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upuncture Flashcards
(80 cards)
- 다음 중 맞는 것은?
A. 경맥은 종선으로 인체의 표부에흐른다.
B. 낙맥은 횡선으로 인체의 이부에 흐른다.
C. 경맥 중에 장에 속하는것은 음경이다
D. 낙맥 중에 부에 속하는 것은 양경이다.
C. 경맥 중에 장에 속하는것은 음경이다
- 腋下(액하)에서 季防(계륵-第 11肋靖)까지의 거리는?
A. 9 cun 촌
B. 11cun촌
C. 13cun촌
D. 12cun 촌
D. 12cun 촌
- 삼초경과 담경이 만나는 곳은?
A. Inner canthus 내안각
B. On the cheek 협부
C. Outer canthus 외안각
D. None of the above 모두 다 아님
C. Outer canthus 외안각
- 다음 기경팔맥의 병후 중 양교맥의 병후를 설명한 것은?
A. 전간, 불면, 내안각적통, 요배통, 하지경련족외번
B. 척주강통, 각궁반장, 두통, 전간
C. 전간, 다면, 소복통, 요간련음중통, 하지경련족내번
D. 흉통, 심통, 위통 등의 이증
A. 전간, 불면, 내안각적통, 요배통, 하지경련족외번
- 임신 3개월인 임산부가 오심구토 또는 먹으면 즉시 토하고 혹시 청연을 구토하며, 완복창만, 신피사수, 설담태백, 활맥에 무력맥이다. 어떤 침자리를 써야하나?
A. REN12 (중완), REN13 (상완), PC6 (내관), ST36 (족삼리), SP4(공손)
B. REN17(전중),REN12(중완),PC6(내관),ST36(족삼리),LV3(태충)
C. REN12(중완),PC6(내관),ST36(족삼리),LI4(합곡)
D. REN17 (전중), REN12 (중완), REN4 (관원), ST36 (족삼리)
A. REN12 (중완), REN13 (상완), PC6 (내관), ST36 (족삼리), SP4(공손)
- l4세의 소년이 발열, 두통, 전간을 호소할 때 알맞은 오수혈은?
A. Jing well point정
B. Ying spring point형
C. Shu stream point 수
D. Jing river point 경
E. He sea point 합
B. Ying spring point 형
- 다음 중 호흡 보법을 설명 한 것은?
A. 환자가 숨을 내쉴때 침을 돌려준다.
B. 환자가 숨을 내쉴때 침을 올렸다 내렸다 한다.
C. 환자가 숨을 내쉴때 침올 넣는다.
D. 환자가 숨을 내쉴때 침을 뽑는다.
C. 환자가 숨을 내쉴때 침올 넣는다.
- 피내침의 주 용도는 ?
A. Excess and heat syndrome 실, 열증
B. Disorders of nervous system and skin disease 신경 조직과 피부의 병
C. Chronic or pain fill disease 만성 혹은 동통성 질병
D. AII of the above 모두 다
C. Chronic or pain fill disease 만성 혹은 동통성 질병
- l8세의 환자가 두통, 발열, 그리고 인후의 통증을 호소한다. 이 환자의 인후종통에 삼능침으로 치료하기에 가장 적합한 혈자리는?
A. LU11 (Shaoshang) 소상
B. PC3 (Quze) 곡택
C. UB40 (weizhong) 위중
D. Ear apex 이첨
A. LU11 (Shaoshang) 소상
교신(KD8)의 위치는 ?
A. 태계 상2촌, 근건의 전연
B. 태계 상5촌, 비복근의 대측근복하방
C. 태계 상2촌, 경골 내측연의 후방
D. 내과첨과 종골사이의 요함부
C. 태계 상2촌, 경골 내측연의 후방
- 압수의 무지와 식지로 경혈의 피부를 집어 올리고 자수로 침을 쥐어 측면에서 자입할 수 있을 때는?
A. 피부와 근육이 얇을 때
B. 피부와 근육이 두꺼울 때
C. 피부와 근육이 느슨할 때
D. 피부와 근육이 경직되어 있을때
A. 피부와 근육이 얇을 때
- 견갑골의 상각부에 있으며, 견정(담경)과 곡원 사이의 중간점에 위치한 혈은?
A. SJ14 (Jianliao) 견료
B. SJ15 (Tianliao) 천료
C. SJ16 (Tianyou) 천유
D. SJ17 (Yifeng) 예풍
B. SJ15 (Tianliao) 천료
- 환자가 다리 안쪽, 배, 심, 흉, 위부의 문제가 있다면 다음 중 어느 것을 쓸 수 있나?
