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또의 임상노트 Flashcards

(80 cards)

1
Q

ABGA

A

artery blood gas analysis. 동맥혈 가스분석
산소요법(저용량, 고용량)을 적용하는 사람 특히 고용량의 산소요법을 적용하는 환자에게 중요한 검사. Ventilator(인공호흡기) 적용하는 환자에게도 기계값 변경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됨. 수액 및 전해질 교정, 수술후 치료에도 필요한 검사.
수치가 괜찮으면 감량하지만, 수치가 안좋으면 증량하는 경우도 있음.
-A-line catheter 있으면 이쪽으로 samplingㅎㅏ면 됨 ★
-최소 2-3cc 이상 되어야 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ABGA 준비물품

A

ABGA 실린지, 토니켓, 소독솜

->바로 얼음 넣어서 내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ph

A
  • normal: 7.35-7.45

- 산증인지, 알칼리증인지 가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PaCO2

A

-normal:35~45
-CO2가 폐에서 얼마나 잘 제거되고 있나. CO2는 몸의 조직에 의해서 발생되며, 폐를 통해 제거되고, PCO2의 수치는 폐의 기능을 나타낸다.
PaCO2가 높으면 산증. 낮으면 알칼리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PaO2

A
  • normal: 80~100

- 피안에 용해된 O2의 양. 60% 이하면 조직 ㅈㅓ산소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HCO3

A
  • normal: 22-26

- ABG의 대사성 구성요소. HCO3는 신장에 의해서 생성되며, HCO3 수치의 변화는 신장의 대사성 기능을 나타낸다. 낮으면 산증, 높으면 알칼리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BE

A
  • base excess
  • normal: -2~+2
  • acid-base 질환의 대사성요소. 그사람이 대사성 산증인지, 대사성 알칼리증인지 알려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SaO2

A
  • O2 saturation.

- normal: 95-100%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간혹가다가 ABGA 수치가 모니터랑 차이가 많을 경우?

A

Vein이 조금 섞여 있는 것일 수도 있으니, 다시 ABGA 시행하여 기계에 적용합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Respiratory, Metabolic인 경우 각각 주의깊ㄱㅔ 봐야되는 수치는?

A

Respiratory(호흡성): PCO2 잘 보기.

Metabolic(대사성): HCO3 잘 보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단계별 ABGA 분석!

A
1. pH 분석
\: 7.35 ↓= 산증, 7.45 ↑ =알칼리증
2. pCO2 분석
\: 35 ↓= 알칼리증, 45↑= 산증
3.HCO3 분석
\: 22 ↓= 산증, 26↑= 알칼리증
  1. PCO2 또는 HCO3와 함께 pH 맞추기.-호흡성 산증: pH 7.35↓, PaCO2 45↑, HCO3 = 정상 -> “severe athma, pneumonia, Hypoventilation”-호흡성 알칼리증pH 7.45↑, PaCO2 35↓, HCO3 = 정상 -> “Hyperventilation, panic attack, aspirin poisoning”
    -대사성 산증pH 7.35 ↓, HCO3 22↓, PaCO2= 정상 - >”Diabetic ketoacidosis, Lactic acidosis, Alchol, salicylate “
    -대사성 알칼리증pH 7.45↑, HCO3 26↑ PaCO2= 정상 ->”severe vomiting, K↓”
    * 이는 Uncompensated에 대한 것이고, 아래는 partially compensated, Fully compensated.
  2. PaO2, SaO2 분석
    : PaO2 80% ↓, SaO2 95%↓= Hypoxia(저산소증) 의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ABGA- 보상(compensation)

A
  1. Uncompenseted
    - > PCO2 혹은 HCO3 둘 중하나 정상
  2. Partially compensated
    - > pH, PCO2, HCO3 세 개 다 비정상
  3. Fully compensated
    - > pH는 정상범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pH가 낮으면?

A

Bivon을 bolus로 1@~4@ 까지 적용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PCO2 높으면?

A

Ventilator 변경하여, PCO2 배출하도록 도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PO2 좋거나, 안좋으면?

A

PO2 좋으면 O2 tappering

PO2 안좋으면 O2 올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Electolyte (전해질) 이란?

