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증3-131- Flashcards
(130 cards)
- 40세 여성 환자, 몇 개월 전부터 월경량이 점점 줄고 있다. 갈증, 열감, 변비가 있고
소변은 단적하며 소변량이 많지 않다. 최근 다량의 월경이 나와 병원에 다녀온 적이 있다.
설은 붉고 박락태가 있다. 진단은 ?
1) 방광습열+간음허 2) 신음허 3) 간혈허 4) 간담의 습열
갈증.. 열증
병원에 다녀온적까지는 허열인지 실열인지 잘 모름.
붉고 박락태는 음허
2
- 40세 환자 요슬산연, 호흡곤란, 흡기가 저하되는 느낌이 있다. 조루도 심하고 발기력이
현저히 감퇴되고 있다. 피로가 심하고 소변이 청하다. 설색은 담백하고 부어있고, 태는 젖어
있었다. 진단은 ?
1)신양허 2) 신기불고 3) 신불납기 4) 신정허
조루 발기불능: 신양허
금궤신기환증
신불납기가 기본적으로 신양허로 가야 한다.’조루 발기불능이 있으니까 신양허
- 44세 남자, 식욕이 없고 심한 피로를 느낀다. 변당, 복부창만과 함께 소화되지 않는 변이
나온다. 하지에 심한 부종이 있고, 정신이 멍하고 삶에 의지가 없어지고 항상 소극적이다.
원인은?
1)비양허 2) 신양허 3) 담허+비양허 4) 한습이 중초와 상초에 영향
하지부종: 신양허
소화라는 것은 70프로는 물
물불의 조화 소화효소 따지지 말고.
음식을 먹으면 물을 흡수 한다. 그리고 혈액으로 보내서 신장으로 내려온다.
결국은 소화는 물대사라는 것.
키드니가 안좋으면 신양이 부족해서 기화가 안되면 혈액에 물이 많이 쌓여서
물이나 밥을 먹어도 위에 물이 고인다.
이게 위장담허
신양이 부족하면 위담이 생길 수 있다.
이건 지오바니 선생 개념
소양인들의 소화장애를 금궤신기환으로 고친 사례가 있다.
키드니나 간쪽에서 온 위장장애는 잘 안된다.
답: 2
임상에서 소화 안되는 사람들. 키드니 쪽에서 원인이 될 수 있다.
- 신양허증이 있는 환자의 예상되는 설은 ?
1)설담백, 붓고 젖은 태 2)설담백, 설변이 붓고 젓은 태
3)설담백, 부은 태 4)설담백, 설변이 부어 있다
신양허증
양허증은 물을 만들어내니까 젖은 태.
그리고 혀에 물이 많으니까 부어있는 듯 커보이겠다.
답: 1
2번은 비양허.
- 33세 여성 환자, 소변의 횟수가 많아지고 오줌이 맑고 많으며 소변을 본 후에도 오줌이
자꾸 옷에 흘린다. 밤에 소변을 보는 횟수가 많고 가끔 잠을 자는 도중에 소변이 나을 때도
있고 만성적인 대하가 있다. 원인은 ?
1)신양허 2) 신기불고 3) 방광허한 4) 심신불교
신기불고
- 치통, 몽정, 혈뇨가 있다. 진단이 맞는 것은 ?
1)허증 2) 실증 3) 허실협잡 4) 본실표허
몽정은 허화
그래서 허화라는 자체가 허는 허증, 화는 실증
신심불교가 다 허실협작
- 수뇨관 및 정관이 약하다. 원인은 ?
1)신양허 2) 방광한습 3) 신음허 4) 신기불고
신기불고
- 45 세 여자, 움직이면 호흡이 가쁘고, 흡기가 곤란하다. 땀을 많이 흘리며, 얼굴이
부어있다. 자꾸 피로를 느낀다. 설은 담백하고, 맥은 약하고, 긴장되어 있으며 깊다. 가장
적당한 진단은 ?
1)폐기허 2) 신불납기 3) 풍수범폐 4) 비기허
신불납기
- 소아가 머리가 크나 지력이 둔하다. 원인은 ?
1) 신정허 2) 심기허 3) 신음허 4) 심음허
신정허
신정허로 성장장애때 쓰는 것은 녹용.
녹용에 성장호르몬이 있다.
보익신정을 직접 보할 수 있는건 녹용밖에 없다.
녹용이 자라는 특정 시기에는 풀보다 빨리 자란다. 즉, 분골.
소화안되는 애들은 귀비탕
애들은 팔미 잘 안쓰니까 육미에 가감한다
- 신음허의 임상 표현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
1)경폐 2) 붕루 3) 막연한 불안감과 짜증 4) 혈변
막연한 불안 짜증이 음허표현
혈변이 답
- 후두통을 호소하는 남성 환자가 있다. 잠도 잘 안 오며 꿈도 많다. 사지마목감도 생기기
시작했으며 양목이 건삽하며 유정도 있다. 가끔 귀도 울리고 밤에 땀을 흠뻑 흘리기도 한다.
면색이 핏기가 없고 사물이 흐릿하게 보이며 사지의 마목감도 있다. 진단은 ?
1)방광한습, 간음허 2) 간신음허 3) 간혈허, 방광한습 4) 심신음허
풍한, 방광습열에서 후두통이 온다. 이게 실증
신허가 허증에서 오는 후두통
여기서 간은 간으 ㄴ간음허도 되고
답: 2
- 가슴이 두근거리며 안절부절하는 환자가 내원하였다. 잠도 안 오고 자꾸 무언가를
잊어버린다. 유정, 소변단적, 현훈과 이명 증세도 있다. 진단은 ?
