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증3 Flashcards
(130 cards)
l. 간양상항과 간화상염의 공통증상은 무엇인가 ?
1)번조, 급조이노, 이명, 이농, 두통, 현훈, 불면, 붉은 설변, 현맥
2)번조, 급조이노 이명, 목적종통. 눈의 작열감, 두통, 현훈, 불면, 붉은 설변, 현맥
3)번조, 급조이노, 이명, 눈의 팽창감, 안구건조, 두통, 불면, 붉은 설변, 현맥
4)번조, 급조이노, 구고, 출혈. 편두통, 갈증, 불면, 다몽, 붉은 설변, 현맥
답: 1
2번은 목정종통은 간화
간양상항은 눈은 빨갈수 있으나, 혈관 때문에. 그러나 열은 없다.
3번은 간양상항, 간음허에서 오는 것이니까
4번은 간화.
편두통은 둘다 가능.
- 흉중의 열감 갈증, 구설생창, 소변단적, 혈뇨, 소변삽통, 설침이 붉고 부어있으며 좌측 촌부맥이 현삭 또는 홍삭하다. 가장 적절한 진단은 ?
1)간화상염 2) 소장실열 3) 심화항성 4) 방광습열
답: 2
심화가 소장까지 내려갔다
소변삽통은 심화에서 안나온다
설첨이 붉었다는건 심화를 말한다
소변삽통이 있으니까 현맥이 나왔다.
- 다음 중 간화범폐 증상을 가장 잘 표현한 것은 ? *
1)해수, 천식, 흉통, 황담, 혈담, 구고, 갈증, 소변단적, 변건, 설홍황니태, 맥현긴삭
2)해수, 천식, 빠른 호흡, 황담, 구고. 급조이노. 두통, 현훈. 목적, 맥현활
3)번조, 급조이노. 이명, 눈의 팽창감, 안구건조, 두통, 불면, 붉은 설변, 현맥
4)해천. 비익선동. 황담. 갈증. 소변단적, 흉협창만, 구고, 설홍황태, 맥현삭
답: 2
구고
3번은 간양상항
4번은 열사옹폐. 열사옹폐에서 구고가 나을 수 있따. 2번과 감별잘해야 한다
줄친걸로 감별
- 소장기통의 증상을 가장 잘 표현한 것은 ?
1) 고환이 아래로 처지는 것 같다. 고환추창통, 장명, 실기 후 호전, 맥침현긴
2) 고환추창통, 고환수축통, 소복창만, 따뜻하면 호전, 백활테, 침현지
3) 하복부의 창만 및 소복견인통, 고환냉통, 자궁수축통, 담백설, 젖은 설, 맥침현지
4) 고환추창 및 수축통, 소복창만, 따뜻하면 호전, 소복급통이 요배까지, 백활태, 침현지
답: 1
장명은 소장의 상견증상.
기체니까 방귀끼면 좋아지고
맥침현긴. 현긴은 통증
고환추창은 한체간맥과 소장기통밖에 없다.
간담습열엔 고환에 염증이고.
2번은 한체간맥. 고환추창통은 같은데 한체도 기체, 소장기체도 기체. 창통은 기체.
수축은 한증. 그러니까 한체간맥에만 나오고…
따뜻하면 호전은 한첸간맥막 나온다. 침현지의 지도 한증
- 34세 여인, 복권에 당첨된 후 너무 좋아 웃음이 그치지 않았으며 배가 아프기 시작했다.
어느 장부의 문제인가 ?
1)심 2) 간 3) 비 4) 신
답: 1
심주신의 상태는 웃음
사촌이 논사서 배가 아픈 것도 심.
- 50세 여성 환자, 더운 지방을 여행한 후 머리가 어지럽고, 잠이 잘 안 오며 꿈이 많아졌다.
뚜렷한 이유도 없이 안절부절 하며, 근심, 걱정이 심해졌다. 입이 건조하고 밤에 심계가 심하다.
원인은 ?*
1)심화 2) 심음허 3) 심혈허 4) 서사의 심포 역전
어지럽고는 무시. 다 나오니까.
이유없이 안절부절은 음허!!!
입이 건조, 음허.
