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성주의 Flashcards

1
Q

급진주의 원리

A
  1. 지식의 자주적 구성의 원리 : 지식은 인식 주체에 의해 능동적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환경으로부터 수동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이 아니다.
  2. 지식의 생장지향성의 원리 : 인식의 기능은 적응적이며 생물학적 용어로 생장성 또는 적합성을 지향하는 경향을 지닌다.
  3. 비객관성의 원리 : 인식은 주체가 경험세계를 조직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이지 결코 객관적 존재론적 실재의 발견을 돕는 것은 아니다.

지식은 언어를 통해 전달될 수 없으며,
개인의 경험을 통한 추상화 과정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라는 원리는 주체가 지식을 스스로 구성한다는 피아제의 이론을 수용하고 있다.

급진적 구성주의의 의사소통은 우연적으로 형성된 합의 영역에 의한 것으로 본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2
Q

사회적 구성주의와 급진적 구성주의 비교

A

① 급진적 구성주의의 ‘자주적 구성의 원리’와 ‘생장지향성의 원리’는 동의/
‘비객관성의 원리’를 수정․보완하여 공통 주관적인 의미의 객관성(지식의 사회적 구성)을 새롭게 정립
② 급진적 구성주의의 독립 주관적인 의미에서의 객관성 → 공통 주관적인 의미에서의 객관성 + 합의성 제안
③ 언어의 비공유성 → 언어의 사회적 공유성 주창 + 사회성 강조

지식의 사회적 구성 : 공통 주관적인 의에서의 객관성과 합의성을 제안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3
Q

사회적 구성주의 -객관성

A

한 개인을 넘어선 사회 공동체가 옳다고 인정하는, 역사와 문화를 통해 인정된, 사회적 합의 가능성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4
Q

사회적 구성주의에서 본 수학적 지식 구성의 과정

A

과정1
개인의 주관적인 수학적 지식이 사회의 객관적인 수학적 지식이 되는 과정 (수학 지식의 구성과정에서의 사회적 합의 과정)
: 개인의 주관적 지식이 공표 – 라카토스의 증명과 반박의 논리에 따라 공적인 비판과 재구성 – 사회적으로 객관적인 수학적 지식으로 인정되는 과정을 의미

(서술시)
첫째, 주관적 지식의 공표과정에서 학생1이 (~~~)고 주관적 지식을 발표한다.
둘째, 공적비판과 재구성 과정에서 학생2이 (~~~)고 비판을 한다. 그 후 학생3이 (~~~)임을 설명하면서 지식이 재구성된다.
셋째, 객관적 지식 구성과정에서 교사는 (~~~)라고 설명한다.

과정2
사회의 객관적인 수학적 지식이 개인의 주관적인 수학적 지식이 되는 과정 (학습 및 재구성 과정에서의 사회적 합의 과정)
: 사회적으로 객관적인 수학적 지식 – 개인적인 학습 과정을 거쳐 – 이를 통해 새로운 주관적인 수학적 지식을 형성하는 과정을 의미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5
Q

구성주의 수학 교수 학습 원리

A
  1. 학생 중심적 개별화의 원리
  2. 발문 중심적 상호 작용의 원리
  3. 의미 지향적 활동의 원리
  4. 반영적 추상화의 원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6
Q

구성주의 수학 교수학습 원리 - 학생 중심적 개별화의 원리(학생 주체, 능력 극대화, 개인차 고려)

A

(학생 주체, 능력 극대화, 개인차 고려)

수학학습활동의 주체는 학생이므로/
학생 개개인의 지적 자율성을 바탕으로 하여/
학생 개개인의 능력차, 개성들을 고려한 /
개별적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7
Q

구성주의 수학 교수학습 원리 - 발문 중심적 상호작용의 원리

A

(발문을 통해 기존 지식과 새로운 지식의 관계가 구축되어야)

교사는 적절한 발문을 통해 /
학생이 학습의 주체가 되어 /
지식을 스스로 구성해 나갈 수 있도록 /
안내하고 조력해야 한다는 원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8
Q

구성주의 수학 교수학습 원리 - 의미지향적 활동의 원리

A

(활동 – 의미구성 – 지식구성)

학생들이 활동속에 구성한 의미에 부합하는 /
지식의 구성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원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
9
Q

구성주의 수학 교수학습 원리 -반영적 추상화의 원리

A

(자신의 행동을 사고의 대상으로 삼도록 – 내면화 , 주제화 )

반성적 활동을 중시하고, 반영적 추상화를 바탕으로 지식의 구성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원리.

How well did you know this?
1
Not at all
2
3
4
5
Perfec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