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1 Flashcards
(47 cards)
1
Q
- 디음중 이롱,이명,정이,아관개합불리에 좋은 혈은?
A. st4 지창
B. st5 대영
C. ST6 협거
D. ST7 하관
A
D. ST7 하관
2
Q
- 비경의 식두혈의 위치로 옳은 것은?
A. 제 옆으로 4촌되는 곳으로 복직근의 외측이다
B. 제상 3촌이고 임맥으로부처 4촌처이다.
C. 제 5늑간극에 있고 임맥 옆으로 6촌 밖에 위치한다.
D. 제 4늑간데 위치하고 임맥옆으로 6촌밖에 위치한다.
A
SP17
C. 제 5늑간극에 있고 임맥 옆으로 6촌 밖에 위치한다.
3
Q
- 경외기혈중 미모의 중앙이며 동공직상에 위치한 혈은?
A. 이첨
B. 어요
C. 협승장
D. 구후
A
B. 어요
4
Q
- 다음중 각 경락의 배수혈과 모혈로 바르게 짝지어 지지 않는 것은?
A. 폐경- 폐수, 중부
B. 간경 – 간수, 기문
C. 신경 – 신수, 경문
D. 비경 – 비수, 기문
A
D. 비경 – 비수, 기문
비수 장문
5
Q
- 다음중 통리의 자침방법으로 옳은 것은?
A. 0,3-0,5촌 직자
B. 0.3-0.5촌 사자
C. 0.5-1.0 직자
D. 0.5-1.0 사자
A
A. 0,3-0,5촌 직자
6
Q
- 경외기혈중 비연비색,비부창절에 효과적인 혈은?
A. 외관하유
B. 백로
C. 비통
D. 요기
A
C. 비통 (비순구의 상단이 끝나는 부분이다.)
7
Q
- 다음 팔회혈중 수의 회혈 위치로 옳은 것은?
A. 외과첨단상 3촌이고 비골후연
B. 비골소두 전하방의 요함처
C. 복부 정중선 제상 4촌위
D. 제 11늑간단 복부 측면
A
A. 외과첨단상 3촌이고 비골후연
현종 담39
8
Q
- 각 혈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
A. 중완혈은 부의 회혈이다
B. 장문혈은 부의 회혈이다.
C. 대추혈은 수의 회혈이다
D. 태연혈은 혈의 회혈이다
A
A. 중완혈은 부의 회혈이다
9
Q
- 다음중 침치료시 사고방지 요령으로 옳지 않은 것은?
A. 굶주렸거나 과식한 환자에게 자침을 미루거나 소침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B. 3개월이하 임산부의 소복부와 요저부에 자침한다.
C. 소아의 신무이 아직봉합되지 않았을 때 두정부의 자침을 금한다.
D. 출혈을 방지하기 위해 혈관의 자침을 금한다.
A
B. 3개월이하 임산부의 솝복부와 요저부에 자침한다.
10
Q
- 담경중 환도의 바른위치 설명은?
A. 대퇴골대전자와 선골관열공(독맥의요수)의 연결선에서 외측1/3과 내측 2/3의 교차점이다
B. 대퇴골대전자와 선골관열공(독맥의요수)의 연결선에서 외측1/4와 내측3/4의 교차점이다
C대퇴골 대전자와 선골관열공(독맥의요수)의 연결선에서 외측2/3과 내측 3/1의 교차점이다
D. 대퇴골대전자와 선골관열공(독맥의요수)의 연결선에서 외측3/4와 내측 1/4의 교차점이다
A
A. 대퇴골대전자와 선골관열공(독맥의요수)의 연결선에서 외측 1/3과 내측 2/3의 교차점이다 GB30
11
Q
- 다음중 심의 모혈은?
A. 임맥12 중완
B. 임맥14 거궐
C 임맥15 구미
D. 임맥17 전중
A
B. 임맥14 거궐
12
Q
- 경외기혈의 이첨의 위치를 찾아내기 위한 방법은 다음중 무엇인가?
A. 피부를 당겨 올린다
B. 귀바퀴를 접는다
C. 손바닥을 위로 향한다
D. 무릎을 굽힌다
A
B. 귀바퀴를 접는다
13
Q
- 다음중 특정 이름을 소유한 경험혈이고 위치도 정해져 있으나14경혈에는 속하지 않는것은?
