지속 ① 정상임을 의미한다. ② 자궁수축제를 투여해야 한다. ③ 즉시 제왕절개 수술을 해야 한다. ④ 의사에게 알리고 초음파 검사를 준비해야 한다. ⑤ 임신부는 좌측위를 취하게 하며 절대안정하게 한다.
무자극검사(NST)란 태동에 대한 태아심박수의 변화를 측정하여 태아의 건강상태를 평가하는 검사이다. 태아심박수가 기준선보다 15박동 이상, 15초 이상 지속되며 20분 동안 2회 이상 보일 때 정상 상태를 의미한다.
32
인위적으로 자궁 수축을 유발하여 자궁수축검사(CST)를 한 결과 양성이었을 때, 이것이 의미하는 바로 옳은 것은? ① 태아가 정상적인 상태임을 의미한다. ② 태아의 선천적 기형이 있음을 의미한다. ⑥ 양수과다증의 상태임을 의미한다. ④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공급되는 혈류량이 부적절함을 의미한다. ⑤ 태아의 감각자극에 대한 반응이 정상임을 의미한다.
089 ④ 자궁수죽검사(CST, contraction stress test)란 태아에게 인위 적으로 자궁수축을 유발하여 태아심박수의 변화를 측정하여 태아의 건강상태를 평가하는 검사로 자궁수축이 있을 때 태반의 혈류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양성인 경우, 태반을 통한 혈액의 관류가 부적절하여 문제가 있음을 의미한다.
33
095 분만 1기 이행기에서 통증 감소 및 원활한 분만을 위해 필요한 호흡법으로 옳은 것은? ① 깊고 빠른 복식호흡 ② 느리게 쉬는 서호흡 ③ 얕고 빠른 흉식호흡 ④ 정상 깊이의 빠른 흉식호흡 ⑤ 입술을 오므리고 길게 호기하는 호흡
095 ④ 분만 1기 이행기에서 통증 감소 및 원활한 분만을 위해 정상 깊이의 빠른 흉식호흡을 하도록 한다.
34
096 다음 중 임신의 추정적 징후에 해당하는 것은? ① 태아 심박동 ② 채드윅 징후 ③ 자궁 증대 ④무월경 ⑤ 부구감에 의한 태아 확인
096 ④ 임신의 추정적 징후란, 주로 임부에서 느껴지는 신체적 변화를 의미하며 임신이 아닐 때에도 발생할 수 있는 증상이 해당된다. 무월경, 오심, 구토, 입덧, 빈뇨, 유방의 변화, 피로, 첫 태동이 포함된다.
35
097 분만1기 임부의 사정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할 수 있는 중재로 옳은 것은? • 자궁 경부: 1cm 정도 개대됨 • 자궁 수축 간격: 2~3분 • 자궁 수축 지속시간: 90초 • 심한 통증을 호소함 ① 신속히 옥시토신을 투여하여 분만을 도와야 한다. ② 인공파막하여 자궁 수축을 자극하여 분만을 돕는다. ③ 심호흡을 격려하고 수액 주입을 제한한다. ④ 진정제는 분만 과정을 저해하므로 금기사항에 해당한다. ⑤ 태아질식의 증상이 보인다면 바로 제왕절개를 시행해야 한다.
097 ⑤ 고긴장성 자궁수축이 지속되며 태아질식의 증상이 보일 경우 제왕절개를 시행해야 한다. ①, ② 저긴장성 자궁수축일 때 할 수 있는 간호중재에 해당한다. ③ 수액을 공급하여 탈수를 예방하고 수분과 전해질의 불균형을 예방한다. ④ 진정제 및 진통제는 임부의 통증을 완화시키는데 효과적인 방법이 된다.
36
00 분만 후 2일째인 산모가 “생리통처럼 배가 아프고 불편해요.”라고 호소한다. 오로 양상을 확인해 보니 혈괴가 섞인 혈성 오로가 나타날 때, 제공할 간호로 옳은 것은? ① 다량의 항생제와 자궁수축제를 투여한다. ② 반좌위를 취하고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도록 한다. ⑥ 태반의 잔여 조직을 제거한 후 오로 양상을 확인한다. ④ 자궁 저부 마사지를 시행하고 따뜻한 팩을 적용한다. ⑤ 통증이 없어질 때까지 모유 수유를 하지 않도록 한다.