A. LU7(열결), K6(조해)
B. SI3(후계), UB62(신맥)
C. GB41(족임읍), SJ5(외관)
D. SP4(공손), PC6(내관)
D. SP4(공손), PC6(내관)
- 다음 중 내과첨단에서 5촌 직상한 곳으로, 경골 내측면에서 내측연에 가까운 곳에 위치한 혈의 자침법은?
A. 0.3-0.5촌 직자
B. 0.3-0.5촌 횡자
C. 0.5-1.0촌 사자
D. 0.5-1.0촌 직자
B. 0.3-0.5촌 횡자
- 다음 중 체침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만약 근육이 일시적으로 긴장된 것이라면?
A. 일정시간 유침시킨 다음에 다시 염전하면서출침한다.
B. 국부를 문지른다.
C. 부근 부위에 일침을 자입함으로써 환자의 주의력을 이전시킨다.
D. 환자의 체위를 바꾸어 근육의 긴장성을 풀어준다
D. 환자의 체위를 바꾸어 근육의 긴장성을 풀어준다
- 수배의 척측으로 제 5중수골의 기저와 삼각골사이에 있는 요함부에 위치한 혈은 ?
A. 수소음 수혈
B. 수소음 형혈
C. 수태양 경혈
D. 수태양 원혈
D. 수태양 원혈 (완골 SI4)
- 다음 경의 기혈 중 치창동통과 탈항이 주치인 것은?
A. Bitong 비통
B. Yatongxue 요통혈
C. Luozhen 낙침
D. Erbai 이백
D. Erbai 이백
- 모자보사법을 이용해서 신허를 치료하기에 가장 바람직한 혈자리는?
A. KD2(Ranggu) 연곡
B. KD3(Taixi) 태계
C. KD7(Fuliu) 복유
D. KD10(Yingu) 음곡
C. KD7(Fuliu) 복유(부류)
족소음신경의 수혈, 음곡의 모혈인 토혈, 복유(부류)를 보함
- 간화범폐로 인한 기침을 치료하기에 가장 좋은 혈자리로 묶인것은?
A. LU7(열결), LI4(합곡), LV14(기문), UB18(간수)
B. UBI3(폐수), LU5(척택), LV3(태충), LV2(행간)
C. UB18(간수), LU10(어제), LV2(행간), GB20(풍지)
D. LU1(중부), UB13(폐수), LU9(태연), KD6(조해)
B. UB13(폐수), LU5(척택), LV3(태충), LV2(행간)
- 다음 중 만침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A. 만침을 발견한 후에는 다시 제삽과 염전을 행할 수 없으므로 순리대로 천천히
발침하도록한다.
B. 만약약 환자가 체위를 바꿔서 발쟁한 것이라면 먼저 원래의 체위로 회복시킨다.
C. 국부의 근육을 이완시킨 다음 다시 퇴침토록 한다.
4. 억지로 발침한다.
- 억지로 발침한다.
- 증상에 대해서 상응한 경혈을 선택하여 취혈시 틀린 것으로 짝지어진 것은?
A. 발열- Lu14(대추), LI11(곡지), LI4(합곡)
B. 협륵통-SJ6(지구), GB34(양릉천)
C. 변비- SJ6(지구), KI6(조해)
D. 혼미- Du23(상성), LI4(합곡)
D. 혼미- Du23(상성), LI4(합곡)
- 아문의 자침법은?
A. Subcutaneously 0.5~0.8inch. 0.5-0.8촌을 횡자
B. Perpendicularly O.5~0.8inch. 0.5-0.8촌을 직자
C. Subcutaneously 0.3~0.5inch. 0.3-0.5촌을 횡자
D. Perpendicularly O.3~0.5inch. 0.3-0.5촌을 직자
B. Perpendicularly O.5~0.8inch. 0.5-0.8촌을 직자
- 다음 십오낙맥의 병후 중 수태양낙맥의 병후를 설명한 것은?
A. 관절종완, 주부위산, 피부생우
B. 주관절 구련, 주관절 이완불수
C. 전광,족경부 기육 위축과 이완, 인부종통, 돌연음아
D. 비색, 비류정체 두통, 배통, 비출혈
A. 관절종완, 주부위산, 피부생우
- 수음경은 _____에서 시작해서, _____에서 끝난다.
A. 머리, 손
B. 가슴, 손
C. 발가락, 가슴/복
D. 손, 머리
B. 가슴, 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