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 Flashcards
(99 cards)
다음중 각 경락의 배수혈과 모혈로 바르게 짝지어 지지 않는 것은?
A. 폐경- 폐수, 중부
B. 간경 – 간수, 기문
C. 신경 – 신수, 경문
D. 비경 – 비수, 기문
D. 비경 – 비수, 기문
비수 장문
다음 팔회혈중 수의 회혈 위치로 옳은 것은?
A. 외과첨단상 3촌이고 비골후연
B. 비골소두 전하방의 요함처
C. 복부 정중선 제상 4촌위
D. 제 11늑간단 복부 측면
A. 외과첨단상 3촌이고 비골후연
현종 담39
각 혈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
A. 중완혈은 부의 회혈이다
B. 장문혈은 부의 회혈이다.
C. 대추혈은 수의 회혈이다
D. 태연혈은 혈의 회혈이다
A. 중완혈은 부의 회혈이다
다음중 심의 모혈은?
A. 임맥12 중완
B. 임맥14 거궐
C 임맥15 구미
D. 임맥17 전중
B. 임맥14 거궐
다음중 어느혈이 해계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가?
A. LV1 대돈
B. LV2 행간
C. LV3 태충
D. LV4 중봉
D. LV4 중봉
다음 경혈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A. 충양은 족소양경의 원혈이다
B. 함곡은 족양명경의 원혈이다
C. 내정은 수양명경의 형혈이다
D. 여태는 수소양경의 정혈이다.
B. 함곡은 족양명경의 원혈이다
다음중 배수혈의 설명으로 틀린것은?
A. 각각의 장부의 기가 몰려있는 배부에 위치한 특정한 혈이다.
B. 각각의 연관된 장부에 가까이 위치한다.
C. 배수혈은 그것이 위치한 부분의 경락병을 치료하는 핵심혈이다.
D. 내장병을 치료하는데 자주 상용된다.
C. 배수혈은 그것이 위치한 부분의 경락병을 치료하는 핵심혈이다.
다음 경락중 기 순환시 소장경을 따라 흐르는 것은?
A. 족궐음
B. 족태양
C.족양명
D. 족태음
B. 족태양
다음 중 수혈이면서 원혈인 것은?
A. LV1 대돈
B. LV2 행간
C. LV3 태충
D. LV4 중봉
C. LV3 태충
다음중 생식기 가려움증, 매핵기 증세, 청열 그리고 급성통증에 효과적인 혈은?
A. LV1 대돈
B. LV3 태충
C. LV4 중봉
D. LV5 여구
B. LV3 태충
다음중 족양명경의 원혈의 위치에 대한 설명은?
A. 제1중족골소두 후하방으로 적백육체
B. 외과의 전하방으로 장지신근건의 외측 요함부
C. 족배의 제일 높은곳, 제 2,3 중족골과 설상골사이의 요함부에서 취혈한다
D. 제 2.3 중족골결합부 앞의 요함부
족배의 제일 높은곳, 제 2,3 중족골과 설상골사이의 요함부에서 취혈한다
위경충양
불면치료에 효과적인 혈은?
A. KD7 부류
B. KD6 조해
C. KD5 수천
D. KD4 대종
B. KD6 조해
여구혈의 위치로 올바른 것은?
A. 내과첨단 5촌직상 경골내측면에서 내측연에 가까운곳
B. 내과 첨단 6촌직상 경골내측면에서 내측연에 가까운곳
C. 내과 첨담 7촌직상 경골내측면에서 내측연 가까운곳
D. 경골내과 후하방 비복근 내측두 상부로 음릉천 뒤 1촌부위
A. 내과첨단 5촌직상 경골내측면에서 내측연에 가까운곳
다음중 중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A. 내과첨담7촌 직하 경골내측면 내측연
B. 내과첨담6촌직상 경골내측면 내측연
C. 내과첨단 7촌직상 경골내측면 내측연
D. 경골내과 후하방 비복근내측두 상부 음릉천뒤 1촌
C. 내과첨단 7촌직상 경골내측면 내측연
다음중 맥에 대한 회혈의 설명은?
A. 1늑간 외측 임맥외방 6촌 부위의 혈
B. 주횡문 상에 있고, 상완이두근건의 요측에 있는 혈
C. 요골의 경상돌기 상방에 있고 완횡문상 1.5촌에 있는혈
D. 완횡문의 요측단에 있으며 요골동맥의 외측 요함처에 있는혈
D. 완횡문의 요측단에 있으며 요골동맥의 외측 요함처에 있는혈
소장경의 화혈은?
A. 제5중수골 기저부와 삼각골 사이의 요함부
B. 척골경상돌기와 삼각골 상이의 요함중
C. 손바닥을 가슴으로 향한후 척골경상돌기의 요측골연중
D. 양곡과 소해의 연결선상에 있으며 양곡상 5촌
B. 척골경상돌기와 삼각골 상이의 요함중
간기울결이나 습열로 인한 급성임증에 사용하는 것은?
A. LV3 태충
B. LV6 중도
C. LV7 슬관
D. LV8 곡천
B. LV6 중도
원혈이 아닌 것은?
A. LI4 합곡
B. SI4 완골
C. UB60 곤륜
D. GB40 구허
C. UB60 곤륜
이롱, 목황은 어떤 경맥의 병후인가?
A. 비경
B. 심경
C. 소장경
D. 방광경
C. 소장경
다음중 오수혈로 옳은 것은?
A. 족규음, 협계, 족임읍, 현종, 양릉천
B. 족규음, 협계, 족임읍, 양보, 양릉천
C. 족규음, 협계, 구허, 외구, 양릉천
D. 족규음, 협계, 구허, 현종, 양릉천
B. 족규음, 협계, 족임읍, 양보, 양릉천
간사혈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A. 경혈이고 완횡문위로 4촌부위에 위치
B. 경혈이고 완횡문위로 3촌부위에 위치
C. 극혈이고 완횡문위로 4촌부위에 위치
D. 극혈이고 완횡문위로 3촌부위에 위치
B. 경혈이고 완횡문위로 3촌부위에 위치
다음중 목계와 연결되는 경맥은?
A. 비경
B. 심경
C. 소장경
D. 방광경
B. 심경
간경의 극혈은?
A. LV3 태충
B. LV4 중봉
C. LV5 여구
D. LV6 중도
D. LV6 중도
양경락의 수혈은 오행중 어디에 속하는가?
A. 목
B. 금
C. 토
D. 수
A. 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