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장부변증(1-80/282문제) Flashcards
(80 cards)
- 35세 환자 밥맛이 없고 사지가 늘 피곤하다. 일을 심하게 하면 얼굴에서 열이 난다.
복부 중압감을 느끼고 자주 소변을 본다. 진단은 ?
1)비양허 2)기음양허 3)기함 4)음허로 인한 허열
밥맛없고, 비기허 / 사지가 피곤: 비기허
복부가 무거운 것은 기함. / 자주 소변도 기함 (방광을 압박하니까)
답이 3번. 이때 보중익기탕.
- 오후조열, 도한, 불면이 있던 환자가, 식욕부진, 변당을 보이기 시작한다면 ?
1)심음허 2)기음양허 3)비기허 4)신음허
오후조열, 도한: 음허. 식욕부진 변당은 비기허.
그래서 답이 기음양허.
- 밤중에 열감을 호소하는 환자가 도한 건해 인건 변당 식욕부진, 피곤을 느낀다고 한다.
환자의 맥은 부허하였다. 진단은 ?
1)비양허 + 음허 2)비기허 + 음허 3)조사범폐 + 비기허 4)비기허 + 신양허
밤에 열나는 것은 위기영혈에선 영분 혈분. 장부변증에선 음허.
도한도 음허, / 건해는 폐음허 / 변당, 식욕… 비기허
답: 2
- 다섯 아이를 둔 엄마가 직장생활로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최근에 자궁하수 증세가
있다. 진단은 ?
1)기허 2)기체어혈 3)기함 4)간화
답: 3
승거해주는 것. 보중익기탕인데…
사군자탕에서 뭘 뺸다? 복령. 복령은 기를 내리기 때문.
비기허에서 기함이 되면, 기함을 을리는 것이 승거양기 (시허, 승마, 황기)
피가 부족해서 열이 뜨니까 보혈하기 위해 당귀. 당귀황귀탕이 금방 빠른 속도로 피를 만드는 것.
황기당귀는 순간적으로 만들어 돌린다. 이걸로 돌리고, 장기적으로 사물탕등을 쓴다.
전부다 보혈이니까 소화제로 진피. 진피양기는 승거양기를 도와준다. 보약의 소화를 도와주는 것.
- 기단, 호흡곤란, 심계, 입술과 설색이 청자색이다. 원인은 ?
1) 비기허가 폐기허를 유발했다 2)폐기허로 종기가 영향 받았다
3) 심기허로 선발기능이 저하 4)한사가 폐를 침범했다
기단니까 폐기허 / 심계, 입술 청자색이니까 심장어혈.
폐쪽에서 심장어혈을 만든 것.
폐기허로 종기가 영향을 받았따. 폐기허로 심어혈.
답: 2
- 명치에 덩어리가 촉지, 어두운 피를 구토, 어두운 면색, 밤에 심한 통증, 어두운 색의 대변
등을 호소한다. 진단은 ?
1)간혈허 2)심혈어 3)위혈어 4)비불통혈
어두운 피를 구토: 어혈 / 밤에 심한 통증: 어혈
답: 3
- 기운이 없고, 기단, 호흡소리 미약, 인후에 약간의 담명, 외한, 안색창백, 목소리가 작고, 적
은 양의 담을 뱉는다. 설색창백, 무태, 맥은 세삭하다. 진단은 ?
1)심기허 2)폐기허 3)폐조 4)풍한
기운이 없고 기단: 기허, 호흡소리: 기허. 폐는 무조건 담이 다 있다.
답: 2
- 월경전 증후군이 있는 환자, 술을 많이 먹고 얼굴에 뭐가 난다고 한다. 채식주의자이다.
진단은 ?
1)폐열, 간기울결 2)위열, 간기울결 3)폐열, 비기허 4)위열, 간음허
술 많이 먹고 얼굴에 뭐가 나오면 위열
답: 2
- 월경전과 월경증의 통증이 있다. 원인은 ?
1)기체와 혈허 2)기허와 혈열 3)기혈양허 4)기체어혈
기체 어혈이 답
소변 전, 소변 중, 소변 후
소변은 기화를 뜻한다. 소변전은 기가 막혀서. 소변후는 기가 빠져서. 소변증은 열이 뭉쳐서.
월경은?
월경전, 월경 중, 월경후
월경은 기혈이 내려오는 것. 간주소설.
월경전은 간기울결 / 월경후는 기혈양허 / 월경증은 한증 (피가 나가니까 더 차져서 더 아프다 냉해져서)
전과 중은 기체어혈
- 오랜 천식, 움직이면 심해지고 입을 크게 벌리고 어깨를 들썩거린다. 늘 피곤해하며 땀을
흘린다. 사지와 몸이 차다. 진단은 ?
