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siness Management Flashcards
(93 cards)
TOC(Theroy of Constraints)
▣ 정의 - 기업이 목표를 달성하는데 방해가 되는 제약(Constraints) 요인을 찾아서 해결해 나가는 방법론에 대한 지속적인 문제해결 솔루션 ▣ TOC제약과 극복방안 1) 물리적 제약 - DBR (Drum-Buffer-Rope) - 원자재의 투입은 Drum에 맞추어 동기화(Rope), 예비자원(Buffer) 운용 2) 정책적 제약 - TOC Thinking Process - 정책적 제약요인 변화 실행하는 계통적인 수법 3) 프로젝트 관리 - Critical Chain - 제약자원관점에서 Buffer활용하는 CC 적용 4) 회계 관리 - Throughput Accounting - 전사적 TOC 성과측정 지표
캐즘이론 (기술수용주기 마켓 모델)
▣ 정의 - 초기시장에서 주류시장으로 넘어가는 지점에 신제품 확산이 실패하거나 판매정체 현상 발생,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이론 ▣ 특징 - 기술수용주기 세분화 : 초기, 주류, 말기 - 진행사항 별 고객분류 : 혁신, 선각, 전기다수, 후기다수, 지각 - 캐즘 극복전략 단계 : 디데이 전략, 공격포인트 선택, 특공대결정, 전투와 경쟁대상의 정의, 공격개시 - 신기술 마케팅 전략 활용 ▣ 소비자 유형 - 혁신 : 기술 애호가 - 선각 : 보편성 중심 - 전기다수 : 실용적인 구매 성향 - 후기다수 : 보수적 계층, 표준선호 - 지각 : 구제불능 계층 ▣ 캐즘 유발 원인 - 객체 정보의 부정확성, 부족한 컨텐츠, 고객 니즈 인식 부족, 유통 체널의 세분화, 광고에 집중되는 수익원천 ▣ 극복방안 1) 디데이 전략 (기존 시장 탈환) - 세분시장 선택 - 완전 완비제품 생산 - 집중 공략 - 거점 확보 - 구전효과의 연쇄반응 2) 완재품 전략 - 기대 제품과 보강 제품 개발 전략
◆ 캐즘 극복 전략
• 디데이 전략
디데이 전략이란 기존의 시장 탈환의 과정으로 다음과 같다.
첫째, 세분시장을 선택하라. 둘째, 완전 완비제품을 만들어라. 셋째, 집중 공략하라. 넷째, 든든한 거점을 확보하라. 다섯째, 구전효과의 연쇄반응을 노려라.
즉, 초기에 확실하게 지배할 수 있는 틈새시장을 목표로 정함으로써 캐즘을 뛰어넘는 한편, 그 틈새 시장에서 경쟁자들을 몰아낸다. 그리고 그 다음 이 곳을 좀 더 광범위한 작전을 펴기 위한 전진기지로 이용하는 것이다. 요컨대 틈새 목표시장에 초점을 맞추고 집중 공략한 후, 이들을 커뮤니티 등을 활용해 충성도를 높여 긍정효과를 노리는 것이다.
• 완전제품 전략
완전제품 전략이란, 처음부터 완벽한 제품을 개발하겠다는 계획 혹은 이미 출시한 제품이 고객의 요구를 모두 수용하고 있다는 생각보다는, 처음에 출시된 통상 제품에 고객들이 기대하는 바를 반영한 기대 제품과 보강 제품으로 보완하고, 장차 시장이 이동해 갈 잠재 제품을 개발해 나가는 전략이다. 이러한 단계에 따른 제품 개발과 보완으로 기술수용주기 곡선 상의 다양한 고객의 수요를 반영할 수 있다고 한다.