A

세포내액이나 세포외액에서 전기를 띤 이온. 신체수분 조절(삼투압조절), 산-염기 조절, 효소반응, 신경근 활동 등 많은 부분에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Normal range로 교정이 필요함. 핵심은 세포내액의 K, 세포오ㅣ액에는 Na이 대다수 분포, 특히 Na은 체액균형에 가장 큰 영향.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Ca과 반대의 관계는 ?

A

P(인)

-Vit,D는 위장관계에서 Ca흡수를 돕는 반면, P은 Ca흡수를 방해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부갑상샘 호르몬(PTH, Parathyroid hormone)이 영향을 미치는 electro?

A

혈청 ca, P 조절

  1. 뼈로부터 ca, P 흡수 증가
  2. 신세뇨관에서 P 재흡수 방해-> Ca 재흡수 증가
  3. 위장관계에서 Ca, P 흡수를 증가시킴.
    * PTH ↑ -> 혈청 Ca↑, P↓
    * PTH ↓-> 혈청 Ca↓, P↑
    * 혈청 Ca 조금만 떨어져도 PTH 분비가 증가한다.
    * 갑상샘에서 분비되는 칼시토닌은 PTH와 반대작용으로 뼈로부터 Ca 흡수를 방해하여 Ca균형 유지.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Ca

A

-normal range: 4.5-5.5mEq/L 또는 8.7~10.3mg/dl
-신경근육 신호, 심근수축, 호르몬 분비, 혈액응고와 같은 다양한 생리적 과정을 조절하여 정상적인 세포기능과 신호전달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
-신체 내 99% Ca은 뼈와 치아에 있고, 나머지 1%만 조직, 혈관내 체액에 있어 신체 이온상태 정확하지 않음. 대신 혈청 알부민농도와 pH 수준이 혈청 칼슘농도 해석에 많은 영향. (알부민 낮으면= Ca 정상인것처럼 나옴, 알부민 높으면= Ca 낮음) (pH가 알칼리= Ca정상처럼 보이나 실제 더 낮음, pH가 산성= Ca 높음)
★ 칼슘 50%는 유리형태, 50%는 주로 알부민에 부착. 따라서 알부민 변화= 총혈청 Ca 변동을 초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P

A
  • normal range: 2.4-4.5mEq/L
  • 85%는 뼈에 있고, 14%연조직, 1%혈관내
  • 강하고 튼튼한 뼈와 치아를 유지, 체내 에너지 시스템(ADP,ATP), 인산 산-염기 완충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저칼륨혈증?

A
  • Ca 4.5mEq/L 또는 8.7mg/dl 이하

- 어린이, 노인, 수술환자에서 자주 발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저칼슘혈증 원인

A
  • 산증을 지나치게 교정하다가 저칼슘혈증을 초래하기도 함. 알칼리증이 Ca 감소시키고, 더 많은 칼슘-단백질 결합을 초래.
  • 식이로 부적절한 칼슘 섭취, 비타민 D결핍, 과다한 P섭취,장에서 지방 섭취 불량, 설사, 칼슘결합(대사성 알칼리증, 오래 보관된 혈액 수혈, 질환, 투약, 폐경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저칼슘혈증 증상

A

대부분 신경근육의 흥분과다.

강직증상, 입주변 뒤틀림, 손가락 저리거나 무감각, 사지경련, 얼굴경련, 후두경련, 심하면 강직성 경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혈압 기준