분만 후 생리통과 유사한 간헐적 통증은 산후통을 의미한다. 출산 후 자연적으로 완화되며 정상적으로 혈괴가 섞인 혈성 오로가 배출된다. 산후통 시 순환과 자궁 근력에 도움을 주고 불편감을 감소시키기 위해 자궁 저부마사지, 따뜻한 팩 적용, 방광 비우기, 복위 등을 시행하며 심한 경우 진통제를 투여할 수 있다. 산후통은 경산모와 자궁이 심하게 이완된 산모 등에서 보다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 모유 수유 시 옥시토신이 분비가 자극되어 자궁수축을 야기해 산후통이 더 심해질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모유 수유 전 진통제를 투여하여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37
산모의 자궁 퇴축 기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안드로겐의 급격한 증가 ② 프로게스테론의 증가 및 유지 ③ 에스트로겐의 감소 ④ 자궁의 손상으로 인한 자연 복구 반응 ⑤ 자궁 혈관의 증대로 인한 과민 반응
103(3) 임신으로 증가되었던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의 농도가 출산 후 감소하면서 자궁벽 조직의 자가분해 및 용해로 자궁 퇴축이 발생한다.
38
산후 시기에 따라 오로의 색은 어떻게 변하는가?
적색-갈색-백색(산후 10일이 되면 대개 백색) 오로 • 정의: 출산 후 질을 통해 배출되는 분비물(자궁 내 차있던 혈액 및 자궁벽에서 탈락된 점막, 세포, 양막 찌꺼기 등을 포함함) 색 변화: 적색(1-3일), 갈색(산후 4~9일), 백색(산후 10일~3주)
39
자궁내막주기에 따라 수정이 되지 않았을 때, 월경을 하게 되는 이유로 옳은 것은? ① 에스트로겐은 증가하고 프로게스테론은 감소하기 때문이다. ②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이다. ③ 여포자극호르몬이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이다. ④ 황체호르몬의 활성화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 론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⑤ 여성 호르몬은 증가하고 옥시토신은 저하되기 때문이다.
074 ② 월경 전기 황체가 퇴 화하면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호르몬의 감소는 소동맥의 위축을 가져오고 이로 인한 빈혈로 박리되어 월경이 시작된다.
40
첫 아이를 임신한 임부가 임신 2기에 접어들었을 때 느끼는 아기에 대한 감정으로 옳은 것은? ① 태아를 본인의 일부라고 생각한다. ② 태아를 하나의 분리된 존재라고 생각한다. ③ 태아에 대한 좋은 감정과 불편한 감정이 동시에 존재한다. ④ 가장 활동적이고 적극적인 시기로 출산과 관련한 구체적인 준비를 한다. ⑤ 부모의 역할이 무엇인지 어떻게 아이를 키워야할지 실제적인 계획을 세운다.
076 ② 임신 2기(중기)에 들어서면 태아를 자신과 분리된 존재라고 생각한다. 모아관계의 시초가 되는 시기로 아기의 실제를 인정하여 태교를 시작한다. ①,(3) 임신 1기(초기)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④ ,⑤ 임신 3기(말기)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41
081 한쪽 난소적출술이 필요한 자궁내막증 환자의 생리적 변화로 옳은 것은? ① 에스트로겐이 분비되지 않음 ② 수술 직후 폐경 증상이 나타남 3) 월경이 있으나 임신은 불가능함 ④ 에스트로겐은 분비되나 월경 없음 ⑤ 정상적으로 배란되며 임신도 가능함
5번 - 양쪽이 아닌 한쪽 난소를 제거하는 경우, 정상적으로 배란 및 임시이 가능하다.
42
매독의 시기 중, 2기 매독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증상으로 옳은 것은?
‘편평 콘딜로마’ - 매독은 1기(경성하감) - 2기(편평 콘딜로마) - 3기(고무종, 중추신경 퇴화, 직장, 질 누공)
43
085 주수에 따른 태아의 발달 양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임신 4주가 되면 태아의 신장이 발달하기 시작하여 신장에서의 배뇨 기능이 시작된다. ② 임신 12주가 되면 심장이 발달하기 시작하며 태아의 성별을구분할 수 있게 된다. ③ 임신 24주가 되면 태아의 움직임이 강하게 느껴지며 췌장에서 인슐린을 분비하기 시작한다. ④ 임신 28주가 되면 고환이 음낭으로 하강하며 폐포에서는 레시틴을 분비하기 시작한다. ⑤ 임신 36주 이상이 되면 L/S 비율은 1:1이 된다.
085 ④ 임신 28 주가 되면 고환이 음낭으로 하강하며 폐포에서는 레시틴(Lecithin)을 분비하기 시작하여 출생을 한다하더라도 생존이 가능해진다. ① 임신 4주가 되면 태아의 심장이 발달하기 시작하며 심장발달은 조직 중 가장 먼저 이루어진다. ② 임신 12주가 되면 태아의 성별을 구분할 수 있으며 신장에서의 배뇨 기능이 시작된다. ③ 태아의 움직임이 강하게 느껴지며 췌장에서 인슐린을 분비하기 시작하는 시기는 임신 20주이다. ⑤ 임신 36주 이상이 되면 L/S 비율은 2:1이 된다.