답: 2
- 45세 여인, 남편과 사별 후 하루하루가 너무 슬프다. 약간만 움직여도 땀이 난다. 피로가
심하고 면색은 창백하다. 설은 담백하고 양쪽 촌맥이 다 약했다. 적당한 진단은 ?
1) 비기허, 폐기허 2) 심기허, 폐기허 3) 폐기허, 신기허 4) 심기허, 신기허
약간만 움직여도 땀이 난다. 기허
피로가 심하고 면색창백도 기허
양촌맥은 심폐가 약한거니까
슬픔은 폐기를 소모. 그래서 심기를 소모.
답: 2
슬픔은 폐기를 손상하니까… 초상집에 있는 사람이 모두 얼굴이 하얗다.
폐는 또 눈물.
웃는 것으로 화극금으로 슬픔이 없어진다.
피로의 1순위는 비기허인데
나머지를 보면 비기허가 주가 아니다
- 38세 남성, 근심, 걱정이 많은 편이다. 운동할 때면 특히 호흡이 가쁘며 심장 주변의
불편감이 통증이 있곤 한다. 손톱이 청자색이고 손이 차다. 맥은 껄끄럽고, 느리고 불규칙하게
멎곤 했다. 진단은 ? *
1) 심기허 2) 심양허 3) 심혈어 4) 심혈허로 인한 심혈어
운동할 때 호흡이 가쁘며: 기단
심장쪽이 아프다.
손톱이 청자색이고 손이 차다.
심혈어가 답.
몸이 차다니까, 심양허로 인한 심어혈. 답: 3
혈허가 틀렸다. 그래서 4번이 아님.
- 총체적인 기탈은 대부분 무엇의 탈증이 원인인가 ?
1)비의 곡기 2) 폐의 종기 3) 심의 영기 4) 신중정기(賢中精氣, 신양, 신음)
답: 4
- 42세 여성 환자, 출산 후 근심, 걱정이 많고 쉽게 잘 놀란다. 잠들기 전에 가슴이 두근거려
잠들기가 불편하다. 맥은 껄끄럽고 설은 약간 건조했다. 진단은 ?
1)심혈허 2) 심기허 3) 심양허 4) 심혈
잠들기 전에 불편한건
혈허나 음허
낮에는 기허 양허 습
심혈허가 답
- 산후 우울증, 정신착란의 원인은 ?
1)심혈허 2) 간기울결 3) 간혈허 4) 심혈어
답: 1
귀비탕 가감해서 먹이면 정상이 됨.
산후 우울증으로 애기가 이상하게 보이기도 하기 때문.
- 여성이 최근 들어 불면, 다몽, 근심, 걱정, 건망, 지력감퇴, 잘 놀란다. 원인은 ? *
1)간혈부족 2) 심혈부족 3) 심음부족 4) 담허
근심걱정은 제외.
건망은 1순위가 심혈허
여기에 음허증상이 나오면 심음허.
근데 없으니까 심혈허
답: 2
- 51 세 여자, 손발의 순환장애를 가지고 있다. 정신이 깜빡깜빡 하며 잘 기억이 나지
않으며
어지럽기도 하며 또한 손발이 자주 저린다. 밤에 주로 심계가 심해지며 불면이 있다. 가끔
머리 꼭대기에도 통증이 온다. 진단은 ?
1)심혈허 2) 심간혈허 3) 심음허 4) 간심음허
건망: 심혈허.
손발이 저린다 간혈허
밤에 주로 심계: 심혈허나 음허
머리꼭때기 통증; 간
답:2
- 50세 여자, 밤에 화장실에 가려고 일어나면, 잠옷이 땀으로 젖어있다. 가슴도 두근거리고
허리도 아프다. 주로 밤에 얼굴이 화끈 거린다. 알맞은 진단은 ?
1)심신음허 2) 심간혈허 3) 간신음허 4) 심신양허
도한. 음허. 잠옷이…여기까지.
가슴이 두근. 심
답: 1
밤이나 오후에 얼굴이 화끈 이것도 음허
- 잠들기 힘드나 일단 잘 들면 숙면을 취한다. 건망, 손톱색이 창백하다. 원인은 ?
