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2 -114문제 Flashcards

(112 cards)

1
Q
  1. 간에 사기가 침범했을 시 사기는 어디에 머무는가?
    A. 양액
    B. 양주
    C. 양비
    D. 양괵
A

A. 양액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1. 다음중 수양명경의 증세를 나열한 것은?
    A. 복통 장명 변당 비연 비뉵
    B. 발열 구건 갈증 인후통 비뉵 흉목종통
    C. 발열오한 비색 두통
    D. 단기 구건 소변 변색 해혈 변당
A

A. 복통 장명 변당 비연 비뉵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1. 기경팔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경락들의 연합을 강화한다.
    B. 표리상합기능이 있다.
    C. 각 경락의 통솔 연합 조절작용이 있다.
    D. 자궁과 뇌와 같은 기항장분는 물론 간과 신에 깊은 연관이 있다.
A

B. 표리상합기능이 있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1. 다음중 천식에 유용한 혈은?
    A. 외관하수
    B. 이첨
    C. 정천
    D. 낙침
A

C. 정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1. 환자가 사타군니 부위의 당겨오는 통증으로 고통을 받는다. 맥은 현하고 기문혈주위에 반응이 있다.
    당신의 진단이 간실증이라면 다음중 어떤 혈의 조합이 적당한가?
    A. 음곡, 곡천 -보 ,중봉 -사
    B. 경거 중봉 – 보 ,음곡 ,곡천 – 사
    C. 소부 행간 – 보 , 경거, 중봉 – 사
    D. 경거, 중봉 – 보 , 소부, 행간 – 사
A

D. 경거, 중봉 – 보 , 소부, 행간 – 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1. 불면치료에 효과적인 혈은?
    A. KD7 부류
    B. KD6 조해
    C. KD5 수천
    D. KD4 대종
A

B. KD6 조해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1. 여구혈의 위치로 올바른 것은?
    A. 내과첨단 5촌직상 경골내측면에서 내측연에 가까운곳
    B. 내과 첨단 6촌직상 경골내측면에서 내측연에 가까운곳
    C. 내과 첨담 7촌직상 경골내측면에서 내측연 가까운곳
    D. 경골내과 후하방 비복근 내측두 상부로 음릉천 뒤 1촌부위
A

A. 내과첨단 5촌직상 경골내측면에서 내측연에 가까운곳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1. 다음중 중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A. 내과첨담7촌 직하 경골내측면 내측연
    B. 내과첨담6촌직상 경골내측면 내측연
    C. 내과첨단 7촌직상 경골내측면 내측연
    D. 경골내과 후하방 비복근내측두 상부 음릉천뒤 1촌
A

C. 내과첨단 7촌직상 경골내측면 내측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1. 다음중 부종을 없애는 기능을 갖은 혈은?
    A. KD 7부류
    B. KD 6조해
    C. KD 5수천
    D. KD 4대종
A

A. KD 7부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1. 다음중 당뇨증세에 효과적인혈은?
    A. 위관하수
    B. 협승장
    C. 정천
    D. 낙침
A

A. 위관하수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1. 주상골 결절과 내과첨을 연결시 그 중점에 위치하는 혈은?
    A. 상구
    B. 구허
    C. 해계
    D. 신맥
A

A. 상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1. 어느 혈에서 소장경과 심경이 연결되는가?
    A. 후계
    B. 양곡
    C. 지정
    D. 견정
A

C. 지정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1. 치골결합 상부에서 대퇴골 내측 상연까지의 길이는?
    A. 16촌
    B. 17촌
    C. 18촌
    D. 19촌
A

C. 18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1. 다음중 맥에 대한 회혈의 설명은?
    A. 1늑간 외측 임맥외방 6촌 부위의 혈
    B. 주횡문 상에 있고, 상완이두근건의 요측에 있는 혈
    C. 요골의 경상돌기 상방에 있고 완횡문상 1.5촌에 있는혈
    D. 완횡문의 요측단에 있으며 요골동맥의 외측 요함처에 있는혈
A

D. 완횡문의 요측단에 있으며 요골동맥의 외측 요함처에 있는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1. 소장경의 화혈은?
    A. 제5중수골 기저부와 삼각골 사이의 요함부
    B. 척골경상돌기와 삼각골 상이의 요함중
    C. 손바닥을 가슴으로 향한후 척골경상돌기의 요측골연중
    D. 양곡과 소해의 연결선상에 있으며 양곡상 5촌
A