44
086 임신 주수에 따른 자궁 저부의 높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 은 것은? ① 임신 12주 정도가 되면 치골결합 아래에서 자궁 저부를 촉진할 수 있다. ② 임신 16주 정도가 되면 치골결합에 자궁저부가 위치하게 된다. (3) 임신 24주 정도가 되면 자궁저부는 제와부에 위치하게 된다. ④ 임신 36주가 되면 자궁이 급속히 상승하여 제와부와 검상돌기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⑤ 임신 38주가 되면 자궁저부는 검상돌기에 위치하여 임신 중 가장 높게 위치하는 시기가 된다.
086 ③ 임신 24주 정도가 되면 자궁저부는 제와부에 위치하게 되며 점차 상승하여 36주에 최고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① 임신 12주 정도가 되면 치골결합 위에서 자궁 저부를 촉진할 수 있다. ② 임신 16주 정도가 되면 치골결합과 제와부의 중간 정도에 자궁저부가 위 치하게 된다. ④ 임신 36주가 되면 자궁저부는 검상돌기에 위치하여 임신중 가장 높게 위치한다. ⑤ 임신 38주가 되면 자궁이 점차 하강하여 임신 34주일 때의 자궁저부 높이와 비슷해지게 된다.
45
086 임신 주수에 따른 자궁 저부의 높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 은 것은? ① 임신 12주 정도가 되면 치골결합 아래에서 자궁 저부를 촉진할 수 있다. ② 임신 16주 정도가 되면 치골결합에 자궁저부가 위치하게 된다. (3) 임신 24주 정도가 되면 자궁저부는 제와부에 위치하게 된다. ④ 임신 36주가 되면 자궁이 급속히 상승하여 제와부와 검상돌기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⑤ 임신 38주가 되면 자궁저부는 검상돌기에 위치하여 임신 중 가장 높게 위치하는 시기가 된다.
086 ③ 임신 24주 정도가 되면 자궁저부는 제와부에 위치하게 되며 점차 상승하여 36주에 최고 높이에 위치하게 된다. ① 임신 12주 정도가 되면 치골결합 위에서 자궁 저부를 촉진할 수 있다. ② 임신 16주 정도가 되면 치골결합과 제와부의 중간 정도에 자궁저부가 위 치하게 된다. ④ 임신 36주가 되면 자궁저부는 검상돌기에 위치하여 임신중 가장 높게 위치한다. ⑤ 임신 38주가 되면 자궁이 점차 하강하여 임신 34주일 때의 자궁저부 높이와 비슷해지게 된다.
46
임신 5주로 진단받은 임부에게 식이요법에 대해 교육하려고 할 때, 다음 중 적절한 것은? 1) 특별히 보충해야 할 영양소는 없으며 임신 이전과 같은 식이를 하도록 한다. 2) Vit A, D, E, K의 섭취를 2배 이상 늘려 출산 후 골다공증을 예방한다. 3) 체중 조절을 위해 섭취해야 할 칼로리의 양은 임신 전과 같게 유지해야 한다. 4) 철분 결핍성 빈혈을 에방하기 위해 임신 중기부터 산욕 초기까지 철분 제제를 복용하도록 한다. 5) 단백질은 임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임신 전과 같은 수준으로 섭취하도록 한다.
088 ④ 혈장량이 혈구량보다 많이 증가하여 발생하는 생리적 빈혈을 예방하기 위해 임신 중기부터 산욕 초기까지 철분제제를 복용하도록 한다. ① 엽산과 철분을 추가적으로 섭취할 수 있도록 한다. ② Vit. A, D, E, 으와 같은 지용성 비타민은 체내 축적 되므로 과잉 섭취하지 않도록 한다. ③ 임신 전보다 약 300kcal 정도의 추가적인 칼로리 섭취가 필요하다. ⑤ 단백질은 태아의 발달과 자궁, 유방조직 등의 성장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임신 전에 비하여 더 많은 양의 단백질을 섭취하도록 한다.
47
임신 8주의 임부가 “태반이 아직 완성되지 않았는데, 영양공급은 어떻게 받는 건가요?”라고 했을 때, 간호사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양수에서 영양분을 공급받습니다.” ② “난황낭에서 영양분을 공급받습니다.” ③ “영양분 공급 없이 최소한으로 성장하게 됩니다.” ④ “자궁내막의 혈류로 직접 영양분을 공급받습니다.” ⑤ “자궁강 안의 조직세포들에 의해 영양분을 공급받습니다.”
