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Flashcards
(100 cards)
- 콧등과 코의 양 옆이 붉고, 직업에 대해 결정을 내리지 못한다. 어느 장부의 문제인가?
1)간 2) 담 3) 심 4) 폐
콧등…
담
- 음양 의존관계의 부조화는 ?
1)음허가 실열을 만든다 2)양허가 실한을 만든다
3)음이 성해 양을 손상시킨다 4)외습이 음허를 만든다
음이 성해 양을 손상시킨다.
같은말: 외한이 양허를 유발한다.
외한은 음이 성한 것.
궁합이 너무 좋으면 부인이 죽으면 남편도 2달안에 좋는다.
음손양금
답: 3
- 신경쓰면 악화되는 두통, 2틀 전부터 심하다. 머리가 텅비어 있는 듯이 멍하다. 원인은?
1)습담 2) 방광허한 2) 혈허 4) 신허
텅빈것은 무조건 신허.
신정허가 더 정확하다
- 갈증이 있고, 한모금 찔끔 마신다면 ?
1) 기허 2) 혈허 3) 음허 4) 양허
음허
- 산후변비의 원인은 ?
1)기허 2) 혈허 3) 음허 4) 양허
혈허
- 신장과 간장 검사는 정상이나 혈압이 높은 여성이 있다. 이런 여성처럼 특이성이 없는
고혈압의 발병 원인은?
1)유전성 고혈압 2) 본태성 고혈압 3) 긴장성 고혈압 4) 신성 고혈압
답: 2
- 이뇨제인 라식스(Lasix)를 복용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은 ?
1)현훈, 칼륨(포타숨)손상 2) 다면, 칼륨손상 3) 고혈압 4) 심근경색, 칼슘손상
답: 1
- 부항의 금기는 ?
1)고열 2) 마비 3) 중풍후유증 4) 국부어혈
고열
- 부항의 공효는 ?
1)온경통락, 소종지통, 행기활혈, 거습축한 2)온경통락, 이수소종,행기활혈, 거습축한
3)온경통락, 소종지통, 행기활혈, 산한해표 4)온경통락, 이수소종, 행기활혈, 행기거담
답: 1
- 주관법 (Moving cupping) 으로 치료할 수 있는 것은 ?
1)출혈자 2) 관절염 3) 고열 4) 경련
관절염
- E 형 간염의 평균 잠복기는?
1) 40 일 2)28 일 3)60 일 4 )15 일
40일
- Hepatitis B 바이러스의 잠복기 및 증상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
1)50-180 일, 서서히 진행, 오한, 복통, 설사, 활료, 발열, 유행성 감기 증상과 유사
2)15-45 일, 단기 잠복성 간염, 가을에 절정, 어린이와 청소년이 감염, 식욕감퇴, 황달
3)15-160 일, 수혈과 관련된 가장 일반적인 감염, 식욕감퇴, 오심구토, 황달
4 )1 4-63 일, 임신부 감염시 20% 사망, 백신 없다
- 서서히가 중요
- 만약 한의사가 한 환자에게 침 하나로 여러 부위를 자침하였다면 생길 수 있는 결과는
무엇인가 ?
1)간접감염 2) 교차감염 3) 자가감염 4) 외래감염
자가
- 교환감염은?
1)환자 자신의 A부위의 병원체가 B부위로 감염
2) 모친의 병원체가 태아에게 혈액을 통하여 감염
3) 체내 원래 존재하던 병원체가 수량변화로 평형상실이 감염을 발생
4) 병원체가 A환자에게서 B환자에게 감염되는 것
답: 4
- 교차감염을 피하려면?
1)개인 위생 유지, 언제 어디서나 장갑 사용 2) 각 환자 치료 후 소독
3) 치료 전후와 오염접촉 시 손 씻기 4) 정기적인 건강검사와 예방주사
답: 3
- 환자의 자침하고자 하는 부위의 피부를 보니 상처가 있다. 또한 약간의 빨간 반점과
간지러움도 있고 아프다고 한다. 이 때 한의사가 해야 할 가장 적당한 조치는 ?
1)근처 에 있는 혈을 취 한다 2) 자침 안한다
3) 소독 및 살균 후 자침한다 4) 윈도선혈로 치료한다.
답: 2
- 다음 중 구를 할 수 없는 혈은 ?
1) 찬죽 2) 곡차 3) 통천 4) 백회
찬죽
- 비경의 낙혈의 위치는 ?
1) 족대지 제 1중족골 지관절 후하방 적백육제
2) 제 1 중족골 기저의 전하연 요함처 적백육제
3) 내과 전하방 요함중 주상골결절과 내과연결선의 중앙
4) 내과고점 직하 5촌, 경골 내측면의 중앙
공손. 답: 2
- 환자가 팔꿈치의 통증을 호소한다. 수소양삼초경의 경혈인 천정을 자침하고자 한다. 상하
배열법에 의해 추가하면 좋은 혈은 ?