A
  • 140/90이상 = 1기 고혈압
  • 160/100이상=2기 고혈압
  • 저혈압 = 90 이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촉진법으로 잴때
수축기압에서 -40한걸 이완기압으로 봄
26
자동혈압계로 재서 이상 혈압나오면
다른팔도 재보고->메뉴얼로 다시 측정. Sx 있는지 물어볼 것(두통, 현기증 등) -애메한 수치는 30분-1시간 뒤에 다시 측정,격렬한 활동한 경우도 다시 측정 -PRN 적용할 정도의 수치면 적용함.
27
너무 obesity한 환자 혈압
자동혈압계 손목에 감아서 잼.
28
노인분들 혈압강하제 먹는데 저혈압이면
2-3일 지켜보다가 주치의한테 노티하고 hold
29
투석하는 사람 투석하고 저혈압이면
투석 당일만 혈압강하제 hold하기도..
30
주로 쓰이는 혈압약
카프릴(captopril), 인데놀정, 딜라트렌정, - 이뇨제 : 라식스, 다이크로짇정, 알닥톤, - Ca길항제: 암로디핀정, 헤르벤정, 페르디핀정,
31
HR 120 이상이면
메뉴얼로 1분 다시 재보고, 주치의 노티해서 EKG찍을지 물어봄. (미리 EKG찍은거 있는지 확인후)
32
부정맥 있는 사람 바이탈 유의점
- 부정맥(arrhythmia) :맥박이 빨라졌다가 느려졌다가 하는 불규칙적인 상태. | - 부정맥은 반드시 메뉴얼로 1분 Full로 재야함.
33
심질환 환자 갑작스러운 Tachycardia?
- 심질환 환자는 멀쩡하다가 갑자기 arrest날 수 있음. - 이상징후 있는지 물어보고, 닥터 노티하기 - 과하게 땀 흘리고, 타키카디아와 함께 과호흡 있으면 EKG monitoring하기. (이경우, 헤르벤이나 아데노신 투여할 가능성이 크고 어레스트 대비할것. 아데노신은 DC칠 준비도,,)
34
임종이 임박한 DNR환자
EKG monitoring하기. - 사망진단서에 flat rhythm첨부함. - 급격한 컨디션 저하, 체인스톡호흡, 소변량이 줄고, 맥박 및 산소포화도가 줄면 EKG 부착하고 모니터링. (40대로 맥박수 떨어지면 임종 거의 다가온 것임) (사후처치 간호에 쓸 시간을 마련하기 위해 남은 일을 서둘러 해야함)
35
PSVT란?
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발작성 심실성 빈맥. - 갑작스럽게 빈맥이 발생하고 사라지는 것 - EKG상 리듬-> 빈맥이 발작적이고 규칙적, QRS너비가 좁게 나타남. - Pulse 150-200회/min, 심계항진, 흉통, 실신 등을 호소함
36
심장관련 검사 종류?
- EKG(주변에 전자기기 없도록, pacemaker insert한 상태라면 주치의한테 노티해서 그래도 찍을건지 물어보기), - 24hr holter monitoring(내릴때 생활일지랑 같이 내리기, holter 부착시 x-ray 촬영이 어려우므로 엑스레이를 미뤄서 찍을건지 잠깐 홀터 빼고 찍을건지 주치의한테 물어보기), - TTE(transthoracic echocardiography,경흉부심초음파, 비침습적. 준비할거 없음) - TEE(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식도경유심초음파. 침습적으로 식도에 검사기구를 넣어서 심장 모습을 촬영) - EPS(electro physiology study, 전기생리검사. 심장에 계획된 전기자극을 주어 심장내 전기활동을 기록하는 침습적 검사. 부정맥과 전도장애를 유도하는 검사.
37
Pacemaker?
심박조율기. 서맥성부정맥치료위해 사용되는 장치임. 일정 세팅값보다 맥박 느리면 전기자극을 심장에 보내서 정상 심장리듬을 유지.
38
ICD¨?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삽입형 제세동기. | 중증 부정맥을 치료하기 위해 체내에 이식하는 제세동기.
39
우리 병원에서 주로쓰는 항부정맥제
대한리도카인염산염수화물2%주, 인데놀정, 코다론정, 헤르벤정
40