자궁 태반 간 순환이 이루어질 때까지 배아는 난황낭에서 영양을 공급받는다. 또한 난황낭은 간이 조혈 기능을 갖출 때까지 혈구와 혈장을 만들고 일부는 소화계 형성에 사용된다. • 태반의 발달: 모체 측의 기저탈락막과 번생융모막이 합쳐져 형성되며, 12주 경 태반이 완성되고 20주까지 발달하게 됨
48
임신 8주의 임부가 “태반이 아직 완성되지 않았는데, 영양공급은 어떻게 받는 건가요?”라고 했을 때, 간호사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양수에서 영양분을 공급받습니다.” ② “난황낭에서 영양분을 공급받습니다.” ③ “영양분 공급 없이 최소한으로 성장하게 됩니다.” ④ “자궁내막의 혈류로 직접 영양분을 공급받습니다.” ⑤ “자궁강 안의 조직세포들에 의해 영양분을 공급받습니다.”
자궁 태반 간 순환이 이루어질 때까지 배아는 난황낭에서 영양을 공급받는다. 또한 난황낭은 간이 조혈 기능을 갖출 때까지 혈구와 혈장을 만들고 일부는 소화계 형성에 사용된다. • 태반의 발달: 모체 측의 기저탈락막과 번생융모막이 합쳐져 형성되며, 12주 경 태반이 완성되고 20주까지 발달하게 됨
49
포상기태를 진단받고 흡입 소파술을 시행한 대상자에게 앞으로의 관리방법에 대해 설명하려고 한다. 다음 중 포상기태의 추후관리 방법으로 적절한 것은? 1) 포상기태는 기태를 제거한 후 합병증이 거의 없으며, 재발률이 낮은 질환에 해당한다. 2)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검사를 통해 융모상피암의 이행에 대한 관리를 하게 된다. 3) b-HCG 검사에서 음성이 확인된 후 최소 1년 동안 피임을 해야만 한다. 4) 융모상피암은 전이가 잘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b-HCG 검사만으로 추후관리가 가능하다. 5) 흡입 소파술 후 1~2주 간격으로 B-HCG가 2회 연속 음성이 될 때까지 검사해야 한다.
090(3) p-HCG 검사에서 음성이 확인된 후 최소 1년 동안의 피임이 필요하다. (3-HCG는 임신에 의해서도 증가할 수 있으므로 융모상피암과의 감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① 포상기태는 기태를 제거했다 하더라도 융모상피암으로 이행될 수 있으므로 추후관리가 중요하다. ② P-HCG 검사를 통해 융모상피암의 이행에 대한 관리를 하게 된다. ④ 융모상피암은 폐 전이가 잘 일어나므로 흉부 X-ray 검사를 시행한다. ⑤ 흡입 소파술 후 1~2주 간격으로 p-HCG가 3회 연속 음성이 될 때까지 검사해야 한다. 이 후 매달 6개월 동안 검사를 시행하며 그 후 두 달에 한 번씩 1년 동안, 그 후 6개월에 한 번씩 검사를 시행한다.
50
임신 전 흡연을 했던 임부에게 흡연이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하려 한다. 다음 중 흡연이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으로 적절한 것은? 1) 과체중 2) 언어장애 3) 태반 기능 부전 4) 니코틴 중독 5) 혈관 수축
2) 언어장애 -임부의 흡연은 태아의 저체중 및 선천적 기형, 지능 장애, 언어장애, 호흡기 질환, 태아돌연사망 증후군 등의 영향을 미칠 수 있다. 1) 흡연은 태아의 저체중 유발한다. 3), 4), 5) 흡연이 임부에게 미치는 영향에 해당한다.
51
093 임신 중기 이후 자궁경관이 부드러워지고 얇아지면서 개대되는 증상을 보여 쉬로드카 수술을 시행한 임부이다. 수술 후 주의 깊게 사정해야 할 부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자궁 수축 ㅇ부 2) 오로의 양상 변화 3) 태아 심음 확인 4) 태동 및 태아 질식 사정 5) 임부의 청색증 및 호흡곤란
1) 자궁 수축이 있는 경우, 자궁 파열이나 경부 열상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사정해야 한다.