B. 척골경상돌기와 삼각골 상이의 요함중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1. 간기울결이나 습열로 인한 급성임증에 사용하는 것은?
    A. LV3 태충
    B. LV6 중도
    C. LV7 슬관
    D. LV8 곡천
A

B. LV6 중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1. 12 경근은 어디에서 시작하는가?
    A. 신체내부
    B. 사지말단
    C. 가슴
    D. A와C 모두
A

B. 사지말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1. 신장의 양기를 돋우기 위해 구법 사용시 더 효과적인 것은 ?
    A. 생강
    B. 소금
    C. 부자
    D. 마늘
A

C. 부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1. 기경팔맥중 모든양경과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전신의 표부를 주관하는 경맥은?
    A. 대맥
    B. 충맥
    C. 양유맥
    D. 양교맥
A

C. 양유맥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1. 회음을 지나지 않는 기경팔맥은?
    A. 임맥
    B. 대맥
    C. 충맥
    D. 독맥
A

B. 대맥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1. 원혈이 아닌 것은?
    A. LI4 합곡
    B. SI4 완골
    C. UB60 곤륜
    D. GB40 구허
A

C. UB60 곤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1. 이롱, 목황은 어떤 경맥의 병후인가?
    A. 비경
    B. 심경
    C. 소장경
    D. 방광경
A

C. 소장경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1. 광잉 에너지의 저장소이고 여러경락을 교차하며 신체내 깊숙한 곳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은?
    A. 12 전경
    B. 낙맥
    C. A와 B모두
    D. 기경팔맥
A

D. 기경팔맥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1. 부항의 금기사항이 아닌 것은?
    A. 경련
    B. 피부궤양
    C. 급성염좌
    D. 임산부 하복부
A