1)위중 2) 곡천 3) 양릉천 4) 족삼리
육부하합혈
양릉천
상하배열은 육부하합혈
곡지는 수양명
그러면 족양명의 족삼리.
소양
수소양삼초경의 천종이 아프면
족소양담경의 양릉천
태양경
수태양소장경의 소해가 아프면
족태양방광경의 위중
위중이 딴딴한 여자는 소해에서 푼다.
안없어지면 같이 놔주면 된다.
대각선이 더 강하다.
맥으로 대각선인지 아닌지 구별한다.
심장은 주로 왼쪽을…
가슴이 벌렁거리는데 남자여우니까, 심장은 왼쪽이니까, 오른쪽 놔보면 반응이 없다가 왼쪽에 놓으면 금방
없어진다.
심장이나 간은 왼쪽으로 가고.
양명 수 곡지 족 족삼리
소양 수 천정 족 양릉천
태양 수 소해 족 위중
- 구갈이 있는 당뇨를 치료하는 이침혈위는 ?
1) 구갈점, 병간(내분비), 폐 2) 폐, 위, 구갈점
3) 대장, 내분비, 구갈점 4) 위, 대장, 내분비
답: 1
- 복통, 설사, 요통 치료, 산기, 땀을 많이 흘리고 사지냉, 회양구역에 이용되는 구법은 ?
1) 부자의 분말과 술로 작은 동전 크기의 부자병(附子簡)을 만들어 가운데에 침(針)으로 여러
개의 구멍을 뚫고 시구부위에 놓는 다음, 그 위에 애주(효住)를 놓고 뜸을 푼다.
2) 배꼽에 피부 높이 만큼 소금을 채우고 뜸을 몬다. 만약 환자의 제공(簡孔)이 함몰되어 있지
않으면 배꼽주위를 따뜻한 국수로 에워싸고 소금을 그 속에 채운 후 거기에 뜸을 뜬다
3) 마늘을 약 1푼 두께로 잘라서 침으로 구멍을 낸 후, 혈위에 5-7장을 시구하면 마늘펀을
교환한다. 마늘액은 피부에 대하여 자극성이 있고가 생기기 쉽다.
4) 생강을 반푼(半分) 두께로 잘라 침으로 구멍을 몇 개 내고 혈위에 놓고 뜸을 푼다. 환자가
작열감을 견디지 못하게 될 때 생강편을 들어을려 잠시 쉬었다가 다시 뜸을 뜨되, 국소의
피부가 흥조(紅漸) 윤택되면 그친다. 화상을 일으커지 않으므로 병정에 따라 반복 시구한다.
망양을 말하는 것.
격염구.
답: 2
1번은 부자병구: 금궤신기환증. 신양허로 양위불임, 또는 십전대보탕.
잘낫지 않는 창양, 수술후 회복에 쓴다.
부자병구는 명문혈이나 관원에 잘 한다.
경강구는 중완 기해에 잘한다.
- 대상포진을 치료하는 혈자리는 ?
1)곡지, 혈해, 양강, 비수 태충 2) 곡지, 혈해, 위중, 양릉천, 태충
3) 태충, 양릉천, 풍륭, 음릉천 4) 태충, 양릉천, 합곡, 곡지, 위중
태양혈위를 꼭 질러라.
답: 2
- 오한발열, 이하선부의 홍종열통, 저작곤란, 고환종통, 고열 둥의 증상이 있다. 이하선부의
통증은 한쪽 또는 양쪽에 모두 나타난다. 설태는 황색이고 맥은 부삭하다. 가장 적절한
침구치료 혈위 및 치료방제는 ?
1)외관, 예풍, 협거, 합곡, 곡지, 열결, 태충, 곡천
2) 풍문, 풍부, 풍지, 열결, 합곡, 여구, 중도
3) 풍문, 풍부, 풍지 합곡, 곡지, 소상, 어제
4) 외관, 예풍, 협거, 합곡, 곡지, 열결, 대추
이하선염
답: 1
외관은 모든 표증
이하선은 예풍에서 시작해서 협거까지 온다.
열이 있으니까 합곡 곶지
오한발열은 열결
고환종통은 태충, 곡천 (태충놓고 안떨어지면 곡천을 그다음을 논다)
성관계후 아픈건 곡천.
- 발열, 두통, 식욕부진, 전신권태, 귀 아래 부위의 종대 및 통증, 음식물을 씹거나 먹을 때
통증이 심해진다. 치료혈의 배합이 가장 적절한 것은?
1)에풍, 협거, 합곡, 외관, 곡지 + 소상, 상양
2)지창, 협거, 합곡, 인중, 협승장
3)풍문, 부, 풍지, 열결, 합곡
4)풍문, 풍부, 풍지, 외관, 열결, 합곡
이하선염. 답: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