SW 서비스 모델 유형
▣ 등장배경 - SW/IT서비스 산업의 신성장 동력 기대감 - SW융합을 통한 산업 간 가치사슬 확산 ▣ SW서비스 모델의 정의 - 산업 간, 기업 간 가치사슬의 융합을 촉진함으로써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고, 가치를 생산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 SW서비스 모델의 유형별 사례 - 단방향 서비스 모델 (센터형 모델, 폐쇄적) : 확산 제한적 - 복합 서비스 모델 (플랫폼형 모델, 개방적) : 파생 서비스 생성 - 융합 소비스 모델 (플랫폼형 모델, 개방적) : 융합 결합 확장 ▣ 기대효과 - 고객 측면 : 고객 범위 확장 - 사업모델 측면 : 재방문, 재사용의 누적형 사업구조 - 정보화 사업 측면 : 서비스 기업으로의 변화 - 핵심역량 측면 : 우수인력 확보 중요
정보통신발전지수(ICT-Development Index)
▣ 정의 - 한 나라의 정보통신 발전정도와 국가간 정보격차를 종합적으로 나타내는 척도 ▣ 측정지표 ○ ICT 접근성 1) 인구 100명당 유선전화 회선 수 2) 인수 100명당 이동전화 가입건수 3) 인터넷 이용자 대비 국제 인터넷 대역폭 4) 컴퓨터 보유 가구 비율 5) 인터넷 접속 가구 비율 ○ ICT 이용 1) 인구 100명당 인터넷 이용자 2) 인구 100명당 유선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3) 인구 100명당 무선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 ICT 능력 1) 성인 문해률 2) 중등교육기관 총 취학률 3) 고등교육기관 총 취학률
Hype Curve (신기술의 불연속성)
▣ 개념 - 현대의 모든 신기술에 적용되는 기술의 불연속적 현상의 원인 ▣ 기술단계 1) 태동기 - R&D - 선도 회사 등장 벤처캐피탈의 첫번째 투자 - 실험실 프로토타입 - 미동작 제품 - 언론의 관심 시작 2) 거품기 - 1세대 제품 출시, 고가, 고객 최적화 요구 많음 - 부정적 기사 등장 3) 거품제거기 - 실패 사례 - 벤처 캐피탈의 두번째, 세번째 투자 4) 재조명기 - 2세대 제품 출시, 부가서비스 - 5% 미만 시장 수용 - 3세대 제품 출시 - 고성장 단계로 시장 수용 본격화, 타켓 시장의 약 20%가 기술을 수용했거나 수용 중인 단계
Start up 죽음의 계곡
▣ 개념 - 창업사업화 과정에서 자금조달, 시장진입 등 어려움을 겪는 시기 ▣ 극복방안 1) 시장전문가 코칭 - 사업모델 개발/진단 기법 : TEC, BMG, LEAN Start-Up - 제품, 서비스 개발/진단 기법 : GTSC, QFCD 2) 기업 유형별 지원 - CEO 코칭, BM혁신 - 제품검증, 보강 - 마케팅, 홍보 - 자금, 투자연계 3) 기업별 1인 전담 매니저 배치 - 실시간 SNS 소통 (전담 매니저, 분야별 전문가, 현장 지원단) 4) 지원자금 조달 간소화
왓-이프(What-if Analysis)
▣ 개념 -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입력 변수 또는 매개 변수의 값들의 변화가 변수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는 기법 ▣ 분석방법 - 입력 : 원인변수 - 출력 : 결과변수 - 함수 : 인과관계 모형함수 - 입력값의 집합군에서 값을 변화시키며 결과변수를 반복적으로 확인 ▣ 분석활동 예시 - 고정비중 판매관리비를 절감하면 손익분기점이 얼마나 낮아지는가? 1) 판매관리비를 12,000으로 낮출 경우 2) 판매관리비를 11,000으로 낮출 경우 ▣ 활용사례 - 광고비등을 변동시켜 가며 매출액 변동을 분석 - 제조비용과 연구 개발비가 손익분기점에 미치는 영향
민감도 분석(Sensitivity Analysis)
▣ 개념
- 주요 변수들의 값을 점진적으로 변화시켰을 때 대안들의 성과 변동폭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추가로 분석하여 사업의 위험성을 평가하는 방법
▣ 분석방법
- 연속적인 What-if 분석
- What-if 분석에 의해 도출된 원인변수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결과변수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확인
