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M2 Flashcards

(106 cards)

1
Q
  1. 기(양)허가 혈(음)허를 유발시키는 것은 다음중 어떤 예를 보인 것인가?
    A. 음승이 양손시킨다. B. 양승이 음손시킨다. C. 음양 상손이다. D. 양허가 음승시킨다.
A

C. 음양 상손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1. 간혈이 심혈 양육에 실패하였다면 ?
    A. 상승관계 B. 상모관계 C. 모자상급(모병범자) D. 모자상급(자병범모)
A

C. 모자상급(모병범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1. 함미과다는 어디에 해를 주는가?
    A. 신경 B. 뼈 C. 혈 D. 근육
A

C. 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1. 풍한으로 진단되는 환자에게서 나타나지 않는 증세는 ?
    A. 오한, 신통 B. 오한보다 발열이 심하고, 갈증
    C. 무갈증 , 무한 D. 정상설
A

B. 오한보다 발열이 심하고, 갈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1. 39세 여성환자가 흉협창만, 단기, 기침을 호소한다. 설태는 백활하고 맥은 현활하다면 진단은?
    A. 담음에서 담증 B. 담음에서 음증 C. 기허증 D. 표허한증
A

B. 담음에서 음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1. 겨울에 마른심한 기침이 있다면 진단은?
    A. 기허 B. 혈허 C. 혈어 D. 음허
A

D. 음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1. 인후종통, 오한발열과 신통이 있을시 예상되는 맥은?
    A. 침실맥 B. 침허맥 C. 삭허맥 D. 부긴맥
A

D. 부긴맥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1. 다음중 간기체에 속하는 증세가 아닌 것은?
    A. 우울증 B. 협창통 C. 생리통 D, 목현
A

D, 목현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1. 29세 여성환자가 분노 심계, 피로, 쉽게 감기에 걸림, 치질, 과다스트레스, 신경예민, 청하고 다량의 빈뇨, 오경설증세로 시달리고 있다, 설은 담하고 치흔이 있고 맥은 침약하다. 치료원칙은?

A. 온리 B. 보비양 C. 보신양 D. 보비신양

A

D. 보비신양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1. 지도설이 나타내는 것은?
    A. 정상인 상태 B. 위화 C. 비기허 D. 위기, 위음허
A

D. 위기, 위음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1. 오장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A. 넘칠수는 있어도 가득찰수는 없다 B. 가득차지만 넘칠수는 없다
    C. 넘칠수도 가득 찰수도 있다. D. 넘칠수도 가득 찰수도 없다.
A

B. 가득차지만 넘칠수는 없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1. 성냄은 기를 어떻게 하나?
    A. 올라가게 한다 B. 뭉치게 한다. C. 내려가게 한다. D. 흩어지게 한다.
A

A. 올라가게 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1. 여러 형태의 기를 운용하고 원기와 진액의 흐름의 통로로서 역할하는 것은?
    A. 소장 B. 간 C. 삼초 D. 비
A

C. 삼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1. 설태로 반영되는 것은 무엇인가?
    A. 심기 B. 폐기 C. 위기 D. 신기
A

C. 위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1. 극도로 쇄약한 치명적 상태의 환자가 갑자기 의식도 나아지고 눈도 밝아지고 목소리도 커지며 얼굴에 홍조를 띄며 식욕도 나아진다면 일반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가?
    A. 좋은 예후 B. 혈허 C. 위열 D. 음양분리
A

D. 음양분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1. 음쇠가 양승을 유도하는 예를 보이는 것은?
    A. 음양대립 B. 음양의존 C. 음양소장 D. 음양전화
A

C. 음양소장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1. 화가 성하다면?
    A. 토를 극함 B. 수를 모함 C. 금을 모함 D. 금을 생함
A

B. 수를 모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1. 뼈에 병이 있을 때 금해야 하는 맛은?
    A. 고미 B. 함미 C. 감미 D. 신미
A

A. 고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1. 화가 수를 공격한다면 이는?
    A. 상극 B. 상승 C. 상모 D. 자병급모
A

C. 상모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1. 다음중 무엇이 몸을 따뜻하게 하나?
    A. 영기 B. 곡기 C. 위기 D. 청기
A

C. 위기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1. 다음중 틀린 문장은?
    A. 분노는 기를 상승시킨다. B. 공포는 기를 내린다
    C. 슬픔은 기를 느리게 한다 D. 깜짝 놀라면 기가 흩어진다.
A