SPO2 정상
96-100% | -단, COPD= 90까지 정상으로 봄.
41
Tracheostomy?
- 기관절개술. 기도유지를 위해 시행. 기관내분비물 제거위해 | - 트라코 내관은 매일 세척하여 교환하며, 1달에 1번 새것으로 사용.
42
T-tube 제거 조건?
- 72시간 이상 T-tube 막고, 호흡곤란 증세가 없어야 함. - 객담을 기침을 통해 스스로 뱉을줄 알아야함. - 음식물 섭취를 구강을 통해 스스로 할 수 있고, 기관으로 넘어가지 않아야 함.
43
Suction할 때 Tip
- 머리에 있던 베개를 등 밑에 넣어 목을 과신전 시켜줌(깊은 곳에 있는 가래를 제거할 수 있음) - 입을 벌려주지 안는다면 코로 suction OR 목을 간지럽히거나, 볼에 통증을 줌 (간혹 구강석션으로 양이 별로 없는데 비강으로 더 잘되기도 함) - T-tube 환자의 경우 0.1-0.2cc 정도 뮤코미스트나 N/S 넣어줌 (자칫 aspiration 일어날수 있으므로 주의. 자신없으면 아예 하지 말아야함)
44
벤톨린?
- 기관지를 확장시킴. 급성천식발작 증상 완화, 만성기관지 경련에 사용. 칼륨수치ㅣ 낮출때도 사용 | - 15분만에 효과 나타남. 3-4시간 약효지속.
45
아트로벤트?
- 기관지를 확장. 기도폐쇄성질환(천식,COPD, 폐기종)에 사용 | - 1-3분만에 효과 나타남, 6시간 약효지속
46
부데코트 ?
- 기관지 염증반응 억제. 기관지 천식 치료제로 사용, | - 중요: 사용 직후 물로 입안과 얼굴을 잘 헹궈줘야함
47
풀미칸?
- 기관지 염증반응 억제. 기관지 천식 치료제로 사용, | - 중요: 사용 직후 물로 입안과 얼굴을 잘 헹궈줘야함
48
뮤코미스트
-가래점도를 낮춰 쉽게 배출되도록 도움. 기관지천식, 기관지 확장증 환자 치료제로 사용
49
Nebulizer 사용 순서?
벤톨린, 아트로벤트( 섞어서 사용 가능)->부데코트(풀미칸)-> 뮤코미스트( 단독으로 사용) | -Nebulizer 기계 밑에 수건 깔면 소음 줄어듦.
50
3% NaCL Nebulizer
삼투압의 원리로 기관지 내 객담배출 유도.( 일반 N/S로 하기도 함.)
51
Lidocaine Nebulizer
기침을 억제하기 위해 시행함. 일시적인 마취효과로 기침이 억제됨.
52
Inhaler 사용시?
흡입 전 숨을 최대한 내쉬고, 흡입 후 가능한 10-15초간 숨을 참아야함.
53
Nasal prong ?
- 2-5L/min 까지 사용. | - 6L 이상 사용시 두통, 점막건조를 초래함.
54
Simple mask?
- 5-8L/min 까지 사용, | - COPD 환자에게 사용하지 않음. 마스크 사용자는 식사시엔 잠깐 nasal로 바꿔서 식사함.
55
부분 재호흡 mask
- 6-10L/min | - 위급시엔 비재호흡마스크 가져가는게 좋음
56
비재호흡 mask
-6-15L/min
57
벤츄리 mask
-일정한 FiO2를 공급해주는 고유량 물품. COPD환자에게 적용되는데 임상에선 nasal 많이 사용.
58
High flow,airvo
- 고농도(10-60L/min), 따뜻하고 가습된 산소를 제공하여 불편함, 점막손상을 줄여줌 | - 알람 울리면, 산소 라인 찌그러진 부분 없는지, 환자에게 잘 공급되고 있는지, 통이나 라인 제대로 연결되어있는지, 멸균증류수 bag에 충분히 남아있는지 확인.
59
Ice bag apply시 적절한 위치
양쪽 겨드랑이가 큰 혈관이 지나가는 곳으로 체온을 떨어뜨리기에 효과적임. 땀에 젖어있다면 옷 갈아입도록 하고 미온수 마사지 해주는게 좋음. 오한있다면 체온이 더 오른다는 의미임
60
TB 환자의 경우 밤에 열나는 특징있음
-결핵환자는 밤에 열나고 아침되면 괜찮아지는데 노티할 때 같이 언급하고, 대게 심한 고열로 진행되지 않는다면 obs가 많음.
61
Fever study?
- Cx: blood, Urine, sputum, wound - x-ray, lab, korean virus 검사, 인플루엔자 검사 - 목적: 배양검사를 통해 원인균 찾아내 감수성 있는 항생제 선택하기 위해 또는 사용하고 있는 항생제 치료효과를 보기위해 - 항생제 주기 전에 컬쳐 다 진행하기.