A. 아시혈
B. 경외기혈
C. 반사혈
D. 불고정혈
A
B. 경외기혈
14
Q
- 다음중 양유양돌기간의 거리로 옳은 것은?
A. 7촌
B. 8촌
C. 9촌
D. 10촌
A
C. 9촌
15
Q
- 다음중 뜸 시술을 금해야 할 혈인곳은?
A. 열결
B. 경거
C. 태연
D. 공최
A
B. 경거 이자리는 요골동맥때문에 뜸을 잘 안뜬다
Contradicted to Moxa
16
Q
- 다음중 어느혈이 대퇴부 동맥의 손상을 유의해야 하는가?
A. 신문
B. 위중
C. 기문
D. 소해
A
C. 기문 sp11
17
Q
- 다음중 어느혈이 해계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가?
A. LV1 대돈
B. LV2 행간
C. LV3 태충
D. LV4 중봉
A
D. LV4 중봉
18
Q
- 다음 혈들중 임신5개월중인 산모에게 자침시 안전한 혈은?
A .SP6 삼음교
B. LV3 태충
C. LI4 합곡
D. Ren 중완
A
B. LV3 태충
19
Q
- 다음 경혈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A. 충양은 족소양경의 원혈이다
B. 함곡은 족양명경의 원혈이다
C. 내정은 수양명경의 형혈이다
D. 여태는 수소양경의 정혈이다.
A
B. 함곡은 족양명경의 원혈이다
20
Q
- 소침하거나 완침을 주의해야할 이유가 없는 환자는?
A. 굶주리거나 과식한 환자
B. 과음한환자
C. 과로하거나 허약한 환자
D. 임산부
A
D. 임산부
21
Q
- 다음중 오수혈중에 장위의 변증을 치료하는 혈은?
A. 정혈
B. 경혈
C. 수혈
D. 합혈
A
D. 합혈
22
Q
- 백회는 후발제에서 직상 _______ 촌이다.
A. 6촌
B. 7촌
C. 8촌
D. 9촌
A
B. 7촌
23
Q
- 다음중 네 손가락(식지, 중지, 무명지, 소지)을 함께 붙이고 중지의 중절횡문을 기준하여 사지의 가로길이를 옳게 표현한 것은?
A. 2촌
B. 3촌
C. 4촌
D. 5촌
A
B. 3촌
24
Q
- 다음중 14경혈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A. 그것들은 경혈로도 잘알려져 있다
B. 임상적으로 그것들은 대부분 통증용으로 사용된다.
C. 그것들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고 모든 경혈의 주를 이룬다.
D. 그것들은 12정경과 임독맥을 통해 총 361혈로 구성되어 있다.
A
B. 임상적으로 그것들은 대부분 통증용으로 사용된다.
25
25. 수태음폐경은 어디에서 기시하는가?
A. 인후부
B. 중초부
C. 식지의 끝
D. 흉부
B. 중초부
26
26. 다음중 무릎중앙에서 외과첨까지의 거리로 옳은 것은?
A. 16촌
B. 17촌
C. 18촌
D. 19촌
A. 16촌
27
27. 다음중 태양 소음은 어떤경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A. 방광- 소장 – 심- 신
B. 비 – 폐- 대장- 위
C. 신 – 심 – 방광 – 대장
D. 폐 – 소장 – 심 – 담
A. 방광- 소장 – 심- 신
28
28. 다음은 15낙맥이다. 15낙맥은 12경과 나머지 어떠한 세개의 낙맥으로 구성되어 있나?
A. 임맥 독맥 충맥
B. 임맥, 독맥, 충맥, 대락
C. 충맥. 대맥, 비의대락
D. 비의대락, 임맥, 독맥
D. 비의대락, 임맥, 독맥
29
29 . 다음중 겨드랑동맥을 피해서 조심히 자침해야 할 침자리는?
A. HT1 극천
B. HT2 청령
C. HT3 소해
D. SI 9 견정
A. HT1 극천
30
30. 내경에 의하면 오수혈중에서 위장질환, 불규칙한 식생활에의한질환, 부에 연관된질환 그리고 기의역상에 쓰인혈은?
A. 정혈
B. 영혈
C. 수혈
D. 합혈
D. 합혈
31
31. 수태양경의 원혈의 위치로 옳은 것은?