C. 슬픔은 기를 느리게 한다

기가 소모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1. 현훈, 불면, 인건, 수족열감, 도한, 홍설, 세삭맥이 나타내는 증세는?
    A. 진액부족 B. 혈허 C. 음허 D. 열증
A

C. 음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1. 복만, 장명, 변당, 요슬산통, 사지궐냉 등은 어느 장부의 병증인가?
    A. 간신 B. 비신 C. 간폐 D. 심비
A

B. 비신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1. 무릎 밑이 붓고 변당, 요슬통, 사지냉을 진단하면?
    A. 신기허 B. 폐비양허 C. 비신양허 D. 비양허
A

C. 비신양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26. 심계, 혼궐, 우울, 광란은 다음중 어느 장기의 담음적체 현상인가? A. 심 B. 폐 C. 위와장 D. 머리와눈
A. 심
26
27. 유맥이 표현하는 것은? A. 음혈의부족 B. 내습적체 C. A와B 모두 D. 정답없음
C. A와B 모두
27
28. 혈어는 무엇에 기인하는가? A. 기체 B. 기허 C. 혈열 D. 이상모두
D. 이상모두
28
29. 한열왕래는 무엇에 기인하는가? A. 태음증 B. 양명증 C. 태양증 D. 소양증
D. 소양증
29
30. 환자가 피곤 식욕부진, 근무력, 변당을 호소한다면 연관되는 오행은? A. 토 B 화 C. 수 D. 금
A. 토
30
31. 간과 담의 공통된 기능은? A. 담즙저장 배설 B. 근건조절 C. 혈을 저장 D. 기 순행의 원활함
B. 근건조절
31
32. 폐에서 흡입한 청기와 비에서 만들어진 곡기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것은? A. 원기 B. 종기 C. 영기 D. 위기
B. 종기
32
33. 하루중 양중음에 해당하는 시간은? A. 아침(오전 6시에서 정오) B. 오후(정오에서 오후6시) C. 초저녁 (오후6시에서 자정) D. 늦은밤(자정에서 오전6시)
B. 오후(정오에서 오후6시)
33
34. 오행의 원리에서 수생목을 제대로 못할시에 나타나는 증세는? A. 현훈 목현 이명 두통 요통 진전 B. 부종 배뇨장애 황달 변당 C. 망설임 용기부족 결정력결여 심계 불면 D. 기침 흉담 피로 천식
A. 현훈 목현 이명 두통 요통 진전
34
35. 환자가 어제 감기에 걸렸다. 오늘은 미열 오풍 오한 약간의 신통과 미한이 있다. 맥은 부완하다면 진단은? A. 태양풍증 B. 태양한증 C. 태음증 D. 소양증
A. 태양풍증
35
36. 다음중 불면증세를 발견할수 없는 경우는? A. 심비허 B. 담허 C. 심양과 신음의 부조화 D. 신기허
D. 신기허
36
37. 음이 성해서 양이 상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나? A. 음양의존 B. 음양대립 C. 음양소장 D. 음양전화
C. 음양소장
37
38. 혈의 생성 원천은? A. 곡기와 원기 B. 곡기와 영기 C. 곡기와 종기 D. 위기와 영기
A. 곡기와 원기
38
39. 갑작스런 탈모증세가 나타내는 것은? A. 혈열 B. 신정감퇴 C. 위음허 D. 위열
A. 혈열
39
40. 환자의 피부를 만졌을시 처음엔 따뜻했는데 차후 열감이 감소 된다면? A. 열비 B. 습비 C. 진열가한 D. 풍열
D. 풍열
40
41. 한열왕래 정신불안 구토는 다음중 어디에 해당하는가? A. 태양증 B. 소양증 C. 소음증 D.태음증
B. 소양증
41
