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썰얼찐(117문제) Flashcards
- 소아의 설과 성인의 설의 구별은 ?
1) 소아의 설이 성인보다 창백하고 젖어있다
2) 소아의 설은 열문설이 주로 많다
3) 성인의 설이 소아보다 창백하고 젖어있다
4) 소아의 섣은 홍설이 주로 많다
1번이 답
애들은 며살이 되야 비장기능이 성인과 같나? 여자는 7세, 남자는 8세
이전에는 비양허(침을 흘리고 잔다).
기허는 젖어 있지 않고, 양허니까 담백하면서 부어있고 활태. 양허 설진의 시작이 이거다.
비장은 사지를 주관하니까… 이때 7, 8세때 사지 흔들면서 걸어간다.
요즘 양방에서, 증명됐다.
남자는 8수, 여자는 7수… 남여 성장주기가 다르다는게 양방에 나왔다.
- 감기(외감)를 앓은 이후 담이 경락에 조체되었다. 예상되는 설은 ?
1)열문설 2) 망자설 3) 강경설 4) 위연설
강경설이 답.
암기법: 강열한 담풍 포포
강경설은 열증. 간에 열이 심하면 생식기로 간다. 여자는 옹녀, 남자는 변강쇠.
심장에서 열을 받아서 경동맥으로 올라가는 데, 혀로 올라가서 혀가 굳어진다.
간에 열이 있으면 생식기가 굳어지고.
열증: 심화
담: 경락담체
포포: 심포열
설하신경이 혀로 들어오는데 신경이 하는 역할은 전기 에너지를 공듭ㄹ하는데, 전기가 끊겨진 것.
그래서 굳어진 것.
풍은 중풍. 중풍은 설하신경, 설인신경이 마비된 것. 담은 신경을 막은 것이고
- 전동설이 나을 수 있는 경우는 ?
1) 폐기허, 내풍, 간양화풍, 기허
2) 비기허, 열극생풍, 심비기허탈, 망양, 기혈양허
3) 비기허, 비양허, 내풍, 음허
4) 내풍, 양허, 심비기 허탈, 한습정체
음허에선 안나온다.
새로오신분 있으니까 한번 더 하겠다.
전동설은 혀가 움직이는 것.
1. 설근: 뿌리가 약하면 흔들린다. 사람도 다리가 약하면 흔들리듯.
설근은 비신, 심에서 오는데…
비는 경맥, 신은 경맥, 심은 락맥.
이 경락이 약할 때 혀가 떨겠다.
비기나 비양이 부족할 때, 신기나 신양이 부족할 때, 심기나 심양이 부족할 때
심신양허일 때 (즉 망양) / 심비기허脫일 때, 이럴 때 떨겠다.
2. 중풍이 나오는 설.
암기법: 강사토 단전마비
강경설, 외사설, 토롱설, 단축설, 전동설, 마비설. 즉 중풍에서도 떤다.
3. 기혈양허에서 나오는 것.
암기법: 경마타는 전연(저년)이 수단이 좋아서 열 받았다.
경면설, 마비설, 전동설, 위연설, 수박헐, 단축설, 열문설.
그래서 전동설은 답이 2번
- 76 세 여성, 10 년 이상 파킨슨씨 병을 앓아왔다 체격은 마르고 인후 및 피부는 건조하며
맥은 극세하고 부허했다면 이 환자의 예상되는 설은 ?
1) 홍점돌기, 단축설, 강설(심홍색의 설), 무태
2) 설홍무태, 또는 건조태 걸고 늘어진 설
3) 설담박백, 박락태(벗겨졌다), 열문설
4) 설담박백, 건조태, 열문설, 단축설
마르고… 음허
음허니까 답은 1번.
2번은 왜 틀렸나? 홍점돌기는 열을 뜻한다.
단축설, 음허때 나을 수 있다.
길고 늘어진 설은 장설. 실열에서 나온다. 허증이 아니다. 심화.
동물들, 개, 사자, 호랑이는 심장에 열이 있다.
여자들이 ㅎ를 자꾸 내밀면 그여자랑 결혼하지 말라고 했다. 심장에 화가 있으니까.
그러면 맹수처럼 남편을 괴롭힐 수 있은이까.
- 70세 여성, 10년 동안 파킨슨병, 몸은 가늘고 피부는 건조, 맥은 세하고 부허하다. 환자
의 설상은 ?
1) 자설, 흥점, 무태, 세삭맥
3) 홍색설, 맥홍삭
2) 자설, 홍점, 유태, 세삭맥
4) 단축설, 홍점돌기, 강설(심홍색의 설), 무태
같은 문제. 답: 4
- 파킨슨씨 병 환자. 체격은 마르고 인후 및 피부는 건조하며 맥은 극세하고 부허했다면 이
환자의 예상되는 설은 ?
1) 심홍색, 박락태, 무태
3) 설담박백, 박락태, 열문설
2) 설홍무태, 또는 건조태. 길고 늘어진 설
4) 설담박백, 건조태, 열문설, 단축설
같은 문제인데,
다 음허혀의 표현. 그래서 답은 2번. 길고 늘어진 설이 틀렸다.