- 변화의 폭이 깊은 곳을 Sensitivity Point로 결정
▣ 분석활동 예시
- 고정비중에서 판매관리비를 12,900 부터 300단위로 줄여가면 손익 분기점이 어떻게 변화되는가? (변화하는 정도)
▣ 활용사례
- 판매가격에 따라 판매량이 변하는 정도
- 판매가격의 변동이 판매량에 미치는 영향 분석
목표 탐색 분석(Goal-Seeking Analysis)
▣ 개념 - 목표치를 설정하고 그 목표치를 달성 할 수 있는 관련 변수의 값을 찾는 방법 ▣ 분석방법 1) 목표값 2) 입력변수 집합 3) 일변수 방정식 4) 일치성 비교 - 역 What-if 분석 - 원인 변수와 결과 변수 사이 인과관계 모형으로부터 역 탐색 방법 활용 ▣ 분석활동 예시 - 손익분기점이 6000이 되도록 하려면 고정비중에서 판매관리비를 얼마로 변경해야 하는가? ▣ 활용사례 - 100억의 매출액 달성을 위해 광고비로 얼마나 지출 해야 하는지를 분석
최적화 분석(Optimization Analysis)
▣ 개념
- 결과값을 사전에 정하지 않고 여러가지 제약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최적(최대/최소)의 값을 찾을 때까지 분석하는 기법
▣ 분석방법
1) 목표값
2) 입력변수 집합
3) 일변수 방정식
4) 최대값, 최소값
5) 값의 군집에서 최적의 값 선정
- 최적의 해를 산정하기 위해 “최대/최소/지정” 값을 설정하여 연산
▣ 분석활동 예시
- 손익분기점이 6000이 되도록 하려면 고정비중에서 판매관리비가 얼마로 변경해야 하는가? (최대값/최소값 설정 비교)
▣ 활용사례
- 주어진 생산설비 안에서 이익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생산 제품의 양 산출
- 제품을 생산하는데 있어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원료의 배합을 구하는 문제
시스템 다이나믹스
▣ 개념 - 구조가 형태를 결정짓는다는 개념, 의사결정 과정에서 다양한 변수를 고려한 변수 간 상호 영향관계를 파악하는 접근방법 ▣ 사고방식 - 피드백 사고 : 시스템의 피드백 루프를 발견하고 활용 - 동태적 사고 : 변화에 초점을 두어야 시스템을 이해할 수 있음 - 사실적 사고 : 시스템의 요소와 관계성을 구체적으로 직시 ▣ 두가지 연구 방법 - Soft Methodology - Hard Methodology ▣ 연구절차 1) 문제의 이해 2) Causal Loop Diagram 작성 3) 개념 설계 4) Stock Flow Diagram 작성 5) 자료 수집 6) 모델 검증 7) 마무리 작업 8) 모델 응용 ▣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구성요소 ○ 시스템 : 특정 목표를 공유하는 요소들의 집합. ○ 인과관계 : CLD, +, - ○ 피드백 : 강화(Reinforcing)루프, 균형(Balancing)루프 ○ 레벨과 레이트 - 레벨 : 특정 시간에서 시스템의 상황 (2014년 영업량, 재고량, 직원수) - 레이트 : 시스템의 활동 (일일 생산량, 일일 영업량) ○ 스톡, 수준 변수 - 시스템의 상태 - 플로우, 유량에 의해 변화 ○ 플로우, 변화율 변수 - 수준 변수의 변화 -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변화량, 스톡 수준 변화시킴 ○ 보조 변수 - 변화율 변수 계산 보조 ○ 상수, 초기값 - 의사결정 변수 - tock/Flow 다이어그램 ▣ 인과 루프 다이어그램의 구성 - 화살표 : 변수와 변수간 인과 관계의 방향 표시 - 방향 : +, - - 피드백루프 : 양(상승작용), 음(안정작용)
BABOK