C. 급성염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25. 다음중 오수혈로 옳은 것은? A. 족규음, 협계, 족임읍, 현종, 양릉천 B. 족규음, 협계, 족임읍, 양보, 양릉천 C. 족규음, 협계, 구허, 외구, 양릉천 D. 족규음, 협계, 구허, 현종, 양릉천
B. 족규음, 협계, 족임읍, 양보, 양릉천
26
26. 간사혈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A. 경혈이고 완횡문위로 4촌부위에 위치 B. 경혈이고 완횡문위로 3촌부위에 위치 C. 극혈이고 완횡문위로 4촌부위에 위치 D. 극혈이고 완횡문위로 3촌부위에 위치
B. 경혈이고 완횡문위로 3촌부위에 위치
27
27. 다음중 부종을 치료하는 주요혈은 어느 것인가? A. UB13 폐수 B. REN6 기해 C. REN3 중국 D. REN9 수분
D. REN9 수분
28
28. 다음중 목계와 연결되는 경맥은? A. 비경 B. 심경 C. 소장경 D. 방광경
B. 심경
29
29. 독맥으로부터 밖으로 1.3촌 떨어져 있는 혈자리는 어느것인가? A. UB8 UB9 낙각, 옥침 B. UB9 UB10 옥침,천추 C. UB10 UB 천추 대저 C. UB12 UB13 풍문 폐유
B. UB9 UB10 옥침,천추
30
30. FCM(Foundation Chinese Medicine)책에 의하여 땀의 조절에 가장 효과적인 혈은? A. KD6 조해 B. KD7 부류 C. KD8 교신 D. KD9 축빈
B. KD7 부류
31
31. 주횡문과 완횡문 사이의 거리는? A. 3 CUN B. 9 CUN C. 12 CUN D. 18 CUN
C. 12 CUN
32
32. 한의학적 진단으로 대장습열 실증이라면 유용한 혈은? A. ST36 족삼리 B. ST35 상거허 C. ST39 하거허 D. ST40 풍륭
B. ST35 상거허
33
33. 다음중 병의 전이과정으로 옳은 것은? A. 피부 -> 낙맥-> 경맥 ->장 -> 부 B. 피부 -> 낙맥 -> 부 -> 경맥 -> 장 C. 피부 -> 경맥 -> 낙맥 -> 부 -> 장 D. 피부 -> 경맥 -> 낙맥 -> 장 -> 부
A. 피부 -> 낙맥-> 경맥 ->장 -> 부
34
34. 간경의 극혈은? A. LV3 태충 B. LV4 중봉 C. LV5 여구 D. LV6 중도
D. LV6 중도
35
35. 신경에서 임맥으로부터 0.5촌 밖에 위치하는 복부부분 혈은 횡골에서 어느혈까지인가? A. KD16 황유 B. KD20 복통곡 C. KD21 유문 D. KD27 유부
C. KD21 유문
36
36. 장골첨의 윗쪽 경계부위와 같은 높이에 있는 것은? A. L1 요추1번 B. L2 요추2번 C. L3 요추3번 D. L4 요추4번
D. L4 요추4번
37
38. 양경락의 수혈은 오행중 어디에 속하는가? A. 목 B. 금 C. 토 D. 수
A. 목
38
39. 방광경의 시간은? A. 오전5시-7시 B. 오전3시-7시 C. 오후3시-5시 D. 오수5시-7시
C. 오후3시-5시
39
40. 제상4촌위의 침자리는? A. REN13 상완 B. REN12 중완 C. REN11 건리 D. REN16 중정
B. REN12 중완
40
41. 목내자와 목외자를 통과하는 경맥은? A. 소장경 B. 신경 C. 담경 D. 방광경
A. 소장경
41
42. 다음중 간과위를 조화롭게하고 간기의 흐름을 소통시키며 위양하고 량혈하는 기능을 지닌혈은? A. LV14 기문 B. LV13 장문 C. LV12 급맥 D. LV11 음렴
A. LV14 기문
42
43. 신음을 보하는 혈로 효과가 가장 좋은 혈은? A. 용천 B. 태계 C. 조해 D. 부류
C. 조해
43
44. 다음중 경혈이 아닌 것은? A. HT4 영도 B. SI5 양곡 C. ST41 해계 D. UB61 복삼
D. UB61 복삼
44
45. 환자가 예민하고 분노,이명, 두통, 현훈, 불면증세가 있다고 연락이 왔다. 장부 유주흐름에 입각해서 위증세에 속하는 시간과 장부의 치료법은? A. 새벽1시-3시 /간 - 사법 B. 오후 11시- 새벽1시 / 담 - 보법 C. 새벽3시- 5시 / 폐 – 사법 D. 오후 1시 – 3시 / 소장 – 보법
A. 새벽1시-3시 /간 - 사법
45
46. 삼릉침의 기능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습을 제거한다 B. 열을 제거한다 C. 어혈을 푼다 D. 경락내의 기혈순행을 돕는다