A. 완배횡문 척측단에서 척골경상돌기와 삼각골 사이의 요함부에 있다.
B. 수배의 척측으로 제5중수골의 기저와 삼각골 사이에 있는 요함부이다
C. 제5중수지관절 후연에 있는 횡문두의 적백육체에 있다
D. 내과와 근건 사이의 요함부에 있다.
B. 수배의 척측으로 제5중수골의 기저와 삼각골 사이에 있는 요함부이다
수태양소장경 완골의 위치
32
32. 다음중 소침하거나 자침을 미룰 이유가 없는 환자는?
A. 굶주리거나 과식한 환자
B. 과음한 환자
C. 과로하거나 허약한 환자
D. 임산부
D. 임산부
33
33. 치골결합상부에서 대퇴골내측상관절융기까지의 거리로 옳은것은?
A. 16촌
B. 17촌
C. 18촌
D. 19촌
C. 18촌
34
34. 다음중 배수혈의 설명으로 틀린것은?
A. 각각의 장부의 기가 몰려있는 배부에 위치한 특정한 혈이다.
B. 각각의 연관된 장부에 가까이 위치한다.
C. 배수혈은 그것이 위치한 부분의 경락병을 치료하는 핵심혈이다.
D. 내장병을 치료하는데 자주 상용된다.
C. 배수혈은 그것이 위치한 부분의 경락병을 치료하는 핵심혈이다.
35
35. 다음 경락중 기 순환시 소장경을 따라 흐르는 것은?
A. 족궐음
B. 족태양
C.족양명
D. 족태음
B. 족태양
36
36. 다음 중 수혈이면서 원혈인 것은?
A. LV1 대돈
B. LV2 행간
C. LV3 태충
D. LV4 중봉
C. LV3 태충
37
37. 다음중 액와주름끝에서 주횡문까지의 거리로 옳은 것은?
A. 7촌
B. 8촌
C. 9촌
D. 10촌
C. 9촌
38
38. 다음중 표리관계가 없는 경맥은?
A. 비 위
B. 심 소장
C. 간 담
D. 폐 삼초
D. 폐 삼초
39
39. 다음중 담경이 흐르는 시간은?
A. 오후 11시-오전 1시
B. 오전 1시- 오전3시
C. 오전 5시- 오전 7시
D. 오전 11시- 오후 1시
A. 오후 11시-오전 1시
40
40. 다음중 생식기 가려움증, 매핵기 증세, 청열 그리고 급성통증에 효과적인 혈은?
A. LV1 대돈
B. LV3 태충
C. LV4 중봉
D. LV5 여구
B. LV3 태충
41
41. 다음중 폐경이 흐르는 시간은?
A. 오후 12시 – 오전 2시
B. 오전 3시 – 오전 5시
C. 오전 7시 – 오전 9시
D. 오전 11시 – 오후 1시
B. 오전 3시 – 오전 5시
42
42. 다음중 경락의 흐름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A. 위 담 간 소장 간 삼초
B. 대장 비장 소장 신 간
C. 폐 대장 위 비 심 소장 방광
D. 삼초 신 폐 비 간 담 심
C. 폐 대장 위 비 심 소장 방광
43
43. 족음경은____ 로 시작해서 ______ 로 끝난다
A. 머리, 손가락
B. 가슴, 손가락
C. 발가락 몸통
D. 손가락 머리
C. 발가락 몸통
44
44. 다음중 척골신경을 피해서 조심히 놓아야할 침자리는?
A. HT7 신문
B. UB40 위중
C. SP11기문
D. SI8 소해
A. HT7 신문
45
45. 족양경은 ______ 시작해서 _______ 로 끝난다.
A. 머리, 발가락
B. 가슴, 손가락
C. 발가락, 몸통
D. 손가락, 머리
A. 머리, 발가락
46
46. 다음중 자혈이면서 폐열을 꺼주는 혈은?
A. LU5 척택
B. LU9 태연
C. LU7 열결
D. LU1 중부
A. LU5 척택
47
47. 다음중 족양명경의 원혈의 위치에 대한 설명은?
A. 제1중족골소두 후하방으로 적백육체
B. 외과의 전하방으로 장지신근건의 외측 요함부
C. 족배의 제일 높은곳, 제 2,3 중족골과 설상골사이의 요함부에서 취혈한다
D. 제 2.3 중족골결합부 앞의 요함부
C. 족배의 제일 높은곳, 제 2,3 중족골과 설상골사이의 요함부에서 취혈한다
위경충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