▣ 정의 - 비즈니스 분석(BA)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한 업무와 기술들을 모은 지식 체계 ▣ 주요 구성요소 ○ BA Knowledge Area (비즈니스 분석 지식영역) (계도관기분설) - BA 계획 및 모니터링 : 활동정의, 이해관계자 확인, 분석 기법 선택 - 요구사항 도출 : 근본 needs 파악 - 요구사항 관리 및 커뮤니케이션 : 합의, 갈등, 이해, 변화 관리 - 기업 분석 : 문제 정의 및 분석, 업무 케이스 개발, 실행 가능성 연구 - 요구사항 분석 : 현행 비즈니스 상태 평가, 최종 요구사항 검증 - 솔루션 평가 및 검증 : 솔루션 갭, 단점 확인, 푱가 ○ Business 분석업무 수행자 역량 - 분석적 사고와 문제 해결 - 비즈니스 지식영역 - 의사소통 스킬 - 상호작용 스킬 - 행동 특성 - Software Application ○ Business 분석활동을 위한 기술 - Business 분석 지식영역에서 업무 수행을 위해 사용되는 기법 ▣ 분석기법 ○ RACI Metrix ○ Stakeholder Map ○ Variance Analysis ○ Baselining ○ Signoff ○ Coverage Matrix ○ Requirements Documentation ○ Requirements for Vendor Selection : RFP, RFQ ○ Feasibility Analysis, Feasibility Study ○ Problem or Vision Statement ○ MoSCow Analysis : Must Have, Should Have, Could Have, Would Not ○ Timeboxing/Budgeting ○ Voting ○ Checklists ○ Force Field Analysis
Business Analytics
▣ 정의 ○ 비즈니스 의사결정을 위해 필요한 핵심정보를 제공하는 분석기법 ▣ 특징 ○ 비즈니스 통찰력 획득 ○ 선제적 의사결정 ▣ 종류 (설예규결) ○ 설명 분석 (Descriptive Analytics) : 리포트, 스코어카드, 클러스터링 ○ 예측 분석 (Predictive Analytics) : 통계, 기계 학습법 ○ 규범적 분석 (Prescriptive Analytics) : 최적화, 시뮬레이션 ○ 결정적 분석 (Decisive Analytics) : 추론 ▣ 구성 1) 선제적 의사결정 (BA영역) - 통계분석 - 시계열 예측 - 예측 모델링 - 최적화 2) 결과 반응적 의사결정 (BI영역) - 정형 리포트 - 비정형 리포트 - OLAP (검색, 드릴 업/다운) - 경보(Alert)
ABM(Agent-Based Model)
▣ Agent의 정의 - 시스템의 사용자를 대신해서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자동적으로 수행해 주는 소프트웨어어로 정적/동적 에이전트로 분류 ▣ Agent의 성질 - 자율성 : 행동을 스스로 결정 - 사회적 능력 : 다른 에이전트와 상호작용 - 반응적 : 환경에 맞게 반응 - 목표 지향적 : 주어진 임무 목표를 달성 ▣ ABM의 정의 - 컴퓨터 가상 공간에 현실과 유사한 환경을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기초적인 행위 규칙을 부여하여 현상의 패턴을 분석하는 기법 ▣ 구성요소 및 도구 1) Production System - 규칙집합 : 읽기, 쓰기, 조건, 행동 - Working Memory : 상태 기록 - Rule Interpreter : 행동 수행 2) Production System 학습 - 소극적 학습 : 규칙 불변, 환경과 에이전트에 대한 학습 수행 - 소극적 학습 : 규칙 수정, 변화 대응, 신경망/진화 알고리즘 사용 3) Environment - 사회적 환경 : 에이전트간 상호 네트워크 구성 - 물리적 환경 : 에이전트 위치 제약 4) ABM 도구 - Lisp-stat, Swarm, MAML, SDML, LSD, SIM_AGENT, SimBioSys, StartLogo ▣ 활용 분야 및 발전 전망 ○ 활용 분야 : 네트워크 확산, 시뮬레이션 기법, 복잡계 시스템, 다이나믹스, 전염모형, 경제학적 시장모델링 ○ 발전 전망 : 휴먼시스템, 관계 탐구 분야 ○ 개발 과정 : 목표 현상 지정 -> 추상화 -> 모델구현 -> 현실사회 비교 ○ 결정 요인 : 인지, 감각, 행동, 환경특성, 시스템 초기조건, 시뮬레이션 현상 ○ 설계 요건 : 환경 변수 입력, 지난입력 행동 저장, 다음 행동 결정, 행동 수행, 수행결과 타 에이전트에 반영
5-Force
▣ 분석방법 ○ 대체재 : 비슷한 제품의 가격과 효능 ○ 구매자 : 구매 비중, 차별화 여부, 공급업체 정보량 ○ 잠재적 경쟁자 : 소요자본, 유통경로, 정부정책 ○ 공급자 : 매출액, 차별화, 교체비용 ○ 산업내 경쟁기업 : 성장률, 고정비, 철수장벽