A. 습을 제거한다
46
47. (筋會血) 근회혈에 해당하는 혈은? A. 대저 B. 격수 C. 양릉천(陽陵泉) D. 현종
C. 양릉천(陽陵泉)
47
48. 충맥의 팔맥 교회혈은? A. SP4 공손 公孫 B. SP5 상구上丘 C. SP6 삼음교三陰交 C. SP8 지기地機
A. SP4 공손 公孫
48
49. 모자 보사에 의하여 폐열을 꺼주고 담을 제거하는 효능을 지닌혈은? A. LU3 – 중부를 사한다 B. LU5 – 척택을 사한다 C. LU7 – 열결을 사한다 D. LU10- 어제를 사한다
B. LU5 – 척택을 사한다
49
50. 다음중 12경별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A. 경별은 교회하는 혈이 없다 B. 체표에서 분포한다 C. 근육을 따라 주행한다 D. 모혈을 사용하므로 영향을 받는다.
A. 경별은 교회하는 혈이 없다
50
51. 산기는 어느경의 증상인가? A. 독맥 B. 임맥 C. 간경 D. 담경
C. 간경
51
52. 신경락의 원혈의 위치는? A. 족내과의 전하방으로서, 족 주상골조면융기 하연의 요함부에 있는혈 B. 내과와 아킬레스건 사이의 요함부로서 내과의 첨단과 수평인혈 C. 내과의 후하방으로 아킬레스건이 부착된 내측의 요함부에 있는혈 D. 내과 하연의 오목한 곳의혈
B. 내과와 아킬레스건 사이의 요함부로서 내과의 첨단과 수평인혈
52
53. 격산구 치료의 적응증은? A. 허한으로 인한 설사 B. 경부 임파적 결절 C. 관절염 D. 국소부종
B. 경부 임파적 결절 격산구:큰 마늘 족을 3mm 두께로 선 후 침으로 중간에 구멍을 몇 개 뜷은 후 환부에놓고 그 위 쑥을 놓고 뜬다.외과(독이 밖으로 나올 때)
53
54. 양교맥(陽蹺脈)의 기시점은? A. UB60 곤륜 B. UB62 신맥 C. KD6 조해 D. UB63 금문
B. UB62 신맥
54
55. 내풍과 외풍 모두를 없애는 혈은? A. 양백 B. 풍지 C. 일월 D. 경문
B. 풍지
55
56. 자오유주의 이론에 의거하여 족양명에 정반대되는 시간대는? A. 족태양 B. 수궐음 C. 족궐음 D. 수소양
B. 수궐음
56
57. 심의 배수혈은? A. 제2 흉추돌기하 독맥에서 1,5촌 밖으로 위치 B. 제3 흉추극돌기하 독맥에서 1.5촌 밖으로 위치 C. 제5 흉추극돌기하 독맥에서 1.5촌 밖으로 위치 D. 제7 흉추극돌기하 독맥에서 1.5촌 밖으로 위치
C. 제5 흉추극돌기하 독맥에서 1.5촌 밖으로 위치
57
58. 무릎의 중심에서 외과첨단까지의 사이는 몇촌인가? A. 12 CUN B. 13 CUN C. 15 CUN D. 16 CUN
D. 16 CUN
58
59. 다음중 풍한 침입시에 효과적인 조합혈은? A. LU11&GB22 소상과 연액 B. LU7& LI4 열결과 합곡 C. 인당과 태양 D. 백로와 정천
B. LU7& LI4 열결과 합곡
59
60. 다음중 부항의 금기사항이 아닌 것은? A. 피부궤양환자 B. 고열, 경련환자 C. 요통 환자 D. 부종 환자
C. 요통 환자
60
61. 다음중 임산부에게 금하는 혈은? A. SP 4 공손 B. SP 6 삼음교 C. SP8 지기 D. SP12 충문
B. SP 6 삼음교
61
62. 완힁문의 중앙으로서 장장근건과 요측수근굴근건의 사이에 있는혈은? A. 정혈 B. 형혈 C. 수혈 D. 경혈
C. 수혈
62
63. 다음기경팔맥중 심장과 자궁의 혈을 조화롭게 하는 경맥은? A. 음교 B. 양교 C. 충맥 D. 대맥
C. 충맥
63
64. 족음경은? A. 발에서 복부 혹은 흉부로 간다 B. 머리에서 발로 간다 C. 손에서 머리로 간다 D. 흉부 혹은 복부에서 머리로 간다
A. 발에서 복부 혹은 흉부로 간다
64
65. 이침 혈자리에서 상지부에 해당하는 부위는 ? A. 이주 B. 삼각와 C. 대이륜하각 D. 이륜미
A. 이주
65
66. 다음중 뇌로 들어가서 연결하는 경락은? A. 족태음경 B. 수태양경 C. 수소음경 D. 족태양경
D. 족태양경
66
67. 다음중 부의 팔회혈은? A. 양릉천 B. 현종 C. 중완 D. 장문
C. 중완
67
68. 다음중 두침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것은? A. 무도진전구는 운동구에서 1.5cm 위쪽으로 평행한 곳에 위치 B. 언어3구는 훈청구의 중심에서 후방으로 3cm 평면 이동한 곳에 위치 C. 간담구- 위구에서 전방으로 2cm 길이의 직선 D. 생식-위구의외측, 위구의 흉강구 사이의 거리만큼 떨어진점에서 수평으로 4cm길이직선