1)심혈허 2) 심음허 3) 심기허 4) 담허
잠들기 힘드나…
답: 1
- 잠들기는 불편하지 않고 잠을 자는 도중에 자꾸 깬다. 원인은 ?
1)심혈허 2) 심음허 3) 간음허 4) 신음허
답: 4
- 잠들기 힘들고 잠들어도 자주 깬다. 밤새 내내 계속되는 꿈이 수면을 방해한다. 또는 잠을
밤새 내내 잘 수 없다. 원인은 ? *
1)심혈허 2) 심음허 3) 심양허 4) 심기허
답: 2
- 쉽게 놀란다. 기억력이 감퇴되는 것 같다, 움직이면 땀이 난다. 심계, 피로가 심하다.
원인은? *
1)심헐허 2) 심음허 3) 심양허 4) 심기허
건망: 혈허
움직이면 땀이 난다: 기허
피로가 심하다 기허
1번 4번 둘중 하나인데
건망은 심혈허가 일순위.
중의진단학은 모든 심장엔 건망이 들어가 있다. 심양허에도 있고…
건망을 빼고 모두 기허면 기허를 답으로 해야 한다.
답: 4
- 45 세 여성, 가슴이 두근거리며 머리가 어지럽다. 잠도 잘 오지 않으며 꿈이 많다. 조그만
일에도 잘 놀라며, 늘 근심과 걱정이 심하다. 가슴에 열이 나며 마음이 조마조마하며, 잠을
자다가 자주 일어나곤 한다. 진단은 ?
1)심혈허 2) 심음허 3) 담허 4) 간혈허
가슴두근: 심장 / 잠이 오지 않으며: 이걸로 모른다.
가슴에서 열이 나며: 음허열
마음이 조마조마…잠을 자다가
심음허
- 45세 여성 환자, 잠들기가 힘들며 근심, 걱정이 많다. 설첨이 홍색이며 약간 부어있으며
설체에는 홍반점이 있다. 중앙의 깊은 열문이 설첨까지 이어지고 박락태가 보인다. 맥은 촌맥이
부(浮)했고, 척맥이 약간 약했다. 진단은 ?
1)심혈허 2) 심음허 3) 간신음허 4) 간화
잠들기 힘들며: 심혈허
설첨이 홍색: 열증
홍반점: 열증
설첨까지 이어지고… 이것도 심장
박락태니까 음허
그래서 심음허가 답
- 심계, 면색광백, 자한, 잠을 자고 싶은데 잠이 들기 어렵다. 건망, 설담백윤태. 원인은 ? *
1)심양허 2) 신음허 3) 심음허 4) 심혈허
잠을 자고 싶은데 들기 어렵다: 심혈허
건망ㄷ, 자한.. 면색광백..
백윤태, 윤기있는 태가 있으니까 양허.
1
설이나 전체 종합을 ㅂ ㅘ야 한다.
심혈허로 가면 광백이 안맞는다.광백은 양허의 전형적인 것. 혹 기허.
18, 21은 참고로 볼 것
- 60세여성, 오랜 근심, 걱정, 가슴이 두근두근하며 자꾸 불안하다. 입이 마르고 설이 붉다.
혀에 생긴 궤란의 테두리가 백색이다. 원인은 ? *
1)심화항성 2) 심음허 3) 신음허 4) 심혈허
심음허
궤란의 테두리가 백색 또는 담홍색.
- 구고, 자꾸 짜증, 충동질, 면적, 소변적, 갈증, 설홍, 설첨이 더 붉고, 홍반점, 후황태, 중앙
열문이 설첨까지 이어져 있다. 원인은?
1)심음허 2) 심화 3) 간화 4) 간화범폐
심화
- 잠을 자다가 자주 일어나며, 꿈에 불을 자주 보거나 날아다니는 꿈이 수면을 방해한다.
구고, 면적, 짜증, 혈뇨, 심계가 있다. 원인은 ?
1)심화 2) 간화상염 3) 심음허 4) 심신불교
자주일어나며: 음허같은데…
꿈에 불을 자주 보면… 실증.
구고도 실증
혈뇨: 심음허엔 안나온다.
그래서 답이 심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