7S
▣ 개념 - 기업을 조직하는 7가지 주요 요인 ▣ 요인 1) 직접적 영향 - 전략(Strategy) : 경영전략 수립 - 조직구조(Structure) : 매트릭스 조직화 - 제도(System) : PI 팀 설치 2) 간접적 영향 - 역량(Skills) : 역량개발 - 인적자원(Staff) : 신 인사모형 도입 - 경영방식(Style) : 조직 문화 전파 3) 핵심적 요소 - 가치 공유(Shared Values) : CEO 공유가치
SWOT
▣ 개념 - 외부환경(기회, 위협), 조직내부(강점, 약점) 분석하여 전략적 과제 및 방향성 설정 기법 ▣ 기법설병 - SO : 내부 강점과 외부 기회 요인을 극대화 - WO : 외부 기회를 이용하여 내부 약점을 강점으로 전환 - ST : 외부 위협을 최소화 하기 위해 내부 강점을 극대화 - WT : 내부 약점과 외부 위협을 최소화
4C
▣ 개념
- 조직의 전략적인 시장경쟁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반드시 분석해야 하는 4가지 항목을 정의한 분석 방법론
▣ 분석항목
- 고객 분석(Customer) : 고객 needs 분석
- 환경 분석(Circumstance) : 채널 구성원, 매출 목표, 평균 재고 수준
- 경쟁 분석(Competition) : 경쟁상대 전략, 목적, 강점, 약점, 대응 패턴
- 기업 분석(Company) : 자사 매출, 마켓, 강점, 인재
5Forces, 7S, 4C, SWOT 분석 간 연계 절차
- PEST, STEEP
- 외부환경분석
- 정책, 경제, 사회변화, 트랜드, 기술, 제도 - 4C Analysis
- 내부환경분석
- 고객, 환경, 경쟁, 기업 - Distribution & Media Analysis
- 유통 채널, 미디어 - SWOT
- 외부환경 + 내부환경
- 전략의 방향 도출 - 마케팅 목표 설정
- KPI, CSF 수립 - STP 전략수립
- Segmentation
- Targeting
- Positioning - 4P 전략 수립 (제가장촉)
- Product(제품), Price(가격), Place(장소), Promotion(촉진) - Action Planning
- 최적의 전략 도출 및 이행
PEST
▣ 개념
- 정치, 경제, 사회문화, 기술적 거시환경의 요인 및 영향도 통해 전략수립의 기초제공분석 기법
▣ 4가지 관점
- 정치적 : 정치적, 법률적 부분에서 Biz 생태계 변화 측면 분석
- 경제적 : 경제적 생태계 변화관련 분석, 사업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
- 사회문화 : 사회문화적 생태계 측면 분석
- 기술 : 기술 라이프사이클 분석, 기술의 확산 및 일반화 예측
▣ 활용방안
- 사업에 대한 긍정적 기회요인, 부정적 위협요인 선정 (사업에 미치는 영향도 및 중요도별 우선순위 정렬 후 내/외부 환경 분석 수행
- 브레인스토밍 기법 활용하여 기업의 전략기획, 마케팅 기획, 사업의 제품개발, 리서치 리포트
STEEP
▣ 개념 - 산업 내의 기업의 경쟁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거시적 환경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한 프레임워크 ▣ 구성 - Social : 사회적 - Technological : 기술적 - Economic : 경제적 - Ecological : 생태학적 - Political/Legal : 정치적/법적
BCG Matrix
▣ 정의 - 시장성장률(Market Growth), 상대적 시장점유율(Market Share) 2가지 기준축으로 사업을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원을 효과적으로 분배할 수 있도록 하는 기업 전략수립 기본 분석도구 ▣ 구성 - Star : 장래의 Cash Cow - Question Mark : 선택과 집중 필요 - Cash Cow : 회사전체의 자금원 - Dog : 희망없음 ▣ 문제점 - 시장에 대한 정의 모호성 - 고 성장분야 사업 예외성 - 지나친 일반화 문제 - 축 척도 자체의 타당성 결여 문제
GE Matrix