42. 맥이 느리고 불규칙적인 간격으로 건너뛰는 맥은? A. 긴맥 B. 대맥 C. 결맥 D. 유맥
C. 결맥
42
43. 심계, 불면, 식욕부진, 무기력, 안색창백 등이 나타내는 것은 어는 장부의 증세인가? A. 간신 B. 심간 C. 간폐 D. 심비
D. 심비
43
44. 가슴의 갑갑함, 심통, 청자색 입술은 어디의 혈어 증상을 나타내는가? A. 신 B. 심 C. 폐 D. 간
B. 심
44
45. 환자가 이물질 즉 마치 자두씨 같은 것이 인후를 막고 있어서 삼켜지지도 밷어지지도 않는다고 하며 가슴이 그득찬 것 같다면? A. 혈어 B. 기체와 실열 C. 기체와 담증 D. 기혈양허
C. 기체와 담증
45
46. 환자가 숨을 들이쉬기 힘들고 소변양이 많고 요통이 있다면? A. 폐허 B. 폐위(즉 기능상실) C. 신허 D. 간허
C. 신허
46
47. 구건, 인건, 식욕부진, 상복부의 불편감, 변비, 소량의소변, 맥은 세맥이라면 진단은? A. 대장 습열 B. 방광 습열 C. 위음허 D. 위열
C. 위음허
47
48. 우리몸의 진액중에서 탁한 형태를 띄는 것은? A. 진 B. 액 C. 기 D. 신
B. 액
48
49. 실증 맥이 아닌 것은? A. 세맥 B. 현맥 C. 긴맥 D. 유력맥
A. 세맥
49
50. 환자가 꿈 때문에 자주 잠이 깨고 현훈, 불면, 구고, 심번조동이 있다면? A. 신음허 B. 식체로인한 위기불화 C. 심비혈허 D. 심화항성
D. 심화항성
50
51. 양장부와 기항지부에 모두 해당하는 장부는? A. 위 B. 간 C. 담 D. 소장
C. 담
51
52. 입맛이 달고 입이 끈적거히는 것이 의미하는 것은? A. 간담화승 B. 간담열체 C. 비위습열 D. 비신양허
C. 비위습열
52
53. 삼보에 해당하는 것이 아닌 것은? A. 정 B. 혈 C. 신 D. 기
B. 혈
53
54. 현훈, 두통, 불면, 눈의실룩거림, 근육의경련 등은 가장 흔히 무엇을 나타내나? A. 혈허로인한 간풍상승 B. 간기울결 C. 심음허로인한 심열 D. 비기허로인한 습체
A. 혈허로인한 간풍상승
54
55. 이명과 이롱은 대부분 무엇의 이상과 관계되는가? A. 간 B. 신 C. 비 D. 심
B. 신
55
56. 운동과다는 무엇을 해하는가? A. 근육-비 B. 근육-간 C. 힘줄-간 D. 힘줄-신
C. 힘줄-간
56
57. 간혈허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A. 혈의 공급부족으로 인한 안구건조 B. 간혈허에 의한 소량의 생리 C. 간양상항으로 인한 현운과 이명 D. 근육의 혈공급 부족으로인한 마비감
C. 간양상항으로 인한 현운과 이명
57
58. 설이 창백하고 양변에 치흔이 있는 겻은 보통 무엇을 가리키나? A. 혈어 B. 기체 C. 기혈양허 D. 위음허
C. 기혈양허
58
59. 함미과다는 어디에 해를 주는가? A. 신경 B. 뼈 C. 혈 D. 육
C. 혈
59
60. 풍한으로 진단되는 환자에게서 나타나지 않는 증세는? A. 오한, 신통 B. 오한보다 발열이 심하고 갈증 C. 무갈증, 무한 D. 정상설
B. 오한보다 발열이 심하고 갈증
60
61. 인후종통, 오한발열과 신통이 있을시 예상되는 맥상은? A. 침실맥 B. 침허맥 C. 삭허맥 D. 부긴맥
D. 부긴맥
61
62. 29세 여성환자가 분노, 심계, 피로, 쉽게 감기에 걸림, 불면, 치질, 과다스트레스, 신경예민, 청하고 다량의빈뇨, 오경설 증세로 시달리고 있다. 설은 담하고 치흔이 있고 맥은 침약하다. 치료원칙은? A. 온리 B. 보비양 C. 보신양 D. 보비신양
D. 보비신양
62
63. 무릎 밑이 붓고 변당, 요슬통, 사지냉등을 진단하면? A. 신기허 B. 폐비양허 C. 비신양허 D. 비양허