D. 생식-위구의외측, 위구의 흉강구 사이의 거리만큼 떨어진점에서 수평으로 4cm길이직선
68
69. 전침치료의 적응증은? A. 반신불수 B. 마취 즉 무통증 C. 마비 D. 위모두 가능
D. 위모두 가능
69
70. 전발제에서 후발제까지의 거리는? A. 8 CUN B. 12 CUN C. 15 CUN D. 18 CUN
B. 12 CUN
70
71. 음유맥의 팔회혈은? A. UB62 신맥 B. PC6 내관 C. KD6 조해 D. SP4 공손
B. PC6 내관
71
72. 대장경과 다른 양경맥들이 독맥에서 만나는 곳은? A. 제 7경추 B. 제 1흉추 C. 제 2흉추 D. 제 3흉추
A. 제 7경추
72
73. 심포경의 경혈의 위치는? A. 완힁문 정중 B. 완횡문 상3촌 C. 완횡문 상2촌 D. 완횡문 상5촌
B. 완횡문 상3촌
73
74. 탈장, 과량의 대하, 복부내에 적이 감지되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나? A. 충맥병증 B. 임맥병증 C. 독맥병증 D. 대맥병증
B. 임맥병증
74
75. 다음 경락의 질환 중에서 황색의 공막, 이롱증세가 나타나는 것은? A. 족태음 B. 수소음 C. 수태양 D. 족태양
C. 수태양
75
76. 족태음비경의 극혈은 양릉천 아래로 얼마나 떨어져 있나? A. 3 CUN B. 5 CUN C. 7 CUN D. 해당사항 없음
A. 3 CUN
76
77. 중풍환자중 타인의말을 이해하지못하는 사람들을 치료하기위해 사용되는 두침자리는? A. 훈청구 중점에서 후방 4cm 까지 B. 운동구 하 2/5 지점 C. 두항결절의 후하방 2cm되는 곳에서 정중선과 평행으로 그은 3cm의 직선 D. 언어1구
A. 훈청구 중점에서 후방 4cm 까지
77
78. 75세의 남자환자가 뇌졸증 후에 좌측 하지마비가 온 환자에게 전침을 시술한다면? A. 고밀도파장 B. 간헐적파장 C. 고밀도-분사식파장 D. 저주파
B. 간헐적파장
78
79. 12경별중에서 넓적다리부위에서 분리되는 것은 어느 것인가? A. 비 위 B. 간 담 C. 신 방광 D. 심 소장
A. 비 위
79
80. 두침치료에서 좌측 하지마비에 좋은 혈자리는? A. 좌측 운동구선 상위1/5 B. 우측 운동구선 상위 1/5 C. 좌측 운동구선 하위 2/5 D. 우측 운동구선 하위 2/5
B. 우측 운동구선 상위 1/5
80
81. 귀뿌리 뒷경계부에서 직상에 위치하고 발제에서 2촌 들어가서 솔곡뒤 5푼에 있는혈은? A. 현리 B. 곡빈 C. 천충 D. 부백
C. 천충
81
82. 다음 증상은 어느 낙맥과 관계있나: 치통, 귀먹음, 치냉감,그리고 흉부와 횡경막 질식감 A. 수궐음 낙맥 B. 수양명 낙맥 C. 수태양 낙맥 D. 수소양 낙맥
B. 수양명 낙맥
82
83. 혈자리의 위치는 복부중앙선에 있고 배꼽으로부터 위로 7촌처이다 어떤 혈인가? A. REN14 거궐 B. REN15 구미 C. REN16 중정 D. REN17 전중
B. REN15 구미
83
84. 8회혈중에서 장에 영향을 줄수 있는 혈은? A. LV9 음포 B. LV10 족오리 C. LV13 장문 D. LV14 기문
C. LV13 장문
84
85. 액와에서 아래로 3촌처 그리고 상완이두근의 요골쪽에 위치한 혈은? A. LU2운문 B. LU3 천부 C. HT2 청령 D. LI4 합곡
B. LU3 천부
85
86. 수삼음경의 순행은? A. 머리에서 손으로 B. 손에서 가슴으로 C. 가슴에서 손으로 D. 손에서 머리로
C. 가슴에서 손으로
86
87. 다음중 입뇌하고 뇌와 관련된 경락은? A. 비경 B. 소장경 C. 심경 D. 방광경
D. 방광경
87
88. 12 경근은? A. 내장에 도달하지 않는다 B. 내장에 도달한다 C. 내장에서 끝난다 D. 내장에서 시작한다.
A. 내장에 도달하지 않는다
88
89. 다음중 온류에 관한 설명중 옳은 것은? A. 수양명대장경의 낙혈이고 팔꿈치를 구부렸을 때 팔의 위쪽의 요골쪽이며 양계와 곡지의 연결선상에서 완횡문상의 5촌위이다. B. 수양명대장경의 낙혈이고 팔꿈치를 구부렸을 때 팔의 위쪽의 요골쪽이며 양계와 곡지의 연결선상에서 완횡문상의 3촌위이다. C. 수양명대장경의 극혈이고 팔꿈치를 구부렸을 때 팔의 위쪽의 요골쪽이며 양계와 곡지 연결선상에서 완횡문 상의 5촌위이다 D. 수양명대장경의 극혈이고 팔꿈치를 구부렸을 때 팔의 위쪽의 요골쪽이며 양계와 곡지 연결선상에서 완횡문 상의 3촌위이다.