박락태는 음허다.
4번은 설담, … 혈허태.
- 51 세 여자. 파킨슨씨병을 앓고 있다. 머리 훈옮이 있는지 2년이 되었고 약간의 심계, 불
면, 뇨빈 및 야뇨가 있다. 맥은 침약하다면, 알맞은 설은 ?
1)짧은 혀이며 심홍설에 붉은 점이 많이 돋아나고 태가 완전히 벗겨졌다.
2) 창백한 색에 부었으며 젖은 혀
3) 길고 약간 부은 혀이며 설변이 특히 부었다. 홍설이며 박락태이다.
4) 붉은 혀, 약간 부어 있고 뿌리가 없는 태이며 부분적으로 벗겨진 태이다
뇨빈, 야뇨니까 신양허.
양기부족으로 신양부족이 심양에 영향을 미친 것. 전체적으론 양기부족. 신양허.
심계불면이 있더라도, 뇨빈, 야뇨가 더 비중이 높다.
신양허나 비양허(양기부족으로)로 혈액생성이 안되서 심계, 불면, 혈허가 된 것.
신양허로 뇨빈, 야뇨… 비양허로 혈액생성이 안된 것.
답: 2
- 72 세 여성, 지난 10년 동안 심한 현기증과 이명, 오심구토를 동반한 메니에르병 때문에
고생했다. 또한 배가 아파 변을 보면 늘 무르고, 식사 후 복부 창통, 요통, 도한 증세를
호소했다. 환자의 맥은 가늘고, 특히 우측이 더 약하고 좌측은 약간 현맥이었다. 알맞은
설상은 ?
1)홍색설, 설이 약간 가늘다. 특히 설변이 약간 부어있다. 열문, 박락태
2) 홍색설, 설 전체가 부어있다. 특히 설변이 부어있다. 설근의 열문, 두꺼운 황태
3) 홍색설, 설 전체가 부어있다. 특히 섣변이 약간 부어있다.
4) 홍색설, 설이 약간 가늘며 특히 설변이 약간 부어있다. 설근의 열문, 희고 두꺼운 태
비기허인데, 요통 도한이니까 신음허. 맥은 가늘고, 음혈부족, 우측이 약한 것은 비가 약한 ㄱㅅ.
우측은 간기犯비.
간기犯비에 신음허. 그래서 답은?
일단은 안헷갈리게, 색은 다 홍색설. 비보다는 신음허가 주증. 그래서 홍색설에
설 전체가 부은 것은: 열증과 한증이 있는데…
커지려면 물과 피가 들어와야 하는 것이니까.. 물이 들어온게 한증. 양허. 즉 신양허.
피가 들어온 것은 열증. 그래서 심비열성. 특히 심장이 꼭 들어가야 한다. 혀를 담당하니까.
2,3번은 일단 틀렸고, 1,4에서 고르는데
1번이 답.
4번. 희고 두꺼운 태는 실증이라 안맞는다. 하초에 실증이라는 것.
- 설색이 창백하며 혀기- 굳었다면 또는 뺏뱃하다. 원인은 ?
1)뇌혈관장애 2) 기혈양허 3) 삼차신경통 4) 열입심포
강경설을 말하는 것. 腦혈관 장애. 혈색이 정상이니까.
뻣뻣하다는 것. 마비는 딱딱하진 않다.
腦혈관장애가 답.
열입심포는 창백하지 않겠다. 정상이니까 답이 아니다.
답: 1
- 항생제 복용환자, 비양허 증상을 보인다. 설상은 ?
1)누르스름한 얼굴, 반대설 2) 창백한 얼굴, 담홍설
3) 누르스름한 얼굴. 담홍섣 4) 창백한 얼굴, 심홍설
비양허니까 1번.
양허에 담홍은 나을 수 없다. 불가능하다.
비양허일 때 얼굴이 누르스름하다. 황허습
허증은 주로 비허. 혈허.
섭은 한습, 습열.
- 설색은 창백하며, 열문이 있고 건조하며 담백하다. 맥은 삼하다. 윈인은 ?
1)기허 2) 혈허 3) 양허 4) 열성상진
답: 혈허
- 설에 군데군데 짧고 불규칙한 열문(갈랴짐)이 있다. 예상되는 진단은 ?
1)신음허 2) 간음허 3) 위음허 4) 폐음허
답: 위음허
- 담화요심, 위장담화의 설상은 ?
1)설은 붉고, 설첨이 더 홍하고 건조한 황니태
2) 설이 붉고, 황태가 있다
3) 설이 붉고. 설첨이 더 홍하고 황니태
4) 설이 담백, 설이 부어있고, 두껍고 젠득찐득한 태가 젖어있다
설이 붉고, 설침이 붉으니까 황니태
- 중앙에 설태가 없다. 원인은 ?