C. 비신양허
63
64. 환자가 숨을 들이쉬기 힘들고, 소변양이 많고 요통이 있다면? A. 폐허 B. 폐위(기능상실) C. 신허 D. 간허
C. 신허
64
65. 일반적으로 창백하고 축 늘어진 혀가 나타내는 것은? A. 심비허 B. 한체에 의한 기체 C. 위음허 D. 극도의 심비기혈허
D. 극도의 심비기혈허
65
66. 신기에서 비롯된 원기는 어디를 통해 전신으로 분포되는가? A. 간 B. 소장 C. 비 D. 삼초
D. 삼초
66
67. 혈을 통섭(통일적으로 관할)하는 장기는? A. 심 B. 비 C. 간 D. 폐
B. 비
67
68. 기허증세는 대개 어느 장부에서 나타나는가? A. 비,신,방광 B 심,비,소장,간 C. 폐,비,신, 심 D. 간,심,비,방광
C. 폐,비,신, 심
68
69. 과도한 정신적 노동이 영향을 주는 장기는? A. 비 B. 대장 C. 폐 D. 위 모두
A. 비
69
70. 어떤 장부의허증이 사지의 근욱을 약하고 힘없게 만드나? A. 폐 B. 심 C. 비 D. 간
C. 비
70
71. 골수의 바다로 불리우는 장부는? A. 신 B. 위 C. 뇌 D. 골
C. 뇌
71
72. 다음중 어느 장부가 혈을 보관하고 조절하는가? A. 심 B. 비 C. 간 D. 폐
C. 간
72
73. 68세의 남성환자가 잦고 힘없이 흐르는 소변으로 고생한다고 한다. 소변색은 맑고 양이 많다. 그는 또한 요통과 가끔씩 유정을 갖고 있다. 설은 창백하고 맥은 침하고 척맥이 약하다. 진단은? A. 신기불고 B. 신음허 C. 신양허 D. 신정허
A. 신기불고
73
74. 13세 소녀가 유행성 감기에 걸렸다. 체온은 102F 이고 인후종통, 기침, 두통, 관절통, 미갈, 미한이 있다. 설은 변이 미홍하고 맥은 양쪽 촌부가 부하다. 이에 팔강변증은? A. 리,실 열,양 B. 표,허,열,양 C. 표,실,열,양 D. 표,실,열,음
C. 표,실,열,양
74
75. 상복부에 타는듯한 느낌과 통증이 있고 찬음료를 선호하고 입냄새가 심하며 설은 홍 태는 후황태맥은 삭하다면 변증은? A. 신화 B. 심화 C. 간화 D. 위화
D. 위화
75
76. 안구가 노랗다면? A. 담에 습열적체 B. 간기울결 C. 심화항성 D. 폐담
A. 담에 습열적체
76
77. 기허자가 피해야 하는 맛은? A. 신미 B. 감미 C. 고미 D. 산미
A. 신미
77
78. 심혈어 환자는 결맥을 보인다. 결맥이란? A. 불규칙적으로 맥이 건너뛰며 느리다 B. 규칙적이게 건너뛰며 느리다 C. 불규칙적으로 맥이 건너뛰며 빠르다 D. 빨라졌다가 느려졌다가 불규칙적으로 건너뛴다.
A. 불규칙적으로 맥이 건너뛰며 느리다
78
79. 다음의 맥상 중 담습증세에 나타나는 맥상이 아닌 것은? A. 활맥 B. 현맥 C. 부약맥 D. 긴맥
D. 긴맥
79
80. 오행이론에 이하면 변당 부종 피로 사지무력은 어디에 기인하나? A. 목모금 B. 수모토 C. 토모목 D.화모수
B. 수모토
80
81. 조사(건조증)가 성행하는 시기는? A. 봄 B. 여름 C. 가을 D. 겨울
C. 가을
81
82. 초기에는 고열, 갈증, 땀이 나는데 점차 안색이 창백하고 식욕부진, 피로, 세약맥이라면? A. 한이 열로 변함 B. 실증이 허증으로 변함 C. 실증이 허증을 동반 D. 표열 리한
B. 실증이 허증으로 변함
82
83. 어제 감기에 걸린 환자가 오늘은 약간 열이 있고 바람과 추위를 싫어하고(오풍한) 약간의 신통이있을며 약간의 땀이 나고 맥은 부하고 느리다. 이환자의 진단은? A. 태양풍증 B. 태양한증 C. 태음증 D. 소양증
A. 태양풍증
83
84. 설변과 관계있는 장부는? A. 비 B. 소장 C. 담 D. 심
C. 담
84