C. 수양명대장경의 극혈이고 팔꿈치를 구부렸을 때 팔의 위쪽의 요골쪽이며 양계와 곡지 연결선상에서 완횡문 상의 5촌위이다
89
90. 다음중 두침에서 훈청구의 중점에서 후방으로 4cm의 평면이동한 것은? A. 언어2구 B. 언어3구 C. 운용구 D. 시구
B. 언어3구
90
91. 불면에 사용하는 경외기혈은? A. 난미혈 B. 십선 C. 안면 D. 담낭혈
C. 안면
91
92. 다음중 전완배측에서 척골소두 아래5촌으로 요골과 척골 사이에 있는 혈은? A. 지정 B. 소해 C. 삼양락 D. 사독
D. 사독
92
93. 실어증에 사용하는 혈은? A. 어요 B. 구후 C. 협승장 D. 상염천
D. 상염천
93
94. 이백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A. 완횡문상 4촌에 있다 B. 장장근건의 양측에 있다 C. 양손에 2개씩의 혈위가 있다 D. 치질에 사용한다.
B. 장장근건의 양측에 있다
94
95. 체침시 적당한 해결책은? A. 혈의 주변에 피부를 째고 침을 빼낸다. B. 혈의 주위에 지압하고 침을 움직인다. C. 수기했던 같은 방향으로 침을 돌려뺀다. D. 기공을 이용하여 침을 제거한다
B. 혈의 주위에 지압하고 침을 움직인다.
95
96. 궐음수는 몇 흉추의 하연과 수평인가? A. 제1흉추 B. 제2흉추 C. 제3흉추 D. 제4흉추
D. 제4흉추
96
97. 다리외측에 근육과 근건을 풀어주려면? A. 신맥 B. 금맥 C. 곤륜 D. 부양
A. 신맥
97
98. 락혈이 아닌 것은? A. 열결 B. 족삼리 C. 통리 D. 대종
B. 족삼리
98
99. 외과 전하방에 있으며 장지신근건 외측 요함부에 있는 혈은? A. 해계 B. 충양 C. 구허 D. 족임읍
C. 구허
99
100. 신체상의 표지로만 사용되는 혈은? A. 중부 B. 정명 C. 유중 D. 신궐
C. 유중
100
101. 본경의 발등에 위치하고 충양에서 갈라지는 병은? A. 위 B. 비 C. 간 D. 담
C. 간
101
102. 봉골근 외연에 위치한 혈은? A. ST6 협거 B. ST9 인영 C. ST31 비관 D. ST41 해계
C. ST31 비관
102
103. 이마에 있으며 눈썹 정중에서 위로 1촌에 있는 혈은? A. ST8 두유 B. DU20 백회 C. GB14 양백 D. SJ20 각손
C. GB14 양백
103
105. 어느 혈자리가 흉쇠유돌근의 전연에 있지 않은가? A. LI18 부돌 B. ST9 인영 C. ST10 수돌 D. SL17 천용
A. LI18 부돌
104
106. 이침에서 월경병에 가장 좋은 혈자리는 ? A. 상병첨 B. 정각 C. 대병첨 D. 삼각요함
D. 삼각요함
105
107. 간기울결이나 습열로 인한 급성 임증에 사용하는 혈은? A. LV3 태충 B. LV6 중도 C. LV7 슬관 D. LV8 곡천
B. LV6 중도
106
108. 수양경과 족양경은 어디에서 만나는가? A. 두면 B. 상완 C. 흉복부 D. 하완
A. 두면
107
109. 아래의 3개의 족양경의 경근 중 가운데 3개의 발가락에서 시작하는 것은? A. 족태양방광경근 B. 족양명위경근 C. 족소양담경근 D. 이상모두
B. 족양명위경근
108
110. 풍사가 신체의 수액대사를 방해해서 생기는 급성부종(특히 얼굴에 생기는 )에 사용하는것은? A. LI4 합곡 B. LU7 열결 C. LU9 태연 D. LI6 편력
D. LI6 편력
109
111. 천식을 치료하는 경외기혈은? A. 안면 B. 정천 C. 예명 D. 비통
B. 정천
110
112. 대장경과 다른 양경이 독맥과 만나는 곳은? A. C7 B. T1 C. T2 D. T3
A. C7
111
113. 기경팔맥중 모든 양경과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전신의 표부를 주관하는 경맥은? A. 대맥 B. 총맥 C. 양유맥 D. 양교맥
C. 양유맥
112
114. 다음의 설명중 옳은 것은? A. ST37 상거허는 소장경의 하합혈이다 B. ST39 하거허는 대경경의 하합혈이다 C. UB40 위중은 삼초경의 하합혈이다 D. ST36 족삼리는 위경의 하합혈이다.
D. ST36 족삼리는 위경의 하합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