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M1 Flashcards

(60 cards)

1
Q
  1. 다음중 기혈간의 관계에 대해 틀린 것은?
    A. 기와 혈 모두 인체 생명활동의 물질적인 기초이다
    B. 기의 주요 기능은 온후와 추동작용이고 혈의 주요기능은 영양과 자윤작용이다.
    C. 기가 허하면 혈의 조절능력이 약해진다.
    D. 기는 혈의 모이다.
A

D. 기는 혈의 모이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1. 다음증 원기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A. 청기와 곡기가 결합하여 이루어졌다.
    B. 비위가 운화하는 수곡정미의 기에서 화생한다.
    C. 수곡정미의 기에서 화생되고 맥외를 운행한다
    D. 선천의 정에서 화생되고 출생후 소곡정미의 자양을 필요로 한다.
A

D. 선천의 정에서 화생되고 출생후 소곡정미의 자양을 필요로 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1. 다음중 망음의 증세를 설명한 것은?
    A. 담윤설 B. 세약맥 C. 한출이점, 신열, 수족온 , 호흡단촉
    D. 한냉여주 신냉 수족냉 호흡기단
A

C. 한출이점, 신열, 수족온 , 호흡단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1. 다음중 기의 방향으로 옳은 것은?
    A. 폐 - 기가 아래로 간다 B. 간 - 모든방향 특히 아래로 간다
    C. 비 – 기가 아래로 간다 D. 위 – 기가 위로 간다.
A

A. 폐 - 기가 아래로 간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1. 다음중 내장기의 군주로 불리우며 가장 중요시 여겨지는 장부는?
    A. 간 B. 심 C. 신 D. 비
A

B. 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1. 소문 23편에 의하면 과도한 눈의 사용은 다음중 어디에 피해를 주는가?
    A. 기 B. 혈 C. 근 D. 골
A

B. 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1. 다음중 화모수의 증세로 맞는 것은?
    A. 심계 불면 단기 B. 관홍 야간건구 불면 현훈 요통 도한
    C. 기침 해수 흉협창만 D. 황달 늑협창통
A

B. 관홍 야간건구 불면 현훈 요통 도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1. 피곤함을 호소하는 31세의 여성환자가 체중증가, 식후 설사, 오한을 동반한다. 그녀의 혀는 매우 창백하고 얇게 물기로 덮혀있고 부어있다. 맥은 약하고 느리다.
    팔강변증의 해당사항은?
    A. 내 허 한 B. 내 실 한 C. 내 허 열 D. 내 실 열
A

A. 내 허 한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1. 습과 담을 비교시 맞는 글은?
    A. 습담 모두 외부 혹은 내부에서 유발할수 있다.
    B. 습은 대부분 머리 상초를 침법하고 담은 대부분 하초로 가라 앉는다.
    C. 습은 정신을 침범하지 않고 담은 정신을 탁하게 하고 의식을 손상시킨다.
    D. 습은 위를 담은 비를 침범한다.
A

C. 습은 정신을 침범하지 않고 담은 정신을 탁하게 하고 의식을 손상시킨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0
Q
  1. 기함의 증세는?
    A. 어지러움 밑으로 빠지는 듯한 아랫배 탈장 B. 복부창만 우울증 한숨짓기
    C. 피곤 허약 자한 D. 창백한 입술과 혀 목현 심계
A

A. 어지러움 밑으로 빠지는 듯한 아랫배 탈장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1
Q
  1. 이롱과 귀둣편에서 목을 통해 바깥쪽 어깨와 상완을 지나 팔꿈치에 이르는 통증이 나타내는 경락
    은?
    A. 방광경 B. 소장경 C. 담경 D. 삼초경
A

D. 삼초경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2
Q
  1. 간기상항의 증세는?
    A. 기침과 해수낀 호흡 B. 트림 구토 C. 설사 탈장 D. 두통 현훈
A

D. 두통 현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3
Q
  1. 매핵기는 어디에 속하나?
    A. 풍담 B. 열담 C. 기담 D. 조담
A

C. 기담
治痰氣鬱結窒碍於咽喉之間咯之不出嚥之不下謂之梅核氣
담(痰)의 기운이 몰려서 목구멍을 막았기 때문에 뱉아도 나오지 않고 삼켜도 넘어가지 않는 것을 매핵기(梅核氣)라고 한다.
『동의보감(東醫寶鑑)』내경편 담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4
Q
  1. 허한증을 유발하는 것은?
    A. 열사 B. 강한정기 C. 양허에 의한 음의초과 D. 음허에 의한 양의초과
A

C. 양허에 의한 음의초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5
Q
  1. 환자가 우울증과 예민반응을 동반하며 자주 한숨을 짓고 현맥을 보인다.
    A. 약하고 통증을 느끼는 허리와 무릎 B. 심계와불면
    C. 팽창하는 협늑통 D. 기침과 자한
A