1)신음허 2) 심음허 3) 심신불교 4) 심간혈허
가슴 두군: 심장
안절부절은 음허
잠도 안오고 … 다 심장
유정, 신
심신불교
- 요통, 차고 약한 무릎, 요부냉감, 허약한 다리, 면색광백(㫕白), 양위, 조루, 정자수 감퇴,
cold and thin sperm, 성욕저하, 무기력, 다량의 청한 소변, 소량의 청한 소변, 밤에 소변,
무관심 (apathy), 다리부종, 여성의 경우 불임, 변당, 우울증, 식욕감소, 가벼운 복부창만, 눕고
싶은 욕망, 오경설 (early-morning diarrhoea), 만성설사 등을 호소한다. 진단은 ?
1)비신양허 2) 신기불고 3) 비신기허 4) 신양허+신음허
요통, 차고 약한무릅: 신양허
정자수 감퇴까지…무관심…까지 신양허
비신양허
- 34세 여성, 위완부가 은은히 불편하고, 밥맛이 없으며, 특히 아침에 가장 피곤하며,
하루종일 사지에 힘이 없으며 특히 우측관부가 허하다. 진단은 ?
1)비기허 2) 위기허 3) 비기하함 4) 위음허
위완부가 위. 90프로가.
위기허는 비기허 + 아침에 피곤하고 위안부의 이상.
아침 7-9시사이.
비위가 실한사람은 아침에 안먹고 저녁에 먹어도 된다
- 식욕이 없으며 청수를 토하는 환자가 있다. 변당이 있고, 사지가 차고 자꾸 피곤한데 밥을
먹으면 좋아지고, 배변 후 에는 악화된다. 진단은 ?
1)비양허 2) 위허한 3) 한사범위 4) 비기하함
청수범토는 위장의 한증
그래서 위허한.
- 배는 고프나 먹고 싶지 않으며, 오후에 입과 인후가 건조하다. 주로 밤에 음식을 많이
먹는다. 갈증이 있어도 물을 먹고 싶은 생각이 없으며, 마시더라도 입술만 적시는 정도이다.
진단은 ?
1)위음허 2) 위어혈 3) 위기허 4) 비기하함
위음허
- 위음허 환자를 치료할 때 사법으로 자침하는 혈은 ?*
1)삼음교 2) 태백 3) 족삼리 4) 내정
내정을 사법
- 60세 여성 환자, 과거 10 년 동안 위완통으로 고생하였다. 양방에서는 위염이라고
진단하였다고 한다. 그녀는 6 개월 전부터 냄새를 잘 맡을 수 없었다고 하며, 동시에 맛도 잘
구별하기가 힘들다고 했다. 구토를 할 때면 시큼한 물이 넘어오기도 하며 매일 다량의 물을
마신다고 한다. 가끔 코피도 나고 잇몸에서도 피가 난다고 한다. 또한 그녀는 최근 몇 년 동안
항상 무른 대변이 나온다고 했다. 그녀의 맥은 우측관맥이 기타 줄을 당기는 것 처럼 팽팽했고
설 중앙에는 누런 태가 있었으며 설변이 약간 부어 있었다. 진단은 ?*
1)위음허, 비기허 2) 위화, 비기허 3) 비기허, 비위습열 4) 위화, 비위습열
다량의 물은 위화
위화출혈
무른대변: 변당,비기허
우측관맥이니가 현맥 (통증때문에)
설중앙 누런태… 위화
설변은 비기허
답: 2
- 15세 남자, 냉장고에서 아이스크림을 꺼내 많이 먹은 후 갑자기 배가 아프기 시작했다.
청수를 토하며 자꾸 따뜻한 물을 마시고 싶어 한다. 설태는 두껍고 회며, 맥은 침하고 긴장되어
있다.?
1) 위허한 2) 비양허 3) 한사범위 4) 소장허한
한사범위
대건중탕
- 다음 중 한사 직중과 가장 거리가 먼 장부는 ?
1)위 2) 대장 3) 소장 4) 방광 5) 담
5번
- 40세 여성, 식욕이 없으며 위완부가 창만해진다. 머리가 어지럽고 미식미식 하면서 자꾸
구토가 나온다. 입에서 썩은 냄새가 난다. 진단은 ?*
1)위화 2) 식체 3) 간기체 4) 위음허
식체
보화환
- 밥을 먹으면 통증이 심해지고, 가끔 검은색 피를 토한다. 검은색의 혈변이 나을 때도
있다. 설색은 청자색이었고, 태는 없었다. 진단은 ?
1)위어혈로 인한 출혈 2) 위화로 인한 출혈 3) 위음허로 인한 출혈 4) 대장출혈
뭘 먹으면 심한거 실증
검은색피: 어혈
검은색 혈변으로는 어혈인지 모른다.
위어혈로 인한 출혈
- 33세 여성, 아버지가 돌아간 후, 정신이 맑지 못하고, 자꾸 판단력이 흐려진다. 어느
장부가 영향 받았겠는가 ?
1)담 2) 소장 3) 방광 4) 위
판단은 소장
결단은 담(구허)
관원, 완골이 판단을 주관한다
한번본건 잠재의식에 저장되니까
그걸 끄집어 내는 데 관원.
단전호흡 통해서 관원을 통해 잠재의식을 끄집어 낼 수 있다.
드라마틱이란 특정인에게는 맞으나 어떤 사람에겐 안맞을 수 있다.
순간적으로 모든 사람에게 좋게 하는 약은 없다.
신문이 잠재의식을 꺼내는 것도 있다.
대종도 잠재의식.
- 45 세 여성, 배가 아프며, 물도 자주 마신다. 소변은 적색이며, 소변삽통이 있다.
구설생창과 심번이 있다. 진단은 ?
1)심화 2) 소장실열 3) 방광습열 4) 간담습열
소장실열
구설생창까지 왔으니까
꼭꼭하루소통해라: 침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