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또의 임상노트 Flashcards
(80 cards)
ABGA
artery blood gas analysis. 동맥혈 가스분석
산소요법(저용량, 고용량)을 적용하는 사람 특히 고용량의 산소요법을 적용하는 환자에게 중요한 검사. Ventilator(인공호흡기) 적용하는 환자에게도 기계값 변경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됨. 수액 및 전해질 교정, 수술후 치료에도 필요한 검사.
수치가 괜찮으면 감량하지만, 수치가 안좋으면 증량하는 경우도 있음.
-A-line catheter 있으면 이쪽으로 samplingㅎㅏ면 됨 ★
-최소 2-3cc 이상 되어야 함.
ABGA 준비물품
ABGA 실린지, 토니켓, 소독솜
->바로 얼음 넣어서 내림.
ph
- normal: 7.35-7.45
- 산증인지, 알칼리증인지 가림.
PaCO2
-normal:35~45
-CO2가 폐에서 얼마나 잘 제거되고 있나. CO2는 몸의 조직에 의해서 발생되며, 폐를 통해 제거되고, PCO2의 수치는 폐의 기능을 나타낸다.
PaCO2가 높으면 산증. 낮으면 알칼리증
PaO2
- normal: 80~100
- 피안에 용해된 O2의 양. 60% 이하면 조직 ㅈㅓ산소증
HCO3
- normal: 22-26
- ABG의 대사성 구성요소. HCO3는 신장에 의해서 생성되며, HCO3 수치의 변화는 신장의 대사성 기능을 나타낸다. 낮으면 산증, 높으면 알칼리증
BE
- base excess
- normal: -2~+2
- acid-base 질환의 대사성요소. 그사람이 대사성 산증인지, 대사성 알칼리증인지 알려줌.
SaO2
- O2 saturation.
- normal: 95-100%
간혹가다가 ABGA 수치가 모니터랑 차이가 많을 경우?
Vein이 조금 섞여 있는 것일 수도 있으니, 다시 ABGA 시행하여 기계에 적용합니다.
Respiratory, Metabolic인 경우 각각 주의깊ㄱㅔ 봐야되는 수치는?
Respiratory(호흡성): PCO2 잘 보기.
Metabolic(대사성): HCO3 잘 보기.
단계별 ABGA 분석!
1. pH 분석 \: 7.35 ↓= 산증, 7.45 ↑ =알칼리증 2. pCO2 분석 \: 35 ↓= 알칼리증, 45↑= 산증 3.HCO3 분석 \: 22 ↓= 산증, 26↑= 알칼리증
- PCO2 또는 HCO3와 함께 pH 맞추기.-호흡성 산증: pH 7.35↓, PaCO2 45↑, HCO3 = 정상 -> “severe athma, pneumonia, Hypoventilation”-호흡성 알칼리증pH 7.45↑, PaCO2 35↓, HCO3 = 정상 -> “Hyperventilation, panic attack, aspirin poisoning”
-대사성 산증pH 7.35 ↓, HCO3 22↓, PaCO2= 정상 - >”Diabetic ketoacidosis, Lactic acidosis, Alchol, salicylate “
-대사성 알칼리증pH 7.45↑, HCO3 26↑ PaCO2= 정상 ->”severe vomiting, K↓”
* 이는 Uncompensated에 대한 것이고, 아래는 partially compensated, Fully compensated. - PaO2, SaO2 분석
: PaO2 80% ↓, SaO2 95%↓= Hypoxia(저산소증) 의심.
ABGA- 보상(compensation)
- Uncompenseted
- > PCO2 혹은 HCO3 둘 중하나 정상 - Partially compensated
- > pH, PCO2, HCO3 세 개 다 비정상 - Fully compensated
- > pH는 정상범위.
pH가 낮으면?
Bivon을 bolus로 1@~4@ 까지 적용
PCO2 높으면?
Ventilator 변경하여, PCO2 배출하도록 도움.
PO2 좋거나, 안좋으면?
PO2 좋으면 O2 tappering
PO2 안좋으면 O2 올림.
Electolyte (전해질) 이란?
세포내액이나 세포외액에서 전기를 띤 이온. 신체수분 조절(삼투압조절), 산-염기 조절, 효소반응, 신경근 활동 등 많은 부분에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Normal range로 교정이 필요함. 핵심은 세포내액의 K, 세포오ㅣ액에는 Na이 대다수 분포, 특히 Na은 체액균형에 가장 큰 영향.
Ca과 반대의 관계는 ?
P(인)
-Vit,D는 위장관계에서 Ca흡수를 돕는 반면, P은 Ca흡수를 방해함.
부갑상샘 호르몬(PTH, Parathyroid hormone)이 영향을 미치는 electro?
혈청 ca, P 조절
- 뼈로부터 ca, P 흡수 증가
- 신세뇨관에서 P 재흡수 방해-> Ca 재흡수 증가
- 위장관계에서 Ca, P 흡수를 증가시킴.
* PTH ↑ -> 혈청 Ca↑, P↓
* PTH ↓-> 혈청 Ca↓, P↑
* 혈청 Ca 조금만 떨어져도 PTH 분비가 증가한다.
* 갑상샘에서 분비되는 칼시토닌은 PTH와 반대작용으로 뼈로부터 Ca 흡수를 방해하여 Ca균형 유지.
Ca
-normal range: 4.5-5.5mEq/L 또는 8.7~10.3mg/dl
-신경근육 신호, 심근수축, 호르몬 분비, 혈액응고와 같은 다양한 생리적 과정을 조절하여 정상적인 세포기능과 신호전달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
-신체 내 99% Ca은 뼈와 치아에 있고, 나머지 1%만 조직, 혈관내 체액에 있어 신체 이온상태 정확하지 않음. 대신 혈청 알부민농도와 pH 수준이 혈청 칼슘농도 해석에 많은 영향. (알부민 낮으면= Ca 정상인것처럼 나옴, 알부민 높으면= Ca 낮음) (pH가 알칼리= Ca정상처럼 보이나 실제 더 낮음, pH가 산성= Ca 높음)
★ 칼슘 50%는 유리형태, 50%는 주로 알부민에 부착. 따라서 알부민 변화= 총혈청 Ca 변동을 초래.
P
- normal range: 2.4-4.5mEq/L
- 85%는 뼈에 있고, 14%연조직, 1%혈관내
- 강하고 튼튼한 뼈와 치아를 유지, 체내 에너지 시스템(ADP,ATP), 인산 산-염기 완충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
저칼륨혈증?
- Ca 4.5mEq/L 또는 8.7mg/dl 이하
- 어린이, 노인, 수술환자에서 자주 발생
저칼슘혈증 원인
- 산증을 지나치게 교정하다가 저칼슘혈증을 초래하기도 함. 알칼리증이 Ca 감소시키고, 더 많은 칼슘-단백질 결합을 초래.
- 식이로 부적절한 칼슘 섭취, 비타민 D결핍, 과다한 P섭취,장에서 지방 섭취 불량, 설사, 칼슘결합(대사성 알칼리증, 오래 보관된 혈액 수혈, 질환, 투약, 폐경기
저칼슘혈증 증상
대부분 신경근육의 흥분과다.
강직증상, 입주변 뒤틀림, 손가락 저리거나 무감각, 사지경련, 얼굴경련, 후두경련, 심하면 강직성 경련
혈압 기준
- 140/90이상 = 1기 고혈압
- 160/100이상=2기 고혈압
- 저혈압 = 90 이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