C. 팽창하는 협늑통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6
Q
  1. 40대 여자가 불면증으로 고생하고 있는데 매 두시간마다 깬다. 예민하고 불안하고 자주 가슴 두근거림을 호소한다. 또한 무거운 요통과 이명 세삭맥을 지녔다면 이 경우에 해당하는 오행의 관계는?
    A. 수불생목 B. 목승토 C. 목불생화 D. 수승화
A

D. 수승화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7
Q
  1. 만일 환자가 목적, 관홍과 홍설이 있다면 이것의 예는?
    A. 기체 B. 기승 C. 기완 D. 기함
A

B. 기승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8
Q
  1. 어느 때에 근원만 치료하게 되는가?
    A. 출혈이 있을때 B. 외감의 침범이 있을때
    C. 증세가 명확치 않을때 D. 증세가 무언가의 손실을 유도할 때
A

C. 증세가 명확치 않을때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19
Q
  1. 다음중 생하는 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것은 무엇인가?
    A. 청색에서 홍색 B. 황색에서 흑색 C. 흰색에서 청색 D. 청색에서 황색
A

A. 청색에서 홍색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0
Q
  1. 토가 목을 모할 때 나타나는 증세는?
    A. 황달 협늑통 현활맥 B. 건해 건구 건인후 조열 세삭맥
    C. 변당 수종 피곤 사지무력 약맥 D. 소심 용기결핍 불면 허맥
A

A. 황달 협늑통 현활맥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1
Q
  1. 약한 목소리 자한 식욕부진 변당이 나타나는 기허의 주증세는 어느장부의 허증에 기인하나?
    A. 심과 비 B. 폐와 신 C. 신과 간 D. 비와 폐
A

D. 비와 폐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2
Q
  1. 기함시 최상의 치료방법은?
    A. 보기 B. 이기 C. 정상적인 하기능력복원 D. 중초의기를 보하고 양기를 올림
A

D. 중초의기를 보하고 양기를 올림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3
Q
  1. 만성피로 식욕부진 변당을 지닌 환자가 혈변을 토로한다. 변을 본후 출혈을 하고 항문의 묵직함과 빠지는듯한 느낌을 받는다. 그의 혀는 창백하다. 이때 최상의 치료원칙은?
    A. 건비,통혈 B. 온리 회양 C. 이기 혈 D. 보기 혈
A

A. 건비,통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4
Q
  1. 트림 딸국질 오심구토 증세는 위기의 _______ 이다.
    A. 허증 B. 체증 C. 함증 D. 역상증
A