1)폐기허 2)신정허 3)신기허 4)간기울결
기허천식.
답: 3
폐기허때는 몸이 차지 않다. 신양허를 끼고 있따. 신기허는
- 간양상항의 진단 기준은 ?
1) 두면과 하초의 증상이 있다 2)황태와 이변의 증상이 없다
3) 중초와 상초의 증상상 위주로 나타난다 4)설의 양변이 붉고 이변의 이상이 있다.
답: 2
- 측두통, 현훈, 이명, 수족진전, 설색이 창백, 설이 약간 건조, 설변이 미황하다. 진단은 ?
1)간양상항, 간혈허 2)간양상항, 간화 3)간양상항, 신음허 4)간양상항, 비기허
간혈허에서 간양상항이 왔따.
간신음허, 간혈허에서 오는 것이 간양상항.
- 측두통이 있으며 입이 항상 쓰며, 소변단적, 이노, 두훈, 감정변화가 심하다. 진단은 ?
1)간화 2)간기체 3)간양상항 4)간혈허
답: 1
- 친구가 죽은 후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자꾸 짜증을 내며 두통, 현훈, 불면, 악몽, 구갈,
차 음료를 자주 마신다. 진단은 ?
1)간화상염 2)심화항성 3)간기울결 4)위화치성
답: 1
- 여성 환자, 꿈이 많다. 판단력이 부족하여 결정을 잘 못 내린다고 회사에서 혼이 난 후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어느 장부가 가장 영향 받았겠는가 ?
1)간허 2)담허 3)신허 4)비허
못내린다고.. 전까진 담허.
그이후에 스트레스를 받으니까, 간허. 평상시에 담허인 사람이라는 것.
답: 간허
혼난 것이 간장혼의 혼.
- 여성 환자, 남자와 헤어진 후 2주가 지났지만 불안, 근심, 불면이 매우 심해졌다. 진단은 ?
1)간화 2)위화 3)심화 4)폐열
헤어진 화병
답: 심화
- 심혈허 환자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증상은 ???
1)안절부절 2)건망 3)월경불순 4)다몽
안절부절은 음허증. 허열.(음허동풍)
답: 2
- 불면, 흉통, 심계는 ?
1)간화상염 2)열사옹폐 3)간양상항 4)심화항성
심화항성
- 심계, 실면, 다몽, 건망. 면순이 창백하다. 원인은 ?
1)심음허 2)심혈허 3)심기허 4)심양허
심혈허
- 출산후 우울증이 생겼다. 가능한 병인은?
1)간기울체 2)심혈허 3)폐기허 4)허화
심혈허
- 구설생창, 불면, 불안, 구고를 호소하는 여성 환자가 동시에 유방창통, 협륵통, 월경부조를
호소한다. 치법은 ?
1)청심화, 안신. 소간해울 2)소간해울, 건비, 양혈
3)자음양혈, 보심안신 4)투사해울, 소간이기
구고까지는 심화.
그다음은 간기울결
답: 1
- 10년 동안 흡연을 해 온 환자가 평소 코피가 자주 났고 감기에도 자주 걸렸다고 했다.
환자는 최근 오한발열, 해수, 무한, 몸살로 고생한 후 소화불량, 구갈불욕음, 황달, 신중감이
있었으나 며칠 전 부터 입이 쓰고 불면, 소변단적. 변비 등을 호소했다. 병의 전변이
맞는 것은 ?
1)폐기허→풍한→습열→방광열 2)폐열→풍한→습열→간화
3)폐기허→풍열→습열→간기체 4)폐기허→풍한→한습→열증
흡연은 열을 발생시킨다. 코피니까 폐열.
몸살.. 풍한을 말한다.
소변신중감: 습열
입이 쓰니까 간화
답: 2
감기에 자주 걸린 것이 함정.
- 도한, 인건, 관홍이 있고, 설색은 정상이다. 진단은 ?
1)신음허 2)위음허 3)비기허 4)간혈허
답: 위음허 (설색은 언제나 정상)
- 여성환자, 월경 주기가 32일이었는데, 최근에는 60일 만에 월경을 하였다. 환자는 월경이
시작할 무렴이면 항상 유방통이 있었으며 소복과 하지가 매우 차다고 했다. 또한 월경통과
하복통이 너무 심해 회사를 결근하고 병원에 방문했다고 한다. 원인은 ?
1)기울 + 혈한 2)기혈체로 인한 포궁 이상
3)혈허로 인한 자궁어혈 4)양허로 인한 자궁어렬
유방통: 간기울결
한증
답: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