62
인플루엔자 검사?
- swab으로 호흡기 검체 채취 : 72시간 안에 검사실로 보내야함. Fee 매기기. - Rapid antigen test (신속항원검사) -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이건 검체용기 타와야 될걸...?
63
타이레놀 주의사항
- 많은 땀과 함께 열이 떨어지기 때문에 미리 설명. | - 간수치에 영향을 주므로, OT/PT 슈치 잘보기.
64
중추성 진통제
- 해열, 진통, 엔세이드와 달리 소염작용은 없음. | - 아세트아미노펜, 타이레놀, 게보린, 데노간
65
NSAID
Non steroidal anti innflammatory drug. - 해열, 진통, 소염. - 위장장애 문제 생길 수 있음. 식후 복용해야 됨. 엔세이드 중복사용 안됨. - 이부프로펜
66
Aspirin
- 해열, 진통, 소염, 저용량(100mg이하)= 대게 혈전예방 목적으로 사용. 출혈위험있음 | - 아스피린
67
인퓨젼으로 승압제 사용시 주의
Line function 괜찮은지 잘 확인. | -line 안좋다고 N/S 한번에 push하면 혈압 확 오르니까... 주의
68
저혈압이라 수액 증량되면 체크
오늘 하루동안 줘야될 수액만큼 오더있는지 확인
69
승압제 start시??
Target BP, 증감량 어떤 기준으로 증감량할지, 맥시멈 몇cc까지 증량할건지
70
Pulse 이상시
흉통여부, 식은땀 여부 확인-> 이상 있으면 EKG고고 흉통(언제부터, 어디가, 어느정도로, 어떻게 아픈지,지속시간) -협심증 환자의 경우 아프다고 하기보다 답답하다고 하는 경우가 많고 이럴때 넘어가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 -방사통도 많으므로 주의. 가슴이 아닌 턱, 목, 가슴, 어깨 , 팔, 등
71
Sat 떨어진다?
제대로 부착되어있는지, 측정 잘안되면 여러기계 가져와서 확인(숨차면 빨리 머리 올리기.) 수치 계속 안뜬다고 보다가 Hypixia 빠짐. - 객담때문은 아닌지 확인.(석션 제대로 해주기) - 좌위, 파울러체위 취해주기
72
Fever & sat
열나면 sat괜찮은지 확인하고, Sat 떨어지면 열나는지 확인하기. Pn환자가 이런경우가 많음.
73
Fever나면 확인할거?
처음 열나는건지, Cx한지 2주 지나지는 않았는지.
74
24hr holter monitoring 할 때
-엑스레이 촬영 어려우므로 처방 있으면 엑스레이를 미룰지 홀터를 엑스레이 촬영동안 뗏다가 부착할지 컨펌받기 - EKG는 부착부위를 살짝 옆으로 해서 찍음
75
항생제가 바뀌거나 새로 추가되면
- 효능을 보기위해 blood culture 처방 받을 것 | - AST 할 것
76
열나면 확인할거
오한 떨림 있는지 구토, 설사, 발진 증상 있는지
77
Cancer fever
백혈구가 줄거나 면역력이 떨어지면 감염되어 열이 남. 암세포가 파괴되어 세포 안에서 열나게 하는 물질들이 방출되면수 열이 남. 암 덩어리가 너무 커져서 안쪽 세포가 죽으면서 고름이 차면서 열이남. - Cancer fever로 anti change는 안하고 fever study만 하기도 함 - ANC 500이하면 고위험
78
호흡기16종 검사 폐렴5종
어차피 swab으로 나갈거면 두개 같이 검사 나갈수있고 처방 받는것도 스왑으로 받기
79
노티하는 기본틀
병실환자 진료과 진단명 환자 - 이상수치와 함께 사정한 이상 증상을 함께 말함. 특히 언제부터 어떻게 이상한지 - 원하는 대답을 듣기 위해 원하는 바를 유도하는게 좋음
80
의식사정
-alert : 깨어있는 상태. 즉시 적절히 반응함 -drowsy : 반응이 느리며 자극이 없어지면 다시 잠듦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