85. 한사가 기혈을 조체했을 때 나타나는 것은? A. 세맥 B. 삭맥 C. 현맥 D. 긴맥
D. 긴맥
85
86. 어떤 맥이 침세한데 손가락에 와 닿는 것이 무력한가? A. 산맥 B. 약맥 C. 뇌맥 D. 유맥
B. 약맥
86
87. 육음은 주로 어디를 통해 들어오는가? A. 피모와 뼈 B. 피모와 코 C. 입과 코 D. 입,피모와코
D. 입,피모와코
87
88. 외감 육음에서 습은? A. 양 B. 음 C. 양과음 D. 음도 양도 아님
B. 음
88
89. 입맛이 없고 피로하며 변당이 있다. 이것은 변증은? A. 비기허 B. 폐기허 C. 심기기허 D. 신기허
A. 비기허
89
90. 자한이 의미하는 것은? A. 혈허 B. 음허 C. 기허 D. 정허
C. 기허
90
91. 복통. 매우추워함, 맥긴하다면? A. 허열증 B. 실열증 C. 허한증 D. 실한증
D. 실한증
91
92. 심폐에 사기가 들었을 때 , 사기는 주로 어디에 머무르는가? A. 팔꿈치 B. 액와 C. 서혜부 D. 슬와
A. 팔꿈치
92
93. 현맥이 가르키는 것은? A. 비증 B. 간담질환 C. 담음정체 D. 이상모두
D. 이상모두
93
94. 골의 병변시 피해야할 맛은? A. 쓴맛 B. 짠맛 C. 단맛 D. 매운맛
A. 쓴맛
94
95. 분노는 기를? A. 내린다 B. 올린다 C. 흩어지게 한다 D. 변화가 없다.
B. 올린다
95
96. 기항지부에 속하지 않는 것은? A. 뇌 B. 자궁 C. 삼초 D. 담
C. 삼초
96
97. 폐를 설명하는 것끼리 모인 것은? A. 금, 수를 극함, 희다 , 슬프다 B. 수, 화를 극함, 붉고, 기쁘다. C. 금, 화에게 극을 당함 ,피모 D. 화, 흑색, 남쪽, 동쪽
C. 금, 화에게 극을 당함 ,피모
97
98. 다음중 음중양에 속하는 것은? A. 오전 6시- 정오 B. 정오- 오후6시 C. 오후6시- 자정 D. 자정- 오전6시
D. 자정- 오전6시
98
99. 음식물을 변화시키고 운반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장부는? A. 비 B. 심포 C. 위 D. 대장
A. 비
99
100. 사람의 안색은 보통 계절마다 조금씩 변하는데 가을은 다음중 어디에 속하는가? A. 보통보다 약간 빨갛다. B. 보통보다 약간 하얗다. C. 보통보다 약간 검다 D. 보통보다 약간 파랗다.
B. 보통보다 약간 하얗다.
100
101. 한사가 기혈을 조체했을 때 나타나는 것은? A. 세맥 B. 삭맥 C. 현맥 D. 긴맥
D. 긴맥
101
102. 기허의 증상이 아닌 것은? A. 낮에 약간의 한출 B. 목소리가 작고 약함 C. 호흡이 불리함 D. 안색이 밝게 창백함
D. 안색이 밝게 창백함
102
103. 수를 운영하고 관리하는 장기는? A. 폐 B. 비 C. 간 D. 신
D. 신
103
104. 기역의 가장 중요한 장기는? A. 폐, 간, 위 B. 폐, 신, 위 C. 폐, 비, 위 D. 간, 신, 위
A. 폐, 간, 위
104
105. 23세 여자환자가 얼굴색이 창백하고 피곤하며 숨이 차며 늑간동이 있다. 이 환자를 진단하면 ? A. 습열 B. 기허, 혈어 C. 기허, 혈허 D. 기, 혈어
B. 기허, 혈어
105
106. 위장실열의 증세는? A. 갈증이 있고 찬물을 마시길 원한다. B. 갈증은 있으나 물마실 생각이 없다. C. 식음 후 바로 구토를 한다 D. 갈증이 있으나 물로 입만 축이기를 원한다
A. 갈증이 있고 찬물을 마시길 원한다.
106
107. 통증이 여기저기 움직이는 관절통은 다음중 어디에 속하는가? A. 열증 B. 한증 C. 외부적인 습증 D. 풍증
D. 풍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