1)위열 2) 위기허 3) 신음허 4) 비기허
위기허나 위음허. 답: 2
- 46세인 한 여성이 땀이 잘나고 추위를 싫어하며 따뜻한 물을 마시기 좋아하고 숨이 가쁘
며 말수가 적어지고 자꾸 앉으려고만 한다고 호소하였다. 이 환자의 얼굴색이 창백하면서
약간 푸른빛이 났으며 물 같은 설사를 하며 열이 있다가 없다가도 한다고 했다. 이 환자
의 설은 담백하며 태는 박백했다. 예상되는 맥은 ?
1)맥은 허약하며 좌판맥이 맥허무근하다 2) 맥이 홍허하며 우관맥이 맥허무근하다
3)맥세삭 하며 우관맥이 특히 약하다 4) 맥세약 우력하며 좌관맥이 특히 약하다.
자꾸 앉으려 했다: 기함.
불규칙한 발열: 기허발열
이사람 기함과 기허발열이 있다. 보중익기탕 증.
그래서 맥은 홍허.
홍기열. 홍맥, 기분증: 대표적으로 백호탕(홍대유력), 열증은 허실이 있는데, 허열은 기허발열, 실열은
양명경증이나 기분증. 심화 같은 것.
홍맥은 파도처럼 왔다가 꺼지는 것. 힘이 있으면 의자를 그냥 드는데, 힘이 없으면 에너지를 쓰고 나서
확 꺼지는 것.
홍허니까 홍대(실열일 때)
답: 2 맥홍하면 우관맥.
- 머리 꼭대기의 둔한 통증과 눈 뒤의 통증, 오심, 설사도 있다. 설상과 맥상은?
1)설색은 붉고, 황니태 /맥은 양쪽 모두 흥하다.
2)설변이 약간 붉고 백니태 /맥은 양쪽 모두 세하다
3)설색은 창백 /맥은 우측이 약하고, 좌측이 현하다
4)설색이 창백 /맥은 좌측이 약하고, 우측히 현하다
눈뒤의 통증
머리꼭대기 통증 2군데서 나온다. 간혈허와 간한범위.
간양상항은 머리 꼭때기에서 내려오는 것이고, 머리 꼭대기만 아픈 것은?
두정통: 간한범위, 간혈허. 이 두군데는 통증범위가 일정하지만
간양상항은 두통이 어깨까지 연결이 된다.
오심, 설사까지 있으니까 간양상항은 될 수가 없다. 간양상항은 대소변 문제가 없다.
답: 3
- 불면, 두훈, 심계, 유정. 가슴에 번열, 구설생창이 있고 요통, 소변단적을 호소한다. 가
장 알맞은 설은 ?
1)설근에 열문이 있으며, 설홍소태, 무태. 전동설, 맥부허
2) 설색이 붉고, 박락태, 섣첨이 더 붉고, 중심 열문이 설첨까지, 맥은 부허삭
3) 설전반부에 열문이 있으며 설홍소태 흑 무태, 맥부허
4) 설근에 열문이 있으며 설홍소태, 무태, 전동설, 맥부허 또는 세삭
불면,
전동설이 틀렸따. 전동설은 음허에서 안나온다고 했따. 1,4번은 아니다.
2번이 틀린게 없다.
3번, 설전반부는 폐.
전반부는 폐음허… 답: 2
- 설색이 창백 양변이 더욱 심하고 건조, 심하면 양변이 주황색을 띤다. 원인은 ?
1)비기허 2) 간혈허 3) 비양허 4) 간기체
간혈허
- 설변이 약간 미황색이다. 원인은 ?
1)비기허 2) 간혈허 3) 비양허 4) 간기체
간혈허
- 자한이 있는 청소년에게 나타나는 맥은 ?
1)지세 2) 부허 3) 지활 4) 유완
부허는 음허, 부허세삭은 음허.
유완. 유맥도 기허에 나온다. 이게 답
- 풍비의 설상과 맥상은 ?
1)설태박백 또는 박니, 맥부긴 또는 부완
3) 설태백니, 맥유완
2) 설태박백, 맥침긴
4) 설홍태황, 맥활삭
답: 1
부기는 한이 우세한것
부한은 풍이 우세한 것]
- 가벼운 오한발열이 있다. 어깨의 통증이 좌우로 이동하고 바람을 맞으면 통증이 심해진
다. 환자의 설상과 맥상은 ?
1)부긴 또는 부완맥, 설태박니
3) 백니태, 유완맥
2) 박황태, 부삭맥
4) 설홍태황, 활삭맥
가벼운 오한발열
통증이 이동하니까 풍비
답: 1
- 설색이 정상, 설변이 부어있고 중앙에 황니태가 있다면 ?
1)비기허, 위장의 담열(습열 2) 간화상염, 위장의 습열
3) 간기울결, 비기허 4) 간기울결, 위장의 담열
위장의 습열
답: 1
- 설색은 정상, 양변이 붓고, 중앙을 가로지르는 열문, 무태가 있다. 원인은 ?
1)비기허, 위장의 담열 2) 비기허, 위음허
3) 간기울결, 비기허 4) 간기울결, 위장의 담열
답: 2
중앙을 가로지르는 열문… 위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