52
임신 31주인 임부가 진통을 호소하여 리토드린 약물을 투여하게 되었다 리토드린 약물을 복용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으로 옳은 것은? 1) 서맥 2) 저혈압 3) 체온 상승 4) 혈뇨 5) 호흡 저하
2) Ritodrine)은 베타-2 교감신경 자극제로 분만을 억제하는 대표적인 약물이다. 리토드린을 투여할 때는 자궁수축 정도를 주의 깊게 사정해야 한다.부작용으로 빈맥과 저혈압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두통, 구토, 변비, 혈당 상승, 심계항진, 흉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53
분만 후 4시간이 지난 산모의 회음패드에 선홍색의 동맥혈성 질출혈이 관찰되었다. 자궁 저부는 단단하게 촉진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선적으로 예상할 수 있는 건강문제로 적절한 것은? 1) 자궁 이완 2) 산도 열상 3) 자궁내막염 4) 혈전성 정맥염 5) 자궁의 복구부전
103 ② 분만 후 관찰되는 선홍색의 동맥혈성 질출혈을 통해 산도열상을 예상할 수 있다. ①, ⑤ 자궁 저부가 단단하게 촉진되고 있으므로 해당되지 않는다. ③ 자궁내막염은 자궁내막 혹은 태반 내 세균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산후 2~3일에 38℃ 이상의 체온 상승, 다량의 악취나는 암적색의 화농성 오로 등의 증상을 보인다. ④ 혈전성 정맥염은 산욕기 중 혈액응고인자의 상승으로 생긴 혈전으로 염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대퇴혈전성 정맥염, 골반혈전성 정맥염 등이 있다.
54
분만 후 4시간이 지난 산모의 회음패드에 선홍색의 동맥혈성 질출혈이 관찰되었다. 자궁 저부는 단단하게 촉진되고 있는 상황에서 우선적으로 예상할 수 있는 건강문제로 적절한 것은? 1) 자궁 이완 2) 산도 열상 3) 자궁내막염 4) 혈전성 정맥염 5) 자궁의 복구부전
103 ② 분만 후 관찰되는 선홍색의 동맥혈성 질출혈을 통해 산도열상을 예상할 수 있다. ①, ⑤ 자궁 저부가 단단하게 촉진되고 있으므로 해당되지 않는다. ③ 자궁내막염은 자궁내막 혹은 태반 내 세균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산후 2~3일에 38℃ 이상의 체온 상승, 다량의 악취나는 암적색의 화농성 오로 등의 증상을 보인다. ④ 혈전성 정맥염은 산욕기 중 혈액응고인자의 상승으로 생긴 혈전으로 염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대퇴혈전성 정맥염, 골반혈전성 정맥염 등이 있다.
55
점상 출혈 O, 조직 배출 X, 경관 닫힘, 임신 지속 가능한 경우, 어떤 유산인가? 또 어떤 중재를 하는가?
절박 유산, 침상 안정 및 성관계 금지
56
중간 정도의 출혈량을 보이며, 자궁 수축은 중간 정도 강도로 일어난다. 조직 배출은 되지 않았으며 경관이 개대되어 임신 지속을 할 수 없는 유산은 어떤 종류의 유산인가? 또 어떻게 중재하는가?
불가피 유산 - 출혈 예방, 감염 예방, 소파술, 옥시토신 투여
57
다량의 출혈, 자궁 수축 강함, 조직 배출 O(태아, 태반 일부만), 경관 개대, 임신 지속 X인 유산은 어떤 유산이며, 어떤 중재를 해야 하는가?
불완전 유산 - 신속한 소파술, 출혈 예방, 감염 예방 필요
58
출혈 약간, 자궁 수축 경함, 조직 배출 o(수태 산물 완전 배출), 경관 닫힘, 임신 지속 가능성은 없는 유산은 어떤 유산인가? 또, 어떻게 중재하는가?
완전 유산 - 자궁 수축제 투여, 휴식 필요(일정 기간 성생활, 재임신 x)
59
약간의 출혈이 있고, 자궁 수축이 경하다. 조직 배출 x, 경관 닫힘, 임신 지속 x(태아가 자궁강 내에서 사망하여 소파술(d/c) 필요한 경우의 유산은 어떤 유산이며, 합병증은?
계류 유산 - 임신 반응 검사가 양성에서 음성으로 나타남, DIC가 합병증, 저섬유혈증 위험
60
정상 분만 경험 없이 3회 이상 알 수 없는 자연 유산이 반복되는 것은 어떤 유산인가?
습관성 유산
61
포상 기태 치료 후 3회 연속 hcG가 음성임을 확인해야 하며, 이후로도 1년간은 1달에 한 번씩 추적관찰을 하며 피임을 한다.
O
62
(미숙아/과숙아)는 솜털이 과다한 반면 태지가 거의 없다.
미숙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