▣ 정의 - 기업의 전략적 사업단위(Strategy Business Unit-SUB)에 대한 비즈니스 포트폴리오 분석을 수행하는 모델 ▣ 등장배경 - BCG 취약점 - 포괄적 분석기법 요구 ▣ 구성 - 산업의 매력도 : 고, 중, 저 - 사업의 강점 : 고, 중, 저 - 청신호 : 투자/육성 - 주의신호 : 선택적 개선/방어 - 적신호 : 전환/퇴출 ▣ 주요요소 - 산업의 매력도 : 시장규모, 시장잠재력, 경쟁구조, PEST/STEEP 요인 - 사업의 강점 : 규모, 시장점유율, 위치, 경쟁우위
FMEA (Failure Mode Effect Analysis)
▣ 위험발생 부분 1) 제조부문 - 불분명한 고객의 기대 - 잠재적인 안전 위험 - 부실한 관리계획 & SOP's - 부실한 프로세스 공정능력 - 원부자재 변동 - 부실하게 만드는 규격 - 측정 변동 - 기계의 신뢰성 - 숙련도 기준 모호 2) 비 제조부문 - 고객의 가치를 모르고 단순 열심히 - 계약부서의 계약조건 위험 - 채권/재고 장부와 실물의 불일치 - 우선순위 없는 업무처리 - 관행에 젖은 업무처리 - VOC 등 조사, 확인 없는 추측에 의한 문제진술 - 필요한 정보의 조사부족 - 계산식의 오류 - 신규담당자의 처리미숙 ▣ FMEA 개념 - FMEA+(P) -> (P)FMEA - Potential : 잠재적 - Failure : 고장 - Mode : 형태 - & : (와) - Effects : 영향 - Analysis : 분석 ▣ FMEA 의 종류 - 설계 FMEA - 공정 FMEA - 설비 FMEA ▣ FMEA 의 단계 1) 제품설계 - 벤치마킹, 대체계산, 설계 과정 점검 - 시뮬레이션 - 시작품, 시험 2) 공정설계 - 금형제작, 수명, 노후화 - 공정 장비 수준 - 공정도 분석 3) 생산 - 검사장비 - 검사표준 ▣ 효과 - 실패유형 조기 정의 - 사전 검토 가능성 증가 - 시험 및 검증활동 지원 - 활동 우선순위 결정 - 미래 프로젝트 가이드 ▣ FMEA Team - 전문분야협력 팀 접근 활동 필수적 - 책임 있는 설계/제조의 엔지니어가 팀 리딩 - 팀 구성의 필요 부분 : 설계, 제조, 품질, 구매, 시험, 협력업체 ▣ FMEA 시작 시점 - 새로운 시스템, 제품이나 공정들이 설계될 때 - 현재의 설계 결과 물이나 공정이 변경되어 질 때 - 기존의 설계 결과 물이 새로운 개발 폼에 적용되어질 때 - 시스템, 제품이나 공정기능이 정해지고 검증적인 제조를 위해 규정된 하드웨어가 선택되어지거나 만들어지기 전 - 공정개선 연구를 위한 초기 프로세스가 개발된 이후 ▣ FMEA 갱신 시점 - 제품의 설계, 응용, 환경, 원재료, 제조 및 조립공정의 변경이 고려 되어질 경우 - 조치 항목 요소의 결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 RPN's 지수를 재 계산 해야 하는 경우 - 새롭게 부각된 높은 RPN 지수 항목의 조치와 책임사항을 규명하는 경우 ▣ FMEA Defects 1) 결함발생 이유 - 제조 시 의도된 공정조건과의 불일치 - 완벽한 제조과정을 거쳤음에도 불구하고 설계결함에 기인한 불완전 요소 - 제품의 요구되는 성능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 적절하지 못한 주의경고와 지침에 의해 야기되는 위험요소 2) Design Defects - 제품들의 전체적인 성능/조합에 미치는 영향 3) Manufacturing Defects - 원재료가 결함을 내포 - 제조과정의 통제되지 않는 실수 4) Service Defects - 서비스가 정해진 기준이나 고객과 합의된 대로 이행되지 못하는 경우 ▣ FMEA의 실패원인 - 제조환경 미 검토 - 설계 입력요소의 미 반영 - 계산식 오류 - 설계표준 미적용 - 저급부품의 사용 - 잘못된 재료선정 ▣ FMEA 작성방법 1) 사전준비 : 브레인스토밍 -> 잠재적 실패 나열 2) FMEA 실시 : 심각도 결정 -> 발생 확률 결정 -> 검출율 결정 -> 우선순위(RPN) 계산 3) 대응 : 우선순위 선택 -> 실패/위험 제거 -> RPN 재 계산 ▣ 위험 우선 순위 (Risk Priority Number) - 심각도(Severity) x 발생도(Occurrence) x 검출도(Detection) - (영향의) 심각도 : 설계적 문제 - (원인의) 발생빈도 : 공정기술 문제 - (현재 관리의) 검출 (능력) : 관리력의 문제