D. 역상증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5
25. 담의 종류 증 실제적이고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것은? A. 심미담규시 B. 경락조체시 C. 폐에 누적시 D. 머리와 오관을 범했을시
C. 폐에 누적시
26
26. 무한과 부긴맥이 나타내는 것은? A. 표실한 B. 표실열 C. 표허 D. 반표반리
A. 표실한
27
27. 당신은 이열증의 환자(예민함 구갈 탁뇨 삭맥)을 치료중이다 . 그가 갑자기 심한 오한 미열 무한 심한신통 후두통 부기맥이 생겼다. 혀는 여전히 붉고 소변도 여전히 진한 황색이다. 최상의 진단은? A. 상열하한 B. 진열가한 C. 표한리열 D. 실열에서 허한으로 전이
C. 표한리열
28
28. 다음중 내장기의 군주로 불리우며 가장 중요시 여겨지는 장부는? A. 간 B. 심 C. 신 D. 비
B. 심
29
29. 위완작열, 갈희냉음 , 설홍황태가 주 증세인 것은? A. 위음허 B. 위허한 C. 위화 D. 위기상항
C. 위화
30
30. 다음중 서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A. 서열은 양사이다 B. 서열은 음을 해하는 경향이 없다 C. 주증은 오열 한출 두통 소변단적이다. D. 심한경우엔 열사가 심포를 침입하고 인사불성의 원인이 된다.
B. 서열은 음을 해하는 경향이 없다
31
31. 모자법칙과 오행이론에 의거하여 금실일 때 사용되지 않는 것은? A. 수 B. 토 C. 목 D. 화 E. 금
B. 토
32
32. 다음중 해변가 근처에서 살 때 가장 많은 피해를 입는 장기는? A. 폐 B. 비 C. 위 D. 심
B. 비
33
33. 토모목일때 그증상은? A. 황달, 옆꾸리통증, 현활맥 B. 마른기침, 건조한 입과인후, 오후발열, 세삭맥 C. 변당, 부종, 나른함, 약한사지, 약맥 D. 소심, 용기부족, 불면, 허맥
A. 황달, 옆꾸리통증, 현활맥
34
34. 모든 병에 적용할수 있는 방법은? A. 팔강 B. 기, 혈, 진액 C. 오행 D. 병인
A. 팔강
35
35. 따뜻한 것을 좋아함, 무구갈, 맑고 양이많은 소변, 백윤태, 지맥은? A. 허 B. 한 C. 열 D. 실
B. 한
36
36. 다음중 원기에 대한 설명중 틀린 것은? A. 신기의 기본 B. 기의전환을 용이하게 한다 C. 혈의 전환을 용이하게 한다. D. 교회혈들이 나오는 곳이다.
D. 교회혈들이 나오는 곳이다.
37
37. 다음중 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A. 원기는 원혈에서 나온다 B. 종기는 삼초에서 흉부로가서 폐에서 공기중의 청기와 합쳐진다 C. 진기는 기의 전화가 마지막으로 이루어 지는 곳이다. D. 위기는 내부에 있고 보호하며 영기는 외부에 있고 자양한다.
D. 위기는 내부에 있고 보호하며 영기는 외부에 있고 자양한다.
38
38. 어느때에 근원만 치료하게 되는가? A. 출혈이 있을때 B. 외감의 침범이 있을 때 C. 증세가 명확하지 않을때 D. 증세가 무언가의 손실을 유도할 때
C. 증세가 명확하지 않을때
39
39. 간혈허가 내풍으로 전변한 예는? A. 진허, 가실 B. 진실, 가실 C. 허가 실로 전변 D. 실이 허로 전변
C. 허가 실로 전변
40
40. 약한목소리 자한, 식욕부진, 변당의 기허표현은 근원적으로 ______ 의 허가 원인이다. A. 심비 B. 폐신 C. 신간 D. 비폐
D. 비폐
41
41. 폐기상역의 증상은? A. 기침과 천식성의 호흡 B. 트림, 구역, 구토 C. 두통과 현기증 D. 설사와 장부탈증
A. 기침과 천식성의 호흡
42
42. 신체 하부의 움푹들어간 부종은 무엇인가? A. 진액허 B. 기- 담 C. 음수 D. 양수
C. 음수
43
43. 다음중 기에 대한 병리적표현이 틀린 것은? A. 기허 B. 기함 C. 기산 D. 기역
C. 기산
44
44. 상생의 예는? A. 초록 - 빨강 B. 노랑 - 검정 C. 흰색 - 초록 D. 초록 – 노랑
A. 초록 - 빨강
45
45. 다음중 양기관이 아닌 것은? A. 방광 B. 담 C. 위장 D. 비장
D. 비장
46
46. 오한, 두통, 코막힘, 요통, 빈뇨의 증상을 호소할 때 우선 치료해야 할 것은? A. 오한, 두통 B. 빈뇨 C. 요통 D. 오한, 두통, 코막힘, 빈뇨를 동시에
A. 오한, 두통
47
47. 오행이론에서 어떤맛이 목과 연관 있는지? A. 짠맛 B. 쓴맛 C. 매운맛 D. 신맛
D. 신맛
48
48. 외인성 조사는 어느 장부의 음액을 쉽게 손상할수 있나? A. 간 B. 위 C. 폐 D. 대장
C. 폐
49
49. 다음중 장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A. 간 B. 폐 C. 심포 D. 삼초
D. 삼초
50
50. 다음중 기허자가 피해야 할 맛은? A. 매운맛 B. 짠맛 C. 단맛 D. 쓴맛 E. 신맛
A. 매운맛
51
51. 만약 환자가 딸꾹질이 있다면 이것은? A. 기체 B. 기상역 C. 기허 D. 기함
B. 기상역
52
52. 걱정은 기를 ______ . A. 올린다 B. 정체시킨다. C. 느리게 한다 D. 하강시킨다
B. 정체시킨다.
53
53. 몸이 무거운 느낌의 환자가 있다. 진단은? A. 열 B. 한 C. 조 D. 습
D. 습
54
54. 기함에 가장 좋은 치료 원칙은? A. 보기 B. 통기 C. 하강한 기를 정상적으로 회복한다 D. 중초의 기를 보하고 양기를 끌어 올린다
D. 중초의 기를 보하고 양기를 끌어 올린다
55
55. 담의 종류 중에서 양이 많고 볼수있는 것은? A. 담미심규 B. 경락조체 C.담음조폐 D.두부에 영향과 감각의손실
C.담음조폐
56
56. 당신은 리열증(번조, 갈증, 암뇨, 삭맥)의 환자를 치료 한적이 있다. 그는 갑자기 심한 오한, 미열, 무한, 심한몸살, 후두통, 부긴맥으로 전변했다. 그의 설은 여전히 붉고 그의 소변은 암황하다. 진단은? A. 위는 열 아래는 한 B. 진한가열 C. 표한리열 D. 실열이 허한으로 바뀌었다.
C. 표한리열
57
57. 피곤, 식욕부진, 근육무력, 변당인 환자는 무엇의 문제인가? A. 화 B. 토 C. 금 D. 수
B. 토
58
58. 표허증은 _________ 의 허이다. A. 병인 B. 위기 C. 표풍 D. 표한
B. 위기
59
59. 쑤시는 통증 관절의 붓고 마비감은? A. 습비 B. 한비 C. 풍비 D. 열비
A. 습비
60
60. 24살의 남자는 갑자기 심한 복통을 겪었다. 그는 설사를 했고 그의 설은 백활니태이며 맥은 침긴하다 팔강변증은? A. 내실열 B. 내허열 C. 내실한 D. 내허한
C. 내실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